STS-8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S-88은 1998년 12월에 진행된 우주왕복선 임무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 조립을 위한 첫 번째 비행이었다. 6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했으며, 사령관 로버트 D. 카바나를 포함하여 여러 임무 전문가가 참여했다. 임무의 주요 내용은 유니티 노드를 우주왕복선 엔데버 호가 전달하여 자랴 모듈에 연결하는 것이었다. 세 차례의 우주 유영을 통해 유니티 노드를 활성화하고,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STS-88은 ISS에 첫 번째로 진입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으며, 이후 다양한 활동과 함께 13일 만에 지구로 귀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발사한 우주선 - STS-95
- 1998년 발사한 우주선 - 딥 스페이스 1호
NASA의 딥 스페이스 1호는 뉴 밀레니엄 계획에 따라 개발되어 이온 추진 엔진과 자동 항법 시스템 등 미래 심우주 탐사에 필요한 신기술을 시험하고 브라유 소행성 탐사 후 보렐리 혜성 탐사에 성공했다. - 1998년 12월 - 제49회 NHK 홍백가합전
제49회 NHK 홍백가합전은 1998년에 방송되었으며, 미야모토 류지, 쿠보 준코, 나카이 마사히로가 사회를 맡고, 와다 아키코와 키타지마 사부로가 가수 리더를 맡아 아무로 나미에의 복귀 무대 등으로 제2부 평균 시청률 57.2%를 기록했다. - 1998년 12월 - 제11회 유럽 영화상
1998년 제11회 유럽 영화상에서는 로베르토 베니니 감독의 《인생은 아름다워》가 유러피안 작품상을, 로베르토 베니니는 남우주연상을, 롤란트 에머리히는 영화 《고질라》로 감독상을, 제레미 아이언스가 유럽영화아카데미 평생공로상을 수상했다. - 우주왕복선 임무 - STS-135
STS-135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마지막 임무로, 아틀란티스호를 이용하여 국제우주정거장에 물자 보급 및 고장난 펌프 회수, 로봇 연료 보급 임무 장비 설치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승무원 4명과 ISS 승무원의 협력으로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 우주왕복선 임무 - STS-51-A
STS-51-A는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의 9번째 임무로, 아닉 D2와 싱콤 IV-1 위성 발사 및 팔라파 B2, 웨스타 6 위성 회수에 성공했으며, 생명줄 없는 마지막 우주 유영과 유인 조종 장치(MMU) 사용의 마지막 임무로 기록되었다.
| STS-88 | |
|---|---|
| 미션 정보 | |
| 미션 명칭 | STS-88 |
| 다른 이름 | 우주 수송 시스템-88 |
![]() | |
| 미션 유형 | ISS 조립 |
| 운영 기관 | NASA |
| COSPAR ID | 1998-069A |
| SATCAT | 25549 |
| 완료 궤도 수 | 186 |
| 이동 거리 | 약 7,600,000 km |
| 미션 기간 | 11일 19시간 18분 47초 |
| 발사 질량 | 약 119,710 kg |
| 착륙 질량 | 약 90,851 kg |
| 발사 장소 | 케네디, LC-39A |
| 발사 날짜 | 1998년 12월 4일, 08:35:34 UTC |
| 착륙 날짜 | 1998년 12월 16일, 03:53 UTC |
| 착륙 장소 | 케네디, SLF 15번 활주로 |
| 승무원 수 | 6 |
| 승무원 | 로버트 D. 카바나 프레더릭 W. 스터코 제리 L. 로스 낸시 J. 커리 제임스 H. 뉴먼 세르게이 K. 크리칼료프 |
