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렘브란트가 1633년에 완성한 유화로, 성경 속 이야기를 묘사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예수와 제자들이 갈릴래아 호수에서 폭풍을 만나는 장면을 생생하게 표현하며, 렘브란트 초기 작품의 특징인 섬세한 묘사, 인물의 다양한 표정, 빛과 어둠의 대비를 보여준다. 1990년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에서 도난당하여 현재까지 행방이 묘연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렘브란트 그림 - 야경 (렘브란트)
렘브란트 판 레인이 1642년에 그린 《야경》은 시민 자경대의 출동 장면을 묘사한 단체 초상화로, 그림 변색으로 밤의 정경으로 오해받았으며, 훼손과 복원을 거쳐 현재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렘브란트 그림 -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수업
렘브란트가 1632년에 그린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수업"은 튈프 박사가 시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모습을 담아 당시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해부학 수업 풍경과 렘브란트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부학적 오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모작과 패러디를 낳았다. - 예수 초상화 -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은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1503년에서 1504년 사이에 제작한 3폭 제단화로, 에덴 동산, 쾌락을 추구하는 인물들, 지옥을 묘사하며 욕망에 대한 경고 등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 예수 초상화 -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엘 그레코가 1586년에서 1588년 사이에 그린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은 성 스테파노와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강림하여 14세기 초 톨레도 읍의 시장이었던 오르가스 백작 곤살로 루이스 데 톨레도의 전설적인 매장 장면을 묘사한 그림으로, 지상과 천상 세계로 나뉜 구도, 톨레도 사회 저명 인사들의 초상, 풍부한 색채가 특징인 그의 대표작이다.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 |
---|---|
그림 정보 | |
![]() | |
제목 |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
원어 제목 (네덜란드어) | Christus in de storm op het Meer van Genesareth |
원어 제목 (영어) |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
화가 | 렘브란트 반 레인 |
제작 연도 | 1633년 |
종류 | 유화, 캔버스 |
크기 (높이) | 160 cm |
크기 (너비) | 128 cm |
사조 |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 |
소장 | 1990년 이후 소재 불명 |
소장 장소 | 행방불명 (이전에는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 |
2. 성서 속 이야기
이 그림은 신약성경의 마르코 복음서, 루카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와 제자들이 갈릴래아 호수에서 폭풍을 만난 이야기를 주제로 하고 있다.[24][25][26]
2. 1. 복음서의 내용

이 이야기는 마르코 복음서를 시작으로 루카 복음서와 마태오 복음서에도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느 날 예수 그리스도는 갈릴래아 호수의 호숫가에서 군중을 상대로 설교했다. 그날 저녁, 예수는 제자들에게 "저편으로 건너가자"라고 말했고, 그들은 군중과 헤어져 배를 타고 호수를 건너기 시작했다. 항해 도중 갑자기 거센 돌풍이 불어닥쳤고, 배는 높은 파도에 휩쓸려 안으로 물이 가득 차기 시작했다. 제자들은 크게 당황했지만, 예수는 뱃머리 쪽에서 잠들어 있었다. 제자들이 예수를 깨우며 "스승님, 저희가 죽게 되었는데도 아무렇지 않으십니까?"라고 묻자, 예수는 일어나 바람을 꾸짖고 바다를 향해 "잠잠해져라, 고요해져라!"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즉시 바람이 멎고 호수는 아주 잔잔해졌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왜 그렇게 무서워하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라고 물었다. 제자들은 두려움에 사로잡혀 서로에게 "이분이 대체 누구시기에 바람과 바다까지 복종하는가?"라고 말했다.[24][25][26]
3. 작품 묘사
