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 독일 남서부와 프랑스 동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위치했다. 기원전 1세기부터 로마와 게르만족 간의 관계가 있었으며, 아우구스투스는 게르마니아 전체를 하나의 속주로 통합하려 했으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의 패배로 무산되었다. 이후 로마는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경계로 삼고 방어 체계를 구축했으며, 요새와 리메스 게르마니쿠스를 건설하여 게르만족의 침입에 대비했다. 4세기 말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함께 게르만족의 침입이 잦아지면서 5세기 초 로마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주요 도시로는 마인츠, 스트라스부르, 비스바덴 등이 있었으며, 여러 총독들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독일 - 게르마니아
게르마니아는 라틴어로 게르만족이 사는 땅을 의미하며, 고대 로마인들이 라인강 동쪽의 오늘날 독일, 폴란드, 체코 등을 포함하는 지역을 지칭한 명칭으로, 로마 제국과 게르만족 간의 교류 및 충돌의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 로마 시대의 독일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게르마니아 인페리 오르는 현재의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남부, 벨기에 일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고대 로마 제국의 속주로, 라인 강 국경을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프랑크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 로트바일
로트바일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중세 시대 자유 제국 도시로 번영했으며, 로트바일러 견종의 기원이 된 곳이다. -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 브장송
브장송은 프랑스 동부 두 강이 환류하는 지형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 베손티오라는 이름으로 갈리아인 세쿠아니족의 중심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제국 도시로 지정되었고, 보방의 요새를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마이크로 기술, 시계 산업, 프랑슈-콩테 대학교로 알려져 있다. - 5세기에 멸망한 나라 -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서쪽 지역으로, 내외부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476년에 멸망했지만, 법, 문화, 종교 등은 서유럽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5세기에 멸망한 나라 - 수아송 왕국
5세기 후반 갈리아 북서부에 존재했던 수아송 왕국은 서로마 제국의 잔존 세력이었으나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며 아이기디우스와 그의 아들 시아그리우스가 통치했으나, 486년 프랑크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하고 프랑크 왕국에 병합되었다.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 |
---|---|
지리 | |
위치 | 현재의 프랑스, 독일, 스위스에 걸쳐 있음 |
역사 | |
성립 | 갈리아 전쟁 이후 |
설치 | 83년 |
해체 | 475년 |
주요 사건 | 갈리아 제국 (260–274년)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Provincia Germania Superior |
국가 | 로마 제국 |
수도 | 모곤티아쿰 |
현재 국가 | 프랑스 독일 스위스 |
2. 기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는 "상게르마니아" 및 "하게르마니아"라는 용어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카이사르는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게르마니(Germani)라 불렸고, 게르마니아라는 명칭이 이 지역의 다른 토착민들을 칭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기록을 남겼다.[12][13]
원래 이 지역에는 헬베티족, 세쿠아니족, 레우키족, 트레베리족 등의 갈리아계 부족들이 거주했다. 기원전 58년에 아리오비스투스가 이끄는 게르만족이 베손티오를 점령하려 했으나 카이사르에게 격퇴당했다. 이들은 미틀라인 북쪽 기슭에 잔존했다.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옥타비아누스 황제는 주요 원로원 속주들을 직접 관리하려 했으며, 이 속주들은 10여 년 후에 원로원에 반환될 예정이었다. 이 속주들 중에는 상게르마니아가 있었으며, 공화국 말년에 속주가 되었다. 타키투스는 그의 《편년사》에서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언급했다. 카시우스 디오는 게르만 부족들을 켈트족으로 보았는데, 이는 당시 하게르마니아의 명칭인 벨기카(Belgica)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상게르마니아가 라인강의 수원 지역까지 뻗어 있다고 보았으나, 오늘날에는 상게르마니아를 통과하는 라인강 구역을 미틀라인이라 부른다.
2. 1. 초기 로마 관계
기원전 1세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는 이 지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또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다. 카이사르는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로마인들이 게르마니 키스르헤나니라 부르던 부족에게 사용된 용어인 게르마니(Germani)라 칭해졌고, 게르마니아라는 명칭이 이 지역에 살던 다른 토착민들을 칭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 보이는 기록들을 남겼다.[12][13]원래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지배한 것은 켈트족이었고, 아리오비스투스가 이끄는 게르만족이 베손티오(현재 브장송)를 공략하여 라인강 북안에 주둔하고 있었으나, 기원전 58년 보게수스 전투에서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에게 패배했다.
