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운동 신경세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방추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하위 운동 신경세포의 한 종류이다.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함께 운동 신경세포의 일종으로, 중추신경계의 신호에 따라 근육 방추 내 근육 섬유를 수축시켜 근육의 길이 변화에 대한 감각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와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로 나뉘며, 근육의 긴장도 유지 및 미세 운동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서 그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운동계 - 운동 단위
운동 단위는 하나의 알파 운동 뉴런과 그 뉴런이 지배하는 모든 근육 섬유의 집합으로, 중추 신경계는 운동 단위 동원을 통해 근육의 힘을 조절하며, 근전도 검사로 근육 활성화의 신경 전략을 측정할 수 있다. - 몸운동계 - 베타 운동 신경세포
베타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방추의 핵주머니 섬유와 핵사슬 섬유를 지배하고 추외근 섬유로 신경 가지를 뻗는 운동 신경세포의 일종으로,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날신경세포 - 아래운동신경세포
아래운동신경세포는 알파, 베타, 감마 운동 신경세포로 나뉘며 위운동신경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아 근육 수축을 유발하는 신경세포로, 손상 시 근위축증, 근력 감소, 반사 저하를 일으키고 벨 마비, 숨뇌마비, 소아마비,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등의 질병과 관련된다. - 날신경세포 - 위운동신경세포
상위 운동 신경 세포는 하위 운동 신경 세포와의 관계로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겉질척수로 등 다양한 신경 경로를 통해 사지, 얼굴, 시각 반사, 팔, 균형, 불수의 운동을 조절하고, 뇌졸중, 다발 경화증, 척수 손상 등으로 인해 병변이 발생하면 근력 약화, 경직, 병적 반사 등을 유발하며, 재활 치료와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한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 | |
---|---|
개요 | |
유형 | 척수 하위 운동 신경 세포 |
기능 | 근육 수축 |
감마 운동 뉴런 | |
![]() |
2. 근육 운동 신경계의 배경
근육 운동 신경계는 뇌와 척수에서 근육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움직임을 조절하는 신경 경로이다. 이 시스템은 상위 운동 신경세포와 하위 운동 신경세포로 구성된다. 특히 하위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수축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2. 1. 근육 방추
근육 방추는 근육 내에 위치한 감각 수용체로, 신체의 공간적 위치(고유수용성 감각)와 신체 사지가 공간에 대해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정보(속도)를 척수와 뇌에 전달한다. 근육 방추는 신전에 반응하고 근육 길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기계 수용체이다. 근육 길이 변화 감지의 민감도는 방추 운동 신경세포, 즉 감마 운동 신경세포와 베타 운동 신경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근육 방추는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섬유, 즉 역동적 핵 주머니 섬유 (bag1 섬유), 정적 핵 주머니 섬유 (bag2 섬유) 및 핵 연쇄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2. 2. 하위 운동 신경세포의 종류
근육 방추는 감각 신경 세포와 운동 신경 세포의 지배를 받아 고유 수용 감각 정보를 제공하고, 운동 신경 세포의 신호를 통해 적절한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근육 수축에 관여하는 하위 운동 신경세포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바로 알파 운동 신경 세포, 감마 운동 신경 세포, 그리고 베타 운동 신경 세포이다.- 알파 운동 신경 세포: 가장 수가 많고 크기가 큰 유형이다. 근육 수축의 실제 힘을 내는 데 사용되므로, 근육 방추 바깥에 있는 방추외 근섬유를 지배한다.[6]