세로 형식의 이 그림은 제자들이 폭풍우 속에서 낚싯배를 제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근접 촬영하여 보여준다.[1] 거대한 파도가 배의 선수 부분을 강타하여 돛을 찢어놓는 등, 격렬한 자연의 힘 앞에서 인간이 느끼는 공포와 혼란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1][21] 이 장면은 누가복음 8:22–25에 기록된, 제자들이 갑작스러운 폭풍에 두려움을 느끼고 잠들어 있던 예수를 깨우는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다.[3] 렘브란트는 이 극적인 순간을 포착하여, 빛과 어둠의 강렬한 대비와 인물들의 역동적인 모습을 통해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그림의 서명과 날짜는 오른쪽 아래 키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23]
3. 1. 인물 묘사
세로 형식의 이 그림은 제자들이 폭풍우 속에서 낚싯배를 제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근접 촬영하여 보여준다.[1] 렘브란트는 격렬한 폭풍에 직면하여 공황 상태에 빠진 그리스도의 제자들을 묘사하고 있다. 거대한 파도가 뱃머리에 부딪히고 돛을 찢어 배를 위험하게 만들고 있으며, 제자들 중 일부는 배의 제어를 되찾기 위해 필사적으로 폭풍에 맞서 싸우고 있다. 그러나 제자들의 대부분은 그리스도에게 도움을 구하며 필사적으로 간청하고 있다.[21] 제자 중 한 명은 배의 격렬한 흔들림에 메스꺼움을 느껴 옆으로 토하는 모습이 보인다.[1][21]반면, 그리스도는 화면 오른쪽의 키 근처에 그려져 있으며, 막 잠에서 깨어난 듯 이 혼란 속에서도 평정을 유지하고 있다.[1][21] 이는 누가복음에서 제자들이 잠자던 예수를 깨웠다는 묘사와는 달리, 그림 속에서는 깨어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곧 일어날 기적을 예고하는 듯하다.[3][20]
그리스도 곁에는 모자를 쓴 제자가 한 명 서 있는데, 그는 유일하게 감상자를 향해 얼굴을 돌리고 있다. 그는 머리에 쓴 모자가 날아가지 않도록 잡고, 밧줄을 잡고 자세를 바로잡으며 관람자를 똑바로 바라보고 있다. 이 인물은 화가 렘브란트 자신의 자화상으로 여겨지며, 감상자의 시선을 그림 속 세계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1][21]
렘브란트는 인물들의 변화무쌍하고 다양한 표정을 통해 폭풍우 속의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했는데, 이는 당시 성경 주제를 다룬 그림들 중에서는 드문 접근이었다.[21][20] 뱃머리에 있는 갈색 옷의 제자는 밝은 하늘을 배경으로 역광으로 처리하고, 금색 옷을 입은 제자의 뒷모습은 어두운 배경 앞에 배치하여 공간의 깊이감을 더했다.[20] 네덜란드의 화가이자 작가인 아르놀트 호우브라켄은 이 작품의 인물 묘사에 대해 "인물들과 그 얼굴 표정이 사건으로부터 상상되는 것과 한없이 가깝고 자연스럽게 묘사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들은 렘브란트의 일반적인 작품보다 더 세심하게 그려져 있다"라고 평가했다.[20]
3. 2. 빛과 어둠의 활용
렘브란트는 빛과 어둠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예수의 바다를 잠재우는 기적을 시각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테네브리즘(tenebrism) 기법을 사용했다.[6] 빛은 그림의 왼쪽 위에서 발산되며, 폭풍 속에서 푸른 하늘의 일부분을 볼 수 있다. 장면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와 선원들은 그림자로 다시 던져진다. 이러한 명암 대비는 극적인 긴장감을 높인다. 렘브란트는, 뱃머리에 있는 갈색 옷의 제자를 밝은 하늘을 등지고 역광으로 묘사하고, 금색 계열의 옷을 입은 제자의 뒷모습을 어두운 암실을 등지고 그림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만들어냈다.[20]3. 3. 구성 및 영향
세로 형식의 이 그림은 제자들이 폭풍우 속에서 낚싯배를 제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근접 촬영하여 보여준다.[1] 시점은 낮춰져 하늘이 바다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만, 배, 선원, 그리고 그리스도는 그림의 주요 초점으로 남아 있다.[3] 배는 북해의 어선인 hoeker|호커영어와 유사하지만, 렘브란트는 선체를 비대칭적으로 보이도록 변경했으며, 돛대는 고전적인 사각형 또는 삼각형 돛보다 더 무거워 보인다.[4] 독일 미술 사학자 크리스티안 튐펠은 렘브란트가 제자들의 배와 같은 소품을 자신의 상상력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초기 성경 삽화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4][5]렘브란트는 빛과 어둠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예수의 바다를 잠재우는 기적을 시각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테네브리즘 기법을 사용했다.[6] 빛은 그림의 왼쪽 위에서 발산되며, 폭풍 속에서 푸른 하늘의 일부분을 볼 수 있다. 장면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와 선원들은 그림자로 다시 던져진다.[6] 또한 렘브란트는 뱃머리에 있는 갈색 옷의 제자를 밝은 하늘을 등지고 역광으로 묘사하고, 금색 계열의 옷을 입은 제자의 뒷모습을 어두운 암실을 등지고 그림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만들어냈다.[20]
