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은 언어에서 단어의 형태가 문법적 기능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 태 등 다양한 문법 범주에 따라 복잡하게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를 '활용'이라고 한다. 인도유럽어, 한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활용이 나타나며, 각 언어는 고유한 활용 규칙과 형태를 갖는다. 동사 일치, 활용 부류 등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하며, 언어학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 인도유럽어의 활용
Indo-European languages영어는 굴절어적 특징을 가지며, 동사는 인칭, 수, 성, 시제, 법, 태, 상 등에 따라 복잡하게 활용한다.[13]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동사가 여러 문법 범주에 따라 활용하지만, 영어처럼 동사 활용이 매우 단순해진 경우도 있다.
다음은 여러 인도유럽어에서 "to be" 동사의 현재 시제(원형과 직설법) 활용을 나타낸 표이다.
이탈리아어 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하며,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 등 다양한 법에 따라 활용한다. 다음은 '말하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 'parlare'의 동사 변화표이다.
현재
반과거
원과거
단순 미래
명령법 현재
근과거
1인칭 단수
parlo
parlavo
parlai
parlerò
ho parlato
2인칭 단수
parli
parlavi
parlasti
parlerai
parla
hai parlato
3인칭 단수
parla
parlava
parlò
parlerà
parli
ha parlato
1인칭 복수
parliamo
parlavamo
parlammo
parleremo
parliamo
abbiamo parlato
2인칭 복수
parlate
parlavate
parlaste
parlerete
parlate
avete parlato
3인칭 복수
parlano
parlavano
parlarono
parleranno
parlino
hanno parlato
2. 2. 게르만어파의 활용
게르만어파 언어들은 로망스어군에 비해 동사 활용이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인도유럽어의 여러 언어의 활용표를 본 후에 영어의 활용표를 보게 된 사람은, 영어의 활용표가 매우 "단순"하고 "암기하기 쉬운"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어가 외국어로서 배우기 쉬운 언어라고 불리는 이유 중 하나이다.[1]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불규칙 동사도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동사에 많다.
2. 2. 1. 영어의 동사 활용
art1 be'st1
is are11
are
고대 영어
eom
eart
is
sind sindon
독일어
bin
bist
ist
sind
seid
sind
네덜란드어
ben
bent zijt2
is
zijn
아프리칸스어
is
스웨덴어
är
är äro5
노르웨이어
er
덴마크어
er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어의 be 동사 활용은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에 비해 매우 단순한 형태를 띤다.
1 고풍스럽고 시적인 표현으로, 'thou' 대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2 플랑드르 방언에서 사용된다.
5 고풍스러운 표현이다.
11 단수 they 3인칭 대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규칙 동사의 변화표 (speak)
현재
과거
현재 완료
과거 완료
1인칭
speak
spoke
have spoken
had spoken
2인칭
speak
spoke
have spoken
had spoken
3인칭 단수
speaks
spoke
has spoken
had spoken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불규칙 동사도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동사에 많다.
3. 한국어의 활용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용언(동사, 형용사)과 서술격 조사 '이다'가 어미를 통해 활용한다.[13] 이는 일본어의 용언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및 조동사가 어형 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인도유럽어의 활용과는 달리, 한국어는 어간에 접사나 활용 어미를 접속시켜 어형을 변화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한국어에서 활용의 범주에 포함되는 변화에 해당하는 것이 일본어에서는 활용이 아닌 연결 어미(일본어의 접속 조사)나 전성 어미(파생 어미)의 교착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일본어와 다르다.
활용형은 활용된 어형 하나하나를 가리킨다. 학교 문법에서는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문어에서는 이연형), 명령형의 여섯 가지 활용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여섯 가지 활용형이 모두 다른 단어는 문어인 ‘死ぬ’, ‘往ぬ’, ‘す’, ‘来’ 뿐이다. 다른 단어는 같은 형태의 활용형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구어 형용동사는 명령형 자체가 없다. 활용시키기 전의 기본 형태는 기본형이라고 부르며, 사전의 색인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학의 역사에서 에도 시대국학에서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도조 기몬은 활용형을 "장연언(미연언이라고도 함)·연용언·절단언·연체언·이연언·희구언"이라는 6가지로 분류했으며, 현재의 활용형은 이를 계승하고 있다.
