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벌은 임업에서 사용되는 벌채 방법의 한 유형으로, 모든 나무를 제거하여 수관이 남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표준 개벌, 패치 개벌, 스트립 개벌, 보존 개벌, 화전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선택적 벌채와는 대조된다. 개벌은 묘목에 의한 재생을 허용하지만, 숲의 유전적 생존력을 감소시키고, 토양 침식, 서식지 감소, 종 다양성 감소 등의 환경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특정 수종의 성장을 촉진하고 야생 동물 서식지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인공 조림으로 인한 단일 수종 산림의 문제와 개벌로 인한 생태계 교란, 토양 유실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며,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가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림 파괴 - 탈산림화
    탈산림화는 인위적·자연적 원인으로 산림이 다른 용도로 바뀌는 현상으로, 열대우림 면적 감소와 생물다양성 손실, 기후변화를 심화시키며 농업, 목재 산업, 광업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여 광범위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 산림 파괴 - 벌채
    벌채는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여 나무를 베어내는 행위로, 산업적 방식과 원목 처리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삼림경영학 - 임학
    임학은 임업 기술자 양성을 목표로 정치, 경제, 공학, 생태, 환경 등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연구되며, 독일의 대가 학교에서 시작되어 유럽과 미국 대학으로 발전, 한국에서는 마쓰노 미사키에 의해 임업 교육의 기틀이 다져졌고, 산림 관리 기술과 방법론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 삼림경영학 - 혼농임업
  • 환경 논란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환경 논란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개벌

2. 유형

개벌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10]


  • '''표준 (균일) 개벌'''
  • '''패치 (구획) 개벌'''
  • '''스트립 (선) 개벌'''
  • '''보존 개벌'''
  • '''화전'''


개벌은 상업적으로 가치 있는 나무만 수확하고 다른 나무는 남겨두는 선택적 벌채 (예: 고등급 벌채)와 대조된다. 선택적 벌채는 숲의 유전적 생존력을 감소시켜 임지 내에서 활력이 떨어지는 자손을 초래할 수 있다. 개벌은 밑둥치 돋우기 시스템과 다르며, 묘목에 의한 재생을 허용한다. 파괴적인 형태의 산림 관리는 '개벌'이라고 불린다.

임업에서는 수확 목표 연도가 오면 개벌 후 새로운 묘목을 심는다(재조림).

2. 1. 표준 (균일) 개벌

표준 (균일) 개벌은 상업적 가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줄기를 제거하여 수관이 전혀 남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10]

2. 2. 패치 (구획) 개벌

미리 정해진 제한된 지역(패치) 내의 모든 줄기를 제거하는 방법이다.[10]

2. 3. 스트립 (선) 개벌

스트립 개벌은 한 줄(스트립)의 모든 줄기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우세풍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바람에 넘어짐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11] 이는 바람 피해를 피하기 위해 방풍림으로 나무를 남기기 때문이다.

2. 4. 보존 개벌

보존 개벌은 서 있는 줄기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다른 목적을 위해 몇 개를 남겨두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야생동물 서식지를 위한 그루터기를 남겨두는 경우가 있다.[10] 이는 종종 씨앗 나무 방법과 혼동되기도 한다.

2. 5. 화전

화전은 농업 목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숲을 영구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구 증가로 인해 개발도상국 및 최빈국의 소규모 농민들에게 토지 수요가 발생하는 열대 및 아열대 숲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5] 화전은 특정 지역의 모든 줄기를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며, 토지가 다른 용도로 전환될 때 산림 벌채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숲 핀족과 같은 일부 토착민 숲 사람들은 토지를 순환시키며 숲으로 돌아가 지속 가능하다. 화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생활 및 농업 목적을 위한 토지를 찾는 민간인에 의해 사용된다. 먼저 숲을 개벌하고 남은 재료를 태운다. 이 과정의 원동력 중 하나는 과잉 인구와 그에 따른 도시 팽창의 결과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업적 농업의 결과로도 발생한다. 목재는 이윤을 위해 판매되고, 모든 나머지 덤불이 제거된 후 농업 개발에 적합한 토지는 농부에게 판매된다.[5]

조방적(粗放的) 화전 농업은 일정 토지에서 순환적으로 행해져 온 전통적 화전 농업과 달리, 산림의 수목을 태워 밭을 만들고 농지로 바꾸는 방법이다. 주로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걸쳐 인구가 과밀한 개발 도상국에서 보급되고 있다. 화전 농업은 구획 내의 모든 산림에 불을 질러 싹쓸이 개척하기 때문에, 산림 파괴, 열대 우림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 다시는 재생시킬 수 없는 원시림이나 침엽수림의 순림 (''타이가''(boreal forest))이 감소하고 있다는 의견도 많다.

