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루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이다. 33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다루왕 사후 77년에 즉위했다. 85년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했고, 105년 신라의 반격에 평화 조약을 맺었다. 125년 말갈의 침입 때는 신라의 지원을 받았다. 기루왕 재위 기간 동안 천문 이변, 지진, 가뭄, 태풍 등 자연재해가 빈번했으며, 개루왕과의 관계에 대한 설이 존재한다. 온조왕의 손자이며, 다루왕의 아들이다. 개루왕과 부여질을 아들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8년 사망 - 유현 (제남희왕)
유현은 후한 시대의 제남간왕 유조의 아들이자 제남효왕 유향의 동생으로, 형의 뒤를 이어 제남왕이 되었으나 곧 사망하여 그의 아들 유광이 작위를 계승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은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기원전 69년 알에서 태어나 13세에 왕으로 추대되어 서라벌을 다스리다가 승천했으며, 현대 박씨의 시조로 여겨진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기루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기루왕 |
한자 이름 | 己婁王 |
로마자 표기 | Giru-wang |
일본어 표기 | 히라가나: きるおう 카타카나: キルワン |
기타 표기 | 라틴어: Giru-wang |
휘 | 부여기루(扶餘己婁) |
다른 이름 | 없음 |
작위 | 어라하(於羅瑕), 건길지(鞬吉支) |
직업 | 백제 어라하(百濟 於羅瑕) |
별칭 | 없음 |
출생일 | 33년 1월? |
출생지 | 백제 위례성(百濟 慰禮城) |
사망일 | 128년 11월 (음력) |
사망지 | 백제 위례성(百濟 慰禮城) |
사망 원인 | 미상 |
재위 기간 | 33년 1월 ~ 77년 9월 (왕자) 77년 ~ 128년 (국왕) |
매장지 | 미상(未詳) |
배우자 | 기루왕비(己婁王妃) |
자녀 | 개루왕(蓋婁王) 부여질(扶餘質) |
친인척 | 미상(未詳) |
부왕 | 다루왕(多婁王) |
모후 | 다루왕비(多婁王妃) |
형제자매 | 미상 |
전임자 | 다루왕(多婁王) |
후임자 | 개루왕(蓋婁王) |
칭호 | 어라하(於羅瑕), 건길지(鞬吉支) |
묘호 | 미상(未詳) |
시호 | 없음 |
법명 | 없음 |
존호 | 기루왕 어라하(己婁王 於羅瑕) |
묘소 | 미상(未詳) |
능묘 | 미상(未詳) |
거주지 | 백제(百濟) |
국적 | 백제(百濟) |
성별 | 남성 |
가문 | 부여(扶餘) |
연호 | 미상(未詳) |
왕조 | 백제(百濟) |
종교 | 미상(未詳) |
소속 | 백제(百濟) |
호칭 | 어라하(於羅瑕), 건길지(鞬吉支) |
목록 | 백제의 3대 국왕 |
백제 군주 목록 | |
백제 군주 | 온조왕(Onjo) 18 BCE–28 CE 다루왕(Daru) 28–77 기루왕(Giru) 77–128 개루왕(Gaeru) 128–166 초고왕(Chogo) 166–214 구수왕(Gusu) 214–234 사반왕(Saban) 234 고이왕(Goi) 234–286 책계왕(Chaekgye) 286–298 분서왕(Bunseo) 298–304 비류왕(Biryu) 304–344 계왕(Gye) 344–346 근초고왕(Geunchogo) 346–375 근구수왕(Geungusu) 375–384 침류왕(Chimnyu) 384–385 진사왕(Jinsa) 385–392 아신왕(Asin) 392–405 전지왕(Jeonji) 405–420 구이신왕(Guisin) 420–427 비유왕(Biyu) 427–455 개로왕(Gaero) 455–475 문주왕(Munju) 475–477 삼근왕(Samgeun) 477–479 동성왕(Dongseong) 479–501 무령왕(Muryeong) 501–523 성왕(Seong) 523–554 위덕왕(Wideok) 554–598 혜왕(Hye) 598–599 법왕(Beop) 599–600 무왕(Mu) 600–641 의자왕(Uija) 641–660 |
2. 생애
33년 다루왕에 의해 태자로 책봉되었다. 77년 다루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85년 신라의 변방을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였다. 105년 신라가 대대적으로 반격해 오자 평화 조약을 맺고[8] 이를 유지하였다. 125년 말갈이 침입하자 신라가 구원병을 보내주었다.