![]() | |
| 도킹 정보 | |
| 도킹 대상 | ISS |
| 도킹 방식 | 도킹 |
| 도킹 포트 | 자랴 전방 (경유: PMA-2, 유니티, PMA-1) |
| 도킹 날짜 | 1998년 12월 7일, 02:07 UTC |
| 언도킹 날짜 | 1998년 12월 13일, 20:24 UTC |
| 도킹 시간 | 6일 18시간 17분 |
| 궤도 정보 | |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
| 궤도 영역 | 저궤도 |
| 궤도 근지점 | 388 km |
| 궤도 원지점 | 401 km |
| 궤도 주기 | 92.4 분 |
| 궤도 경사 | 51.6 도 |
| 프로그램 정보 | |
| 프로그램 |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 |
| 이전 미션 | STS-95 (92) |
| 다음 미션 | STS-96 (94) |
| 화물칸 카메라 (IMAX) | |
| 화물칸 카메라 | IMAX Cargo Bay Camera (ICBC) |
2. 승무원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2. 1. 구성
| 역할 | 이름 | 국적 | 비행 횟수 |
|---|---|---|---|
| 사령관 | 로버트 D. 카바나 | 미국 | 4번째 |
| 조종사 | 프레데릭 W. 스터코 | 미국 | 1번째 |
| 임무 전문가 1 | 제리 L. 로스 | 미국 | 6번째 |
| 임무 전문가 2 / 비행 엔지니어 | 낸시 J. 커리 | 미국 | 3번째 |
| 임무 전문가 3 | 제임스 H. 뉴먼 | 미국 | 3번째 |
| 임무 전문가 4 | 세르게이 K. 크리칼레프 |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 4번째 |
2. 2. 좌석 배치
wikitext
STS-88 임무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을 위한 첫 번째 미국 우주 왕복선 임무였다. 주요 목표는 러시아가 제작하여 먼저 발사한 자랴(FGB, 기본 기능 모듈)와 미국이 제작한 첫 번째 모듈인 유니티(Node 1)를 지구 저궤도에서 결합하는 것이었다. 이 임무는 국제 우주 정거장이라는 거대한 구조물의 조립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계였다.
3. 발사 시도
시도 날짜 및 시간 (UTC) 결과 취소/성공 시점 (UTC) 카운트다운 시점 이유 날씨 적합 확률 1차 1998년 12월 3일 03:58:19 취소 1998년 12월 3일 04:03:19 T-00:00:19 유압 문제로 인한 마스터 경보[4] 40% 2차 1998년 12월 4일 03:35:34 성공 - - - 60%[5]
4. 임무 주요 내용
엔데버호는 '유니티' 모듈을 싣고 발사되어, 이미 궤도를 돌고 있던 '자랴' 모듈과 성공적으로 접근 및 도킹(랑데부)했다. 승무원들은 우주 왕복선의 로봇 팔과 여러 차례의 우주 유영을 통해 두 모듈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력 및 데이터 케이블을 설치했다.[19][7][8][21]
1998년 12월 10일, 승무원들은 역사상 처음으로 새로 결합된 국제 우주 정거장 모듈 내부에 진입했다. 미국인 사령관 로버트 카바나와 러시아 우주 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가 함께 '유니티' 모듈의 해치를 열고 들어간 것은 미국과 러시아 간의 우주 협력을 상징했다.[11] 승무원들은 내부 조명을 켜고, NASA 휴스턴 관제 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S-밴드 시스템을 설치했으며[24][11], '자랴' 모듈의 배터리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원정대가 사용할 물품을 정리하는 등의 초기 설비 작업을 완료했다.