본 작품을 제작한 1633년은 렘브란트가 고향인 레이던에서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한 지 몇 년이 지나, 초상화가와 역사화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을 무렵이다. 자세한 정경 묘사, 인물의 변화무쌍한 다양한 표정, 비교적 세련된 붓놀림, 선명한 채색은 렘브란트 초기 작품의 특징이다.[21] 렘브란트의 동시대 화가들이 그린 폭풍 그림의 대부분은 가로로 긴 화면을 사용한 조망도로, 자연의 힘과 인간의 정신의 상극을 나타내는 데 중점을 둔 반면, 성경의 주제를 다루며 뱃사람들의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한 사례는 드물었다. 그에 반해, 세로로 긴 본 작품은 이야기 그림으로 구상되었다.[20]
주제를 클로즈업하여 포착하는 묘법과 전체적인 구도는 플랑드르 화가 마르텐 데 보스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아드리안 콜라르트의 판화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i|갈릴리 호수의 폭풍영어에서 영향을 받았다.[7][27] 이 판화는 1583년 안트베르펜에서 사델러 가문에 의해 출판된 12장으로 구성된 Vita, passio et Resvrrectio Iesv Christ|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수난, 부활la의 8번째 도판이었다.[7][27] 렘브란트는 판화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형식을 사용하여 작품 공간의 대부분에서 폭풍에 저항하는 제자들을 주요 모티브로 다루고 있으며, 배를 앞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묘사하고 있다.[7][27] 그러나 판화에서는 그리스도가 잠들어 있는 반면, 본 작품에서는 곧 일어날 기적을 예고하는 듯이 깨어 있는 그리스도가 그려져 있다는 차이가 있다.[20]
최근 과학 조사 결과는 이 작품이 유사한 렘브란트 크기의 그림으로는 유례없이 정교하게 완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돛대, 밧줄, 돛, 수면 등은 헤라르트 도우의 그림에 필적할 정도로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지만, 사용된 색상의 수는 놀라울 정도로 적다.[20] 네덜란드의 화가이자 저술가인 아르놀트 호우브라켄은 "인물들과 그 얼굴 표정이 사건으로부터 상상되는 것과 한없이 가깝고 자연스럽게 묘사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들은 렘브란트의 일반적인 작품보다 더 세심하게 그려져 있다"라고 평했다. 이 평가는 18세기의 기록과 수많은 경매에서의 높은 평가액에도 반영되어 있다.[20]
4. 제작 배경 및 특징
역사화로 분류되는[4] 이 그림은 캔버스에 유채로 그려졌으며, 크기는 약 160cm x 128cm이다. 렘브란트가 29세였던 1633년에 완성한 초기 작품으로, 그가 남긴 가장 큰 규모의 역사적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렘브란트가 고향인 레이던을 떠나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한 직후에 제작되었다[21]. 특정 의뢰를 받아 제작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불분명하다.[4] 서명과 날짜는 그림 오른쪽 아래 키의 상단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23].
4. 1. 렘브란트 초기 작품의 특징
이 작품이 제작된 1633년은 렘브란트가 고향인 레이던에서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한 지 몇 년 지나지 않아, 초상화가 및 역사화가로서 명성을 쌓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 렘브란트 작품의 특징은 이 그림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자세한 정경 묘사, 인물의 변화무쌍하고 다양한 표정, 비교적 세련된 붓놀림, 그리고 선명한 채색 등이 그것이다[21].최근의 과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 작품은 비슷한 크기의 다른 렘브란트 그림들과 비교해도 유례없이 정교하게 완성되었다. 특히 돛대, 밧줄, 돛, 그리고 물결치는 수면의 묘사는 동시대 화가 헤라르트 도우의 작품에 견줄 만큼 세밀하다. 하지만 사용된 색상의 수는 놀라울 정도로 제한적이다[20]. 렘브란트는 빛과 어둠의 대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공간감을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뱃머리에 있는 갈색 옷을 입은 제자는 밝은 하늘을 배경으로 역광 처리하고, 금색 옷을 입은 제자는 어두운 배경 앞에 배치하여 깊이감을 더했다[20].
