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표준어로, 1960년대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함께 서울말을 기초로 한 표준어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명칭이 형성되었다. 김일성 시대에는 한자어를 고유어로 순화하고, 김정일 시대에는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외래어와 한자어를 정리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문화어는 평양말을 기준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서울 방언을 토대로 한 표준어를 기반으로 순화어를 도입하고 평양 방언적 요소를 반영하여 수정된 형태를 띤다. 음운, 문법, 어휘에서 남한의 표준어와 차이를 보이며, 외래어 표기, 한자어의 두음 법칙 적용 등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남북 분단으로 인한 언어 이질화 현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정치적 목적으로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 경기 방언
    경기 방언은 한강을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표준어의 근간인 서울 방언을 포함하고, 산업화와 도시화로 지역별 차이가 희석되었으며, 젊은 세대는 서울 방언의 음운 변화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문화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북한 표준어
다른 이름문화어
로마자 표기Munhwaeo
발음/munhwɐʌ/
사용 국가북한
민족한민족
사용 시기20세기 후반부터
어족한국어족
어계한국어
조상 언어고대 한국어
조상 언어2중세 한국어
조상 언어3한국어
문자 체계조선글
담당 기관사회과학원 어학연구소 (https://www.korean.go.kr/nkview/nklife/2001_1/2001_0101.pdf)
ISO 예외방언
IETF 언어 태그ko-KP
한국어 표기문화어
한자 표기文化語
의미문화적인 언어
영어 표기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한국어 표기 (남한)북한어 / 북한말
북한어 발음무놔어
한국어 발음 (남한)북카너 / 북칸말

2. 역사적 배경

1945년 광복 이후, 38선 이북 지역에서는 민간 학술 단체인 조선어학회(오늘날의 한글학회)가 해방 전에 만든 《한글맞춤법통일안》(1933년)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년)을 계속 사용했다. 조선어학회가 정한 표준어는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이었기 때문에, 당시 북한 지역의 표준어도 이를 따랐다고 추정된다.

1954년 북한은 《조선어철자법》을 제정하여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대체했다. 이 시점까지는 '표준어'라는 개념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달걀→닭알', '도둑→도적' 등 13개 표준어 단어를 수정하는 등 북한의 언어 사용 실정에 맞게 일부 수정을 가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북한에서 주체사상이 대두됨과 동시에, 언어 정책에서도 북한의 독자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1966년 5월 14일 김일성은 《조선어의 민족적특성을 옳게 살려나갈데 대하여》를 발표하여, 러시아어, 영어, 일본어 등에서 도입된 불필요한 외래어와 어려운 한자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국어 순화를 추진했다.

김일성은 이 교시에서 '표준어'라는 용어가 서울말을 표준으로 하는 것처럼 오해될 수 있으므로, '표준어' 대신 '문화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혁명의 수도인 평양말을 기준으로 하여 발전시킨 우리 말"을 문화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서울말을 기초로 한 '표준어'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북한은 '문화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1. 김일성 시대의 어휘 정리

1966년 5월 14일 김일성은 《조선어의 민족적특성을 옳게 살려나갈데 대하여》를 발표하여, 러시아어, 영어, 일본어 등에서 유래한 불필요한 외래어와 어려운 한자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국어 순화를 추진했다.[18][19]

김일성은 "우리는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 말로 고치고 우리 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습니다."라며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어려운 한자어를 줄이고자 했다. 그러나 모든 한자어를 고친 것은 아니었다.

# 뜻이 같은 단어로서 고유어와 한자어가 있을 경우에는 될수록 고유어를 쓰고 한자어를 버린다. (예: '석교'와 '돌다리', '상전'과 '뽕밭')

# 일정한 한자말들을 그대로 쓰되 우리 말로 굳어진 것만 쓰고 그 범위를 제한한다. 우리 말로 굳어진 한자어란 고유어에 그와 꼭같은 뜻의 단어가 없고 인민들의 언어의식에 확고히 자리잡은 것을 말한다. (예: '학교', '방', '혁명')

# 단어들의 뜻폭과 결합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심장과 염통, 지하와 땅속은 다른 뜻폭을 가지기에 이런 한자어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일기예보'라는 단어와 같이 결합관계를 고려하면 '일기'와 '날씨'도 둘 다 활용하여야 한다.