임무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국제 우주 정거장의 관제 업무는 모스크바 관제 센터에서 휴스턴의 우주 정거장 관제 센터로 이관되었다. '엔데버'호가 분리된 후, '자랴'와 '유니티'로 구성된 초기 국제 우주 정거장은 다음 조립 임무를 기다리며 무인 상태로 궤도를 비행했다.[12]
4. 1. 모듈 결합



국제 우주 정거장 계획의 초기 단계에서, STS-88 임무는 러시아의 기본 기능 모듈 자랴(FGB)와 미국의 노드 모듈 유니티(Node 1)를 결합하는 것이 핵심 목표였다. '유니티'는 우주 왕복선이 ISS 건설을 위해 운반한 최초의 미국 모듈로, 양쪽 끝에 가압 결합 어댑터(PMA)가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PMA-1은 영구적으로 '자랴'에 연결되고, PMA-2는 우주 왕복선의 도킹 및 승무원 접근에 사용된다. '유니티'에는 또한 궤도 활동 지원을 위한 국제 표준 탑재체 랙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다섯 번째 우주 왕복선/정거장 조립 비행 이후 활성화되었다.[1]
조립 임무를 위해, 엔데버 승무원들은 먼저 궤도에 있는 '자랴' 모듈에 접근하기 위한 일련의 랑데부 기동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커리는 우주 왕복선의 로봇 팔(캐나담)을 사용하여 '유니티' 모듈을 우주 왕복선 도킹 시스템 위에 배치했다.[19][7] 사령관 카바나는 엔데버호를 조종하여 '자랴' 모듈로부터 10m 이내 거리까지 접근하여 랑데부를 완료했다. 이를 통해 커리는 로봇 팔로 '자랴'를 붙잡아 '유니티'의 가압 결합 어댑터(PMA-1)에 성공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었다.[8]
두 모듈이 도킹된 후, 로스와 뉴먼은 두 차례의 예정된 우주 유영을 통해 '유니티'와 '자랴' 사이에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고, 불필요한 단열 담요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21] 이 작업으로 두 모듈 간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우주 유영 다음 날, '엔데버'는 새로 결합된 두 모듈에서 분리되어 첫 번째 우주 정거장 조립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9][10] 이후 국제 우주 정거장의 관제 업무는 모스크바 관제 센터에서 존슨 우주 센터의 우주 정거장 관제 센터로 이관되었다.
1998년 12월 10일, '엔데버'의 우주 비행사들은 새로 조립된 국제 우주 정거장의 '유니티'와 '자랴' 모듈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이들은 미국 비행 관제사들이 정거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S-밴드 통신 시스템을 구축했다.[24][11] 국제 협력을 상징하듯, 사령관 로버트 카바나와 러시아 우주 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미국이 제작한 '유니티' 연결 모듈의 해치를 함께 열고 새로운 정거장으로 들어섰다.[11]
나머지 승무원들(스터코우, 로스, 뉴먼, 커리)도 뒤따라 들어와, 향후 다른 모듈들이 연결될 허브 공간에서 조명을 켜고 장비를 배치하기 시작했다. '유니티' 내부 통로에는 새로운 모듈 연결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11] 약 한 시간 후, 카바나와 크리칼레프는 러시아가 제작한 자랴 제어 모듈의 해치를 열었다. 두 사람은 다른 승무원들과 함께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의 역사적인 첫 진입을 축하하며, 이 해치 개방이 우주 탐험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순간임을 강조했다.[11]
로스와 뉴먼은 '유니티' 내부에서 초기 S-밴드 통신 시스템 조립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휴스턴의 비행 관제사들은 '유니티' 시스템에 명령을 내리고 정거장 상태를 더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11] 또한, 이 통신 시스템의 화상 회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는데, 이 기능은 2000년 11월 정거장에 처음으로 영구 거주한 승무원(엑스페디션 1)이 사용하게 된다. 뉴먼은 휴스턴 관제실과 엑스페디션 1 사령관 빌 셰퍼드에게 인사를 전했다.
크리칼레프와 커리는 '자랴' 모듈의 6개 배터리 중 하나에서 발생한 방전 제어 장치 고장을 수리했다. 해당 배터리는 자동 구성에서 문제가 있었으나, 새 장치 설치 후 정상 작동했다.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자랴' 내부에 보관된 하드웨어와 보급품을 꺼내어 다음 방문 승무원과 엑스페디션 1 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등 정거장의 초기 설비 작업을 완료했다.
'엔데버'가 새로운 정거장에서 최종적으로 분리되기 전, '자랴'와 '유니티'의 해치는 다시 닫혔고, 새로 결합된 복합체는 무인 상태로 지구 궤도를 돌기 시작했다.[12]
4. 2. 선외 활동 (EVA)
제리 L. 로스와 제임스 H. 뉴먼은 유니티 모듈과 자랴 모듈 사이에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총 세 차례의 선외 활동(EVA, Extra-vehicular activity)을 수행했다.[21]
| 구분 | 우주 유영 수행자 | 시작 (UTC) | 종료 (UTC) | 소요 시간 | 임무 |
|---|---|---|---|---|---|
| EVA 1 | 제리 L. 로스 제임스 H. 뉴먼 | 1998년 12월 7일 22:10 | 1998년 12월 8일 05:31 | 7시간 21분 | 유니티 설치 시작. |
| EVA 2 | 로스 뉴먼 | 1998년 12월 9일 20:33 | 1998년 12월 10일 03:35 | 7시간 02분 | 유니티 설치 계속. |
| EVA 3 | 로스 뉴먼 | 1998년 12월 12일 20:33 | 1998년 12월 13일 03:32 | 6시간 59분 | 유니티 설치 완료. |
주요 작업은 자랴와 유니티 모듈 간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연결, 외부 단열재 제거 등이었다.