3. 개벌과 재생, 수확 시스템

개벌에는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전문적인 관행은 다음과 같다:[10]


  • '''표준(균일) 개벌''' – 상업적 가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줄기를 제거하여 수관이 전혀 남지 않도록 한다.
  • '''패치 개벌''' – 미리 정해진 제한된 지역(패치) 내의 모든 줄기를 제거한다.
  • '''스트립 개벌''' – 한 줄(스트립)의 모든 줄기를 제거하며, 일반적으로 우세풍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바람에 넘어짐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11]
  • '''보존 개벌''' – 서 있는 줄기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다른 목적(예: 야생동물 서식지를 위한 그루터기)으로 몇 개를 남겨둔다. (이는 종종 씨앗 나무 방법과 혼동된다).
  • '''화전''' – 농업 목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숲을 영구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는 인구 증가로 인해 개발도상국 및 최빈국의 소규모 농민들에게 토지 수요가 발생하는 열대 및 아열대 숲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화전은 특정 지역의 모든 줄기를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며, 토지가 다른 용도로 전환될 때 산림 벌채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숲 핀족과 같은 일부 토착민 숲 사람들은 토지를 순환시키며 숲으로 돌아가 지속 가능하다. 화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생활 및 농업 목적을 위한 토지를 찾는 민간인에 의해 사용된다. 먼저 숲을 개벌하고 남은 재료를 태운다. 이 과정의 원동력 중 하나는 과잉 인구와 그에 따른 도시 팽창의 결과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업적 농업의 결과로도 발생한다. 목재는 이윤을 위해 판매되고, 모든 나머지 덤불이 제거되고 농업 개발에 적합한 토지는 농부에게 판매된다.[5]


개벌은 상업적으로 가치 있는 나무만 수확하고 다른 모든 나무는 남겨두는 선택적 벌채(고등급 벌채)와 대조된다. 이러한 선택적 벌채 관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숲의 유전적 생존력을 감소시켜 임지 내에서 더 열악하거나 덜 활기찬 자손을 초래할 수 있다. 개벌은 또한 밑둥치 돋우기 시스템과 다르며, 묘목에 의한 재생을 허용한다. 파괴적인 형태의 산림 관리는 일반적으로 '개벌'이라고 한다.

임업에서는, 수확의 목표가 된 연도가 왔을 때 개벌하고, 그 후에 새로운 묘목을 심어(재조림) 숲을 다시 가꾼다.

3. 1. 개벌 벌채

1936년 블루 리지 산맥(테네시)의 개벌 벌채


핀란드 남부의 개벌 벌채


오리건주 유진 근처의 개벌 벌채


개벌 벌채는 한 번의 작업으로 모든 나무를 완전히 활용하고 제거하는 벌채 방법이다. 개벌 벌채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12]

  • '''개벌 벌채'''(Clear-cutting): 모든 나무를 제거하는 벌채 방법.
  • '''개벌 벌채 방법'''(Clear-cutting method): 모든 성숙한 나무를 제거하여 동일한 수령의 군집을 재생하는 방법.
  • '''개벌 벌채 시스템'''(Clear-cutting system): 한 번에 상당한 면적의 성숙한 군집을 제거(개벌)하기 위해 개벌 벌채 방법을 통합하는 임업 시스템.


이 용어들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이 있을 수 있다.

개벌 벌채는 일반적으로 헥타르당 몇 그루의 나무만 벌채하는 선택적 벌채와는 다르다. 또한 산불 활용 및 숲의 솎아 베기와도 다르다.

개벌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스탠다드 (전체) 개벌: 상업적 가치가 있든 없든 모든 나무를 제거한다. 수관은 전혀 남지 않는다.

; 패치 (구획) 개벌: 제한된 구획 내의 나무만 제거한다.

; 스트립 (선) 개벌: 열(선)을 따라 나무를 제거하는 방법. 바람 피해를 피하기 위해 방풍림으로 나무를 남기는 것이 이유이다.