- 감마 운동 신경 세포: 근육 방추 안에 있는 방추내 근섬유만을 지배하며, 근육 방추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베타 운동 신경 세포: 수가 매우 적으며, 방추내 근섬유와 방추외 근섬유 모두를 지배한다. 베타 운동 신경 세포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6]
3. 알파-감마 공동 활성화
중추 신경계가 알파 운동 신경 세포에 신호를 보내 발화하도록 하면, 감마 운동 신경 세포에도 동일한 신호가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알파-감마 공동 활성화라고 한다.[1] 근방추 세포의 세포핵은 방추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방추 바깥 근육 섬유(방추바깥근육섬유)와 달리 방추 안 근육 섬유(방추속근육섬유)의 근원섬유 수축 장치는 방추의 양쪽 끝에만 위치한다.[1] 감마 운동 신경 세포에 의한 방추의 원심성 자극은 이 근원섬유를 수축시켜 방추의 중앙 부위를 팽팽하게 유지하는데, 이는 근방추가 근육의 길이 변화에 대한 민감성을 유지하게 해준다.[1]
만약 감마 운동 신경 세포가 없다면, 근육이 수축함에 따라 근방추는 매우 느슨해질 것이다. 이렇게 되면 근방추는 늘어나는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된다.[1] 그러나 알파-감마 공동 활성화가 일어나 알파 및 감마 운동 신경 세포가 모두 발화하면, 근방추 내의 근육 섬유가 방추 바깥 근육의 수축과 평행하게 당겨져 근육 운동을 유발한다.[1] 알파 운동 신경 세포와 동기화되어 감마 운동 신경 세포가 발화하면, 감마 운동 신경 세포가 지배하는 방추속근육섬유의 양 끝부분이 수축하여 근방추를 당긴다.[1] 이 방추는 알파 운동 신경 세포와 시냅스를 이루는 Ia형 감각 섬유에 의해 지배되어 감마 루프를 완성한다.[1] 이렇게 근육 수축과 동시에 방추속근육섬유가 수축하여 방추가 팽팽하게 유지되면, 근육 길이의 미세한 변화도 쉽게 감지할 수 있다.[1]
4. 방추운동계 (Fusimotor system)
중추 신경계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fusimotor neuron)와 근육 방추로 구성된 방추운동계(fusimotor system)를 통해 근육 방추의 민감도를 조절한다.[1]
방추운동계에서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원심성 부분으로, 중추 신경계에서 근육 방추로 신호를 보내 근육 방추 내 근육 섬유의 수축을 조절한다.[1] 근육 방추는 구심성 부분으로, 근육 길이의 변화나 신체의 공간적 위치(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정보를 척수와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1]
근육이 수축할 때, 알파 운동 신경 세포가 근육 섬유를 수축시키는 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감마 운동 신경세포에도 같은 신호가 전달된다. 이를 알파-감마 공동 활성화라고 한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방추의 양 끝 부분을 수축시켜 중앙의 감각 부위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근육이 짧아지는 상황에서도 근육 방추는 길이에 대한 변화를 계속 감지할 수 있는 민감성을 유지하게 된다. 만약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활성화가 없다면, 근육 수축 시 근육 방추가 느슨해져 길이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베타 운동 신경세포는 방추 내 근육 섬유(내근 섬유)와 일반 근육 섬유(외근 섬유) 모두에 신경 신호를 전달하며, "골격방추운동 신경세포"라고도 불린다.[1]
5. 감마 바이어스 (Gamma bias)
감마 바이어스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수준을 말한다. 작은 뉴런은 큰 뉴런보다 적은 양의 흥분성 자극으로도 활동 전위에 도달하기 쉽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알파 운동 신경세포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더 큰 알파 운동 신경세포보다 쉽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발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근육이 늘어나거나 힘을 쓰지 않는 상태에서도, 알파 운동 신경세포는 거의 활동하지 않지만 일부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계속해서 활동하는 상태가 만들어진다. 근육 방추에 있는 감각 신경 종말(Ia형 및 II형 신경섬유)의 민감도는 이러한 감마 바이어스 수준, 즉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배경적으로 얼마나 활동하는지에 따라 조절된다.
