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탄사는 기쁨, 놀람, 의지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품사이다. 감정, 의지, 입버릇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고대 그리스와 라틴 시대부터 감탄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했다. 감탄사는 일반적으로 감정 표현과 관련 있으며, 의지적, 정서적, 인지적 의미로 분류된다. 현대에는 주 감탄사와 부차 감탄사로 구분하며, 다른 품사와의 관계에서 입자 또는 지시어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감탄사는 언어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가지며,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에서도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탄사 - 유레카
유레카는 문제 해결이나 새로운 발견 시 기쁨을 표현하는 감탄사로, 아르키메데스의 일화로 유명하며, 발견의 기쁨을 상징하여 캘리포니아 주의 모토나 수학 정리,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용어로도 사용된다. - 감탄사 - 아멘
'아멘'은 '그러할지어다'라는 뜻의 감탄사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기도나 예배 등의 끝에 쓰이며, 히브리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언어로 퍼져 각 종교와 문화권에서 다르게 사용되고, 음악에서는 찬송가 종지형으로도 쓰인다. - 품사 -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 절, 구, 단어와 같은 언어 요소들을 연결하여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로,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상관 접속사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품사 - 조동사
조동사는 본동사의 문법 기능을 보조하여 시제, 주어-동사 일치 등을 나타내며,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완료상, 진행상, 수동태, 의문문, 부정문 등의 문법적 기능을 수행한다.
감탄사 | |
---|---|
감탄사 정보 | |
품사 | 단어, 불변화사 |
활용 여부 | 활용하지 않음 |
의미 | 화자(話者)의 놀람,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단어 |
문장 내 역할 | 독립적인 위치에서 감정이나 의지를 표현 다른 단어와 직접적인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음 |
예시 | |
감탄사 예시 | '아!', '어머!', '앗!', '야!', '여보세요!' 등이 감탄사로 사용됨 문장: "아! 깜짝이야." |
2. 역사적 분류
고대 그리스와 라틴 지식인, 모디스타이는 감탄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했다.[6] 그리스 학자들은 감탄사를 부사의 일종으로 보고 동사와의 관련성을 강조했다. 라틴 학자들은 감탄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보았고, 감정 표현과 관련된다고 했다. 13, 14세기 모디스타이는 감탄사에 대해 의견이 갈렸는데, 토마스 에르푸르트는 그리스 학자들을, 시게르 드 쿠르트라이는 라틴 학자들의 견해를 지지했다.[6]
2. 1. 고대 그리스와 라틴
고대 그리스와 라틴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모디스타이도 역사적으로 언어에서의 감탄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 기여했다.[6] 그리스인들은 감탄사가 부사의 문법적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감탄사가 부사와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동사를 수식한다고 생각했기에, 감탄사는 동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여겼다.그리스인들과 달리, 많은 라틴 학자들은 감탄사가 동사에 의존하지 않으며 감정과 추상적인 생각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들은 감탄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간주했다. 또한, 라틴 문법학자들은 작은 비단어 발화를 감탄사로 분류했다.[6]
수백 년 후, 13, 14세기의 모디스타이는 감탄사에 대한 일관성이 없는 접근 방식을 취했다. 토마스 에르푸르트와 같은 일부는 감탄사가 동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이전 그리스인들의 의견에 동의했지만, 시게르 드 쿠르트라이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감탄사가 라틴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통사적으로 자체적인 품사라고 주장했다.[6]
2. 2. 중세 시대
모디스타이는 고대 그리스와 라틴 지식인들과 함께 역사적으로 언어에서의 감탄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 기여했다.[6] 그리스인들은 감탄사가 부사의 문법적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감탄사가 부사와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동사를 수식한다고 생각했기에, 감탄사는 동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여겼다.그리스인들과 달리, 많은 라틴 학자들은 감탄사가 동사에 의존하지 않으며 감정과 추상적인 생각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들은 감탄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간주했다. 또한, 라틴 문법학자들은 작은 비단어 발화를 감탄사로 분류했다.[6]
