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사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사왕은 금와왕의 막내 아들로, 고구려 대무신왕에 의해 대소왕이 죽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1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피난하여 압록곡에서 해두국왕을 죽이고 백성을 빼앗아 기원전 22년 음력 4월 갈사수 가에 도읍을 정하고 갈사국을 건국했다. 그의 아들과 손자인 도두왕이 갈사부여의 왕위를 이었으며, 손녀는 대무신왕의 차비가 되어 호동을 낳았다. 68년 도두왕은 갈사국을 고구려에 바치고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의 왕 - 동명왕
동명왕은 고리국에서 이주하여 부여를 건국한 시조로, 그의 신화적 출생 설화는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설화와 유사하여 부여와 고구려의 민족적 연관성을 보여주며 두 나라의 건국 기원과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 부여의 왕 - 금와왕
금와왕은 부여의 왕으로,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버지이며, 곤연에서 발견된 금빛 개구리 모양의 아이였고, 주몽을 보호하다가 대소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1세기 사망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세기 사망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갈사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군주 정보 | |
이름 | 갈사왕 |
원래 이름 | 曷思王 |
본명 | 용 |
다른 이름 | 미상 |
대관식 | 갈사왕(曷思王) |
별명 | 미상 |
출생일 | 기원전 38년 |
출생지 | 동부여(東夫餘) |
사망일 | 서기 27년 |
사망지 | 갈사국(曷思國) |
재위 | 기원전 22년 음력 4월~ ? |
매장지 | 미상 |
왕비 | 미상 |
자녀 | 미상 |
부왕 | 금와왕(金蛙王) |
모후 | 미상 |
전임자 | (신설) |
후임자 | 해씨(解氏) 도두왕(都頭王) |
묘호 | 미상 |
시호 | 갈사왕(曷思王) |
가문 | 미상 |
왕조 | 갈사국(曷思國) |
연호 | 미상 |
목록 | 갈사부여의 초대 국왕 |
2. 생애
갈사왕은 금와왕의 막내 아들로 생몰년은 알 수 없다. 고구려의 대무신왕에 의해 대소왕이 죽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대소왕의 동생이었던 갈사왕은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예감하고 1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피난하였다. 압록곡(鴨淥谷)에 이르렀을 때 마침 해두국왕(海頭國王)이 사냥 나온 것을 발견하여 그를 죽이고 백성을 빼앗아 22년 음력 4월 갈사수(曷思水) 가에 도읍을 정하였다. 이 나라를 갈사국 또는 갈사부여라 부른다.
갈사왕의 아들(성명 미상)과 손자 도두(都頭)가 갈사부여의 왕을 지냈고, 손녀는 대무신왕의 차비(次妃)로 들어가 호동을 낳았다.
2. 1. 건국 이전
갈사왕은 금와왕의 막내 아들로 생몰년은 알 수 없다. 고구려의 대무신왕에 의해 대소왕이 죽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대소왕의 동생이었던 갈사왕은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예감하고 1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피난하였다. 압록곡(鴨淥谷)에 이르렀을 때 마침 해두국왕(海頭國王)이 사냥 나온 것을 발견하여 그를 죽이고 백성을 빼앗았다.2. 2. 갈사국 건국
금와왕의 막내 아들인 갈사왕은 기원전 22년 고구려의 대무신왕에 의해 대소왕이 죽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예감하고 1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피난하였다.[1] 압록곡(鴨淥谷)에 이르렀을 때 마침 해두국왕(海頭國王)이 사냥 나온 것을 발견하여 그를 죽이고 백성을 빼앗았다.[1] 22년 음력 4월 갈사수(曷思水) 가에 도읍을 정하고 을 건국하였다.[1]갈사왕의 아들(성명 미상)과 손자 도두(都頭)가 갈사부여의 왕을 지냈고, 손녀는 대무신왕의 차비(次妃)로 들어가 호동을 낳았다.[1]
2. 3. 후손과 멸망
금와왕의 막내 아들인 갈사왕은 고구려의 대무신왕에 의해 대소왕이 죽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예감하고 100여 명의 부하를 이끌고 피난하였다.[1] 압록곡에 이르렀을 때 해두국왕을 죽이고 백성을 빼앗아 22년 음력 4월 갈사수 가에 도읍을 정하여 갈사국(갈사부여)을 건국하였다.[1]갈사왕의 아들(성명 미상)과 손자 도두왕이 갈사부여의 왕을 지냈고, 손녀는 대무신왕의 차비(次妃)로 들어가 호동을 낳았다.[1] 68년, 갈사왕의 손자 도두왕은 나라 전체를 고구려에 바치고 항복하였고, 도두왕은 고구려에서 우대라는 벼슬을 받았다.[1]
유리명왕의 세 번째 아들인 대무신왕의 왕비인 차비는 갈사왕의 손녀이다.[1] 재사의 아내인 부여태후는 고구려로 망명한 부여 사람인데, 갈사왕의 또 다른 손녀일 가능성이 있다.[1]
3. 가족 관계
갈사왕의 부왕은 금와왕이다. 형은 대소왕이다.
아들은 해씨이며, 손자는 도두왕이다. 손녀는 대무신왕의 왕후인 해씨 부인과 차비가 있다. 증손은 호동이다.
4. 기타
4. 1. 다른 기록
4. 2. 대중 매체
참조
[1]
뉴스
고구려의 여성 혁명가 부여태후
http://monthly.chosu[...]
2019-12
[2]
서적
韓国時代劇秘話 王朝を揺るがす男と女の物語
학연플러스
201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