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스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화는 고체 연료를 가스 상태로 변환하는 기술로, 19세기 초 석탄과 이탄을 가스화하여 도시 가스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면서 시작되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며 석유 부족으로 연료 생산의 중요성이 커졌으며, 현재는 다양한 연료와 폐기물을 활용하여 열, 전기, 수송 연료, 재생 에너지 및 연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가스화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화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생산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기술적 어려움, 경제성 문제 등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2. 역사

석탄 가스화는 19세기 초부터 산업적 규모의 에너지 생산에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석탄이탄을 가스화하여 도시 가스를 생산, 조명과 요리에 활용했다. 1807년 런던에 최초의 공공 가로등이 설치된 이후, 19세기 말까지 상업용 가스 조명이 확산되다가 전기 조명으로 대체되었다.[7] 가스화는 고로화학 합성 물질 생산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천 곳의 부지에 유독성 잔류물이 남았고, 일부는 정화되었지만 여전히 오염된 곳도 있다.[8]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에는 석유 부족으로 인해 가스화 기술이 다시 주목받았다.[9]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목탄 가스 발생기가 유럽에서 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되었으며, 194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900만 대의 차량이 발생기 가스를 사용했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

19세기 초부터 가스화 기술을 통해 산업적 규모로 에너지가 생산되었다. 처음에는 석탄이탄을 가스화하여 조명 및 요리에 사용되는 도시 가스를 생산했는데, 1807년 1월 28일 런던의 팰 맬(Pall Mall)에 최초의 공공 가로등이 설치되었다.[7] 이후 19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산업화된 도시에서 상업용 가스 조명 공급이 확산되다가 전기 조명으로 대체되었다.[7] 가스화와 합성 가스는 고로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화학 합성 물질 생산에도 더욱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2. 2. 20세기 초 (세계 대전 시기)

가스 발생기(1941년)가 장착된 아들러 디플로마트


세계 대전,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석유 부족으로 인해 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연료에 대한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었다.[9] 유럽에서는 목탄 가스 발생기를 가소겐(Gasogene) 또는 가조젠(Gazogène)이라고 불렀으며, 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1945년까지 가스화를 통해 동력을 얻는 트럭, 버스 및 농업용 기계가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약 900만 대의 차량이 발생기 가스를 사용한 것으로 추산된다.

베트남어로 "석탄 자동차"를 뜻하는 Xe thanvi가솔린 대신 석탄 가스화를 통해 운행하도록 개조된 미니 버스였다. 이러한 개조는 보조금 시대 동안 베트남에서 가솔린이 부족해지면서 다시 인기를 얻었다. 도이머이 시대에 가솔린 접근성이 다시 높아지면서 Xe thanvi의 사용은 훨씬 줄어들었다.

2. 3. 베트남의 "석탄 자동차" (Xe than)

보조금 시대 베트남에서는 가솔린 부족으로 석탄 가스화를 이용해 운행하도록 개조된 미니 버스인 Xe than|쎄탄vi(베트남어로 "석탄 자동차"를 의미)이 다시 인기를 얻었다. 도이머이 시대에 가솔린 접근성이 다시 높아지면서 Xe than|쎄탄vi의 사용은 훨씬 줄어들었다.

3. 화학 반응

가스화기 내에서 탄소 물질은 여러 가지 과정을 거친다.[1]

탄소 연료의 열분해


촤의 가스화


1. 약 100 °C에서 탈수 또는 건조 과정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생성된 수증기는 가스 흐름에 혼합되며, 온도가 충분히 높으면 물-가스 반응과 같은 후속 화학 반응에 관여할 수 있다.[1]

2. 약 200–300 °C에서 열분해 (또는 탈휘발) 과정이 일어난다.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고 이 생성되어 석탄의 경우 최대 70%의 중량 감소를 보인다. 이 과정은 탄소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가스화 반응을 겪게 될 숯의 구조와 조성을 결정한다.[1]

3. 연소 과정은 휘발성 생성물과 일부 숯이 산소와 반응하여 주로 이산화탄소를 형성하고 소량의 일산화탄소를 생성하면서 발생하며, 이는 후속 가스화 반응에 열을 제공한다. '''C'''가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나타낼 때, 여기에서의 기본 반응은 C + O2 → CO2이다.[1]

4. 가스화 과정은 숯이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하면서 일어난다. 반응식은 C + H2O → H2 + CO 및 C + CO2 → 2CO이다.[1]