6.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종류
근육 방추는 근육 내에 위치한 감각 수용체로, 근육 길이의 변화를 감지하며[8] 이 감지 과정의 민감도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와 베타 운동 신경세포에 의해 조절된다.[8]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기능과 신경 분포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static gamma motor neuroneng): 주로 근육 길이의 변화 정도에 반응하며, 근육 방추의 정적 민감도를 조절한다. 정적 핵 주머니 섬유(bag2 섬유)와 핵 연쇄 섬유에 신경을 분포시킨다.[8]
-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dynamic gamma motor neuroneng): 근육 길이의 변화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근육 방추의 동적 민감도를 조절한다. 동적 핵 주머니 섬유(bag1 섬유)에 신경을 분포시킨다.[9]
근육 방추는 이러한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조절을 받는 방추내근 섬유들, 즉 동적 핵 주머니 섬유(bag1 섬유), 정적 핵 주머니 섬유(bag2 섬유), 그리고 핵 연쇄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8] 이 두 유형의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해당 섬유들의 수축을 조절하여 고유수용성 감각 정보를 정밀하게 전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6. 1.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핵 주머니 섬유의 한 종류인 정적 핵 주머니 섬유(bag2 섬유)와 핵 연쇄 섬유에 분포한다. 이 두 섬유는 모두 방추내 근육 섬유를 구성한다. 핵 연쇄 섬유는 핵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핵 주머니 섬유는 핵이 근육 방추 중앙부에 모여 있는 형태를 띤다. 핵 연쇄 섬유와 핵 주머니 섬유의 비율은 대략 2:1이다.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길이 변화의 정도가 커질수록 신경 흥분 발사 빈도를 높이며, 신장 반사의 정적인 민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8]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길이가 갑자기 변하는 빠른 움직임보다는 자세를 유지하거나 상자를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은 느린 움직임에 주로 관여한다.6. 2.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핵 주머니 섬유의 한 종류로, 정적 핵 주머니 섬유(bag2 섬유)보다 작은 동적 핵 주머니 섬유(bag1 섬유)에 신경을 분포시킨다. 이 신경세포는 Ia 감각 뉴런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적 핵 주머니 섬유 자체가 Ia 감각 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동적 핵 주머니 섬유의 느슨함이 사라져 Ia 감각 뉴런이 발화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길이 변화의 크기 자체보다는 근육 길이의 변화율, 즉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발화 빈도를 증가시킨다. 이는 근육 방추의 동적 민감도를 조절하는 핵심 기능이다.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주로 자세 유지나 느린 움직임에 관여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동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레일 위에서 균형을 잡는 동작처럼 근육 길이가 빠르게 변해야 하는 활동이나 갑작스러운 움직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6. 3. 핵 연쇄 섬유의 영향
핵 연쇄 섬유가 1차 감각 종말에 미치는 영향은 방전을 선형적인 방식으로 약 60Hz의 주파수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 주파수를 넘어서면 방전이 불규칙해질 수 있다. 정적 핵 주머니 섬유(bag2 섬유)의 활동은 방전에서 초기에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수용체가 적응함에 따라 감소한다. Bag2 섬유는 또한 Ia 구심성 섬유의 동적 민감도를 감소시키며, 때로는 길이 민감도도 감소시킨다. 반면, 동적 핵 주머니 섬유(Bag1 섬유)의 활성화는 1차 감각 종말의 길이 민감도와 동적 민감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9]2차 감각 종말의 경우, 정적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통해 핵 연쇄 섬유의 길이와 근육 수축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2차 감각 종말을 흥분시키고 길이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Bag1 및 bag2 섬유는 2차 감각 종말로부터 거의 지배를 받지 않으며, 이 섬유들의 활성화는 2차 감각 종말의 방전에 미미한 영향을 미친다.[9]
7.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발달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초기에는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유사하게 발달한다. 이들은 발달 중인 배아의 신경관의 복부 부분인 기저판에서 유래한다. 척삭에 의해 분비되어 농도 기울기를 생성하는 소닉 헤지호그 유전자(Shh)는 발달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헤지호그 유전자 이후, 다양한 다른 분자 표지자와 전사 인자가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특수하게 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세포와 마찬가지로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태어날 때 특정 유전자 표지자를 발현한다. 근육 방추에서 유래된 GDNF 신경영양 인자 또한 출생 후 생존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10] Wnt7A는 생쥐의 배아 17.5일째에 감마 운동 신경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분비되는 신호 분자이다. 이는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구별하는 가장 초기의 분자이며, 이 두 가지 유형의 하위 운동 신경세포의 분화를 보여준다.[11]
또한 세로토닌 수용체 1d(5-ht 1d)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새로운 표지자로 결론지어졌으며, 연구자들이 다양한 유형의 하위 운동 신경세포를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세로토닌 수용체 1d가 없는 쥐는 단일 시냅스 반사(감각 및 운동 신경세포만 포함하는 반사궁)가 감소했는데, 이는 운동 신경세포의 감각 자극에 대한 반응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세로토닌 수용체가 없는 녹아웃 쥐는 평형 감지 빔 과제에서 더 나은 협응력을 보였는데, 이는 운동 중 Ia 구심성 신경 섬유에 의한 운동 신경세포 활성이 감소하면 불필요한 근육 출력 과잉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2]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또 다른 특징적인 분자 표지자는 전사 인자 Err3이다. 이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지만 알파 운동 신경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는다. 반면에 신경 DNA 결합 단백질 NeuN은 알파 운동 신경세포에서 훨씬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13] 뼈에서도 발현되는 단백질인 오스테오폰틴은 알파 운동 신경세포의 표지자이다. 이는 과학자들에게 알파 운동 신경세포에 관심이 있을 경우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한 연구에서는 오스테오폰틴이 더 큰 세포체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러한 결론을 내렸으며, 이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보다 더 큰 세포체를 가진 알파 운동 신경세포임을 나타낸다.[14]
8. 근긴장도 (Muscle tone)
근육은 이완된 상태에서도 일반적인 휴식 상태의 긴장도를 가지는데, 이를 근육 긴장도라고 한다. 근육 긴장도는 근육을 담당하는 운동 신경세포에 의해 유지되며, 자세를 유지하고 더 빠른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다. 만약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어 있다면 움직임을 시작하기 위해 더 많은 신경 신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근육의 긴장 정도는 주로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Ia 방추 감각 섬유의 휴식 상태에서의 신경 신호 발사(방전)에 따라 달라진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 역시 근육 내 근방추에 있는 근섬유(근내 방추 근섬유)에 작용하여 근긴장도 유지에 관여한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내 방추 근섬유를 조절하여 Ia 구심성 신경 경로(정보를 전달하는 신경 경로)의 휴식 상태 활동 수준을 조절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알파 신경 세포의 일정한 활동 수준을 만들어낸다.