; 일부를 남기고 개벌: 거의 모든 나무를 벌채하지만, 동물을 위한 그루터기 등의 이유로 몇 그루 남기는 방법. (채취목법과 혼동되기 쉽다.)

개벌은 ''택벌''이라고 불리는 일부를 뽑아 베는 방법과 정반대에 있다. 개벌은 숲의 종 보존에 적합한 환경을 저해하고, 나무가 잘 자라는 건강한 산림 환경을 유지할 수 없는 지력 감퇴의 우려가 있다. 다만, 개벌은 장작림 작업과는 달리 묘목 등의 재생은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방적) 화전 농업: 일정 토지에서 순환적으로 행해져 온 전통적 화전 농업과 달리, 목적으로 조방적으로 산림의 수목을 태워 밭을 만들고 농지로 바꾸는 방법이다. 주로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걸쳐 인구가 과밀한 개발 도상국에서 보급되고 있다.

:* 원시림이나 침엽수림의 순림 (''타이가'') (boreal forest)이 다시는 재생 시킬수 없게 감소하고 있다는 의견도 많다.

임업에서는, 수확의 목표가 된 연도가 왔을 때 개벌하고, 그 후에 새로운 묘목을 심어(재조림) 숲을 다시 가꾼다.

3. 2. 개벌 벌채 방법

개벌 벌채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개벌 벌채''' – 한 번의 작업으로 모든 나무를 완전히 활용하고 제거하는 깨끗한 벌채
  • '''개벌 벌채 방법''' – 모든 성숙한 나무를 제거하여 동일한 수령의 군집을 재생하는 방법
  • '''개벌 벌채 시스템''' – 한 번에 상당한 면적의 성숙한 군집을 제거(개벌)하기 위해 개벌 벌채 방법을 통합하는 임업 시스템[12]


이 용어의 다양한 사용법 사이의 혼란이 흔하다.

개벌 벌채는 일반적으로 헥타르당 몇 그루의 나무만 벌채하는 선택적 벌채와 구별된다. 개벌 벌채는 또한 산불 활용 및 숲의 솎아 베기와도 다르다. 선택적 벌채는 일반적으로 인프라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개벌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스탠다드 (전체) 개벌: 상업적 가치가 있든 없든 모든 나무를 제거한다. 수관은 전혀 남지 않는다.

; 패치 (구획) 개벌: 제한된 구획 내의 나무만 제거한다.

; 스트립 (선) 개벌: 열(선)을 따라 나무를 제거하는 방법. 바람 피해를 피하기 위해 방풍림으로 나무를 남기는 것이 이유이다.

; 일부를 남기고 개벌: 거의 모든 나무를 벌채하지만, 이유가 있어서 몇 그루 남기는 방법. 예를 들어 동물을 위한 그루터기로서의 역할 등 (이것은 채취목법과 혼동되기 쉽다.)

개벌은 ''택벌''이라고 불리는 일부를 뽑아 베는 방법(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나무만 선택/선발하여 베고, 그 외의 나무에는 손을 대지 않는 방식)과 정반대에 있다. 개벌로 인해, 숲의 종의 생존/보존에 적합한 환경이 저감되고, 나무가 잘 자라는 건강한 산림의 환경을 지속할 수 없는 지력 감퇴의 우려가 있다. 다만 개벌은 장작림 작업과는 달리, 묘목 등의 재생은 촉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조방적) 화전 농업: 일정 토지에서 순환적으로 행해져 온 전통적 화전 농업과 달리 목적으로 조방적으로 산림의 수목을 태워 밭을 만들고, 농지로 바꾸는 방법. 주로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걸쳐 인구가 과밀한 개발 도상국에서 보급되고 있다. 화전 농업은 구획 내의 모든 산림에 불을 질러 싹쓸이 개척하기 때문에, 산림 파괴, 열대 우림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다시는 재생시킬 수 없는 원시림이나 침엽수림의 순림 (''타이가'') (boreal forest)이 감소하고 있다는 의견도 많다.

임업에서는, 수확의 목표가 된 연도가 왔을 때 개벌하고, 그 후에 새로운 묘목의 식림 (재조림)이 행해진다.