수백 년 후, 13, 14세기의 모디스타이는 감탄사에 대한 일관성이 없는 접근 방식을 취했다. 토마스 에르푸르트와 같은 일부는 감탄사가 동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이전 그리스인들의 의견에 동의했지만, 시게르 드 쿠르트라이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감탄사가 라틴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통사적으로 자체적인 품사라고 주장했다.[6]
3. 의미와 용법
일반적인 단어 및 문장과 달리, 대부분의 감탄사는 어떤 아이디어나 개념을 나타내기보다는 감정 표현과 관련이 있다.[3] 감탄사는 의지적, 정서적, 인지적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3]
3. 1. 의지적 감탄사
'''의지적 감탄사'''는 명령 또는 지시 표현으로 기능하며, 듣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요청하거나 요구하는 감탄사이다.[3] 예를 들어 "쉿!"은 "조용히 해!"라는 뜻이고,[3] "부!"는 누군가를 놀라게 하기 위해 "부!"라고 외치는 경우와 같이 사용된다. 한국어의 '오냐'와 영어의 'sh'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3. 2. 정서적 감탄사
정서적 감탄사는 혐오감이나 공포와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혐오감을 표현하는 '윽!'[3], 공연 후 관객이나 구경꾼이 경멸을 나타내는 '부!' 또는 '부! 부끄러운 줄 알아!' 등이 있다.[3] 정서적 감탄사와 인지적 감탄사는 둘 다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약간 중복되지만, 인지적 감탄사는 무언가에 대한 지식(즉, 화자가 이전에 알고 있었거나 최근에 배운 정보)과 더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3]3. 3. 인지적 감탄사
감탄사는 의지적, 정서적, 인지적 감탄사로 분류할 수 있다.[3] 인지적 감탄사는 발화자가 알고 있는 정보와 관련된 생각을 표현한다.[3] 예를 들어 '음!'은 혼란이나 생각을 나타낸다.[3]정서적 감탄사와 인지적 감탄사는 어느 정도 중복되지만, 둘 다 감정을 표현하므로 인지적 감탄사는 화자가 이전에 알았거나 최근에 배운 정보와 더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3]
4. 현대적 분류
감탄사는 다른 단어 범주와의 관계나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감탄사와 욕설은 주로 사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응답 입자와 머뭇거림 표시는 주로 사회적 상호 작용의 흐름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6]
4. 1. 주 감탄사와 부차 감탄사
감탄사는 다른 단어 범주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주 감탄사와 부차 감탄사로 나눌 수 있다. 주 감탄사는 ''어머'', ''아야!'', ''응?''처럼 감탄사 자체로 쓰이는 단어들이다.[4][5][6] 반면 부차 감탄사는 ''젠장!'', ''빌어먹을!''과 같이 다른 품사의 단어가 감탄사로 사용되는 경우이다.[6]주 감탄사는 보통 ''오!'', ''와!''처럼 한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부차 감탄사는 ''안녕!'' (''무슨 일 있어?'', ''실례합니다!'', ''아 이런!'', ''맙소사!''처럼) 여러 단어로 구성된 감탄사 구절, ''도와줘!''와 같은 단일 단어 경고, ''세상에!''와 같은 욕설이나 금기어, ''제길!''처럼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6]
주 감탄사든 부차 감탄사든 모든 감탄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아야!''나 ''빌어먹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접속사 ''the''는 영어에서 ''the!''처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6]
4. 2. 감탄사와 다른 품사
감탄사는 다른 단어 범주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 감탄사'''는 원래부터 감탄사인 단어들이다. (예: ''어머'', ''아야!'', ''응?'') '''부차 감탄사'''는 다른 품사의 단어가 감탄사로 사용되는 경우다. (예: ''젠장!'', ''빌어먹을!'')[4][5][6] 주 감탄사는 보통 ''오!'', ''와!''처럼 하나의 단어이지만, 부차 감탄사는 ''안녕!'', ''무슨 일 있어?'', ''실례합니다!'', ''아 이런!'', ''맙소사!''처럼 여러 단어로 된 감탄사 구절을 이룰 수도 있고, ''도와줘!'' 같은 경고나, ''세상에!'' 같은 욕설, ''제길!''처럼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일 수도 있다.[6] 주 감탄사, 부차 감탄사 모두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아야!''나 ''빌어먹을!''은 단독으로 발화될 수 있지만, 접속사는 불가능하다.[6]감탄사는 기능에 따라서도 나눌 수 있다. 감탄사와 욕설은 주로 개인적인 감정 표현에, 응답 입자와 머뭇거림 표시는 사회적 상호 작용 관리에 중점을 둔다.[6]
감탄사는 부사, 의성어 등을 포함하는 입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어들은 자체로 나타날 수 있고 굴절을 겪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감탄사는 사건에 대한 '반응'이고 의성어는 사건의 '모방'이라는 차이점이 있다.[7]