2. 2. 김정일 시대의 어휘 정리

김정일주체사상을 바탕으로 한자어와 외래어를 정리하고, 활용 가능한 것은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되었다.[18][19]

# 고유어화된 한자어는 무조건 고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총의 조성'과 '조문'을 '겨눔못'과 '겨눔문'으로 기계적으로 고치거나, '대기온도'를 '바깥온도'라고 하여 뜻이 명확하지 않게 고치는 것은 지양한다.

# 외래어라도 국제공용어는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뜨락또르', '도마도', '쵸콜레트'는 그대로 쓴다.

## 특히 다른 나라 학자들의 이름을 딴 것을 비롯한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자연법칙의 이름은 그대로 쓴다. 예를 들어 "뉴톤의 법칙", "피타고라스의 정리", "멘델레예브 주기표"와 같이 쓴다.

## 체육 부문에서도 국제적으로 쓰는 체육 용어는 그대로 쓴다.

## '밀크크림', '케피르'처럼 고유어와 외래어를 혼합하지 않고, 각 계열에 맞는 단어를 사용한다.

# 자연과학, 공학 분야의 학술용어는 발명가 이름 그대로 쓴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는 '경자기원판'으로, '콤퓨터'는 '전자계산기'로 바꾸지 않는다.

# 오래된 지명이나 예로부터 쓰던 말은 고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병배'를 '붉은배'로 고치지 않는다.

# 새로운 한자어나 외래어는 쉬운 고유어로 바꾼다.

## 김정일은 새로 만든 약 이름에 '환' 자를 붙이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고유어 기반의 새말 사용을 장려했다.

# 까다로운 한자어는 쉬운 말로 바꾼다. 예를 들어 '인절미', '상화떡'은 '찰떡', '쉬움떡'으로 다듬는다. '고려약국', '신약국' 간판은 '약국'으로 고치도록 지시했다.

# 외래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와크'는 '수출입계획', '수출입허가'와 같이 쉬운 말로 쓴다.

# 함경도 사투리나 예절 없는 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구알'은 '전구'라고 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문화어에서는 표준어와 다른 어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문화어와 표준어의 어휘 차이 예시
한국어문화어표준어비고
클릭찰칵클릭click
서버봉사기서버server
자바스크립트(자바)각본자바스크립트Java script
태블릿 컴퓨터판형컴퓨터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덩크슛꽂아넣기덩크슛dunk shoot
헤어드라이어건발기헤어드라이어hair dryer
텔레비전 채널텔레비죤 통로텔레비전 채널television channel
소프라노녀성고음소프라노soprano|소프라노it
메조소프라노녀성중음메조소프라노mezzo-soprano|메조소프라노it
알토녀성저음알토alto|알토it
테너남성고음테너tenor
바리톤남성중음바리톤baritone
베이스남성저음베이스bass
원피스외동옷원피스one-piece dress
캐러멜기름사탕캐러멜caramel
헬리콥터직승기헬리콥터helicopter
핸들링손다루기핸들링handling
비디오테이프록화기비디오테이프video tape recorder, VTR
피타고라스의 정리세제곱 정리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as's theorem
프리킥페널티킥프리킥free kick
폴댄스기둥춤폴댄스pole dance
아이스크림에스키모아이스크림ice cream
햄버거고기겹빵햄버거hamburger
골키퍼문지기골키퍼goal keeper
스타킹스토킹스타킹stocking
팬티스타킹양말바지팬티스타킹pantyhose