4. 3. 국제 우주 정거장 최초 진입
엔데버의 우주 비행사들은 1998년 12월 10일 목요일, 새로 조립된 국제 우주 정거장(ISS)을 처음으로 방문하여 유니티와 자랴 모듈에 진입했다. 또한, 미국의 비행 관제사들이 전초 기지의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S-밴드 통신 시스템을 구축했다.[24][11] 역사상 가장 큰 우주 복합체를 건설하는 데 중요한 국제 협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사령관 로버트 카바나와 러시아 우주 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미국이 건설한 유니티 연결 모듈의 해치를 열고 새로운 정거장으로 함께 들어갔다.[11]
나머지 승무원들이 뒤따라 들어와, 향후 다른 모듈이 연결될 넓은 허브 공간에서 조명을 켜고 장비를 꺼내기 시작했다. 유니티 내부의 각 통로에는 새로운 모듈이 연결될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11]
약 한 시간 후, 로버트 카바나와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러시아가 건설한 자랴 제어 모듈의 해치를 열었다. 자랴 모듈은 초기 단계 정거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조종사 프레데릭 스터코우, 임무 전문가 제리 로스, 제임스 H. 뉴먼, 낸시 커리와 함께 카바나와 크리칼레프는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의 역사적인 첫 진입을 축하하며, 이 해치 개방이 우주 탐험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11]
로스와 뉴먼은 유니티 모듈에서 즉시 작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초기 S-밴드 통신 시스템 조립을 완료했는데, 이 시스템을 통해 휴스턴의 비행 관제사들은 기존의 러시아 지상 기지를 통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유니티 시스템에 명령을 보내고 정거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11]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이 초기 통신 시스템의 화상 회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 이 기능은 2000년 11월 정거장에 영구적으로 거주한 최초의 승무원(원정 1)이 사용하게 된다. 뉴먼은 휴스턴의 정거장 비행 관제실과 원정 1의 사령관이었던 빌 셰퍼드에게 인사를 보냈다. 셰퍼드는 크리칼레프, 그리고 또 다른 러시아 우주 비행사 유리 기젠코와 함께 정거장에 거주했다.
크리칼레프와 커리는 자랴 모듈의 6개 배터리 중 하나의 방전을 제어하는 고장난 장치를 교체했다. 해당 배터리는 자동 구성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나, 새로운 장치를 설치하자마자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자랴 모듈의 패널 뒤에 보관되어 있던 하드웨어와 보급품들을 꺼내어, 1999년 5월 정거장을 방문할 다음 우주 왕복선 승무원과 셰퍼드의 원정 1 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옮겨 놓았다. 이들은 정거장의 초기 설비 작업을 완료했다.