5. 또한, 가스화기의 온도에서 가역적인 기체 상태의 물-가스 변환 반응은 매우 빠르게 평형에 도달한다. 이는 일산화탄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및 수소의 농도를 균형 있게 유지한다: CO + H2O ⇌ CO2 + H2.[1]

본질적으로, 유기 물질의 일부가 이산화탄소와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연소"되도록 하기 위해 제한된 양의 산소 또는 공기가 반응기에 도입된다. 이는 추가적인 유기 물질을 수소와 추가적인 이산화탄소로 변환하는 두 번째 반응을 유발한다. 형성된 일산화탄소와 유기 물질에서 남은 이 반응하여 메탄과 과량의 이산화탄소를 형성할 때 추가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4CO + 2H2O → CH4 + 3CO2). 이 세 번째 반응은 반응성 가스와 유기 물질의 체류 시간과 열 및 압력을 증가시키는 반응기에서 더 풍부하게 발생한다. 촉매는 더 정교한 반응기에서 반응 속도를 개선하여 사용되며, 이는 고정된 체류 시간에 대한 반응 평형에 시스템을 더 가깝게 이동시킨다.[1]

4. 가스화 공정

주요 가스화기 유형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가스화기에는 역류 고정층, 순류 고정층, 유동층, 동반류, 플라즈마 및 자유 라디칼 가스화기 등이 있다.[1]

  • 역류 고정층 가스화기: 고정된 연료층(예: 석탄, 바이오매스)에 가스화제(증기, 산소, 공기)가 역류 형태로 흐르는 방식이다.[13] 재는 건조 상태 또는 슬래그 형태로 배출된다. 슬래깅 가스화기는 증기 대 탄소 비율이 낮고,[14] 재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작동한다. 연료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며, 투과성 있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처리량은 낮지만 열효율이 높다. 그러나 타르와 메탄 생성이 많아 생성 가스를 정제해야 한다. 타르는 반응기로 재활용할 수 있다.

  • 순류 고정층 가스화기: 가스화제 가스가 연료와 같은 방향(아래쪽)으로 흐른다. '하향식 가스화기'라고도 한다. 열은 연료 연소 또는 외부 열원으로 공급된다. 생성 가스는 고온에서 배출되며, 열효율은 역류식과 비슷하다. 타르 발생량은 역류식보다 적다. 왕겨와 같이 미세하고 밀도가 낮은 바이오매스를 가스화할 때는 팬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기를 불어넣어 최대 1000°C의 고온을 생성한다. 가스가 뜨거운 숯층을 통과하면서 복잡한 탄화수소가 분해된다.[15]

  • 유동층 가스화기: 연료는 산소, 수증기, 공기 중에서 유동화된다. 재는 건조 상태 또는 무거운 덩어리 형태로 배출된다. 건조 재 가스화기는 연료 반응성이 높아야 하며, 저급 석탄이 적합하다. 응집 가스화기는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며 고급 석탄에 적합하다. 연료 처리량은 고정층보다 높지만 부유층보다는 낮다. 탄소질 물질 분리로 인해 변환 효율이 낮을 수 있으며, 재순환 또는 후속 연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부식성 재를 많이 형성하는 연료(예: 바이오매스)에 유용하다. 유동층 가스화기는 기포 유동층(BFB), 순환 유동층(CFB), 이중 유동층(DFB) 등으로 나뉜다.

371x371px

  • 동반류 가스화기: 건조 분말 고체, 미립화 액체 연료, 연료 슬러리가 산소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흐르며 가스화된다. 반응은 미세 입자의 밀집된 구름 속에서 일어난다. 대부분의 석탄에 적합하며, 높은 작동 온도와 압력으로 처리량이 높다. 그러나 가스 정제를 위해 냉각이 필요하여 열 효율이 낮고, 산소 요구량이 높다. 타르와 메탄은 생성되지 않는다. 회분은 대부분 슬래그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플라이 애시 형태로 배출된다. 특정 연료는 세라믹 내부 벽을 부식시키는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가스화기는 세라믹 벽 대신 응고된 슬래그로 덮인 냉각 벽을 사용한다. 회분 융점이 매우 높은 연료는 석회석을 첨가하여 융점을 낮춘다. 연료는 미세하게 분쇄해야 하므로 추가 에너지가 필요하며, 산소 생산에도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

  • 플라즈마 가스화기: 고전압 전류를 토치에 공급하여 고온 아크를 생성한다. 무기 잔류물은 유리와 유사한 물질로 회수된다.