한국어(조선어)의 활용 기능은 인도유럽어와 달리 일본어와 유사하다. 크게 다른 점은 일본어의 동사형·형용사형·형용동사형과 같은 형태가 기본적으로 다른 형이 없이 모두 유사하다는 점, 연체형이 시제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뉜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어에서 활용의 범주에 포함되는 변화에 해당하는 것이 한국어에서는 활용이 아닌 연결 어미(일본어의 접속 조사)나 전성 어미(파생 어미)의 교착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3. 2. 1. 학교 문법의 활용형
단어의 활용된 형태를 활용형이라고 한다. 학교문법에서는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문어에서는 이연형), 명령형의 여섯 가지 활용형을 제시하고 있다.
가정 · 조건(문어에서는 원인 · 이유)의 ‘-ば’에 접속하는 형태. 문어에서의 가정표현은 미연형에 ‘-ば’를 접속시킨 형태.
명령형
다른 곳으로의 접속 없음, 또는 종조사에 접속해서 명령을 가리키는 형태.
하지만, 학교 문법의 활용표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예를 들어, 활용표에서 다루는 단위가 통일되지 않았고, 다른 형태를 같은 활용형으로 인정하거나, 같은 형태라고 볼 것인지 다른 형태로 볼 것인지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최근에는 PC의 보급으로 형태소 분석의 관점에서 학교 문법의 활용표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연형과 부정형을 나누어야 하는지, 연체형과 종지형이 문자열로는 같음에도 활용형으로 나누는 이유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3. 2. 2. 학교 문법 활용형의 문제점
학교 문법의 활용형은 ‘る’, ‘れ’, ‘よ(ろ)’ 등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결속의 종지 어형이거나 명령형이거나 단정하는 경우의 어형이다.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 ‘る’는 명사를 수식할 때 동사와 명사를 연결하거나 명사 자체의 역할을 한다. ‘れ’는 본래 ‘れば’에서 ‘ば’와 분리하기 어렵다. 또한 명령의 ‘よ(ろ)’와 대조적인 금지의 ‘な’ 등은 조사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들은 동사의 일부라기보다는 문법 기능을 수행하는 부속 성분이며, 1단, 2단, 가변, 사변, 나변 동사에만 붙는 조사로 본다면, 현재와 같은 표를 만들 필요가 없어진다는 비판이 있다.[1]
4. 일본어의 활용
일본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며, 용언(동사, 형용사, 형용동사)과 조동사가 활용한다.
일본어의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조동사는 절의 서술어 중심이 될 때, 그 절 전체에서 수행하는 의미나 기능에 따라 다른 어형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조동사의 활용이라고 한다.
일본어의 서술어 전체(동사·형용사부터 종조사/접속조사까지 포함한다.)는 악센트나 숨쉬기 등의 점에서 몇 개의 단어로 나눌 수 있다.[15][16] 즉, 일본어에서는 서술어가 전체적으로 여러 개의 연속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서술어 전체를 단어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것으로 취급하여, 그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활용이라고 부르고 패러다임에 정리하는 입장도 있지만, 표가 매우 커지고, 단어마다 같은 어형이 여러 번 나타나기 때문에 낭비가 많은 기술법이라고 여겨진다.[15] 이는 서술부를 구성하고 있는 단어는 각각 어형 변화하고, 게다가 같은 종류의 단어가 여러 개 계속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서술어 전체 형식의 다양성이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본어의 서술어 형태 변화는, 서술어 전체를 구성하는 단어의 어순과 각 단어의 어형 변화로 나누어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어의 서술어 전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5]
:동사/형용사 - 보조 동사 - 조동사 - 종조사/접속조사
동사/형용사, 보조 동사, 조동사는 각각 어형 변화하며, 보조 동사, 조동사, 종조사/접속조사는 같은 종류의 것이 여러 개 일정 순서로 이어질 수 있다.
전통적인 문법론(하시모토 신키치 등의 학교 문법)에서 말하는 활용이란, 음성적인 형태의 차이, 즉 부속하는 조동사나 조사의 차이에 대응하는 어간의 모음 변화에 따라 서술어를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사 오단 동사의 "쓰다(書く)"라면, "쓰지 않다(書か(ない))", "쓰겠습니다(書き(ます))", "쓴다(書く)", "쓰는 것(書く(こと))", "쓰면(書け(ば))", "써(書け)"와 같이 모음이 a, i, u, e로 변화한다. 이 오단 동사의 음성적인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일단 동사나 형용사·조동사에 이르는 활용형·활용표가 만들어져 있다.