네덜란드의 화가이자 작가인 아르놀트 호우브라켄은 이 작품에 대해 "인물들과 그들의 표정이 실제 사건에서 상상할 수 있는 모습에 매우 가깝고 자연스럽게 묘사되었으며, 렘브란트의 다른 작품들보다 더 세심하게 그려졌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는 18세기 기록과 여러 경매에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 사실로도 뒷받침된다[20].
4. 2. 다른 작품과의 비교
렘브란트는 이 그림을 그린 같은 해(1633년)에 예수가 물 위를 걷다 사건을 묘사한 스케치 "파도를 걷는 그리스도"를 제작했다.[4] 이 스케치는 마태오 14:22-33 구절을 바탕으로 하며, 예수가 물 위를 걸어 배에 있는 제자들에게 다가가고 성 베드로가 예수에게 가려다 물에 빠져 구출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8]당시 렘브란트와 동시대 화가들이 그린 폭풍 그림은 대부분 가로로 긴 화면의 조망도 형식을 취했다. 이 그림들은 주로 자연의 힘과 인간 정신의 대립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성경 속 인물들의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경우는 드물었다.[20] 반면, 세로 형식의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사건의 서사를 강조하는 이야기 그림으로 구상되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20]
이 그림의 주제를 가까이에서 포착하는 방식과 전체적인 구도는 플랑드르 화가 마르턴 데 보스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아드리안 콜라르트가 제작한 판화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ieng와 유사하다.[7][27] 이 판화는 1583년 안트베르펜에서 사델러 가문이 출판한 12부작 Vita, passio et Resvrrectio Iesv Christ|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수난, 부활lat에 포함된 작품 중 하나이다.[7][27] 렘브란트의 그림은 콜라르트의 판화처럼 세로 형식을 따르며, 폭풍 속에서 사투를 벌이는 제자들의 모습을 주요 장면으로 다룬다.[27]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도 있는데, 판화 속 예수는 잠들어 있는 반면 렘브란트의 그림에서는 깨어나 곧 일어날 기적을 암시하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20]
5. 네덜란드 해양화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바다를 주제로 한 그림, 즉 해양화가 중요한 미술 장르로 크게 유행하였다.[9] 이는 당시 네덜란드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회화 양식의 변화와도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었다.[9][10] 렘브란트의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이러한 네덜란드 해양화의 한 예시로, 종교적인 주제를 해양화에 통합한 작품 중 하나이다.[10]
5. 1. 네덜란드 해양화의 인기 요인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는 해양을 주제로 한 그림, 즉 해양화가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회화 양식의 변화와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평가된다. 이전까지 흔했던 수직적 구도, 지도 제작 방식의 원근법, 종교적 주제는 점차 줄어들고, 대신 상상력을 자극하는 깊이감, 낮은 수평선, 그리고 자연을 더욱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이 널리 퍼졌다.[9] 시각 예술가 앨런 세큘라는 이러한 해양화 유행의 배경에 네덜란드 사회의 네 가지 주요 변화가 있었다고 분석한다. 첫째는 무역량의 증가, 둘째는 바다에서 벌어진 잦은 전쟁, 셋째는 지도 제작 및 항해 기술이 네덜란드 문화의 중요한 일부가 된 것, 마지막으로 정치적, 해양적 주제가 예술에 적극적으로 통합된 점이다.[9]특히 네덜란드는 스페인과의 기나긴 80년 전쟁을 끝내고 새로운 세계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었다. 이 시기 해상 무역은 네덜란드 경제와 생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설립은 해양화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10] 해양화는 주로 해상 전투, 특정 선박의 모습(선박 초상화), 또는 일반적인 바다 풍경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때로는 렘브란트가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에서 보여주었듯이, 종교적인 내용을 해양화 속에 담아내는 경우도 흔했다.[10]
헨드릭 코르넬리츠 브룸은 네덜란드 내에서 해양화를 대중화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유럽 전역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11]