5. 공급 원료

가스화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급 원료가 사용되며, 각 원료는 크기, 모양, 부피 밀도, 수분 함량, 에너지 함량, 화학 조성, 회분 융착 특성 및 이러한 모든 특성의 균질성 등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 석탄과 석유 코크스는 전 세계 많은 대형 가스화 플랜트의 주요 공급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나무 펠릿과 칩, 폐목재,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생활 폐기물(MSW), 폐기물 고형 연료(RDF), 농업 및 산업 폐기물, 하수 슬러지, 스위치그래스, 폐기된 종자 옥수수, 옥수수 줄기 및 기타 작물 잔류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유래 공급 원료도 가스화할 수 있다.[1]

켐렉(Chemrec)은 흑액의 가스화를 위한 공정을 개발했다.[42]

6. 폐기물 처리

폐기물 가스화는 소각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 소각은 연소 후 많은 양의 연도 가스 정화가 필요하지만, 가스화는 합성 가스에 대해 정화를 수행하여 효율적이다.
  • 전력은 내연 기관 및 가스 터빈에서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소각에 사용되는 랭킨 사이클보다 훨씬 저렴하고 효율적이다.
  • 합성 가스의 화학 처리를 통해 전력 대신 다른 합성 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
  • 일부 가스화 공정은 고온에서 중금속을 포함하는 재를 유리질의 안정적인 형태로 배출한다.


하지만 폐기물 가스화는 총 전기 효율을 달성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합성 가스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높은 효율은 폐기물 전처리, 다량의 순수 산소 소비 및 가스 정화로 인한 전력 소비로 상쇄된다. 또한, 반응기 청소를 위해 몇 달마다 플랜트를 폐쇄할 필요가 없도록 긴 서비스 간격을 확보하는 것도 과제이다.

환경 옹호자들은 가스화가 대기 질과 공중 보건에 위험하다고 주장한다. 소각장 대안을 위한 글로벌 연합(Global Alliance for Incinerator Alternatives)은 2003년 이후 가스화 기술을 사용하려는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수많은 제안이 최종 운영 승인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17]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오타와에서 운영된 한 시설은 3년 동안 29건의 "배출 사고"와 13건의 "유출"을 겪었으며, 약 25%의 시간 동안만 가동할 수 있었다.[18]

여러 폐기물 가스화 공정이 제안되었지만, 실제 폐기물을 처리하는 플랜트로 구현된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19]

  • 일본 지바시는 2000년부터 Thermoselect 공정[20]을 사용하여 산업 폐기물을 처리해 왔지만, 긍정적인 순 에너지 생산을 아직 문서화하지 못했다.
  • 2007년 Ze-gen은 매사추세츠주 뉴베드퍼드에 폐기물 가스화 시범 시설을 건설했다. 이 시설은 액체 금속 가스화를 사용하여 특정 비-MSW 폐기물 흐름의 가스화를 시연하도록 설계되었다.[21] 하지만 현재 Ze-gen은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23]
  • 2011년, 미국 Hurlburt Field 플로리다 특수 작전 사령부 공군 기지에서 PyroGenesis Canada Inc.가 제공하는 플라즈마 시스템이 도시 고형 폐기물, 유해 폐기물 및 생물 의학 폐기물을 가스화하기 위해 테스트되었다. 이 플랜트는 건설 비용이 740만달러였으나,[24] 2013년 5월 폐쇄되어 판매되었다.[25][26]
  • 2022년 12월, Sierra BioFuels Plant가 네바다주 리노에서 개장하여 매립 폐기물을 합성 원유로 변환했다.[27]

7. 현재 응용 분야

합성 가스는 열 생산, 기계 및 전기 에너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기체 연료와 비교했을 때, 발생기는 고체 연료보다 전력 수준을 더 잘 제어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깨끗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합성 가스는 액체 연료나 화학 물질로 추가 가공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