전통적인 활용표는 형태소의 연결에 의한 어형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종지형·명령형처럼 그것만으로 의미를 갖는 단위인 것과, 미연형이나 가정형처럼 "않다(ない(ぬ))"나 "면(ば)"을 동반하고 처음으로 일정한 의미를 갖는 것이 혼재되어 있다. 이는 현행 활용표가 국학 이래의 전통에 따라 가나 단위로 용언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과, 제로 형태소를 상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일본어에서 활용 연구는 에도 시대의 국학에서 시작되었다.[15][16]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어국사활용초》(御国詞活用抄)에서 활용을 분류했고, 이를 바탕으로 스즈키 아키라는 《활어단속보》(活語断続譜)에서 1등부터 8등으로 나누었다. 모토오리 하루니와는 《사팔구》(詞八衢)에서 동사 활용을 4단, 1단, 중2단(후에 구로사와 오키나마로에 의해 상2단으로 변경), 하2단, 변격의 5가지로 분류했다. 도조 기몬은 《활어지남》(活語指南)에서 활용형을 6가지로 분류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대 학교 문법의 활용표에는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음성적 형태를 중시하고 문법적 기능과의 대응이 적다는 점, 형태소의 연결에 의한 어형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5. 동사 일치 (Verbal Agreement)
'''동사 일치''' 또는 '''합의'''는 형태-통사 구조로, 주어 및/또는 목적어의 속성이 동사 형태에 의해 표시되는 현상이다. 그러면 동사는 주어(각각, 목적어)와 일치한다고 한다.
많은 영어 동사는 주어 일치를 나타낸다. 표준 영어에서 "I go"(나는 간다), "you go"(너는 간다), "we go"(우리는 간다), "they go"(그들은 간다)는 모두 문법적으로 맞지만, "he go"(그는 간다)는 그렇지 않다. (단, "They requested that ''he go'' with them"(그들은 그가 그들과 함께 가기를 요청했다)와 같은 가정법에서는 예외이다.) 대신 "he goes"(그는 간다)를 생성하려면 동사 "to go"(가다)의 특수한 형태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에 "I goes"(나는 간다), "you goes"(너는 간다) 등은 표준 영어에서 문법적으로 맞지 않다. 몇몇 영어 동사는 주어 일치를 나타내는 특수한 형태가 없으며("I may"(나는 ~할지도 모른다), "you may"(너는 ~할지도 모른다), "he may"(그는 ~할지도 모른다)), 동사 "to be"(이다)는 주어로 "I"(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추가 형태 "am"이 있다.
프랑스어로 쓰인 동사는 영어 동사보다 더 강렬한 형태론적 일치를 보인다. je suis프랑스어(나는 ~이다), tu es프랑스어("너는 ~이다", 단수 비격식), elle est프랑스어(그녀는 ~이다), nous sommes프랑스어(우리는 ~이다), vous êtes프랑스어("너희는 ~이다", 복수), ils sont프랑스어(그들은 ~이다). 역사적으로 영어는 이와 유사한 동사 활용 패턴을 사용했다. 일부 역사적인 동사 형태는 셰익스피어가 현대 형태의 약간 고풍스럽거나 더 격식 있는 변형("I do"(나는 한다), "thou dost"(너는 한다), "he doth"(그는 한다))으로 사용했다.
동사 일치가 있는 일부 언어는 주어가 동사 형태에 의해 완전히 결정될 때 특정 주어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에서는 주어 대명사가 명시적으로 존재할 필요가 없지만, 그 친족 관계인 프랑스어에서는 필수적이다. 프랑스어 je suis프랑스어(나는 ~이다)에 해당하는 스페인어는 단순히 soyes(직역하면 "이다")가 될 수 있다. 명시적 형태 yo soyes(나는 ~이다)에서 대명사 yoes(나)는 강조하거나 복잡한 텍스트에서 모호성을 없애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일부 언어는 동사가 일부 또는 모든 목적어와 일치하는 더 풍부한 일치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우비흐어는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수혜 및 탈격 목적어에 대한 동사 일치를 나타낸다(a.w3.s.xe.n.t'u.nuby, "너는 그것을 나를 위해 그에게 주었다").