5. 2. 네덜란드 해양화의 특징
네덜란드 해경은 17세기 초에 인기를 얻었으며, 이는 당시 회화 양식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널리 여겨진다. 기존의 수직적 구도, 지도 제작 방식의 원근법, 종교적 주제 중심에서 벗어나, 상상력을 자극하는 깊이감, 낮은 수평선, 그리고 자연을 더욱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9] 시각 예술가 앨런 세큘라(Allan Sekula)는 이러한 변화가 네덜란드 사회의 네 가지 주요 변화, 즉 무역의 증가, 해상 전쟁의 경험, 지도 제작 및 항해 기술의 문화적 통합, 그리고 정치 및 해양 관련 모티프의 예술적 수용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9]네덜란드는 스페인과의 80년 전쟁 이후 새로운 세계 강국으로 부상하며 해상 무역이 국가 경제와 생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설립은 해경 장르의 인기를 더욱 높이는 데 기여했다.[10] 네덜란드 해양화는 주로 해상 전투, 특정 선박을 그린 초상화, 또는 일반적인 바다 풍경을 다루었다. 렘브란트(Rembrandt)가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에서 보여주었듯이, 종교적인 주제를 해경에 통합하는 경우도 흔했다.[10]
화가 헨드릭 코르넬리츠 브룸(Hendrick Cornelisz Vroom)은 네덜란드 내에서 해경 장르를 대중화시킨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영향으로 시작된 해양화 유행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걸쳐 유럽 전역과 아메리카 대륙까지 확산되었다.[11]
6. 소장 이력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여러 소장가를 거쳐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에게 소장되었다. 소장 이력에서 확인된 첫 소유자는 1644년에 그림을 구매한 타이멘 야콥스 힌로펜이다.[1] 이후 여러 네덜란드 및 영국 컬렉션을 거친 후,[23] 1898년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가 미술상 아셔 베르트하이머와 콜나기로부터 구매하여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에 소장하게 되었다.[1][23] 이 구매는 가드너가 직접 나서지 않고 미술사학자 버나드 베렌슨의 중개로 이루어졌으며,[1] 가격은 당시 6000USD였다.[1] 그림은 미술관의 '네덜란드 룸'에 전시되었다.[1][3]
6. 1. 소장가 목록
이 그림의 소장 이력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소유자는 네덜란드 포경 회사인 노르드세 콤파니의 리더였던 타이멘 야콥스 힌로펜이다.[1] 그는 1644년에 당시 《성 베드로의 배 그림》으로 알려졌던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을 구매했다.[1]이후 그림은 야크스 스펙스의 소장품 목록에도 포함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작품은 '성 베드로의 배'(Saint Peter's shipeng)를 그린 것으로 여겨졌으며, 1652년 스펙스가 사망한 후 작성된 재산 목록에 기재되었다. 1718년에는 네덜란드의 화가이자 작가인 아르놀트 호우브라켄이 미술 수집가 야코브 야콥스 힌로펜(Jacob Jacobsz Hinlopennld)이 소유한 그림으로 언급했다. 그 후 양조업자, 목재 상인, 미술 수집가였던 헤릿 브람캄프 (Gerrit Braamcamp, 1752년-1771년 소유)의 네덜란드·플란데런 미술 컬렉션에 포함되었다.[23]
다음으로 은행가 가문 출신인 얀 호프 (Jan Hope)의 컬렉션에 추가되었다. 1785년 그가 사망하자 그림을 포함한 컬렉션 일부는 아내 필리피나 바르베라 판 데르 호에벤(Philippina Barbera van der Hoevennld)에게 유증되었다. 그녀가 1790년에 사망했을 때, 그림을 포함한 유산 일부는 세 아들 사이에서 분할되지 않고 남겨졌다. 아들들의 후견인은 얀 호프의 사촌인 헨리 호프 (Henry Hope)가 맡았으며, 1794년 그림은 아직 미성년자였던 에이드리언 엘리아스 호프(Adrian Elias Hopenld)와 훗날 미술 수집가이자 호프 다이아몬드의 소유자가 되는 막내 헨리 필립 호프 (Henry Philip Hope)에게 증여되었다. 미술 수집가이기도 했던 후견인 헨리 호프는 그해 프랑스 침공 전에 그림을 영국으로 가져갔다. 이후 어느 시점에 헨리 필립 호프가 그림의 단독 소유자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디자이너이자 미술 수집가였던 형 토마스 호프 (Thomas Hope)가 더치스 스트리트의 저택에 전시한 컬렉션을 위해 그림을 대여했을 가능성도 있다.[23]