3. 3. 개벌 벌채 시스템

개벌 벌채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개벌 벌채''' – 한 번의 작업으로 모든 나무를 완전히 활용하고 제거하는 깨끗한 벌채[12]
  • '''개벌 벌채 방법''' – 모든 성숙한 나무를 제거하여 동일한 수령의 군집을 재생하는 방법[12]
  • '''개벌 벌채 시스템''' – 한 번에 상당한 면적의 성숙한 군집을 제거(개벌)하기 위해 개벌 벌채 방법을 통합하는 임업 시스템[12]


이 용어의 다양한 사용법 사이의 혼란이 흔하다.

개벌 벌채는 일반적으로 헥타르당 몇 그루의 나무만 벌채하는 선택적 벌채와 구별된다. 개벌 벌채는 또한 산불 활용 및 숲의 솎아 베기와도 다르다.

개벌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스탠다드 (전체) 개벌: 상업적 가치가 있든 없든 모든 나무를 제거한다. 수관은 전혀 남지 않는다.
  • 패치 (구획) 개벌: 제한된 구획 내의 나무만 제거한다.
  • 스트립 (선) 개벌: 열(선)을 따라 나무를 제거하는 방법. 바람 피해를 피하기 위해 방풍림으로 나무를 남기는 것이 이유이다.
  • 일부를 남기고 개벌: 거의 모든 나무를 벌채하지만, 이유가 있어서 몇 그루 남기는 방법. (이것은 채취목법과 혼동되기 쉽다.)


개벌은 ''택벌''이라고 불리는 일부를 뽑아 베는 방법과 정반대에 있다. 개벌로 인해, 숲의 종의 생존/보존에 적합한 환경이 저감되고, 나무가 잘 자라는 건강한 산림의 환경을 지속할 수 없는 지력 감퇴의 우려가 있다. 다만 개벌은 장작림 작업과는 달리, 묘목 등의 재생은 촉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임업에서는, 수확의 목표가 된 연도가 왔을 때 개벌하고, 그 후에 새로운 묘목의 식림 (재조림)이 행해진다.

4.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개벌은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모두 존재하며,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개벌은 물 순환, 토양, 야생 동물, 대기 등 생태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13] 나무는 물과 표토를 보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개벌로 인해 이러한 기능이 상실되면 홍수, 영양분 침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4] 강 근처의 나무를 제거하면 수온 상승, 강기슭 침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수생 생태계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바다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개벌은 산사태 발생 빈도를 높이고, 하천 유량 증가, 서식지 감소, 종 다양성 감소, 침입종 발생, 경관 훼손 등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17][18][19][20] 또한, 온대타이가 기후에서는 눈 녹는 시기를 앞당겨 유출량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22]

하지만 개벌은 특정 수종의 성장과 번식을 촉진하고, 야생 동물 서식지를 조성하며, 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27][21]

4. 1. 부정적 영향

환경 단체들은 벌채가 물, 토양, 야생 동물, 대기에 파괴적이라고 비판하며, 지속 가능한 대안의 사용을 권장한다.[13] 벌채는 물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데, 나무가 물과 표토를 보유하기 때문이다. 숲에서 벌채를 하면 대량의 물을 증산했을 나무가 제거되고, 하층에 서식하는 풀, 이끼, 지衣, 양치류 등이 물리적으로 손상된다. 생물군의 제거 또는 손상은 물을 보유하는 지역 능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홍수를 악화시키고 토양에서 영양분의 침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대 영양분 손실은 벌채 후 약 2년 정도에 발생하며, 벌채 후 4년이 되면 벌채 전 수준으로 회복된다.[14]

