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ㅐ는 한글 자모 중 하나로, 15세기에는 이중 모음 /aj/로 발음되었으나 18~19세기를 거치면서 단모음 /ɛ/로 변화했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이중 모음 [aj]로 발음되었고, 현대 한국어에서는 /ɛ/로 발음되며, ㅔ와 발음상 구별이 어려워 '아이'로 지칭되기도 한다. ㅐ는 양성 모음 'ㅏ'와 중성 'ㅣ'의 조합으로, 현대 한국어에서는 의성어·의태어에서는 양성 모음으로, 용언 활용에서는 음성 모음으로 취급된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æ]를 ㅐ로, [ɛ]와 [e]를 ㅔ로 표기한다. 유니코드에서는 U+3150으로 표현되며,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ae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ㅐ | |
---|---|
문자 정보 | |
자명 | 애 |
훈몽자회 | 없음 |
자원 | ㅣ(ㅣ) 오른쪽에 ㆍ(아래아) 하나와 ㅣ를 추가 |
종류 | 홀소리 |
획수 | 3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ae |
국어의 로마자 표기 | ae |
어두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어두 발음 | Open-mid front unrounded vowel.ogg |
어중 | 어두와 동일 |
이음 | 중세 국어: |
![]() | |
로마자 표기 | |
국어의 로마자 표기 | ae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ae |
2. 역사
ㅐ는 원래 ㅏ한국어와 ㅣ한국어가 결합된 형태로, 훈민정음 해례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 15세기에는 이중모음 /aj/로 발음되었으나, 18세기에서 19세기를 거치면서 단모음 /ɛ/로 변화하였다.
표준어와 표준어에서는 ㅐ와 ㅔ는 구별되지만,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젊은 세대일수록, 지역에 관계없이 ㅐ와 ㅔ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문자상의 표기법에서만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ㅐ를 ㅔ와 구분하기 위하여 '아이'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ㅐ는 양성 모음인 ㅏ에 중성의 ㅣ가 조합된 자모이므로, 한글 성립상으로는 양성 모음이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의성어·의태어에서는 음성 모음 ㅣ에 대립하는 양성 모음으로 취급되는 반면(예: "생생" - "싱싱"), 용언의 활용에서는 음성 모음으로 취급된다(예: "매다" - "매어").
2. 1. 중세 한국어
중세 한국어에서 ㅐ는 이중모음 로 소리 났다.[1] ㅐ는 원래 ㅏ한국어와 ㅣ한국어의 조합으로, 훈민정음 해례의 "중성해(中聲解)" 장에서 설명된다.[1] 15세기에 ㅐ는 원래 이중 모음 /aj/로 발음되었지만, ㅣ한국어로 시작하는 ㅕ, ㅛ, ㅠ와 함께 11개의 중성 글자에 포함되지 않았다.[1]18세기와 19세기부터 ㅐ의 발음 변화는 ㅔ와의 혼동된 표기로 증명된다.[1] ㅐ는 현재 단모음을 나타내는 자모이지만, 중기 고대 한국어에서는 와 같은 하강 이중 모음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ㅐ가 단모음화된 것은 18세기 말경으로 여겨진다.
2. 2. 근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에서 이중모음으로 소리 났던 것이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단모음으로 바뀌었다.[1]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젊은 세대일수록, 지역에 관계없이 ㅐ와 ㅔ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자 표기에서만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ㅐ를 ㅔ와 구별하기 위해 '아이'로 부르기도 한다.ㅐ의 중세 발음은 전설 비원순 저모음 [a]와 경구개 접근음 [j]의 이중모음 [aj]인데, 현대 한국어로 표기하면 중설 근저모음 [ɐ]와 전설 비원순 고모음 [i]를 연달아 발음한 /아이/ [ɐi]와 비슷하다. 18세기와 19세기부터 ㅐ의 발음 변화는 ㅔ와의 혼동된 표기로 증명된다.[1] 현재는 단모음을 나타내는 글자이지만, 중기 고대 한국어에서는 ai̯|한국어와 같은 하강 이중 모음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ㅐ가 단모음화된 것은 18세기 말경으로 여겨진다.
3. 현대 한국어의 발음
현대 한국어에서는 ㅐ(근대에는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ɛ])와 ㅔ(근대에는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가 모두 전설 비원순 중모음 [e̞]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지역에 관계없이 ㅐ와 ㅔ를 구별하지 못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3. 1. ㅐ와 ㅔ의 구별
중세 한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인 로 소리가 났던 것이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단모음 로 바뀌었다. 표준어·문화어에서 ㅐ/ㅔ는 구별되지만,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젊은 세대일수록, 지역에 관계없이 ㅐ·ㅔ를 변별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문자상의 표기법에서만 차이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때문에 ㅐ를 ㅔ와 구분하기 위하여 '아이'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ㅐ의 중세의 원래 발음은 전설 비원순 저모음 [a]와 경구개 접근음 [j]의 이중모음 [aj]인데, 현대 한국어로 표기하면 중설 근저모음 [ɐ]와 전설 비원순 고모음 [i]를 연달아서 발음한 /아이/ [ɐi]와 비슷하다.