어쨌든 그림은 토마스의 아들 헨리 토마스 호프 (Henry Thomas Hope)에게 상속되었다. 헨리 토마스가 사망한 후에는 아내인 안네 아델 부인(Anne Adèle Bichatnld)에게, 1884년 부인이 사망한 후에는 딸 헨리에타 아델라(Henrietta Adelaeng)와 그녀의 남편인 제6대 뉴캐슬 공작 헨리 펠럼-클린턴 (Henry Pelham-Clinton, 6th Duke of Newcastle)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즉 제8대 뉴캐슬 공작 프랜시스 펠럼-클린턴-호프 (Francis Pelham-Clinton-Hope, 8th Duke of Newcastle)에게 상속되었다. 공작은 1891년에 82점의 컬렉션과 함께 이 그림을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에 대여했다가, 1898년 컬렉션 전체를 미술상 아셔 베르트하이머(Asher Wertheimereng)와 콜나기 (P. & D. Colnaghi & Co)에 매각했다.[23]

1898년,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의 설립자인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는 미술상 아셔 베르트하이머와 콜나기로부터 6000USD에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을 구매했다.[1] 가드너가 직접 구매한 것은 아니었고, 미술사학자이자 비평가인 버나드 베렌슨이 판매를 중개했다.[1] 베렌슨은 가드너가 1896년 티치아노의 《유로파의 강간》과 같은 작품을 구매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가드너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었으며[13][3], 가드너의 공공 컬렉션 설립 과정에도 관여했다.[3] 가드너는 이 그림을 구매한 후, 자신이 '네덜란드 룸'이라 부르는 방에 걸어두었다.[1] 이 방에는 렘브란트의 자화상과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합주》 등 다른 중요한 작품들도 함께 소장되어 있었다.[3]
6. 2.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
1898년,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는 미술상인 아셔 워트하이머와 콜나기 앤 컴퍼니로부터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을 구매했다. 이들은 그 해 초 헨리 프랜시스 펠럼-클린턴-호프로부터 이 그림을 입수했다.[1][23] 구매 가격은 당시 6000USD였다.[1]이 구매는 가드너가 직접 나서지 않고, 미술사학자이자 비평가인 버나드 베렌슨이 중개하여 이루어졌다.[1] 가드너와 베렌슨은 1896년 티치아노의 《유로파의 강간》 구매를 계기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었으며, 베렌슨은 가드너 미술관의 공공 컬렉션 설립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3][3] 두 사람은 미술관 건립과 컬렉션 구성에 대해 자주 편지를 주고받으며 논의했다.[3]
그림을 구매한 후, 가드너는 자신이 설립한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의 '네덜란드 룸'(Dutch Roomeng)에 이 작품을 걸었다.[1] 이 방에는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외에도 렘브란트의 자화상,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합주》 등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주요 작품들이 함께 전시되었다.[3]
7. 도난 사건
1990년 3월 18일,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에서 발생한 대규모 미술품 도난 사건으로 인해 도난당한 13점[5]의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사건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미술품 절도 사건으로 기록되었으며,[22]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다.[5][14][22][28]
7. 1. 도난 사건 개요
1990년 3월 18일 아침, 경찰관으로 위장한 두 명의 도둑이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에 침입하여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을 포함한 13점의 작품을 훔쳐 갔다.[5][22] 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술품 도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 강도 사건은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이다.[5][14][22][28]도난 과정에서 캔버스는 칼날로 거칠게 잘려 스트레처에서 떼어졌으며, 이후 굴려졌을 가능성이 높아 페인트가 손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3월 18일, 연방수사국(FBI)은 범인이 누구인지 알고 있다고 발표했다.[15][16][29][30] 그러나 현재까지 체포된 사람은 없으며, 도난당한 13점의 예술 작품 모두 행방불명 상태이다. 수사는 계속 진행 중이다.[17]
7. 2. 수사 진행 상황