고이왕이 개루왕의 아들이 아니라는 설도 있어, 부여질 역시 기루왕의 아들인지 확실하지 않다.
초기에는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이후 신라와의 관계를 105년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하고, 113년에는 선물을 가지고 신라를 방문하는 등 우호적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양국 모두 북쪽 변경에 위치한 말갈에 대항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125년에는 말갈이 신라를 침공하자, 신라의 구원 요청에 따라 5명의 장군을 파견하여 말갈 군대를 물리쳤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백제본기와 신라본기 모두에 나타난다.
128년 11월, 52년의 재위를 마치고 사망하였다. 『삼국유사』는 기루왕의 통치 기간을 55년(그 중 1년은 계산 방식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삼국사기』보다 2년 더 길다.
2. 1. 개루왕과의 관계 및 반란 가능성
《삼국사기》 기루왕에 대한 기록에는 천문이변, 지진, 가뭄, 태풍, 기상이변 등의 재앙에 대한 기록이 전부이다. 흉년, 재난, 흉조가 많은 것으로 보아 기루왕 시기의 백제는 시련기였다.[8]개루왕은 서자라는 설이 있으며, 그 이유는 기루왕 21년(97년)에 두 마리 용이 한강에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반란을 은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103년에 왕이 한산에서 사냥해서 신록을 잡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잡은 신록이 개루왕일 것이라는 설이 있고, 개루왕이 이 반란을 진압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나이 차이가 매우 큰 것 역시 이를 방증한다.
3. 가계
항목 | 내용 |
---|---|
조부 | 온조 (?~28, 재위: 18~28) |
조모 | 미상 |
부왕 | 다루 (?~77, 재위: 28~77) |
모후 | 미상 |
국왕 | 기루 (?~128, 재위: 77~128) |
왕비 | 미상 |
장남 | 개루 (?~166, 재위: 128~166) |
차남 | 부여질 (?~?)[5] |
4. 자연재해 기록
《삼국사기》 기루왕에 대한 기록에는 천문이변, 지진, 가뭄, 태풍, 기상이변 등의 재앙에 대한 기록이 전부이다. 흉년, 재난, 흉조가 많은 것으로 보아 기루왕 시기의 백제는 시련기였다.[8] 『삼국사기』에는 지진, 가뭄, 태풍 등 여러 자연재해가 기록되어 있는데,[3] 이는 왕국에 대한 불길한 징조로 여겨진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자연재해
연도 | 사건 |
---|---|
87년 | 가을, 8월 말일. 일식이 있었다. |
89년 | 여름, 6월. 지진이 발생하여 민가가 무너지고 가라앉았다.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
90년 | 봄, 3월. 큰 가뭄이 들어 보리가 자라지 않았다. 여름, 6월. 나무를 뿌리째 뽑는 강풍이 불었다. |
92년 | 여름, 6월 초하루. 일식이 있었다. |
93년 | 가을, 8월. 호경산 봉우리에서 다섯 개의 바위가 동시에 떨어졌다. |
99년 | 가을, 8월. 서리가 내려 콩이 죽었다. 겨울, 10월. 비와 우박이 내렸다. |
107년 | 겨울. 비가 오지 않았다. |
108년 | 봄과 여름. 가뭄이 들어 사람들이 인육을 먹는 지경에 이르렀다. |
111년 | 봄, 3월. 지진이 발생했다. 겨울, 10월. 또 다른 진동이 있었다. |
116년 | 여름, 4월. 두루미가 수도 성문 위에 둥지를 틀었다. 6월. 10일 동안 많은 비가 내렸다. 한강이 범람하여 민가가 파괴되었다. 가을, 7월. 왕은 관리들에게 수해를 입은 논밭을 살피도록 명령했다. |
참조
[1]
서적
백제의 중앙과 지방 (Central area and regions of Baekje)
Juryuseong
[2]
서적
삼국사기
[3]
간행물
국회보 (Journal of National Assembly)
National Assembly of Korea
[4]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5]
웹사이트
기루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9-12-03
[6]
웹인용 # 생애 문단 참조는 웹인용으로 분류하기 어려우므로 임의로 웹인용으로 설정합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생애 문단 참조
[7]
서적 # 삼국사기 내용이므로 서적으로 분류합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고이왕 치세 때 숙부인 질을 우보에 임명했다는 기록
[8]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조 26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