또한, 근육 긴장도는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지속적인 신경 신호 발사(방전)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활성은 주로 뇌의 그물체 형성에서 내려오는 촉진성 신경 섬유로부터 영향을 받는다.[15] 이 과정은 근방추를 늘어나게 하고, 알파 운동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최종적으로 근육이 부분적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소뇌는 알파-감마 운동 신경 세포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뇌는 알파 운동 신경세포뿐만 아니라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통해서도 근육 긴장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9. 비정상적인 활동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활동이 비정상적일 경우 다양한 신경근육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근육의 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근육긴장저하증이나 과도하게 높아지는 근육긴장항진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감마 운동 신경세포 사이의 발화량 불균형은 근육 방추로부터 오는 감각 정보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근육이 수동적인 움직임에 강하게 저항하는 경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뇌나 척수의 하행성 경로 손상과 관련이 있다.[7]
반대로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활동이 부족하면 근육 방추의 민감도가 저하되어 근육의 길이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워진다. 이는 특히 손가락이나 눈의 정교한 움직임과 같은 미세 운동 기술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활동은 임상적인 검사나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장비를 통해 간접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는 알파와 감마 운동 신경세포를 직접 구별하지는 못하지만, 전반적인 운동 신경 활동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9. 1. 근육긴장저하증 (Hypotonia)
근육긴장저하증은 알파 운동 신경세포나 알파 운동 신경세포로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Ia 구심성 섬유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킨다.9. 2. 근육긴장항진증 (Hypertonia)
근육긴장항진증은 척수에서 끝나는 하행성 경로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이다. 이 손상은 Ia 감각 입력에 대한 알파 운동 신경세포의 전체적인 반응성을 증가시켜 근육의 긴장도를 높인다.때때로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발화량 불균형, 특히 어느 한쪽의 과도한 증가는 근육 방추 내 근육 수용체의 부정확한 정보 전달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된 환자는 수동적인 움직임에 저항하는 경직(rigidity)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하행성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신경계의 손상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관찰된다. 이러한 손상은 '감마 편향'(일부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지속적인 활동)을 비정상적으로 만들 수 있다. 감마 편향이 과도한 환자의 경우, 근육 방추 내의 감각 신경 말단이 너무 자주 신호를 보내 필요 이상으로 근육 활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렇게 감마 방추 고리(gamma loop)가 과도하게 활동하는 것 역시 경직을 유발할 수 있다.[7]
임상적으로는 환자의 팔을 움직여보는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감마 이득(gamma gain)의 비정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감마 이득은 근육 변화의 여러 요소를 조절하여 정확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이다. 만약 환자의 팔꿈치를 앞뒤로 구부리는 것이 어렵다면 감마 이득이 높은 상태, 즉 근육 긴장도가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대로 팔이 매우 쉽게 움직인다면 감마 이득이 낮은 상태일 수 있다.