바스크어는 주어, 직접 목적어 및 간접 목적어뿐만 아니라 묵시적인 수혜자로서의 청자에 대한 일치를 나타낼 수 있다. autoa ekarri diguteeu는 "그들이 우리에게 차를 가져왔다"를 의미한다(청자에 대한 중성 일치). 하지만 autoa ekarri ziguteneu는 "그들이 우리에게 차를 가져왔다"를 의미한다(여성 단수 청자에 대한 일치).
풍부한 일치 형태론을 가진 언어는 모호성이 증가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용이하게 한다. 바스크어의 정형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주어, 동사 및 목적어의 모든 순열이 허용된다.
6.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활용에는 문법적인 인칭, 문법적인 수, 문법적인 성, 문법적인 시제, 상, 법, 태 등 다양한 문법 범주가 영향을 미친다.[13]
7. 활용 부류 (Conjugation Classes)
파마-늉안어족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어족 중 가장 큰 어족이며, 이 어족의 일반적인 특징은 활용 부류의 개념이다. 활용 부류는 각 어휘 동사가 속하는 그룹으로, 동사가 시제-상-법에 따라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파마-늉안어에는 2~6개의 활용 부류가 있으며, 이 중 2개는 구성원이 많고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는 열린 부류이고, 나머지는 구성원이 제한적인 닫힌 부류이다.[6]
와티어에서 동사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부류로 나뉜다.[7]
'''l''' 부류
'''∅''' 부류
'''n''' 부류
'''ng''' 부류
각 부류는 동사 어미의 일반적인 형태소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무한 형식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완만어에서는 각각 '''''la'', ''ya'', ''rra'',''' 및 '''''wa''''' 동사에 해당한다.
완만어의 동사 활용 예시[8]
부류
과거
현재
미래
명령형
과거 진행형
습관
LA
-rna
-npa/-rni
-nku
-la
-rninya
la
waka-rna
waka-rni
waka-nku
waka-la
waka-rninya
waka-la
창을 던졌다
창을 던지고 있다
창을 던질 것이다
창을 던져라!
창을 던지곤 했다
창을 던진다
YA
-nya
-manyi
-ku
-∅/-ya
-minya
-∅/-ya
wanti-nya
wanti-manyi
wanti-ku
wanti-ya
wanti-minya
wanti-ya
머물렀다
머무르고 있다
머무를 것이다
머물러라!
머물곤 했다
머문다
RRA
-na
-npa
-nku
-rra
-ninya
-rra
ya-na
ya-npa
ya-nku
ya-rra
ya-ninya
ya-rra
갔다
가고 있다
갈 것이다
가라!
가곤 했다
간다
WA
-nya
-nganyi
-ngku
-wa
-nganyinya
-wa
pi-nya
pi-nganyi
pi-ngku
pi-wa
pi-nganyinya
pi-wa
쳤다
치고 있다
칠 것이다
쳐라!
치곤 했다
친다
피찬차차라어의 동사 부류 및 활용도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아래 표에서 명령형 동사 어미 '''-la, -∅, -ra''' 및 '''-wa'''로 동사 부류를 구분한다.
피찬차차라 방언의 동사 활용 예시[9]
부류
과거
현재
미래
명령형
과거 진행형
습관
LA
-nu
-ni
-lku
-la
-ningi
-lpai
kati-nu
kati-ni
kati-leu
kati-la
kati-ningi
kati-lpai
가져갔다
가져가고 있다
가져갈 것이다
가져가라!
가져가곤 했다
가져간다
∅
-ngu
-nyi
-ku
-∅
-ngi
-pai
tawa-ngu
tawa-nyi
tawa-ku
awa-∅'
tawa-ngi
tawa-pai
팠다
파고 있다
팔 것이다
파라!
파곤 했다
판다
RA
-nu
-nangi
-nkuku
-ra
-nangi
-nkupai
a-nu
a-nangi
a-nkuku
a-ra
a-nangi
a-nkupai
갔다
가고 있다
갈 것이다
가라!
가곤 했다
간다
WA
-ngu
-nganyi
-nguku
-wa
-ngangi
-ngkupai
pu-ngu
pu-nganyi
pu-nguku
pu-wa
pu-ngangi
pu-ngkupai
쳤다
치고 있다
칠 것이다
쳐라!
치곤 했다
친다
Ngarla어는 Ngayarda어 하위 어군에 속하며, 이분법적 활용 체계를 가진다.
'''l''' 계열
'''∅''' 계열
Ngarla어의 경우, 활용 계열과 타동성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다. 타동사/이동사는 '''l'''-계열에 속하고 자동사/반타동사는 '''∅-'''계열에 속한다.
