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산은 물 속에서 거의 100%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을 생성하는 산으로, 산 해리 상수(Ka) 값이 매우 크고, pKa 값은 0보다 작다. 강산은 부식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초강산인 카보란산은 황산보다 강하지만 유리에 부식성이 없다. 강산의 종류에는 황산, 질산, 염산 등이 있으며, 짝염기의 염기성이 약할수록 짝산은 강산이 된다. 또한 비수용매에서도 강산의 개념이 적용되며, 초강산은 100% 황산보다 강한 산성 매질을 의미한다.
강산은 수용액에서 거의 100%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H⁺)과 짝염기(A⁻)를 생성하는 산이다.[1]
강산은 물에 녹아 거의 100% 해리되어 수소 이온(H⁺)을 생성한다. 따라서 강산 용액의 pH는 수소 이온 농도([H⁺])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2]
2. 강산의 정의 및 특징
대표적인 강산에는 다음이 있다.
황산(H2SO4)은 첫 번째 해리만 거의 100% 진행되며, 두 번째 해리는 일부만 진행된다. 플루오린화 수소(HF)는 강산이 아닌 약산으로 분류되지만, 순수한 농도에서는 다른 강산보다 더 강한 산성도를 가질 수 있다.
산 수용액에서는 해리된 산(A⁻(aq))과 해리되지 않은 산(HA(aq))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는데, 강산은 이 비율에서 해리된 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크다.
2. 1. 산 해리 상수 (Ka)
강산 HA의 이므로 물 속에서 거의 100% 이온화하는 강산은 매우 큰 Ka 값을 가지고 있다.[1] (Ka>>>1 이므로 HA (aq) ⇄ H+ (aq) + A- (aq)의 역반응은 거의 진행되지 않는다.) 산 HA(aq)는 양성자 H₃O⁺(aq)(양이온)와 A⁻(aq)(음이온)로 해리되는 물질이다. 하지만 해리된 산은 항상 해리된 상태로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해리된 산 A⁻(aq)는 시간이 지나면 양성자와 만나 원래 물질 HA(aq)가 되고, 양성자를 얻은 산은 다시 해리된다. 용매 속의 산은 이 과정을 반복하지만, 온도나 압력 등의 물리적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특정 시점에서 해리된 산과 해리되지 않은 산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산 수용액에서는 항상 해리된 산 A⁻(aq)와 해리되지 않은 산 HA(aq)가 일정한 비율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강산은 이 비율에서 해리된 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큰 산이다.
모든 산이 항상 해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성자의 물쪽으로의 큰 편향으로 인해, 양성자 또는 옥소늄 이온을 산 해리 상수와 관계없이 생성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산이 해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강산이라도 고유의 산 해리 상수 pKa영어는 존재한다.
강산의 경우, pKa영어 < 0, 즉 Kₐ > 1이며, 대부분의 강산은 Kₐ >> 1이다.
2. 2. 수용액에서의 강산
산 HA(aq)는 아래 식과 같이 양성자 H₃O⁺(aq)(양이온)와 A⁻(aq)(음이온)로 해리되는 물질이다. 하지만 해리된 산이 항상 해리된 상태로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해리된 산 A⁻(aq)는 시간이 지나면 양성자와 만나 원래 물질 HA(aq)가 되고, 양성자를 얻은 산은 다시 해리된다. 용매 속의 산은 이 과정을 반복하지만, 온도나 압력 등의 물리적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특정 시점에서 해리된 산과 해리되지 않은 산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산 수용액에서는 항상 해리된 산 A⁻(aq)와 해리되지 않은 산 HA(aq)가 일정한 비율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강산은 이 비율에서 해리된 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큰 산이다.
:
2. 3. 부식성
강산은 부식성이 크다고 예상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초강산인 카보란산(H(CHB₁₁Cl₁₁))은 황산보다 100만 배 강하지만 유리에 대해서는 전혀 부식성이 없다.
반면, 묽은 수용액에서 약산인 플루오르화수소산(HF)은 부식성이 매우 강하여 이리듐을 제외한 모든 금속과 유리를 부식한다.
3. 강산 용액의 pH 계산
강산(HA) x M 수용액에서, HA는 거의 100% H⁺와 A⁻로 해리되므로, 해리된 [H⁺]는 x M이다. 물의 자동 이온화에 의한 [H⁺]는 1.0×10⁻⁷ M로 매우 작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pH = -log([H⁺])를 이용하여 pH를 구한다.
순수한 물에 강산을 넣어 농도 C의 강산 수용액을 만들었을 때, 수용액 중의 강산은 모두 해리되었다고 가정하면,
: 가 성립한다.