로마인들은 그 이후로 이 지역을 한 번도 포기하지 않았다. 카시우스 디오는 게르만 부족을 켈트족으로 보았는데, 아마도 당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 부여된 이름인 벨기카에 의해 주어진 인상 때문일 것이다. 디오는 국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지만, 상부 게르마니아가 라인강의 수원까지 뻗어 있다고 보았다.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가 로마의 속주가 된 것은 로마 공화국의 마지막 몇 년 동안이다. 타키투스의 『연대기』(3.41, 4.73, 13.53)에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2. 2. 제국의 경계
아우구스투스는 중앙 게르마니아 전체를 게르마니아 마그나라는 하나의 속주로 통합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게르만족에게 패배하면서 좌절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제국의 경계를 라인 강-다뉴브 강 국경으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이 지역에서는 끊임없는 갈등이 벌어졌고, 로마는 징벌 원정을 실시하고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요새화해야 했다.[1]기원전 12년경, 크산텐(카스트라 베테라)과 마인츠(모곤티아쿰)에 드루수스가 활용했던 주요 기지가 존재했다. 이러한 기지를 중심으로 점차 요새 체계가 발전했다. 69년–70년,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따라 있는 모든 로마의 방어시설들은 게르만족의 침입 및 내전으로 파괴되었다. 이 격렬했지만 짧았던 사회적 격변이 끝난 후, 방어시설들은 마인츠와 아우크스부르크(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을 연결하는 도로와 함께 이전보다 더 광범위하게 재건되었다.[1]
도미티아누스는 83년–85년에 프랑크푸르트 북쪽(그들의 이름을 딴 헤센)에 있던 카티족과 전쟁을 벌였다. 이 시기에 첫 번째 방어선, 즉 지속적으로 요새화된 국경이 건설되었으며, 이는 관측을 위한 개간지, 가능한 곳에는 말뚝 울타리, 나무 감시탑, 도로 교차로에 위치한 요새로 구성되었다. 이 체계는 90년경에 길이가 최대에 이르렀다. 로마의 도로는 오덴발트를 통과했고 보조도로망도 모든 요새와 감시탑을 연결했다.[1]

3. 로마 제국의 통치
아우구스투스는 게르마니아 중부 지역 전체를 게르마니아 마그나라는 하나의 속주로 통합하려 했으나, 이 계획은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게르만 부족들에게 저지당했다. 아우구스투스는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경계로 제국을 제한하기로 결정했고, 이후 이 경계를 따라 분쟁이 계속되면서 로마는 보복 원정을 감행하거나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요새화했다.
기원전 12년경, 크산텐과 마인츠에 드루수스가 사용했던 주요 주둔지가 있었고, 이 주둔지를 중심으로 요새 체계가 점차 발전했다. 69년–70년에는 게르만족의 침입과 내전으로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따라 있는 로마의 방어 시설들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이 혼란이 끝난 후, 방어 시설들은 아우구스부르크를 연결하는 도로와 함께 이전보다 더욱 강화되었다.
도미티아누스는 83년–85년에 카티족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고, 이 시기에 시야가 확보된 지역, 팰리세이드, 목제 감시탑과 요새들로 구성된 지속적인 요새화 국경인 제1선이 건설되었다. 이 체계는 90년경에 최대 길이에 도달했고, 로마의 도로는 오덴발트를 통과했으며, 보조도로망이 모든 요새와 감시탑을 연결했다.