1990년 3월 18일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에서 발생한 도난 사건 이후,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을 포함한 작품들의 행방은 여전히 묘연하다.[5][14][22][28] 이 사건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술품 도난 사건으로 기록되었으며,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5]2013년 3월 18일, FBI는 범인들의 신원을 파악했다고 발표했지만,[15][16][29][30] 현재까지 체포된 사람은 없으며, 도난당한 13점의 예술 작품 모두 회수되지 못했다.[17] FBI는 수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사건 발생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작품의 행방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17]
8. 대중문화 속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렘브란트의 걸작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1990년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 도난 사건 이후 그 행방이 묘연함에도 불구하고, 그 명성과 극적인 사연으로 인해 다양한 대중문화 속에서 꾸준히 언급되고 등장한다. 책 표지나 음반 커버 아트로 사용되는가 하면,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도난당한 미술품이라는 점을 활용하여 줄거리의 중요한 요소나 상징적인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범죄나 스릴러 장르에서 사건의 중심 소재나 인물의 욕망을 드러내는 장치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8. 1. 등장 작품 목록
- 피터 L. 번스타인의 1996년 저서 ''신과의 싸움: 위험의 놀라운 이야기'' 표지에 사용되었다.
- 텐스 애비뉴 노스의 2012년 세 번째 정규 앨범 ''더 스트러글''(The Struggle영어)의 커버 아트로 사용되었다.
- 2013년 방영된 드라마 ''블랙리스트''(The Blacklist영어) 시즌 1, 에피소드 6 "지나 자네토코스 (152번)" 편에서 레이먼드 레딩턴이 이 그림을 소유하고 판매하려는 모습이 나온다. 2017년 시즌 5, 에피소드 2 "그레이슨 블레이즈 (37번)" 편에서는 위조품이 등장한다.
- 대니 보일 감독의 2013년 심리 스릴러 영화 ''트랜스''(Trance영어)에서 여러 차례 등장한다. 경매인(제임스 맥어보이 분)이 훔친 그림의 행방을 기억하기 위해 최면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그림이 직접 언급되고 묘사되며, 그림 속 렘브란트 자신의 모습이 강조되기도 한다.
- 2019년 공개된 드라마 ''스키니 피트''(Sneaky Pete영어) 시즌 3의 여러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 마블 드라마 ''아이언 피스트''(Iron Fist영어) 시즌 1, 에피소드 13에서 해롤드의 펜트하우스 벽에 걸려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 2019년, 예술가 조반니 데쿤토는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박물관 도난 사건으로 사라진 13점의 작품을 재해석하여 그렸는데, 이 그림도 포함되었다. 이 재해석 작품들은 2019년 3월 1일부터 17일까지 일반에 공개되었다.
- 드라마 ''코브라 카이''(Cobra Kai영어) 시즌 5 마지막 회에서 악당 캐릭터인 테리 실버의 거실에 걸려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에피소드 마지막에는 마이크 반스가 자신의 가구점을 잃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이 그림을 훔쳐간다.
- AMC 드라마 ''뱀파이어와의 인터뷰''(Interview with the Vampire영어) 시즌 1, 에피소드 2에서 루이 드 퐁 뒤 락의 두바이 아파트 식당 벽에 걸려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 드라마 ''레버리지: 리뎀션''(Leverage: Redemption영어) 시즌 1, 에피소드 1에서 악당인 미술품 수집가를 유인하기 위해 위조품이 제작된다. 레버리지 팀은 그가 소장한 모든 미술품이 사기임을 폭로하려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hrist in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1633
http://www.gardnermu[...]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2013-05-21
[2]
웹사이트
Ripped from the Walls (and the Headlines)
http://www.smithsoni[...]
2005-07
[3]
서적
The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A Companion Guide and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4]
논문
Observations on Rembrandt's "Christ in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http://dx.doi.org/10[...]