감탄사는 "go" 동사 뒤에 나타날 때 부사와 혼동될 수 있다. (예: "그는 '아야!' 하고 갔다"). 하지만, 이때 "go" 동사는 어딘가로 가는 행위를 묘사하지 않는다. 발화의 주어가 해당 항목을 발화하는 것으로 이해되면(예에서 "아야!"), 부사가 될 수 없다.[7]
일상어는 대상과 발신자 간의 이해된 사회적 의사 소통 패턴에 의존하는 반면, 감탄사는 전략적 발화라는 점에서 다르다.[7] 또한 일상어는 여러 단어로 표현되지만, 감탄사는 단일 발화인 경향이 있다.[6]
'입자'라는 용어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할 때, 입자는 독립적인 발화가 될 수 없고 발화 구문론의 일부라는 점에서 감탄사와 구별된다. 감탄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항상 일시 중지 다음에 오며, 주변 발화의 문법과 구문론에서 분리된다.[6]
5. 지시어로서의 감탄사
감탄사는 맥락에 의해 제한되며, 이는 감탄사의 해석이 주로 발화 시점과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학에서 감탄사는 지시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8] 그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만(예: "와!" = 놀람), 상황과 관련된 참조 요소도 있다. 예를 들어, "와!"라는 감탄사의 사용은 발화 시점에 화자에게 놀라움을 유발한 무언가와 화자 사이의 관계를 반드시 참조한다.[8] 맥락이 없다면 청자는 표현의 지시 대상(즉, 놀라움의 근원)을 알 수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야!"라는 감탄사는 일반적으로 고통을 표현하지만, 청자가 표현의 지시 대상(즉, 고통의 원인)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맥락적 정보가 필요하다.
표현적 감탄사에서 지시적 또는 지표적 요소를 종종 볼 수 있지만, 참조의 예시는 명령형 예시의 사용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흠", "쉿!"과 같은 의지적 감탄사는 화자가 청자에게 무언가를 요청하거나 요구하기 때문에 명령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지시 대명사 "너"와 유사하게, 이러한 표현의 지시 대상은 발화의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8]
6. 다양한 언어의 감탄사
감탄사는 문화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감탄사 "gee"와 "wow"는 폴란드어에 직접 대응어가 없으며, 폴란드어 'fu'(혐오 감탄사)에 가장 가까운 영어 표현은 'Yuck!'이다.[9] 언어별로 저주 표현도 매우 다양하다.[10]
반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돕는 감탄사는 여러 언어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했을 때 사용하는 'Huh?'는 전 세계 31개 언어에서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며, 이는 이 표현이 보편적인 단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h!'(이제 알겠다는 의미)와 'Mm/m-hm'(계속 말하라는 의미)과 같은 감탄사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11]
또한, 일부 언어의 감탄사는 일반적인 어휘에서 사용되지 않는 독특한 소리나 음절을 포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brr', 'shh!'처럼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감탄사가 있으며, 거의 모든 언어에서 단어가 적어도 하나의 모음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특이한 경우이다. 'tut-tut', 'ahem'처럼 일반 단어처럼 표기되지만 실제 발음은 클릭음이나 목청을 가다듬는 소리를 포함하는 감탄사도 있다.[12]
6. 1. 한국어 감탄사
감정 감탄사는 기쁨, 놀람 등의 감정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하하, 아이고(감격했을 때, 한숨을 쉴 때의 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의지 감탄사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는 감탄사이다. 한국어의 오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입더듬/입버릇 감탄사는 말을 하는 습관이나 입버릇 때문에 불필요하게 자꾸 사용하거나 말을 하기에 더듬거릴 때 사용하는 감탄사이다. 한국어의 에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6. 2. 영어 감탄사
영어 감탄사에는 일반적인 영어 음운론 목록에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나 소리로 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hem (Ahem|아헴영어) ("주목!")은 영어의 모든 방언에서 성문 파열음 또는 를 포함할 수 있다.
- Gah (Gah|가영어) (, ) ("이런, 할 일이 아무것도 없어!")는 정규 영어 단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로 끝난다.
- Psst (Psst|쯧영어) () ("조용히 들어봐!")는 완전히 자음 음절이며, 해당 자음군은 일반 영어 단어의 처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Shh (Shh|쉬영어) () ("조용!")는 또 다른 완전 자음 음절 단어이다.
- Tut-tut (Tut-tut|텃텃영어) () ("부끄럽다")는 치경 클릭이다.