가스화 기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분야설명
열 생산오븐, 보일러, 용광로 등 기존 가스 연료 장치에 개조하여 사용 가능하며,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 합성 가스의 발열량은 일반적으로 4~10MJ/m3 정도이다.[1]
전력 생산석탄 가스화와 같이 화석 연료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며, 통합 가스화 복합 사이클 (IGCC)을 사용하여 전기, 암모니아 및 액체 연료(오일) 생산, 연료 전지를 위한 메탄과 수소 생산 등에 활용된다.[1] IGCC는 기존 기술보다 효율적인 이산화탄소(CO2) 포집이 가능하다.[1]
열병합 발전 (CHP)유럽에서는 목재에서 타르가 없는 합성 가스를 생산하는 무탄소 바이오매스 가스화 설비가 운영 중이며, 생산된 가스는 발전기에서 연소된다. 이러한 설비는 바이오매스 처리, 연료 공급, 가스화, 가스 정화, 폐기물 처리, 발전, 열 회수 등 여러 공정을 포함한다.[28]
수송 연료디젤 엔진은 생산 가스를 사용하여 이중 연료 모드로 작동 가능하며, 점화 엔진 및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100% 가스화 가스로 작동할 수 있다.[29][30][31][32] 엔진의 기계적 에너지는 물 펌프 구동, 발전기 연결 등에 사용된다.
재생 에너지 및 연료바이오매스와 플라스틱 폐기물 등 유기 물질로부터 합성 가스를 생산하여 연소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탄소 중립적이며, 다양한 투입 물질 및 출력 연료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33][34]



몇몇 산업 규모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장이 존재한다. 스웨덴 스벤융가에서는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장에서 최대 14MWth의 전력을 생산하여 산업 및 시민에게 공정 증기 및 지역 난방을 공급한다. 이 가스화기는 CCA 또는 크레오소트 함침 폐목재 및 기타 재활용 목재를 바이오매스 연료로 사용한다.

다음은 가스화 기술 시범 프로젝트의 예시이다.


  • 스웨덴 예테보리의 GoBiGas 프로젝트는 이중 유동층 가스화를 통해 산림 잔재물로부터 약 20MW의 대체 천연 가스를 생산하여 천연 가스 그리드에 공급했으나, 기술적, 경제적 문제로 2018년 영구 폐쇄되었다.[35][36]
  • 오스트리아 재생 에너지 네트워크[37] 귁싱 마을에 있던 공장은 이중 유동층 가스화를 사용하여 나무 조각으로부터 2MW의 전력과[38] 4MW의 열을 생산했으나,[39] 2015년에 폐쇄되었다.[40]
  • Chemrec의 피테오 파일럿 플랜트는 흑액 가스화로부터 3MW의 합성 가스를 생산했으나,[42] 2016년 재정 문제로 영구 폐쇄되었다.[43]
  • 고온 윙클러(HTW)는 가압 순환 유동층 가스화 공정으로, 1990년대에 다양한 원료로 테스트되었으나, 마지막 시설은 2002년에 영구 폐쇄되었다. 2015년부터 다름슈타트 대학교에서 테스트가 진행 중이며,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에서 풀 스케일 유닛이 제안되었다.[44][45]

7. 1. 열 생산

가스화기는 오븐, 보일러, 용광로 등 기존의 가스 연료 장치에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열적 응용 분야에 유연한 옵션을 제공하며, 여기서 합성 가스가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1] 합성 가스의 발열량은 일반적으로 4MJ/m3–10MJ/m3 정도이다.[1]

7. 2. 전력 생산

현재 산업 규모의 가스화는 주로 석탄 가스화와 같이 화석 연료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합성 가스는 가스 터빈에서 연소된다. 가스화는 또한 통합 가스화 복합 사이클 (IGCC)을 사용하여 전기, 암모니아 및 액체 연료(오일) 생산에 산업적으로 사용되며, 연료 전지를 위한 메탄과 수소 생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1] IGCC는 또한 기존 기술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이산화탄소(CO2) 포집 방법이다.[1] IGCC 시범 공장은 1970년대 초부터 운영되어 왔으며, 1990년대에 건설된 일부 공장은 현재 상업 운전에 들어서고 있다.[1]

7. 3. 열병합 발전 (CHP)

유럽에서는 250–1000 kWe 규모의 새로운 무탄소 바이오매스 가스화 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설비는 목재에서 타르가 없는 합성 가스를 생산하며, 생산된 가스는 열 회수 기능이 있는 발전기에 연결된 왕복 엔진에서 연소된다. 이러한 설비는 종종 목재 바이오매스 CHP 설비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바이오매스 처리, 연료 공급, 가스화, 가스 정화, 폐기물 처리, 발전, 열 회수 등 7가지의 서로 다른 공정을 포함한다.[28]