엔데버가 새로운 정거장에서 분리되기 전, 자랴와 유니티 모듈의 해치는 다시 닫혔고, 새로 탄생한 복합체는 무인 상태로 지구 궤도를 돌기 시작했다.[12]
4. 4. 기타 활동
'유니티(Unity)'라고 명명된 노드 1은 우주 왕복선이 전달한 최초의 우주 정거장 하드웨어였다. 이 노드에는 양쪽 끝에 하나씩 두 개의 가압 결합 어댑터(PMA)가 있다. 하나의 PMA(PMA-1)는 영구적으로 '자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PMA-2)는 우주 왕복선의 도킹 및 승무원 접근에 사용된다. 또한 '유니티'에는 궤도 활동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국제 표준 탑재체 랙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랙은 다섯 번째 우주 왕복선/정거장 조립 비행 이후 활성화되었다.[1]
조립 시퀀스를 시작하기 위해 승무원들은 궤도에 있는 자랴 모듈(FGB)에 도달하기 위해 다른 우주 왕복선 임무에서 수행된 것과 유사한 일련의 랑데부 기동을 수행했다. 그 과정에서 커리는 우주 왕복선의 로봇 팔을 사용하여 유니티 노드를 우주 왕복선 도킹 시스템 위에 배치했다.[19][7] 사령관 카바나는 ''엔데버''를 자랴 모듈에서 10m 이내로 비행하여 랑데부를 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커리는 로봇 팔로 자랴 모듈을 포획하여 유니티 노드의 가압 결합 어댑터(PMA-1)에 연결할 수 있었다.[8]
두 요소가 도킹되자, 로스와 뉴먼은 유니티 노드, PMA 및 자랴 모듈 사이에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두 차례의 예정된 우주 유영을 수행했다.[21] 우주 유영 다음 날, ''엔데버''는 두 구성 요소에서 분리되어 첫 번째 우주 정거장 조립 임무를 완료했다.[9][10]
''엔데버''의 우주 비행사들은 1998년 12월 10일 목요일에 새로운 국제 우주 정거장을 방문하여 처음으로 '유니티'와 '자랴' 모듈에 진입하고, 미국 비행 관제사들이 정거장의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S-밴드 통신 시스템을 구축했다.[24][11] 역사상 가장 큰 우주 복합체를 건설하는 데 관련된 국제 협력을 반영하여 사령관 로버트 카바나와 러시아 우주 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미국이 건설한 유니티 연결 모듈의 해치를 열고 새로운 정거장으로 함께 들어갔다.[11]
나머지 승무원들이 따라와서 다른 모듈이 나중에 연결될 넓은 허브에서 조명을 켜고 장비를 꺼내기 시작했다. '유니티' 내의 각 통로는 새로운 모듈이 나중에 연결될 터널로 이어지는 표지판으로 표시되었다.[11]
약 한 시간 후, 로버트 카바나와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러시아가 건설한 자랴 제어 모듈의 해치를 열었다. 이 모듈은 초기 단계의 정거장의 중추였다. 조종사 프레데릭 스터코우, 미션 전문가 제리 로스, 제임스 H. 뉴먼, 낸시 커리와 합류한 카바나와 크리칼레프는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의 역사적인 진입을 환영했으며 해치 개방은 우주 탐험의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11]
로스와 뉴먼은 '유니티'에서 바로 작업을 시작하여, 휴스턴의 비행 관제사가 '유니티'의 시스템에 명령을 보내고 러시아 지상 기지를 통해 존재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통신 기능을 통해 정거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초기 S-밴드 통신 시스템의 조립을 완료했다.[11]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초기 통신 시스템의 화상 회의 기능에 대한 성공적인 테스트를 수행했는데, 이 기능은 2000년 11월 정거장에 영구적으로 거주한 최초의 승무원(원정 1)이 사용했다. 뉴먼은 휴스턴의 정거장 비행 관제실과 최초의 승무원을 지휘하고 크리칼레프, 우주 비행사 유리 기젠코와 함께 정거장에 거주했던 우주 비행사 빌 셰퍼드에게 인사를 보냈다.
크리칼레프와 커리는 '자랴'의 6개 배터리 중 하나에서 저장된 에너지를 방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고장난 장치를 교체했다. 배터리는 자동 구성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장치는 설치된 직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자랴'의 패널 뒤에 저장된 하드웨어 및 물류 보급품을 꺼내어 1999년 5월 정거장을 방문할 우주 왕복선 승무원과 셰퍼드의 원정 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이관했다. 우주 비행사들은 또한 정거장의 초기 설비를 완료했다.
''엔데버''가 새로운 정거장에서 분리되기 전에 '자랴'와 '유니티'의 해치가 닫혔고, 새로운 복합체는 무인 상태로 지구를 공전했다.[12] 국제 우주 정거장의 관제 업무는 모스크바 관제 센터에서 존슨 우주 센터의 우주 정거장 관제 센터로 이관되었다.
5. 깨우기 알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미니 계획 동안 우주 비행사들에게 음악을 틀어주는 전통을 시작했으며, 아폴로 15호에서 처음으로 승무원들을 깨우기 위해 음악을 사용했다.