3. 1. 산 농도가 높은 경우
강산 HA는 거의 100% H⁺와 A⁻로 해리된다. 따라서 HA로부터 해리된 [H⁺]는 x M이다.[2]
물의 자동 이온화에 의한 [H⁺]는 1.0×10⁻⁷ M이지만, 아주 작은 값이기 때문에 거의 무시할 수 있다.[2]
:가 성립할 때,
:
:즉,
:
:가 성립한다.
3. 2. 산 농도가 낮은 경우
강산 HA는 거의 100% H⁺와 A⁻로 해리된다. 따라서 HA로부터 해리된 [H⁺]는 x M이다. 물의 자동 이온화에 의한 [H⁺]는 1.0×10⁻⁷ M이지만, 아주 작은 값이기 때문에 거의 무시할 수 있다.[2]
4. 강산의 종류
일반적으로 황산, 질산, 염산, 브로민화 수소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과염소산, 염소산 등이 강산에 속한다. 황산은 첫 번째 해리만 거의 100% 진행된다. 불산은 약산으로 분류되지만, 순수한 농도에서는 다른 강산보다 더 강한 산성도를 가질 수 있다.
옥소산 XOₘ(OH)ₙ에서 m-n>2인 경우, 폴링의 경험 법칙에 따라 대체로 강산이 된다. 이는 산소 원자의 유도 효과 때문이다. 플루오로착물의 유리산 또한 음이온에 대한 프로톤 친화력이 매우 약해 대부분 강산이다.
4. 1. 무기산
황산(H₂SO₄) (첫 번째 해리만 해당), 질산(HNO₃), 염산(HCl), 브로민화 수소산(HBr), 아이오딘화 수소산(HI), 과염소산(HClO₄), 염소산(HClO₃) 등이 있다. 황산의 경우 첫 번째 해리만 거의 100% 진행되며, 두 번째 해리는 부분적으로만 진행된다. 불산(HF)은 강산이 아닌 약산으로 분류되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는 강한 산성을 띨 수 있다.| 산 | HA | A- | Ka | pKa |
|---|---|---|---|---|
| 아이오딘화 수소 | HI | I- | 1011 | -11 |
| 과염소산 | HClO4 | ClO4- | 1010 | -10 |
| 브로민화 수소 | HBr | Br- | 109 | -9 |
| 염화 수소 | HCl | Cl- | 107 | -7 |
| 황산 | H2SO4 | HSO4- | 105 | -5 |
| 질산 | HNO3 | NO3- | 102 | -2 |
| 옥소늄 이온 | H3O+ | H2O | 55.5 | -1.74 |
옥소늄 이온(H₃O⁺)은 수소 이온(H⁺)과 동일하게 취급되기도 하지만, 수용액 중에는 수소 이온이 존재하지 않고 옥소늄 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4. 2. 기타 강산
브롬산(HBrO₃), 요오드산(HIO₃) (pKa|0.77영어), 과브롬산(HBrO₄), 메타과요오드산(HIO₄), 과망간산(HMnO₄) (pKa|-2.4영어), 티오시안산(HSCN) (pKa|-1.32영어), 테트라플루오로붕산(H[BF₄]), 헥사플루오로인산(H[PF₆])은 수용액에서 강산의 성질을 갖는다.5. 짝산으로서의 강산
염기 B가 양성자를 받아 생성된 짝산 BH⁺의 산 해리 상수는 염기 해리 상수와 반비례 관계가 있으며, 염기가 약할수록 그 짝산은 강한 산이 된다.[1]
:
예를 들어 매우 약한 염기인 포스핀의 짝산은 강산이며, 초강산과 같은 강산성 매질에서 양성자화된다.[1]
:
금속 수산화물의 짝산 즉, 수화 금속 이온(아쿠아 이온)에서 전하 ''z''가 크고 이온 반지름 ''r''이 작을수록 강산이 된다.[1] 희유 기체 전자 배치를 가진 금속 이온의 경우 pKa는 ''z''2/''r''과 거의 직선 관계에 있다.[1]
예를 들어, 4가의 지르코늄 이온 Zr4+(aq)의 경우 pKa는 약 0.2이며, 강산성 수용액에서도 가수분해한다.[1]
:
6. 비수용매에서의 강산
수용액에서의 산 해리 평형 개념은 비수용매에서도 적용되며, 산 HA가 용매 S에서 아래의 평형이 현저하게 오른쪽으로 치우쳐 리오늄 이온 HS⁺을 정량적으로 생성하는 경우, 산 HA는 용매 S에서 강산이라고 표현한다.
:
이러한 산 해리 평형은 용매의 프로톤 수용성 및 유전율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용액에서 약산인 아세트산도 액체 암모니아에서는 강산으로 작용한다.
:
7. 초강산 (Superacid)
100% 황산보다 강한 산성 매질을 초산(超酸)이라고 한다.
참조
[1]
문서
산 목록 (화학)
[2]
문서
산 해리 상수에 대한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