강기슭 주변의 나무를 제거하면 수역이 그늘에서 벗어나 강기슭과 강의 온도가 상승한다. 나무가 더 이상 토양을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강기슭은 침전물과 함께 침식되어 물 속으로 흘러 들어가 과도한 영양분을 생성하고, 이는 강에서의 변화를 악화시키고, 수 마일 떨어진 바다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13] 유역에서 대규모 벌채를 하면 시내로 침출되는 퇴적물과 영양분으로 인해 시내의 산도가 증가할 수 있다. 토양의 영양분 함량은 벌채 후 64년이 지나면 벌채 전 수준의 5%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개벌은 인간과 지역 동식물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 오리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 개벌된 지역은 토양 침식으로 인한 산사태가 거의 3배나 더 많았다. 개벌에 필요한 도로를 고려했을 때, 산사태 발생 빈도는 인근 산림 지역에 비해 약 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벌을 위해 건설된 도로는 일반적인 지표면 배수를 방해하는데, 이는 도로가 일반적인 지면 피복만큼 투과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로는 토양과 암석의 재분배로 인해 지하수 이동도 변화시킨다.[17] 개벌은 폭풍 시 하천 유량 증가, 서식지 감소 및 종 다양성 감소, 침입종 및 잡초 종의 발생 기회 증가, 경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18] 특히 해당 지역에 익숙한 사람들의 숲에 대한 멸시 증가,[19] 뿐만 아니라 재산 가치 하락, 레크리에이션, 사냥 및 낚시 기회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20] 개벌은 산불이나 자연적인 뿌리 뽑힘과 같은 자연적인 교란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지역의 종자 은행을 고갈시킬 수 있다.[21]

온대타이가 기후에서 개벌은 눈의 깊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요격 및 증발산 부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개벌 지역에서 숲보다 더 깊다. 이는 적은 결빙선을 초래하며, 더 높은 수준의 직접적인 햇빛과 결합하여 봄에 더 일찍 눈 녹음이 발생하고 유출량이 더 일찍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22]

현재의 삼림 벌채 속도로 볼 때, 세계의 열대 우림은 100년 안에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2000년 6월부터 2008년 6월까지, 150000km² 이상의 열대 우림이 아마조니아 리갈의 브라질 아마존에서 개간되었다. 이미 엄청난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의 대서양 삼림은 현재 8%에서 14%만 남아 있다.[23][24] 2004년 이후 삼림 벌채율이 둔화되었지만, 산림 손실은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25] 농부들은 매년 대규모의 숲을 불태워 목초지와 경작지를 만들지만, 숲의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은 종종 농업에 부적합하게 만들고, 1~2년 안에 농부들은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26]

개벌의 주요 파괴는 서식지에 대한 것으로, 곤충, 질병, 산성비, 바람에 의한 피해에 대해 서식지를 더 취약하게 만든다. 한 지역에서 모든 나무를 제거하면 야생 생물의 많은 종의 물리적 서식지가 파괴된다. 또한 개벌은 숲에 의존하는 생태계, 즉 숲을 통과하는 시내와 강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31]

캐나다에서는 검은꼬리사슴 개체수가 개벌 후 더욱 위험에 처해 있다. 사슴은 늑대와 퓨마, 그리고 캐나다 원주민 및 기타 사냥꾼의 먹이 공급원이다. 사슴은 동네를 뛰어다니고 농장에서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는 도시와 시골에서는 위험하지 않을 수 있지만, 고지대 지역에서는 숲의 은신처가 필요하다.[32]

일변이 "수고의 2배 길이" 이상인 넓이로 벌채하면, 미기상적으로 산림생태계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개벌이 행해지면, 넓은 면적의 지표면을 한꺼번에 직사광선에 노출시키게 되어, 환경 변화가 매우 커서 생물상 전체에 큰 교란을 준다.[34]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 나무를 그루터기만 남겨두면, 그것들이 차츰 부패하면서 토양을 확보하는 능력을 잃고, 일정 기간 후의 토양 유출이나 붕괴, 산사태 및 토석류의 위험을 만든다고도 한다.

다수의 국가에서 임업을 영위하는 회사나 산림조합에게 "합리적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개벌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지만, "말하자면 산림 파괴와 동의어이며, 산림 파괴 · 생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 2. 긍정적 영향

개벌은 높은 광도를 필요로 하는 수종의 성장과 번식을 장려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27] 일반적으로, 인접한 나무 높이의 두 배보다 넓은 수확 지역은 더 이상 미기후에 대한 산림의 완화 효과를 받지 않는다.[28] 따라서 수확 지역의 너비는 어떤 종이 우세하게 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온도, 토양 수분의 극단적인 변화에 대한 높은 내성과 섭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종은, 특히 2차 천이 개척종으로 정착될 수 있다.