3. 특징

문화어는 평양말을 기준으로 한다고 정의되지만,[9] 실제로는 서울말을 바탕으로 한 표준어에 평양 방언적 요소와 어휘 정리 결과를 더하여 형성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38선 이북 지역에서는 조선어학회(오늘의 한글학회)가 해방 전에 만든 《한글맞춤법통일안》(1933년)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년)을 계속 사용했다. 조선어학회가 사정한 표준어는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정했기 때문에 그 당시 38선 이북 지역의 표준어도 이를 따랐다고 추정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대신하는 맞춤법으로 1954년에 《조선어철자법》을 정했는데, 이 단계에서는 아직 종전의 ‘표준어’라는 개념을 사용했었다. (제6장 제목은 〈표준발음법 및 표준어와 관련된 철자법〉이다.) 한편으로 《조선어철자법》에서는 ‘달걀→닭알’, ‘도둑→도적’ 등 13개 표준어 단어를 수정하는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어 사용의 실정에 맞게 약간의 수정을 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주체사상이 대두함과 동시에 언어 정책에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자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1966년 5월 14일 김일성에 의해 발표된 《조선어의 민족적특성을 옳게 살려나갈데 대하여》는 러시아어, 영어, 일본어 등에서 도입된 불필요한 외래어와 어려운 한자어를 고유어로 바꿔 쓰는 국어 순화를 추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처럼 서울말을 기초로 한 ‘표준어’와 차이를 두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라는 명칭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문화어는 평양말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지만, 그 특징을 보면 평양 방언이 그대로 도입되어 형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조선어학회가 정한 (서울 방언을 바탕으로 한) 표준어를 기초로 하여 순화된 말을 도입하거나 약간의 평양 방언적 요소를 채택하여 수정한 표준어가 문화어라고 할 수 있다.

『조선말대사전한국어』(朝鮮語大辞典)(2017년)에서는 “평양어를 기초로 하여 세워진 규범적인 말.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와 위대한 지도자 김정일 동지, 경애하는 최고지도자 김정은 동지의 혁명적 문풍을 본보기로 하여 민족어의 모든 우수한 요소를 집대성한 훌륭한 말”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조선어규범집』(2010년)의 “문화어 발음법” 총칙에 따르면, “조선어 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여, 평양어를 토대로 이루어진 문화어의 발음에 근거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북한의 정의에 따르면 문화어는 서북방언에 속하는 평양어를 토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정한 조선어 표준어 사전에서 이어지는 문화어 제정의 역사적 경위와 문화어의 양상 등을 고려해 볼 때, 문화어는 순수한 평양 방언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서울방언을 중심으로 한 중부방언을 토대로 하여, 거기에 평양 방언적인 요소와 어휘 정리의 성과 등을 약간 더하여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2023년 1월 19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8회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문화어 보호법”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7][8]

3. 1. 음운

평양을 비롯한 옛 평안도 일대에서 쓰이는 서북 방언(평안도 방언)의 특징으로 /ㄷ/의 비구개음화가 있다. 이 현상은 근대 한국어 시기에 /i/ 또는 반모음 /j/에 앞선 /ㄷ/이 /ㅈ/으로 바뀐 현상이다. 예를 들면 중세 한국어 '둏다'는 서울 방언에서 /ㄷ/이 구개음화되어 '좋다'가 되지만 평양 방언에서는 '돟다'와 같이 /ㄷ/이 유지된다. 또 평양 방언에서는 /i/ 또는 반모음 /j/에 앞선 어두 자음 /ㄴ/이 탈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울 방언 '이'(齒)에 대해 평양 방언은 '니'다. 하지만 문화어는 이와 같은 평양 방언의 전형적인 음운적 특징을 반영하지 않고 원칙적으로는 조선어학회가 정한 표준어와 동일한 음운적 특징, 즉 서울 방언과 동일한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참고로 ‘로동’ 등 어두의 /ㄹ/을 유지하는 발음 규칙은 1954년의 조선어철자법에서 이미 인정되어 있다.

3. 2. 문법

평양 방언의 문법 형식(주격 조사 '-이', 낮춤 의문형 '-봔')은 대부분 문화어에 채택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바다이(=바다가)'와 같이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 붙는 주격 조사 '-이', 낮춤 의문형 '봔(=봤니)' 등은 문화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과거 계속을 나타내는 '-더랬-' 등 일부 평양 방언 문법 형식이 문화어에 채택되었다.

  • 학창 시절에 권투를 하더랬다.