1985
[5]
논문
F. Grijzenhout, H. van Veen, De Gouden Eeuw in perspectief. Het beeld van de Nederlandse zeventiende-eeuwse schilderkunst in later tijd; D. Freedberg, J. de Vries, Art in history, history in art. Studies in seventeenth-century Dutch culture
1994-01-01
[6]
서적
Human Vision and Electronic Imaging XV
SPIE
2010-02-04
[7]
문서
G. Unverfehrt, ''Christus und die Jünger im Seesturm''
https://sammlungen.u[...]
[8]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Matthew 14:22-33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3-04-19
[9]
논문
The ''Chorein'' of the Pirate: On the Origin of the Dutch Seascape
http://dx.doi.org/10[...]
2014
[10]
웹사이트
Rough Seas -- Shipwrecks of the Romantic Era: The Evolution of the Dutch Tradition
https://www.academia[...]
2012
[11]
논문
Visions of the Sea, Hendrick C. Vroom and the Origins of Dutch Marine Painting.
http://dx.doi.org/10[...]
1985
[12]
웹사이트
Hinlopenstretet's history - The Cruise Handbook for Svalbard
https://cruise-handb[...]
2023-05-01
[13]
논문
Bernard Berenson. The Making of a Connoisseur
http://dx.doi.org/10[...]
1981
[14]
뉴스
Vanishing Point: As the World's Biggest Unsolved Art Theft Fades From View, a Fresh Look
https://www.wsj.com/[...]
2009-02-20
[15]
뉴스
FBI says it knows who pulled off unsolved 1990 Boston art heist
https://www.latimes.[...]
2013-03-18
[16]
웹사이트
The Gardner Museum Theft, Reward Offered for Return of Artwork
https://www.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8-01-30
[17]
웹사이트
Who Stole Rembrandt's Painting 'Storm on the Sea of Galilee'?
https://www.thecolle[...]
2023-04-01
[18]
웹사이트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painted by Rembrandt - Pop Culture Cross-References and Connections on @POPisms
https://www.popisms.[...]
2023-04-20
[19]
논문
Boston Artist Recreates Stolen Art From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Giovanni DeCunto's '13' includes interpretations of masterpieces by Degas, Rembrandt, Manet stolen in infamous 1990 heist
https://www.proquest[...]
2019
[20]
문서
마リエット・ヴェルテルマン 2005年、110-111頁。
[21]
웹사이트
Christ in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1633
https://www.gardnerm[...]
イザベラ・スチュワート・ガードナー美術館公式サイト
2023-03-18
[22]
웹사이트
"'Ripped from the Walls (and the Headlines)'' Fifteen years after the greatest art theft in modern history the mystery may be unraveling"
https://archive.toda[...]
Smithsonian
2023-03-20
[23]
웹사이트
Christ in the storm on the Sea of Galilee, 1633 gedateerd
https://rkd.nl/en/ex[...]
オランダ美術史研究所(RKD)公式サイト
2023-03-17
[24]
웹사이트
マルコによる福音書(口語訳)4章35節以下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3-03-18
[25]
웹사이트
マタイによる福音書(口語訳)8章23節-27節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3-03-18
[26]
웹사이트
ルカによる福音書(口語訳)8章22節-25節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3-03-18
[27]
문서
G. Unverfehrt, ''Christus und die Jünger im Seesturm''
https://sammlungen.u[...]
[28]
웹사이트
"'Vanishing Point'', As the World's Biggest Unsolved Art Theft Fades From View, a Fresh Look"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23-03-20
[29]
뉴스
FBI says it knows who pulled off unsolved 1990 Boston art heist
https://www.latimes.[...]
2013-03-18
[30]
웹사이트
The Gardner Museum Theft, Reward Offered for Return of Artwork
https://www.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8-01-30
[31]
웹사이트
Portrait of Philips Lucasz, 1635 gedateerd
https://rkd.nl/en/ex[...]
オランダ美術史研究所(RKD)公式サイト
2023-03-18
[32]
웹사이트
Portrait of Petronella Buys (....-1670), 1635
https://rkd.nl/en/ex[...]
オランダ美術史研究所(RKD)公式サイト
2023-03-18
[33]
문서
부산일보-바다와명화
http://news20.busan.[...]
[34]
문서
http://www.nyculturebeat.com/index.php?document_srl=3537086&mid=NYCBGallery
http://www.nycul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