개벌은 임업가가 자연적인 교란을 모방하고 1차 천이 종, 예를 들어 포플러(사시나무), 버드나무 및 검은 벚나무를 북아메리카에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벌은 또한 야생 동물 서식지 및 섭식 지역을 만드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산불, 대규모 풍도, 또는 눈사태와 같은 자연적인 임상 교체 교란 없이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개벌은 성숙한 숲에서 경쟁할 수 없는 종을 재생하는 데 사용된다. 그 중 일부는 사시나무, 잭 파인, 그리고 토양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참나무가 있는데, 이는 사냥감과 비사냥감 야생 동물 종 모두에게 중요한 종이다. 개벌은 또한 해당 지역의 혈관 식물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개벌 후 몇 년이 지난 후와 긁어내기가 이루어진 풀이 풍부한 숲에서 가장 두드러진다.[21]

패치 개벌을 강에서 약 30.48m 떨어진 곳에서 수행했을 때 수온의 유의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패치 개벌이 개벌로 인한 수온 변화에 대한 우려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임을 시사한다. 개벌이 토양 영양 성분에 미치는 영향은 이 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았다.[29]

더 최근에는 산림 관리자들이 참나무 임상을 개벌하면 토양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참나무 숲을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참나무 숲의 나무 캐노피는 종종 지면을 가려 새로 싹이 튼 참나무가 자라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성숙한 나무가 제거되면 묘목은 숲으로 모집될 기회를 얻는다.[30]

5. 사회적 영향

메인 대학교의 지속 가능성 솔루션 이니셔티브 연구에 따르면 메인 주의 8000000acres에 달하는 산림이 과도한 벌채로 인해 장기적인 목재 수확량 감소, 유역 침식 및 오염 증가를 겪고 있다.[33] 이는 산림 기술자 및 지역 주민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환경 정의 문제로 이어진다.

5. 1. 부정적 영향

메인주에서는 결과 기반 임업(Outcome Based Forestry, OBF)[33]으로 알려진 토지 관리 형태를 통해 제거된 나무의 양이 나무 성장량을 초과하지 않는 한 광범위한 벌채가 허용된다. 이 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대규모 벌채 및 단일 수종 식재[33]가 이루어졌으며, 메인 대학교의 지속 가능성 솔루션 이니셔티브 연구에 따르면 (주로 북부) 메인 주의 8000000acres의 인증된 산림 토지가 과도한 벌채를 겪고 있어 목재 수확의 장기적인 안정성이 감소하고 유역의 침식과 오염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행은 산림 기술자 및 지역 주민의 건강과 복지와 관련하여 환경 정의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6. 한국의 개벌 현황 및 문제점

한국은 국토의 63%가 산림이지만, 한국전쟁 이후 황폐화된 산림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인공 조림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 단순한 수종 구조를 가진 산림이 많으며, 이는 산림 생태계의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이어진다. 더불어민주당은 개벌을 통한 천연림으로의 수종 갱신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현재 산림청 주도로 이루어지는 개벌 및 조림 방식은 오히려 산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6. 1. 문제점

개벌이 시행되면 넓은 면적의 지표면이 한꺼번에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환경 변화가 매우 커지고, 생물상 전체에 큰 교란을 일으킨다.[34]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 나무를 그루터기만 남겨두면, 그것들이 차츰 부패하면서 토양을 확보하는 능력을 잃고, 일정 기간 후에 토양 유출, 붕괴, 산사태 및 토석류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임업을 영위하는 회사나 산림조합은 다수의 국가에서 "합리적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개벌을 여전히 시행하고 있지만, "산림 파괴와 동의어이며, 산림 파괴 · 생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 관련 사례

개벌은 넓은 면적의 지표면을 한꺼번에 직사광선에 노출시켜 환경 변화를 크게 일으키고, 생물상 전체에 큰 교란을 야기한다.[34] 나무를 그루터기만 남겨두면, 그것들이 부패하면서 토양 확보 능력을 상실하여 토양 유출, 붕괴, 산사태, 토석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많은 국가에서 임업 회사나 산림조합이 "합리적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개벌을 시행하고 있지만, "산림 파괴와 동의어이며, 산림 및 생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8. 결론 및 향후 과제

개벌은 일정 구역의 나무를 모두 베어내는 것으로, 나무 높이의 2배 이상 되는 넓이로 벌채할 경우 산림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환경, 경제, 사회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문제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8. 1. 향후 과제