문화어에는 중부 방언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되는 형식 중에서도 대한민국의 표준어와 미묘하게 다른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남한 표준어는 '-고자 하다'를 사용하지만, 문화어는 '-고저 하다'를 사용한다. '-고저 하다'는 남한 구어에서도 나타나는 형식으로, 문화어는 이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3. 3. 어휘

어휘는 남한 표준어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문화어에서는 사회 제도의 차이, 국어 순화 정책의 차이, 평양 방언의 영향 등으로 인해 표준어와 다른 어휘를 사용한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강냉이 (북) ― 옥수수 (남)
  • 마스다 (북) ― 부수다 (남)
  • 눅다 (북) ― 싸다 (남)


이 외에도, 한자어나 외래어의 표기에서도 문화어와 표준어 사이에 차이가 있는데, 주로 문화어에서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표준어에서는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어와 표준어의 어휘 비교
한국어문화어표준어비고
클릭찰칵클릭
서버봉사기서버
자바스크립트(자바)각본자바스크립트
태블릿 컴퓨터판형컴퓨터태블릿 컴퓨터
덩크슛꽂아넣기덩크슛
헤어드라이어건발기헤어드라이어
텔레비전 채널텔레비죤 통로텔레비전 채널
소프라노녀성고음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녀성중음메조소프라노
알토녀성저음알토
테너남성고음테너
바리톤남성중음바리톤
베이스남성저음베이스
원피스외동옷원피스
캐러멜기름사탕캐러멜
헬리콥터직승기헬리콥터
핸들링손다루기핸들링
비디오테이프록화기비디오테이프
피타고라스의 정리세제곱 정리피타고라스의 정리
프리킥페널티킥프리킥
폴댄스기둥춤폴댄스
아이스크림에스키모아이스크림
햄버거고기겹빵햄버거
골키퍼문지기골키퍼
스타킹스토킹스타킹
팬티스타킹양말바지팬티스타킹


3. 3. 1. 외래어 표기

문화어는 외래어 표기 시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영향을 받아 표준어와 다른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어와 표준어에서 외래어 표기가 다른 예
한국어문화어표준어
표기어원표기어원
에너지에네르기エネルギー일본어에너지energy영어
캠페인깜빠니아кампанияru캠페인campaign영어
킬로키로キロ일본어킬로kilo영어
고뿌コップ일본어cup영어
컴퓨터콤퓨터computer영어컴퓨터computer영어
텔레비전텔레비죤television영어텔레비전television영어
트랙터뜨락또르тракторru트랙터tractor영어
비디오비데오ビデオ일본어비디오video영어
페이지페지ページ일본어페이지page영어
라디오라지오ラジオ일본어라디오radio영어
레일레루レール일본어레일rail영어



문화어와 표준어에서 국명 표기가 다른 예
한국어문화어표준어어원
아랍에미리트아랍추장국련방아랍에미리트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앵귈라앵귈러앵귈라Anguilla영어
이탈리아이딸리아이탈리아Italiait
우즈베키스탄우즈베끼스딴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uz
이집트애급[12], 에짚트이집트مصرar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랄리아오스트레일리아/호주Australia영어
네덜란드네데를란드네덜란드Nederlandnl
카타르까타르카타르قطرar
캐나다카나다캐나다Canada영어
남한남조선남한南朝鮮한국어
캄보디아캄보쟈캄보디아កម្ពុជាkm
쿠바꾸바쿠바Cubaes
조지아그루지야조지아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ka
시리아수리아시리아سورياar
스페인에스빠냐스페인Españaes
세르비아쓰르비아세르비아Србијаsr
소비에트 연방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ru
태국타이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체코슬로바키아체스꼬슬로벤스꼬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튀니지뜌니지튀니지تونسar
토고또고토고Togo프랑스어
튀르키예뛰르끼예튀르키예Türkiyetr
아이티아이띠아이티Haïti프랑스어
팔레스타인팔레스티나팔레스타인فلسطينar
헝가리마쟈르헝가리Magyarországhu
방글라데시방글라데슈방글라데시বাংলাদেশbn
불가리아벌가리야불가리아Българияbg
베트남윁남베트남Việt Namvi
벨라루스벨라루씨벨라루스Беларусьbe
페루뻬루페루Perúes
폴란드뽈스까폴란드Polskapl
포르투갈뽀르뚜갈포르투갈Portugalpt
멕시코메히꼬멕시코Méxicoes
루마니아로므니아루마니아Româniaro
러시아로씨야러시아Россияru
미국미국미국한글 표기는 같지만, 국어사전 상의 참고 표기로서의 한자 표기가 다름. 북한은 「米國」[14], 한국은 「美國」[15].