- Ugh (Ugh|어영어) () ("역겨워!")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자음으로 끝난다.
- Whew 또는 phew (Whew|휴영어, phew|휴영어) (, []) ("휴, 다행이다!")는 무성 양순 마찰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
- Uh-oh (Uh-oh|어오영어) () ("이런!")에는 성문 파열음이 포함되어 있다.
- Yeah (Yeah|예영어) () ("예")는 모음 로 끝난다.
몇몇 영어 감탄사는 다음과 같다.
- ah (ah|아영어)
- aha (aha|아하영어)
- eh (eh|에영어)
- er (er|어영어)
- hmm (hmm|음영어)
- oh (oh|오영어)
- uh (uh|어영어)
- wow (wow|와우영어)
- well (well|웰영어)
6. 3. 일본어 감탄사
일본어에서 감탄사는 일반적으로 1. 자립어로 활용이 없고 문장에서 독립되어 있으며(독립어), 2. 감동의 표출이나 부름, 응답 등에 사용되는 단어를 말한다[13]。오오츠키 후미히코의 "어법 지침"("언해" 수록, 1889년)에서 "감동사(感動詞)"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메이지 후기에는 "감동사"가 널리 사용되었다[13]。 메이지 시대에는 조사를 감동사에 포함하는 문헌도 있었지만, 다이쇼 시대에는 조사를 제외하고 독립어라고 하는 사전이 늘어나, 쇼와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조사를 제외하게 되었다[13]。
일본어에서는 도호쿠 방언에서 감탄사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농촌형 사회가 기반인 지역에서는 커뮤니티의 일체감을 조성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14]。
기능 | 해당하는 말 | ||
---|---|---|---|
감동 | 화자의 감동을 나타낸다. | 구어 | 「아아」「마아」 등。 |
문어 | 「아아」「아빠레」「아하레」「아나」 등。 | ||
부름 | 상대방을 부른다. | 구어 | 「여보세요」「잠깐만요」 등。 |
문어 | 「이카니」「이자」「야아야아」 등。 | ||
응답 | 상대방에게 응답한다. | 구어 | 「네」「아니오」「응」 등。 |
문어 | 「이나」「오우오우」 등。 | ||
인사 | 상대에게 인사를 한다. | 구어 | 「안녕」「안녕하세요」「안녕히 가세요」 등。 |
구호 | 화자나 상대에게 불러, 장단을 맞추거나 기세를 북돋운다. | 구어 | 「에이」「요이쇼」「자」 등。 |
6. 4. 중국어 감탄사
- 啊|a|아중국어 (대답이나 끄덕임의 "아아"나 놀랐을 때의 "앗")
- 嗯|en|언중국어 (끄덕일 때의 "응", 생각하거나 고민할 때의 "음…". 줄임표와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 喂|wéi|웨이중국어 (전화 응대의 정해진 문구 "여보세요")
- 哎呀|aiya|아이야중국어 (놀랐을 때의 말 "어머나")
- 噢|o|오중국어 (놀랐을 때의 "오" 등)
참조
[1]
서적
Language
https://archive.org/[...]
Holt
1933
[2]
서적
A dictionary of linguistics & phonetics
Blackwell Pub
2003
[3]
논문
Interjections and emo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surprise” and “disgust”)
2014
[4]
서적
Völkerpsychologie: Eine Untersuchung der Entwicklungsgesetze von Sprache, Mythus und Sitte
https://archive.org/[...]
Engelmann
1904
[5]
간행물
Interjections, language, and the 'showing/saying' continuum
http://www.phon.ucl.[...]
2015-06-05
[6]
간행물
Interjections: The Universal Yet Neglected Part of Speech
http://pubman.mpdl.m[...]
1992
[7]
간행물
Distinguishing onomatopoeias from interjections
[8]
논문
Interjections as deictics
1992
[9]
간행물
The semantics of interjection
1992-09
[10]
서적
Uglier Than a Monkey's Armpit: Untranslatable Insults, Put-Downs, and Curses from Around the World
Penguin
2009
[11]
간행물
Is "''Huh?''" a universal word? Convers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 convergent evolution of linguistic items
2013
[12]
간행물
Interjections, language, and the 'showing/saying' continuum
2003
[13]
간행물
「感動詞」の定義の変遷について
駒沢女子大学
2018
[14]
웹사이트
「なんで否定してくるわけ?」 「いや」で話し始める人に衝撃の事実
https://withnews.jp/[...]
2024-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