각 트랙은 특별히 선택되며, 종종 우주 비행사 가족들이 선택하고, 일반적으로 승무원 개개인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거나, 그들의 일상 활동에 적용된다.[30]
| 비행 일 | 노래 | 아티스트 | 누구를 위해 연주됨 |
|---|---|---|---|
| 2일차 | "Get Ready" | The Temptations | |
| 3일차 | "Anchors Aweigh" | Charles A. Zimmermann | |
| 4일차 | "Over the Rainbow" | Judy Garland | 로버트 D. 카바나 |
| 5일차 | "Jerry the Rigger" | 오래된 켈트족 노래 | 제리 L. 로스 |
| 6일차 | "Streets of Bakersfield" | 드와이트 요아캄 | 프레데릭 W. 스터코우 |
| 7일차 | "Floating in the Bathtub" | 제임스 H. 뉴먼 | |
| 8일차 | "God Bless the U.S.A." | 리 그린우드 | 낸시 J. 커리-그레그 |
| 9일차 | "Trepak"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 세르게이 크리칼레프 |
| 10일차 | "Hound Dog" | 엘비스 프레슬리 | |
| 11일차 | "Goodnite, Sweetheart, Goodnite" | The Spaniels | |
| 12일차 | "I Got You (I Feel Good)" | 제임스 브라운 | "이 성공적인 첫 번째 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 임무가 불러일으킨 좋은 감정을 기리며." |
| 13일차 | "발키리의 기행" | 리하르트 바그너 |
6. 미디어
승무원들은 임무 중 여러 언론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비행 6일차에는 ABC 뉴스, 디스커버리 채널, 그리고 MSNBC와 인터뷰를 가졌으며[22], 비행 9일차에는 CNN 및 CBS 뉴스와 인터뷰를 진행했다.[25]
참조
[1]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2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2]
웹사이트
STS-88 (93)
http://science.ksc.n[...]
NASA
2008-10-06
[3]
웹사이트
IMAX Cargo Bay Camera (ICBC)
http://www.shuttlepr[...]
Boeing/NASA/United Space Alliance
2008-10-06
[4]
뉴스
Update: Shuttle launch delayed to Friday
http://www.cbsnews.c[...]
1998-12-03
[5]
뉴스
Update: Shuttle fueled for second launch attempt
http://www.cbsnews.c[...]
1998-12-03
[6]
웹사이트
STS-88
http://spacefacts.de[...]
Spacefacts
2014-02-26
[7]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6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8]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9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9]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10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10]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13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11]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17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12]
웹사이트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18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13]
웹사이트
KSC Release No. 93-97
http://www-pao.ksc.n[...]
NASA
1997-06-19
[14]
웹사이트
2 February 1998 Space Shuttle Status Report
http://www-pao.ksc.n[...]
NASA
1998-02-02
[15]
웹사이트
15 October 1998 Space Shuttle Status Report
http://www-pao.ksc.n[...]
NASA
1998-10-15
[16]
웹사이트
21 October 1998 Space Shuttle Status Report
http://www-pao.ksc.n[...]
NASA
1998-10-21
[17]
웹사이트
STS-88 Day 1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18]
웹사이트
STS-88 Day 2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19]
웹사이트
STS-88 Day 3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0]
웹사이트
STS-88 Day 4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1]
웹사이트
STS-88 Day 5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2]
웹사이트
STS-88 Day 6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3]
웹사이트
STS-88 Day 7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4]
웹사이트
STS-88 Day 8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5]
웹사이트
STS-88 Day 9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6]
웹사이트
STS-88 Day 10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7]
웹사이트
STS-88 Day 11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8]
웹사이트
STS-88 Day 12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29]
웹사이트
STS-88 Day 13 Highlights
http://science.ksc.n[...]
NASA
[30]
뉴스
Chronology of Wakeup Calls
https://history.nasa[...]
NASA
2005-08-02
[31]
웹인용
STS-88 (93)
http://science.ksc.n[...]
NASA
2008-10-06
[32]
웹인용
STS-88 Mission Control Center Status Report # 2
http://www.nasa.gov/[...]
NASA
2008-10-06
[33]
웹인용
IMAX Cargo Bay Camera (ICBC)
http://www.shuttlepr[...]
Boeing/NASA/United Space Alliance
2008-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