문화어와 표준어에서 도시명 표기가 다른 예
문화어표준어유래
울라지보스또크블라디보스토크Владивостокru
밸리더밸리The Valley영어
도꾜도쿄東京일본어
쁘라하프라하Prahacs
브류쎌브뤼셀Brusselnl
와르샤와바르샤바Warszawapl
호지명시호찌민시Thành phố Hồ Chí Minhvi



국가명, 도시명 표기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3. 3. 2. 한자어의 두음 법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형태주의를 한자음에도 적용하여, 동일 한자의 한자음은 단어의 어느 위치에서든 항상 동일하게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즉, 어두에 오는 음소의 제약('ㄹ'이나 '녀, 뇨, 뉴, 니'가 어두에 올 수 없다)을 따르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화어는 한자음 본연의 소리 그대로를 적는 방식을 채택한다.[21]

대한민국에서는 한자어에도 두음 법칙을 적용하므로, 이러한 차이에서 오는 언어적 혼란을 줄이기 위해 2004년부터 남·북 한국어 단일 사전인 《겨레말큰사전》 편찬을 준비하는 등, 다방면으로 언어 통합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21]

문화어와 표준어에서 한자어 표기가 다른 예
문화어표준어
녀성여성
조선민주녀성동맹조선민주여성동맹
랭면냉면
려인숙여인숙(여관)
려권여권
련결연결
렬차열차
련맹연맹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선그리스도교연맹
련합연합
련합국연합국
로동자노동자
로인노인
롱구농구
례의예의
리유이유
락원낙원
리발소이발소
락동강낙동강



문화어와 표준어에서 인명 표기가 다른 예
문화어표준어비고
리성계이성계조선의 초대 국왕
량세봉양세봉일제강점기의 한국 독립운동가
리승만이승만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로태우노태우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로무현노무현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리명박이명박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리동국이동국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3. 3. 3. 지명

두음 법칙 미적용으로 인해 일부 지명 표기가 남한과 다르다.

문화어 표기표준어 표기비고
브류쎌 (Brusselnl)브뤼셀벨기에의 수도
쁘라하 (Prahacs)프라하체코의 수도
와르샤와 (Warszawapl)바르샤바폴란드의 수도
도꾜 (東京일본어)도쿄일본의 수도
울라지보스또크 (Владивостокru)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의 도시
밸리 (Valley영어)더밸리앵귈라의 수도
후꾸오까 (福岡일본어)후쿠오카일본 규슈 지방의 도시
룡산구용산구서울특별시의 구
로원구노원구서울특별시의 구
련제구연제구부산광역시의 구
리천시이천시경기도의 시
룡인시용인시경기도의 시
려주시여주시경기도의 시
련천군연천군경기도의 군
린제군인제군강원특별자치도의 군
녕월군영월군강원특별자치도의 군
론산시논산시충청남도의 시
례산군예산군충청남도의 군
례천군예천군경상북도의 군
량산시양산시경상남도의 시
라주시나주시전라남도의 시
려수시여수시전라남도의 시
령암군영암군전라남도의 군
령광군영광군전라남도의 군
락랑구역낙랑구역평양시의 구역
룡성구역용성구역평양시의 구역
력포구역역포구역평양시의 구역
녕변군영변군평안북도의 군
린산군인산군황해북도의 군
량강도양강도
길림성 룡정시 (통용: 길림성 용정시)길림성 룽징 시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지급시


4. 남북 간 표준어의 이질성 과장에 대한 언급

연세대학교 홍윤표 교수는 2014년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에서 냉전적 배경 하에 남북 간 언어 차이가 과장되었다고 주장하였다.[22] 그는 남북 간 언어 차이가 분단 이후 한참 뒤인 1970년대 남북 접촉 과정에서 '아가씨' 호칭 논란과 '동무', '인민' 등의 단어 사용 금지 등으로 과장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학술회의나 겨레말큰사전 편찬을 위해 북한 학자들과 만났을 때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오히려 남한 내 지역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장애가 더 컸다고 밝혔다.

홍윤표 교수는 남북한 언어 차이가 방언, 새로 만든 말, 차용어, 다듬은 말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기초 어휘는 큰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21세기 세종계획'의 일환으로 남북 기초 어휘 10,000개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크지 않았음에도, 3,000개의 차이 나는 단어를 골라 '남북한 이질화된 언어 검색 프로그램'을 만들라는 요구를 받았던 경험을 소개하며, 남북 언어 차이가 과장되는 경향을 지적했다.

