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Н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는 그리스 문자 뉴(Ν)를 본뜬 형태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스 문자 에타(Η)와 라틴 문자 H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했다. 주로 슬라브어에서 /n/ 소리를 나타내며, 유니코드에서는 U+041D(대문자)와 U+043D(소문자)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Н
문자 정보
종류키릴 문자
이름나쉬 (нашь)
음가(ㄴ, ㄴ+(j))
숫자 값50
유니코드Н (U+041D)
н (U+043D)
유래그리스 문자 Nu (Ν ν)
발음

2. 역사

초기 키릴 문자에서 이 문자는 그리스 문자 뉴(Ν ν)를 본떠 만들어졌다.[1] 수 세기 동안 여러 형태 변화를 거쳐 현재 사용되는 H 모양, 즉 그리스 문자 에타(Η η)와 같은 형태가 채택되었다.[1] 이 H 형태는 본래 문자 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던 모양이다.[1]

2. 1. 초기 형태

약 893년 불가리아에서 초기 키릴 문자는 웅갈체 그리스 문자와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러시아에서는 'Устав'라고 불리는 이 키릴 웅갈체 서체는 그리스 웅갈체를 모델로 개발된 스타일이다.

Н의 초기 이름은 нашь|나시chu(''našĭ'')였으며, 이는 "우리 것"을 의미한다. 이 문자는 동일한 소리 /n/을 공유하는 그리스 문자 누 (Ν ν)를 모델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두 개의 수직선 사이에 아래로 내려가는 대각선 "\"을 가진 형태였다.

동시에, 문자 И는 동일한 이유(소리 /i/)로 그리스 문자 에타 (Η η)를 모델로 만들어졌으며, 두 개의 수직선 사이에 수평선 "-"을 가진 형태였다. 키릴 웅갈체 스타일에서는 그리스어처럼 두 문자 Н과 И (모양 N과 H) 모두 수직선은 넓게 그려지고 그 사이의 선(대각선 또는 수평선)은 얇게 그려졌다.

이러한 초기 형태(Н은 \, И는 -)는 주로 13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19세기부터는 옛 슬라브 텍스트를 복제하기 위한 학술 출판물에서 웅갈체 스타일 키릴 글꼴이 사용될 때 다시 등장했다.

수프라스리 서고, 10세기 중세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고대 교회 슬라브어 정경 원고


시간이 지나면서 키릴 문자 Н은 그리스 문자 N의 형태처럼 변형되어, 아래로 내려가는 대각선 "\"의 길이가 점차 짧아졌다. 변화된 형태에서는 대각선이 첫 번째 세로선 상단 또는 약간 아래(10~20도 각도)에서 시작하여 두 번째 세로선의 중간 지점에서 끝나게 되었다.

오스트로미르 복음서 (1056년), 키예프 루스의 가장 오래된 연대기록 서적


미로슬라프 복음서 (1186년), 세르비아 키릴 문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차르 이반 알렉산데르 복음서 (1355년 작성 및 삽화)


안드로니코프 복음서 (apraxos 복음서), 15세기 1분기 모스크바


강독집 183, 10세기 웅변체로 쓰인 그리스어 신약성서 필사본


이러한 형태 변화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А, Б, В, Є, Ж, З, Н, К, Х, Ч, Э, Ю와 같은 문자들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정렬하려는 경향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필사자가 H 형태의 문자 И의 가로선을 중간보다 높게 그리면, 다른 유사한 문자들도 그 가상의 선에 맞춰 그려지면서 N 형태의 문자 Н의 대각선 길이도 짧아져 가상의 선 수준에서 끝나도록 조정되었을 수 있다. 이후 다른 필사자들이 이러한 수정을 반복하면서 원래의 이유는 점차 잊혔을 가능성이 있다. 웅변체 그리스어에서도 H(에타)의 가로선 위치가 변하는 경우가 있으며, N(뉴)의 형태는 그대로이거나 이에 따라 변형되기도 하고, 때로는 동일한 텍스트 안에서 두 가지 버전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강독집 5, 강독집 183 참조).

2. 2. 형태 변화

키릴 문자 Н이 대각선 대신 가로선을 가진 H 형태가 된 이유가 문자 И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 원래 Н과 И 문자의 형태는 각각 라틴 문자의 N과 H와 같았으며, 수 세기 동안 명확하게 구별되었다.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에서도 N과 H는 오늘날까지 동일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라틴 문자에 b와 d, p와 q처럼 서로 거울상이거나 O와 Q, C와 G처럼 매우 유사한 문자가 공존하는 것을 볼 때, N과 И의 형태가 반드시 혼동을 일으킨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키릴 문자 자체에도 Б와 В처럼 유사한 형태가 남아있다.

키릴 문자 Н의 형태 변화는 문자 И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변화 과정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아마도 문자 І와 문자 П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키릴 문자 Н은 원래 그리스 문자 N의 형태를 따랐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대각선 '\'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는 변화를 겪었다. 대각선은 첫 번째 세로선 상단이나 그 약간 아래에서 시작하여 두 번째 세로선의 중간 지점에서 끝나도록 그려졌다.

