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레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크고, 여러 개의 돛과 다수의 노를 갖춘 군함으로,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갤리선과의 경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레판토 해전에서 기독교 연합군에 기여했다. 하지만 건조 및 유지 비용이 높고, 범선에 비해 전투력이 약해 갤리온이나 전열함으로 대체되었다. 지중해에서는 17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으며, 조선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요선 - 발링즈
    발링즈는 역사적 배경, 특징, 쟁점, 사회적 영향, 미래 전망 등을 포괄하는 주제이며, 초기 역사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고,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 범요선 - 랑스킵
    랑스킵은 바이킹 시대의 길고 좁은 배로, 노와 돛을 사용하여 얕은 물 항해와 해변 상륙에 용이하며, 속도와 육로 수송 가능성을 겸비하여 군사 및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된 스네케, 스케이드, 드레키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배이다.
  • 군용 범선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군용 범선 - 맨오브워
    맨오브워는 전투원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15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해상 전투의 주력 함선으로, 시대에 따라 캐러크, 갤리온, 전열함 등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전열함은 해상 패권 경쟁 국가들의 주력 함선이었으나 증기선 등장으로 쇠퇴했고, 최대 120문의 대포를 탑재한 강력한 화력을 자랑했다.
갈레아차
개요
16세기 갈레아스 (모데나)
16세기 갈레아스 (모데나)
유형군함
기원베네치아 공화국
사용 국가유럽 국가, 지중해 국가
사용 시기16세기 ~ 17세기
특징
선체갤리선보다 큼
무장중무장
추진 방식노와 돛 모두 사용
용도해상 전투
역사
개발 목적갤리선의 단점 보완 (화력 강화, 내항성 증가)
주요 해전레판토 해전 (1571년)
퇴역 시기18세기 초, 전열함으로 대체
구조
크기갤리선보다 큼
갑판여러 층의 갑판 보유
갤리선과 유사하게 노를 사용
돛대와 돛을 장착
무장선수와 선미에 대포 집중 배치
승무원다수의 해병과 사격수 탑승
전략적 역할
화력 지원해전에서 강력한 화력 지원 제공
기동성노를 이용한 기동성 확보
방어력높은 선체와 두꺼운 장갑으로 방어력 강화

2. 역사



레판토 해전에서 베네치아는 긴급 개조한 갈레아스 6척을 투입, 기독교 연합군의 떠다니는 포대로 활용하여 전투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건조 및 유지 비용이 높아 대량 생산은 어려웠다. 또한, 발전된 범주 군함의 현측 포열에 취약하여 중화포 공격에 쉽게 무력화되었다.[4][5]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훨씬 크고, 라틴 세일을 갖춘 3개의 마스트(포어 마스트만 스퀘어 세일인 경우도 있음)와 선수, 선미에 누각을 갖춘 독특한 구조였다. 노는 32개 이상이었고, 각 노마다 5명 정도가 배치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갤리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상업용 갈레아스는 빠른 속도를 내도록 설계했지만, 군함으로 개조되거나 새로 건조된 배는 무거운 무장 탓에 둔중하여 해상 조우전에는 부적합했고, 밀집 함대 전투에서 떠다니는 포대 역할이 전제되었다.

선체는 건현이 높고 폭이 넓어 뚱뚱한 형태였다. 충각도 있었지만, 운동성이 낮은 갈레아스에게는 무용지물이었다. 노 젓는 사람 머리 위에는 포열 갑판이 있어 갤리선보다 많은 대포를 실을 수 있었다. 대포는 대략 13~16문 정도로 갤리선의 2~3배였으나, 범선과 비교하면 등급 외 슬루프 수준으로, 결코 많다고 할 수 없었다. 대부분의 포는 선루에 배치되었고, 현측에는 한쪽에 3~4문 정도였다. 그 외에 선회포가 20문 정도 있었다. 17세기 이후 충각을 없애고 현측 배치를 개선하여 포문 수를 늘렸지만, 5등 프리깃 수준의 포격력이 한계였다.

이후 갈레아스는 주력 군함 자리를 갤리온, 전열함 등 대형 범선에 내주었다. 구조상 외양 항해에 부적합하고, 많은 노잡이를 필요로 해 항속 거리가 짧아, 대항해 시대의 장거리 항해 추세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에서는 해군 상징으로 17세기 후반까지 소수 사용되었다.