개벌이 행해지면 넓은 면적의 지표면이 한꺼번에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환경 변화가 매우 커지고, 생물상 전체에 큰 교란을 일으킨다.[34]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 나무를 그루터기만 남겨두면, 그것들이 차츰 부패하면서 토양을 확보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이는 일정 기간 후 토양 유출, 붕괴, 산사태 및 토석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많은 국가에서 임업 회사나 산림조합이 "합리적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개벌을 시행하고 있지만, "산림 파괴와 같으며, 산림 및 생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참조

[1] 뉴스 Budget for a €2,500/ha reforestation cost after clearfelling mature forest https://www.independ[...] 2018-05-12
[2] 간행물 Clear cut. http://nepis.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992
[3] 웹사이트 Clearcutting and Climate Change. http://www.biologica[...] Center for Biological Diversity, Tucson, AZ 2018-06-26
[4] 웹사이트 Environmental Blockading in Australia and Around the World – Timeline 1974–1997 https://commonslibra[...] 2023-07-07
[5] 웹사이트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Project: Forests http://www.environme[...] 2012-11-18
[6] 논문 The ecological effects of clear-cutting https://www.jstor.or[...] Environmental Reviews 1993
[7] 간행물 State of the World's Forests 2016 http://www.fao.org/3[...] FAO 2016
[8] 뉴스 Taiga! taiga! burning bright.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98-06-25
[9] 뉴스 Clear cut forests in Malaysia offer lessons for logging worldwide. http://thevarsity.ca[...] The Varsity, University of Toronto 2004-02-09
[10] 서적 The Dictionary of Forestry https://archive.org/[...]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1998-09-01
[11] 문서 Clearcut System Variations.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BC 1999
[12] 서적 Silviculture: concepts and applications 2007
[13] 웹사이트 Clear-cutting land Greeniacs Articles http://www.greeniacs[...] 2012-11-08
[14] 문서 Clearcutting affects stream chemistry in the White Mountains of New Hampshir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Nor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1986
[15] 문서 Changes in forest floor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tent following clear cutting in northern hardwoods. Ecology 1981
[16] 웹사이트 Forest Encyclopedia Networ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learcutting http://www.forestenc[...]
[17] 간행물 Impact of clear-cutting and road construction on soil erosion by landslides in the western Cascade Range, Oreg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75
[18] 웹사이트 Woodlot Harvest http://www1.agric.go[...] Government of Alberta: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2011-03-07
[19] 간행물 The Social Acceptability of Clearcutting in the Pacific Northwest https://www.jstor.or[...] 1995
[20] 문서 Clearcutting in local forests. Foothill Conservancy, Pine Grove, CA 2001
[21] 간행물 Immediate increase in plant species richness after clear-cutting of boreal herb-rich forests. Applied vegetation science 2004
[22] 간행물 Snow and Soil Frost Depth in Two Types of Shelterwood and a Clear cut Area Taylor & Francis
[23] 웹사이트 Reforestation http://www.arkive.or[...] Arkive 2013-01-10
[24] 웹사이트 Brazil & the Atlantic Forest http://www.nature.or[...] The Nature Conservancy 2016-01-11
[25] 웹사이트 Future threats to the Amazon rainforest http://news.mongabay[...] 2012-11-01
[26]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rain forest threats https://web.archive.[...]
[27] 문서 The Clearcutting Controversy - Myths and Facts. West Virginia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1999
[28] 간행물 The Power of Silviculture: Employing Thinning, Partial Cutting Systems and Other Intermediate Treatments to Increase Productivity, Forest Health and Public Support for Forestry http://dovetailinc.o[...] Dovetail Partners Inc. 2009-06-06
[29] 간행물 Effects of clear-cutting on stream temperature. Water resources research 1970
[30] 웹사이트 DNR - DNR http://www.michigan.[...]
[31] 웹사이트 Responses of Wildlife to Clearcutting and Associated Treatment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http://www.clemson.e[...] 2012-11-08
[32] 웹사이트 Ancient Forest Alliance - Old Growth Forests British Columbia http://www.ancientfo[...] 2012-11-08
[33] 웹사이트 Outcome Based Forestry: Forest Policy and Management: Division of Forestry: Maine ACF https://www.maine.go[...] 2020-03-26
[34] 문서 それにより、一方では森林性の生物の[[絶滅]]の危機を招き、他方では例えば[[シカ]]などの[[草食動物]]の餌場を増加させることでその数を増やす効果も持つが、いずれにせよ森林の回復を妨げることと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