이러한 변화의 한 가지 설명은 필사 과정에서 А, Б, В, Є, Ж, З, Н, К, Х, Ч, Э, Ю와 같이 가로로 나뉘는 형태의 다른 문자들과 시각적 조화를 맞추기 위해 가상의 수평선을 설정하고, Н의 대각선 끝 부분을 이 선에 맞추려 했을 가능성이다. 이는 필기 단순화나 특정 스타일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을 수 있다. 실제로 웅변체 그리스어 필사본에서는 H의 가로선 위치가 변하거나 N의 형태가 그에 따라 영향을 받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15세기부터 러시아에서는 Полуустав|폴루우스타프ru (반-운서)라는 필기 스타일이 발전했으며, 이 스타일은 오늘날에도 교회 슬라브어 출판물에서 사용되고 있다. 반-운서체는 이후 기울기, 장식적인 요소 등이 추가되며 더욱 유동적인 필체로 발전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초기 인쇄 글꼴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1517년, 최초의 벨라루스 출판가 중 한 명인 프란치스크 스카리나는 키릴 문자를 단순화하고 라틴 문자의 형태에 가깝게 만든, 현대와 유사한 형태의 대문자 필체를 선보였다. 이 글꼴은 이후 또 다른 벨라루스 출판가 일리야 코피예비치에 의해 더욱 개선되어 1700년부터 1706년까지 여러 서적 출판에 사용되었다.

한편, 원래 그리스 문자 H 형태를 가졌던 키릴 문자 И는 점차 가로선 '-'이 위로 올라가는 대각선 형태로 바뀌어 갔다. 대각선은 첫 번째 세로선의 아래쪽이나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두 번째 세로선의 상단 부근에서 끝나는 모양이었다.

1377년의 반-운서 형태의 라브렌티 코덱스


결과적으로 문자 И가 H 형태에서 멀어지면서, 비어있는 H 형태를 다른 문자인 Н에 사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이후 표트르 1세의 문자 개혁 과정에서 제정된 민간 글꼴(1708년)은 공식적으로 Н 문자에 원래의 N 형태 대신 H 형태를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이러한 결정의 구체적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가독성 문제가 있었다면 오히려 원래 형태인 N으로 돌아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다만 교회에서는 전통적인 성경 번역 등에 사용된 문자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경향 때문에 기존의 N 형태를 계속 선호하기도 했다.

2. 3. 현대적 형태

현대 키릴 문자 대문자 Н는 동형 문자로 그리스 문자 에타 (Η η) 및 라틴 문자 H와 모양이 같다. 대부분의 키릴 문자와 마찬가지로 소문자 н은 대문자의 작은 버전이다.

이 문자는 И(라틴 문자 N의 거울 이미지와 유사)와 혼동하기 쉬운데, 특히 일부 손글씨 및 활자체 글꼴에서는 두 문자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 대문자 필기체는 Copperplate script와 유사하게 두 세로선 사이를 상승하는 대각선으로 연결하며, 소문자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쓴다. 이는 И 문자의 필기체와 유사해 보일 수 있다.
  • 일부 활자체에서는 Н와 И 모두 두 개의 넓은 세로선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아 구별이 어렵다(이는 H에만 넓은 세로선을 사용하는 현대 그리스어나 라틴 문자와 다르다). 또한 두 세로선을 잇는 선이 거의 수평에 가깝거나 너무 얇아 각도를 식별하기 어려울 때도 혼동을 유발한다.


현대 교회 슬라브어 출판물에서는 이전의 N자 모양(И와 유사했던 초기 형태)이 여전히 자주 사용된다. 15세기부터 러시아어에서 사용된 Полуустав (шрифт)|폴루우스타프ru 반-운서 스타일은 오늘날 교회 슬라브어 출판에서 이러한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역사적으로 H 형태는 원래 И 문자에 사용되었으나, 18세기 초 표트르 1세의 문자 개혁 과정에서 И의 형태가 변경되면서 비어있는 H 형태가 Н 문자에 공식적으로 할당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벨라루스 출판업자 프란시스 스코리나와 일리야 코피예비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1708년 민간 글꼴로 채택되었다.

간판 등에서 옛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의고적인 서체를 사용하는 경우, Н 문자가 옛 형태인 N처럼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참고로, 키릴 문자의 Һ는 Н과는 다른 별개의 문자이다.

3. 사용

Н는 대부분의 슬라브어에서 원칙적으로 /n/ 음소를 나타내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등에서 사용된다.

루마니아어 과도기 알파벳에서는 1846년부터 키릴 문자 Н 및 н 대신 라틴 문자 N 및 n(또는 ɴ)을 사용했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 ''오리엔트 특급 살인''에는 이니셜 "Н"이 새겨진 손수건이 등장하는데, 이는 등장인물의 이름이 나탈리아임을 나타내는 키릴 문자이다.

키릴 문자 "Н"은 러시아의 야권 정치인 알렉세이 나발니 지지자들이 사용하는 상징 중 하나이다.[1]

주요 사용 언어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4. 컴퓨팅 코드

Нн (소문자)U+043D10851-7-63н
н


5. 관련 문자

6. 기타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 ''오리엔트 특급 살인''에는 이니셜 "Н"이 새겨진 손수건이 중요한 단서로 등장한다. 이 "Н"은 라틴 문자 H가 아니라 키릴 문자 Н으로, 등장인물의 이름이 나탈리아임을 암시한다.

또한, 키릴 문자 "Н"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야권 정치인 알렉세이 나발니 지지자들의 운동을 상징하는 기호 중 하나로 사용되기도 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