음소는 로 표기한다. 혀를 아랫니에 댄 채로 조금 크게 입을 벌려 발음되는 비원순 전설 반개 모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에는 실제로 서울을 중심으로 /ㅔ/한국어와 구별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형태상 /ㅏㅣ/[ai]로 읽는 경우가 있다 (개(犬의 뜻, [kɛ])와 게(蟹의 뜻, [ke])를 발음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 등).
외래어 음역에는 프랑스어(앵), 영어의 [æ]에 사용된다.
3. 2. 발음 방법
중세 한국어에서는 이중모음 로 소리가 났던 것이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단모음 로 바뀌었다. 표준어·문화어에서 ㅐ/ㅔ는 구별되지만,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젊은 세대일수록, 지역에 관계없이 ㅐ·ㅔ를 변별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문자상의 표기법에서만 차이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때문에 ㅐ를 ㅔ와 구분하기 위하여 '아이'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ㅐ의 중세의 원래 발음은 전설 비원순 저모음 [a]와 경구개 접근음 [j]의 이중모음 [aj]인데, 현대 한국어로 표기하면 중설 근저모음 [ɐ]와 전설 비원순 고모음 [i]를 연달아서 발음한 /아이/ [ɐi]와 비슷하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ㅐ(근대에는 원래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ɛ])와 ㅔ(원래 근대에는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를 모두 둘의 중간 발음인 전설 비원순 중모음 [e̞]로 발음한다.
혀의 높낮이는 ㅣ, ㅟ, ㅡ, ㅜ가 고모음으로 가장 높고, ㅔ, ㅚ, ㅗ가 중고모음으로 그다음으로 높고, ㅐ, ㅓ가 중저모음으로 그 다음으로 높고, ㅏ가 저모음으로 가장 낮다. 혀의 축도(경구개쪽이냐, 연구개쪽이냐)는 ㅣ, ㅔ, ㅐ, ㅏ가 같고, ㅜ, ㅗ, ㅓ, ㅏ가 같다. 즉, ㅣ, ㅔ, ㅐ, ㅏ는 혀의 앞뒤 위치는 비슷하되, 혀의 높낮이만 바꿔가면서 낼 수 있는 소리이고, ㅜ, ㅗ, ㅓ, ㅏ도 마찬가지다.
ㅔ를 발음하려면 ㅗ와 같은 높이에 혀를 두고 발음하고, ㅐ를 발음하려면 ㅓ와 같은 높이에 혀를 두고 발음한다.
음소는 로 표기한다. 혀를 아랫니에 댄 채로 조금 크게 입을 벌려 발음되는 비원순 전설 반개 모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에는 실제로 서울을 중심으로 /ㅔ/한국어와 구별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형태상 /ㅏㅣ/[ai]로 읽는 경우가 있다 (개(犬의 뜻, [kɛ])와 게(蟹의 뜻, [ke])를 발음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 등).
외래어 음역에는 프랑스어(ɛ̃|앵프랑스어), 영어의 [æ]에 사용된다.
4. 외래어 표기 문제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전설 비원순 근저모음 [æ]를 ㅐ로, [ɛ]와 [e]를 ㅔ로 표기한다. 그러나 실제 발음에 따르면 [ɛ]는 ㅐ로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영어의 cat([kʰæt]) 발음은 [æ]이므로, ㅐ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미지").
air, hair와 같이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ɛ]로 발음되는 단어는 ㅐ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현재는 ㅔ로 표기되어 혼란이 있다 ("에어", "헤어" 대신 "애어", "해어"가 더 정확).
음소는 로 표기한다. 혀를 아랫니에 댄 채로 조금 크게 입을 벌려 발음되는 비원순 전설 반개 모음 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에는 실제로 서울을 중심으로 /ㅔ/와 구별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형태상 /ㅏㅣ/[ai]로 읽는 경우가 있다 (개(犬의 뜻, [kɛ])와 게(蟹의 뜻, [ke])를 발음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 등).
외래어 음역에는 프랑스어(앵), 영어의 [æ]에 사용된다.
5. 코드값
'ㅐ'는 유니코드에서 한글 자모(U+3150)와 한글 중성(U+1162)에 배당되어 있다.
5. 1. 유니코드
이름 | 종류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AE | 단독 | U+3150 | ㅐ | ㅐ |
HANGUL JUNGSEONG AE | 중성용 | U+1162 | ᅢ | ㅐ |
6. 라틴 문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과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ae'''로 표기된다.
현대와 같이 기업명, 인명, 단체명에서는 '''ai'''로 표기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