2. 1. 개발 배경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높고 크며 느렸다. 최대 32개의 노를 가지고 있었고, 각 노는 최대 5명의 사람이 움직였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돛대를 가졌으며, 갤리선과 달리 제대로 된 포어캐슬과 애프터캐슬을 갖추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일반 갤리선과 경쟁하기 위해 갈레아스를 최대한 빠르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보통의 경우 포열 갑판이 노젓는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갔지만, 반대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더 많은 돛을 가지고 있었고 훨씬 더 강력한 화력을 갖추었다.[3] 갤리선이 갈레아스의 측면 포격에 걸리면, 많은 양의 포화에 노출되어 큰 위험에 처했다. 비교적 적은 수의 갈레아스가 건조되었는데, 한 가지 단점은 돛에 더 많이 의존하여 전투 시작 시 갤리선 대열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2. 2. 레판토 해전 (1571년)

베네치아레판토 해전에서 지휘했던 갈레아스를 배경으로 팜 잎을 받는 베네치아 제독 프란체스코 두오도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베네치아 갈레아스는 전투에 참여하여 강력한 화력으로 첫 번째 터키군의 공격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고,[4] 결국 성좌 동맹 함대의 승리에 기여했다.[5]

2. 3. 스페인 무적함대 (1588년)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를 호위할 정도로 항해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받은 네 척의 나폴리 갈레아스는 전투함의 최전선을 형성했다.[6] ''라 히로나''는 이들 중 하나였으나, 결국 아일랜드 해안에서 난파되었다.[6] 이 갈레아스들은 영불 해협에서의 전투 동안 바람이 없을 때 스페인 낙오자들을 구출하거나 길 잃은 영국 함선을 공격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투입되었다.[7] 각각 50문의 대포, 300명의 병사와 선원, 300명의 노를 젓는 사람을 갖춘 강력한 함선이었지만, 지휘관은 칼레 화공선 공격(그라블린 해전) 이후 난파되었고, 네 척 중 두 척만이 무사히 스페인으로 돌아갔다.[8]

2. 4. 쇠퇴와 대체

지중해에서는 덜 위험한 날씨와 변덕스러운 바람으로 인해, 갈레아스와 갤리선은 다른 곳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된 후에도 베네치아오스만 제국에서 특히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후 "둥근 배"와 갈레아스는 대서양 유럽에서 유래한 갤리온과 전열함으로 대체되었다. 최초의 베네치아 전열함은 1660년에 건조되었다.

3. 구조 및 특징

갈레아스선은 통상의 갤리선보다 훨씬 크고, 라틴 세일을 갖춘 세 개의 마스트(포어 마스트만 스퀘어 세일인 경우도 있었다)와 전후부에 누각을 갖춘 특징적인 구조로 되어 있었다. 32개 이상의 다수의 하나하나에 노 젓는 사람이 5명 정도 배치되었다.[3]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갤리선 경쟁에서 통상의 갤리선에 이길 수 있도록 상업용 갈레아스는 고속이 나오도록 설계했지만, 군함으로 개조하거나 새로 건조된 배는 중무장으로 인해 둔중하여 해상 조우전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밀집 함대 전투에서 떠다니는 포대처럼 사용되었다.

노를 젓는 배로서는 건현이 높고, 선폭도 넓어서 뚱뚱한 선형을 하고 있다. 충각 혹은 돌격 선수도 가지고 있지만, 운동성이 낮은 갈레아스에는 무용지물이었다. 노를 젓는 사람 머리 위에는 포열 갑판이 있어, 통상의 갤리선보다 많은 대포를 실을 수 있었다. 갖춘 포 수는 대략 13~16문 전후로 갤리선의 2~3배 가까이 되지만, 등급제가 도입된 범선과 비교하면 등급 외의 슬루프 정도여서 많다고는 할 수 없다. 포의 대부분은 선루에 배치되었고, 현측을 향하고 있는 것은 한쪽 현에 3~4문 정도였다. 그 외에 선회포가 20문 전후 있었다. 17세기 이후에는 충각을 폐지하고, 갖춘 포를 현측 배치로 개선하여 문 수를 늘렸지만, 그래도 5등 프리깃에 필적하는 수준의 포격력이 한계였다.

레판토 해전에서는 베네치아가 급히 개조한 6척의 갈레아스선이 기독교 연합군에 사용되어 함대의 떠다니는 포대로서 전투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건조 비용이 높아 대량 생산이 어려웠고 유지 운용비도 높았다. 전투에서 급속히 발전한 범주 군함의 현측 포열에 포착되면 대부분의 갈레아스선이 무력화되어 중화포 공격에 노출될 뿐이었다.

이후 갈레아스선은 주력 군함으로서의 역할을 잃고, 갤리온이나 전열함과 같은 대형 범선으로 대체되었다. 구조상 외양 항해에 적합하지 않고, 다수의 노를 젓는 사람을 필요로 하여 항속 거리가 짧아 대항해 시대를 맞아 지구 반 바퀴를 도는 장거리 항해가 당연해진 시대의 추세에 맞지 않은 것이 쇠퇴의 원인이다. 그러나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에서는 해군의 상징으로서 17세기 후반 이후에도 소수가 계속 사용되었다.