7. 4. 수송 연료

디젤 엔진은 생산 가스를 사용하여 이중 연료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고부하에서 80% 이상, 일반 부하 변동에서 70~80%의 디젤 대체가 쉽게 달성될 수 있다.[29] 점화 엔진 및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100% 가스화 가스로 작동할 수 있다.[30][31][32] 엔진의 기계적 에너지는 예를 들어 관개를 위한 물 펌프 구동 또는 발전기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7. 5. 재생 에너지 및 연료

원칙적으로 가스화는 바이오매스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유기 물질로부터 진행될 수 있으며, 생성된 합성 가스는 연소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 가스화 및 연소는 재생 에너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데, 바이오매스 생산이 가스화 및 연소에서 배출되는 것과 동일한 양의 CO2를 대기에서 제거하기 때문이다. 바이오가스바이오디젤과 같은 다른 바이오 연료 기술은 탄소 중립이지만, 가스화는 원칙적으로 더 다양한 투입 물질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출력 연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3][34]

현재 산업 규모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장은 몇 군데 있다. 2008년부터 스웨덴 스벤융가에서는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장에서 최대 14MWth의 전력을 생산하여 스벤융가의 산업 및 시민에게 각각 공정 증기 및 지역 난방을 공급하고 있다. 가스화기는 CCA 또는 크레오소트 함침 폐목재 및 기타 종류의 재활용 목재와 같은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연소되는 합성 가스를 생산한다.

시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스웨덴 예테보리의 GoBiGas 프로젝트는 32MW 이중 유동층 가스화를 통해 2014년 12월부터 산림 잔재물로부터 약 20MW의 대체 천연 가스를 생산하여 천연 가스 그리드에 공급했다.[35] 이 공장은 2018년 4월 기술적, 경제적 문제로 인해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예테보리 에너지는 이 공장에 1.75억유로를 투자했고, 새로운 투자자에게 공장을 매각하려는 집중적인 시도가 1년 동안 실패했다.[36]
  • 오스트리아 재생 에너지 네트워크의[37] 예로서, 2001년부터 귁싱 마을에 2MW의 전력을 공급하는 이중 유동층 가스화를 사용하는 공장이 있었으며, GE 젠바허 왕복 가스 엔진과[38] 4MW의 열을 생산하고, 나무 조각을 사용했다.[39] 이 공장은 2015년에 폐쇄되었다.[40]
  • Chemrec의 피테오 파일럿 플랜트는 흑액의 동반 흐름 가스화로부터 3MW의 깨끗한 합성 가스를 생산했다.[42] 이 공장은 2016년 재정적 문제로 인해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43]
  • 고온 윙클러(HTW)는 가압 순환 유동층 가스화 공정이다. 1990년대에 HTW는 저등급 석탄 및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매스(목재, 폐기물 유래 연료(RDF), 도시 고형 폐기물(MSW))를 포함한 다양한 원료로 테스트되었다. 마지막 HTW 시설은 2002년에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2015년부터 다름슈타트 대학교에서 0.1t/h 파일럿 유닛에서 공정 테스트가 계속 진행되는 한편, 재설계된 풀 스케일 유닛이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에서 제안되었다.[44][45]

8. 한국의 가스화 기술 현황 및 전망

한국은 에너지 안보와 폐기물 처리 문제 해결,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가스화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특히, 자체적인 한국형 가스화 기술 개발은 국가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다양한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국내 여러 기업과 연구 기관들이 가스화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기술 상용화와 경제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탄소 중립 실현과 수소 경제 구축을 주요 정책 목표로 삼고 있으며, 가스화 기술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과 연계하여 가스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가스화 복합 발전(IGCC)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가스화 복합 발전으로의 전환은 기술적인 어려움과 경제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가스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9. 비판 및 논란