9. 3. 경직 (Spasticity)
연축은 알파 운동 신경세포와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발화량 불균형, 즉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많이 발화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근육 방추 안에 있는 근육 수용체가 정보를 잘못 읽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뇌와 척수로 전달되는 감각 신경의 피드백 정보에 오류가 생기게 된다.예를 들어,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된 환자는 수동적인 움직임에 대해 근육이 강하게 저항하는 경직 상태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직은 주로 하행성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운동 신경원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이 손상은 때때로 '감마 편향'(일부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지속적으로 발화하는 상태)을 비정상적으로 만들 수 있다. 감마 편향이 과도한 환자의 경우, 근육 방추 내의 감각 신경 말단이 너무 자주 신호를 보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근육 활동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감마 방추 회로(gamma spindle loop)의 과잉 활동 역시 경직의 원인이 될 수 있다.[7]
9. 4. 미세 운동 기술의 영향
감마 운동 신경세포는 근육 방추의 긴장도를 조절하여 근육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감지하는 민감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감마 운동 신경세포가 제대로 신호를 보내지 않으면, 근육 방추의 긴장도가 떨어져 근육 움직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손가락으로 물건을 잡거나 눈을 정교하게 움직이는 것과 같은 미세 운동 기술에 큰 영향을 받는데, 이는 근육 방추가 충분히 팽팽하지 않으면 근육 길이의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근육이 필요한 만큼 정교하게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또한, 팔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는 신경 경로에 병변이 생기면 섬세한 동작을 제어하는 능력을 잃을 수도 있다.9. 5. 임상적 평가
임상 환경에서는 간단한 검사를 통해 감마 운동 신경세포 기능의 이상, 특히 감마 이득(gamma gain)의 비정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감마 이득은 근육 변화의 속도나 길이에 대한 민감도를 조절하여 상황에 맞는 정확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평가를 위해 검사자는 환자의 팔꿈치를 잡고 앞뒤로 부드럽게 구부렸다 펴보는 동작을 반복한다. 만약 팔을 움직이는 데 평소보다 큰 저항이 느껴진다면 감마 이득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경직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7] 반대로 팔이 너무 쉽게 힘없이 움직인다면 감마 이득이 낮은 상태로 볼 수 있다. 감마 운동 신경세포의 기능 저하는 특히 손가락이나 눈의 움직임과 같은 미세 운동 기술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또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운동 신경세포 축삭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전반적인 근육 활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정 신경세포가 알파 운동 신경세포인지 감마 운동 신경세포인지를 구별해주지는 못하지만, 전체적인 운동 신경세포의 활동이 정상 범주에서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뇌에서 근육으로 내려오는 신호 전달 경로(하행성 경로)의 활동이 저하된 경우, 활성화되는 운동 신경세포의 수와 크기가 줄어들어 근육이 약한 힘을 내게 된다. 이는 오실로스코프 화면에서 활동 전위 그래프의 최고점(피크)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참조
[1]
논문
Functional properties of human muscle spindles
2018-08-01
[2]
논문
The reflex activity of mammalian small-nerve fibres
1951-12-01
[3]
논문
The regularity of muscle spindle discharge in man
1979-06-01
[4]
논문
Properties of fast and slow motor units in hind limb and tail muscles of the rat
1972-04-01
[5]
논문
Axonal conduction velocity changes following muscle tenotomy or deafferentation during development in the rat
1980-01-01
[6]
논문
Anatomy of medial gastrocnemius and soleus motor nuclei in cat spinal cord
1977-05-01
[7]
논문
Spasticity: a consideration in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1985-01-01
[8]
서적
Principles of Medical Physiology
Thieme
2008-01-01
[9]
서적
Muscle Receptors and Movement: Proceedings of a Symposium held at the Sherrington School of Physiology, St Thomas's Hospital Medical School, London, on July 8th and 9th, 1980
Palgrave Macmillan UK
1981-01-01
[10]
논문
Gamma motor neurons express distinct genetic markers at birth and require muscle spindle-derived GDNF for postnatal survival
2009-12-01
[11]
논문
Wnt7A identifies embryonic γ-motor neurons and reveals early postnatal dependence of γ-motor neurons on a muscle spindle-derived signal
2012-06-01
[12]
논문
Sensorimotor function is modulated by the serotonin receptor 1d, a novel marker for gamma motor neurons
2012-03-01
[13]
논문
Gamma and alpha motor neurons distinguished by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 Err3
2009-08-01
[14]
논문
Osteopontin is an alpha motor neuron marker in the mouse spinal cord
2012-04-01
[15]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Reed Elsevier
2006-01-01
[16]
저널
Functional properties of human muscle spindles.
2018-08-01
[17]
간행물
"The reflex activity of mammalian small-nerve fibres."
1951-01-01
[18]
간행물
"The regularity of muscle spindle discharge in man."
1979-01-01
[19]
간행물
Properties of fast and slow motor units in hind limb and tail muscles of the rat.
1972-01-01
[20]
간행물
Axonal conduction velocity changes following muscle tenotomy or deafferentation during development in the rat.
198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