3. 1. 선체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높고 크며 느렸다. 최대 32개의 노를 가지고 있었고, 각 노는 최대 5명의 사람이 움직였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돛대를 가졌으며, 갤리선과 달리 제대로 된 포어캐슬과 애프터캐슬을 갖추고 있었다.[3]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일반 갤리선과 경쟁하기 위해 갈레아스를 최대한 빠르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보통의 경우 포열 갑판이 노젓는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갔지만, 반대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3]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더 많은 돛을 가지고 있었고 훨씬 더 강력한 화력을 갖추었다.[3] 갤리선이 갈레아스의 측면 포격에 걸리면, 많은 양의 포화에 노출되어 큰 위험에 처했다.[3] 비교적 적은 수의 갈레아스가 건조되었는데, 한 가지 단점은 돛에 더 많이 의존하여 전투 시작 시 갤리선 대열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3]

3. 2. 무장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높고 크며 느렸다. 최대 32개의 노를 가지고 있었고, 각 노는 최대 5명의 사람이 움직였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돛대를 가졌으며, 갤리선과 달리 제대로 된 포어캐슬과 애프터캐슬을 갖추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일반 갤리선과 경쟁하기 위해 갈레아스를 최대한 빠르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보통의 경우 포열 갑판이 노젓는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갔지만, 반대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더 많은 돛을 가지고 있었고 훨씬 더 강력한 화력을 갖추었다.[3] 갤리선이 갈레아스의 측면 포격에 걸리면, 많은 양의 포화에 노출되어 큰 위험에 처했다. 비교적 적은 수의 갈레아스가 건조되었는데, 한 가지 단점은 돛에 더 많이 의존하여 전투 시작 시 갤리선 대열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3. 3. 추진력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높고 크며 느렸다. 최대 32개의 노를 가지고 있었고, 각 노는 최대 5명의 사람이 움직였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마스트를 가졌으며, 갤리선과 달리 제대로 된 포어캐슬과 애프터캐슬을 갖추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일반 갤리선과 경쟁하기 위해 갈레아스를 최대한 빠르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3] 보통 포열 갑판이 노젓는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갔지만, 반대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더 많은 돛을 가지고 있었고 훨씬 더 강력한 화력을 갖추었다.[3] 갤리선이 갈레아스의 측면 포격에 걸리면, 많은 양의 포화에 노출되어 큰 위험에 처했다. 비교적 적은 수의 갈레아스가 건조되었는데, 한 가지 단점은 돛에 더 많이 의존하여 전투 시작 시 갤리선 대열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갈레아스선은 통상의 갤리선보다 훨씬 크고, 라틴 세일을 갖춘 세 개의 마스트(포어 마스트만 스퀘어 세일인 경우도 있었다)와 전후부에 누각을 갖춘 특징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32개 이상의 다수의 하나하나에 노 젓는 사람이 5명 정도 배치되었다.

4. 조선과의 비교 (추가)

조선 수군의 주력 전투함이었던 판옥선은 갈레아스와 유사한 점이 많았다. 두 함선 모두 갤리선보다 크고 무거웠으며, 강력한 화포를 주력으로 사용했다. 판옥선은 노와 돛을 모두 사용했지만, 주로 돛을 이용해 항해했고, 노는 근접전이나 기동이 필요할 때 사용했다.[3]

판옥선은 선수와 선미에 높은 갑판 구조물을 갖추고 있어 갑판 아래의 노꾼과 갑판 위의 전투원을 보호했다. 또한, 조선 수군은 다양한 종류의 화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임진왜란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3]

4. 1. 차이점

갈레아스는 일반 갤리선보다 크고 높으며 느렸다. 최대 32개의 노를 가졌고, 각 노는 최대 5명이 움직였다. 보통 3개의 돛대를 가졌으며, 갤리선과 달리 포어캐슬과 애프터캐슬을 갖추고 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일반 갤리선과 경쟁하기 위해 갈레아스를 최대한 빠르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보통 포열 갑판이 노를 젓는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갔지만, 반대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갈레아스는 갤리선보다 돛이 더 많았고 화력도 훨씬 강력했다.[3] 갤리선이 갈레아스의 측면 포격에 걸리면, 많은 양의 포화에 노출되어 큰 위험에 처했다. 갈레아스는 비교적 적게 건조되었는데, 한 가지 단점은 돛에 더 의존하여 전투 시작 시 갤리선 대열 앞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ships and seafaring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ers 1980-07
[2] 서적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Penguin
[3] 서적 Maritime Power and the Law of the Sea: Expeditionary Operations in World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 서적 Europe Divided London 1968
[5]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12-18
[6] 서적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Penguin
[7] 서적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Penguin
[8] 서적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Penguin
[9] 서적 Encyclopedia of ships and seafaring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ers 1980-07
[10] 서적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Pengu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