가스화 과정에서 배출될 수 있는 유해 물질과 온실가스 문제는 환경 및 안전 문제와 더불어 시민단체 및 환경단체의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가스화 시설 주변 지역 주민들은 건강 및 환경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1] 가스화 기술의 경제성 및 효율성에 대한 논란도 지속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Review of Technologies for Gasification of Biomass and Wastes, NNFCC project 09/008 http://wiki.gekgasif[...] 2011-06-24
[2] 웹사이트 The Clean and Renewable Energy Source http://www.biomass.u[...] 2011-05-16
[3] 웹사이트 Thermal Gasification of Biomas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Task 33 http://www.gastechno[...] 2011-05-16
[4] 웹사이트 Plasma gasification: Clean renewable fuel through vaporization of waste https://waste-manage[...] 2009-01-07
[5]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direct carbon fuel cell technology 2012-06
[6] 서적 Gasification Elsevier 2008
[7] 논문 Gasification Processes Old and New: A Basic Review of the Major Technologies 2010-02-23
[8] 웹사이트 A century later, utilities still face billions in potential liabilities from obsolete manufactured gas plants https://www.utilityd[...] 2021-10-11
[9] 웹사이트 Gas Generator Project http://membres.lycos[...]
[10] 간행물 Process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for producing SNG and liquid fuels U.S. EPA 1975-05
[11] 간행물 Coal gasification for clean energy 1974-03
[12] 간행물 Coal gasification and the Phenosolvan process 1974-09
[13] 간행물 Fixed bed gasification of dairy biomass with enriched air mixture 2011
[14] 컨퍼런스 Development Status of BGL-Gasification http://www.iec.tu-fr[...] 2011-03-19
[15] 논문 Hydrogen production from municipal waste and low grade lignite blend https://www.scienced[...]
[16] 웹사이트 Advanced Methanol Amsterdam https://www.gidara-e[...]
[17] 웹사이트 GAIA Report http://www.no-burn.o[...] 2013-07-10
[18] 웹사이트 Plasco Energy Group Demonstration Project Final Report http://www.zerowaste[...]
[19] 웹사이트 Gasification case studies http://www.environme[...] Environment Agency
[20] 웹사이트 Thermoselect website http://www.thermosel[...]
[21] 뉴스 Teaching the Government to Love Garbage http://news.cnet.com[...] 2010-01-07
[22] 웹사이트 Ze-gen withdraws plans for Attleboro gasification plant http://www.thesunchr[...] The Sun Chronicle 2011-05-24
[23] 웹사이트 Site Suspended - This site has stepped out for a bit http://p3nlhclust404[...] 2014-01-22
[24] 웹사이트 Pyrogenesis Perfecting Plasma - Biomassmagazine.com http://biomassmagazi[...] 2018-03-07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ovliquid[...] 2018-03-07
[26] 웹사이트 DoD to Auction off Gasification Equipment - Renewable Energy from Waste http://www.rewmag.co[...] 2014-10-18
[27] 웹사이트 Sierra BioFuels Plant https://www.fulcrum-[...] 2023-12-15
[28] 웹사이트 Wood Gasification CHP / Cogeneration Plants http://www.alfagy.co[...] 2009-09-02
[29] 웹사이트 Gasification Appliances Review https://archive.toda[...] 2008-02-04
[30] 웹사이트 Electricity from wood through the combination of gasification and solid oxide fuel cells http://e-collection.[...]
[31]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biomass producer gas as fuel for stationary gas engines in combined heat and power production https://www.qualitys[...]
[32] 웹사이트 High temperature electrolyte supported Ni-GDC/YSZ/LSM SOFC operation on two-stage Viking gasifier product gas http://www.biocellus[...]
[33] 웹사이트 Gasification allows less emissions, less dust and fuel flexibility http://www.mynewsdes[...]
[34] 웹사이트 SFC – Soot Free Combustion: large scale biomass gasification https://archive.toda[...] 2011-03-03
[35] 웹사이트 Göteborg Energi's biogas plant GoBiGas is now fully operational – GoBiGas http://gobigas.goteb[...] 2015-11-09
[36] 뉴스 Investerade nästan två miljarder i Gobigas – nu läggs projektet ner https://www.svt.se/n[...] 2018-04-03
[37] 웹사이트 RENET – The path to energy autonomy http://www.renet.at/[...] 2007-08-13
[38] 문서 Gussing Biomass Power Plant http://www.clarke-en[...] 2011-05-17
[39] 웹사이트 The FICFB-gasification system http://www.ficfb.at/ 2018-12-06
[40] 웹사이트 Technology – GRE http://gussingcleane[...] 2018-06-13
[41] 뉴스 Background - gogreengas http://gogreengas.co[...] 2018-03-07
[42] 웹사이트 Under Konstruktion http://www.chemrec.s[...] 2018-12-06
[43] 웹사이트 Biobränsleanläggning läggs ner https://www.nyteknik[...] 2018-03-07
[44] 웹사이트 HTW references by GIDARA Energy https://www.gidara-e[...]
[45] 웹사이트 HTW Gasification Technology by GIDARA Energy https://www.gidar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