또한 그는 '불알'(전구), '긴불알'(형광등), '떼불알'(샹들리에) 등 북한을 비하하는 의미로 소개된 어휘들이 실제 북한 사전에는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남한 교과서에 실린 '아이스크림'의 북한말 '얼음보숭이'는 실제 사용되지 않는 단어이며, 오히려 '에스키모'가 더 많이 쓰인다고 밝혔다. 이는 이전에도 언급된 바 있다.[23]

탈북민 출신 학자들도 남한에 잘못 알려진 북한말이 많다고 주장한다. 박노평 전 김책공업대 교수는 《평양말·서울말》에서 통일부 자료에도 잘못된 북한말이 쓰여 있다고 지적했다.[24] 남북한이 같은 의미로 쓰는 '후과'라는 어휘가 다르게 알려지는 문제 등을 언급했다.[25] 주성하 동아일보 기자는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할 정도로 과장되었다고 주장했다.[26]

참조

[1] 서적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Wiley-Blackwell 2015
[2] 서적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Wiley-Blackwell 2015
[3] 서적 The Korean Languag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4] 서적 남북한언어비교 분단시대의 민족어 통일을 위하여 https://books.google[...] nokjin
[5] 학술지 Questioning North Korea's digraphic inflection point: Kim Il Sung's 1964 and 1966 conversations with linguists reconsidered https://pressto.amu.[...] 2021-12-15
[6] 학술지 Language policies in North Korea https://www.degruyte[...] 1990
[7] 웹사이트 最高人民会議第14期第8回会議 http://www.kcna.kp/j[...] 조선중앙통신 2022-01-22
[8] 웹사이트 평양문화어보호법에 ‘공개처형’ 명시… “군중 각성시켜야”(平壌文化語保護法に「公開処刑」明示…「群衆覚醒させるべき」) https://www.dailynk.[...] デイリーNK 2023-08-08
[9] 간행물 조선어의 기준은 평양어 2003
[10] 웹사이트 https://www.kcna.kp/[...]
[11] 웹사이트 https://www.kcna.kp/[...]
[12] 뉴스 리종옥부주석 작별방문한 애급대사와 회담 http://www.kcna.co.j[...]
[13] 뉴스 「후옹」새 월남대통령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4] 웹사이트 미국식 [-씩] (米國式) https://hbol.jp/2144[...] 사회과학출판사 2017-08
[15] 웹사이트 미국3(美國)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8-08
[16] 뉴스 서울∼동경 매일 1왕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7] 웹인용 남북한 언어 이질화와 그에 관련된 몇 문제 https://www.korean.g[...]
[18] 웹인용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한자말을 옳게 정리하기 위한 어휘정리사업을 현명하게 령도하여오신 불멸의 업적 - 김일성종합대학 http://www.ryongnams[...] 2022-12-26
[19] 웹인용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어휘정리사업이 편향없이 진행되도록 이끌어주신 불멸의 령도 - 김일성종합대학 http://www.ryongnams[...] 2022-12-26
[20] 서적 철도공학 입문 (Fundamentals of Railway Engineering) 2010
[21] 뉴스 “흩어진 겨레말 찾다보면 통일도 가능”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6-10-09
[22] 웹인용 2014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 통일 시대를 위한 한국 어문학의 성찰과 모색 겨나면서 민족어 란 용어가 등장하였다. 오늘의 학술대회 발표 제목에도 민 족어 란 용어가 보인다.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고영근, 제이앤씨, 2008)의 민족어는 국어, 한국어, 조선어, - PDF Free Download https://docsplayer.o[...] 2022-12-22
[23] 웹인용 [북녘말] 얼음보숭이·에스키모 / 김태훈 https://www.hani.co.[...] 2022-12-22
[24] 웹인용 박노평 “전구가 北에선 불알? 전등알입니다” https://www.donga.co[...] 2022-12-22
[25] 웹인용 ≪통일신문≫ [남북언어비교] ‘후과’는 좋지못한 결과나 영향 규정 https://www.unityinf[...] 2022-12-22
[26] 웹인용 당신이 배운 것은 80% 이상 틀렸다. 너무나 황당한 방송과 국어사전, 북한말 퀴즈 실태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