Ngarla어의 동사 활용 예시[10]
계열
현재
원격 과거
과거
과거 진행
습관
미래
추측
목적
희망
현재 반사실
과거 반사실
예상
L
jaa-rri
jaa-rnta
jaa-rnu
jaa-yinyu
jaa-yirnta
jaa-n
jaa-mpi
jaa-lu
jaa-nmara
jaa-rrima
jaa-nmarnta
jaa-rnmarta
자르고 있다
잘랐었다(오래 전)
잘랐다
자르곤 했다
자른다
자르겠다
잘랐을 수도 있었다
자르기 위해
잘라야 한다
x가 자르고 있었다
x가 잘랐었다
x가 잘라야 한다
∅
warni-yan
warni-rnta
warni-nyu
warni-yanu
warni-yanta
warni-Ø
warni-rnpi
warni-kura
warni-mara
warni-yanma
warni-marnta
warni-nyamarta
떨어지고 있다
떨어졌었다(오래 전)
떨어졌다
떨어지곤 했다
떨어진다
떨어질 것이다
떨어졌을 수도 있었다
떨어지기 위해
떨어져야 한다
x가 떨어지고 있었다
x가 떨어졌었다
x가 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계열은 동사가 도구로 명사화되는 방식까지 확장된다. '''l-''' 계열 동사는 명사화 접미사 앞에 ''/l/''을 추가하고, 공백 계열은 공백으로 남겨둔다.[6]
이디니어는 두 개의 열린 동사 부류와 하나의 닫힌 부류(~20개 구성원)를 가진 삼항 동사 부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동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n''' 부류 (열린 부류, 자동사/반타동사)
'''-l''' 부류 (열린 부류, 타동사/이중 타동사)
'''-r''' 부류 (닫힌 부류, 자동사)
이디니어 동사 활용 예시[11]
부류
명령형
현재/미래
과거
목적형
염려형
N
-n
-ng
-nyu
-na
-ntyi
nyina-n
nyina-ng
nyina-nyu
nyina-na
nyina-ntyi
앉아!
앉고 있다 / 앉을 것이다
앉았다
앉기 위해서
x가 앉지 않도록
L
-∅
-l
-lnyu
-lna
-ltyi
patya-∅
patya-l
patya-lnyu
patya-lna
patya-ltyi
물어!
물고 있다 / 물 것이다
물었다
물기 위해서
x가 물지 않도록
R
-rr
-r
-rnyu
-rna
-rtyi
pakya-rr
pakya-r
pakya-rnyu
-pakya-rna
pakya-rtyi
아파!
아파하고 있다 / 아파할 것이다
아팠다
아파하기 위해서
x가 아파하지 않도록
8. 결론
활용은 언어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굴절어와 교착어의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용언의 활용이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3] 현대 언어학 및 전산언어학 관점에서 한국어 활용을 분석하고, 학교 문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rammatical Features - Associativity
http://www.grammatic[...]
2018-03-18
[2]
간행물
Verb Classifiers - 'Misfits' of Nominal Classification?
https://www.academia[...]
2018-03-18
[3]
서적
Intransitive Predication (Oxford Studies in Typology and Linguistic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서적
Intransitive Predication
[5]
서적
Intransitive Predication
[6]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Ngarla (Ngayarta, Pama-Nyungan)
[7]
서적
The Languages of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8]
서적
Warnman. Part one, Sketch grammar.
Wangka Maya Pilbara Aboriginal Language Centre
2003
[9]
서적
Wangka wir̲u: a handbook for the Pitjantjatjara language learner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South Australian College of Advanced Education
1988
[10]
논문
Verb Classification in Ngarla (Ngayarta, Pama-Nyungan)
2017-07-03
[11]
서적
Language description informed by theor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4
[12]
서적
言語学大辞典:術語編
三省堂
1996-01
[13]
웹사이트
conjugation
https://www.lexico.c[...]
Oxford Dictionaries
[14]
문서
コンピュータ・サイエンス誌『bit』の「ナノピコ教室」
[15]
문서
야나이케 (2005 p.71)
[16]
문서
여기에서 말하는 ‘단어’는 악센트 단위나 최소호기단락에 거의 해당된다.
[17]
문서
이 명칭은 한국에서의 명칭으로 스페인어에서는 gerundio라고 불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