3. 1. 방어 전략
로마는 라인 강과 다뉴브 강 사이의 돌출부를 방어하기 위해 마인츠(모곤티아쿰)를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구축했다. 이 돌출부는 강 전체를 따라 인구 밀도가 높은 켈트족 거주지를 둘로 나누고 있었고, 침입자들이 슈바르츠발트(검은숲)에 몸을 숨겨 이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다.[1]로마는 이 돌출부의 근거지를 중심으로 리메스(국경 방벽)를 건설하고, 감시탑과 요새를 배치하여 게르만족의 침입에 대비했다. 이 방어 시설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게 방어되었지만, 마인츠에 주둔한 군단이 예방적, 보복적 원정을 수행하며 국경을 안정시켰다.[1]
이러한 방어 체계는 마인츠에 배치된 중무장 병력들이 있을 때에만 성공적일 수 있었다. 고정된 방어시설만으로는 충분한 방어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 공격을 위한 다른 병력들이 필요했다. 방어시설들은 반격이 이뤄질 때까지 경고하거나 지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시간이 지나면서 리메스는 임시적 성격을 잃고, 요새 주위에 비키(Vici)라고 불리는 지역사회가 발달했다. 150년경에는 감시탑과 주둔지가 돌로 재건되었고, 병사들은 프레스코화로 장식된 질 좋은 돌벽으로 된 병영에서 거주했다. 게르만족 문명도 발달하여, 카티족과 알레마니족은 리메스 주위의 아늑한 로마화된 마을에서 거주하게 되었다.[1]
3. 2. 속주 발전
로마 제국의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기인 90년에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는 정식 황제 속주로 재편되었으며, 이때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속주의 넓은 지역을 흡수했다. 훗날 황제가 된 트라야누스는 96년부터 98년까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총독을 역임하며 속주 발전에 기여했다. 헬베티족의 지배 영역도 이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4. 속주의 종말
4세기 말, 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게르만족의 침입이 잦아졌다. 로마가 50년에 걸쳐 최북단 속주들에 대한 통제력을 서서히 상실함에 따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남쪽 지역(오늘날의 스위스)은 막시마 세콰노룸 속주로 통합되었다가, 5세기 초 부르군트족에게 점령되었다. 북쪽 지역은 알레만니족에게 점령당하며 로마의 지배가 종식되었다.
5. 주요 도시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주요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도시명 | 로마 시대 명칭 | 비고 |
---|---|---|
마인츠 | 모곤티아쿰 (Mogontiacum) | 주도, 아레사키움 중심지 |
브장송 | 베손티오 (Besontio) | |
스트라스부르 | 아르겐토라테 (Argentorate) | |
비스바덴 | 아쿠아이 마티아카이 (Aquae Mattiacae) | 마티아코룸 중심지 |
라덴부르크 | 로포두눔 (Lopodunum) | 수에보룸 니크레툼 중심지 |
빔펜 | 키비타스 알리시넨시움 | |
슈투트가르트-바드칸슈타트 | ||
로텐부르크 | 수멜로체나 (Sumelocenna) | 키비타스 수멜로첸시스 |
로트바일 | 아라에 플라비아이 (Arae Flaviae) | |
바덴바덴 | 아쿠아에 (Aquae) | 키비타스 아쿠엔시스 |
보름스 | 보르베토마구스 (Borbetomagus) | 방기오눔 중심지 |
슈파이어 | 노비오마구스 (Noviomagus) | 네메툼 중심지 |
헤던하임 | 니다 (Nida) | 키비타스 타우넨시움 |
디부르크 | 키비타스 아우데리엔시움 |
5. 1. 키비타테스
마인츠(모곤티아쿰)는 아레사키움의 중심지였다.[12][13] 보름스(보르베토마구스)는 방기오눔의 중심지였다.[12][13] 슈파이어(노비오마구스)는 네메툼의 중심지였다.[12][13] 비스바덴(마티아코룸)은 마티아코룸의 중심지였다.[12][13]중심지 | 부족 |
---|---|
마인츠(모곤티아쿰) | 아레사키움 |
보름스(보르베토마구스) | 방기오눔 |
슈파이어(노비오마구스) | 네메툼 |
비스바덴(마티아코룸) | 마티아코룸 |
라덴부르크(로포두눔) | 수에보룸 니크레툼 |
바트 빔프펜 | 키비타스 알리시넨시움 |
슈투트가르트-바드칸슈타트 | |
로텐부르크(수멜로체나) | 키비타스 수멜로첸시스 |
로트바일(아라에 플라비아이) | |
바덴바덴(아쿠아에) | 키비타스 아쿠엔시스 |
헤던하임(니다) | 키비타스 타우넨시움 |
디부르크 | 키비타스 아우데리엔시움 |
6. 역대 총독
이름 | 재임 기간 |
---|---|
가이우스 실리우스 | 14년 - 16년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가이툴리쿠스 | 29년 - 39년 |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 39년 - 41년, 훗날 69년에 황제 |
폼포니우스 세쿤두스 | 50년 - 54년 |
호르데오니우스 플라쿠스 | 69년경[14] |
가이우스 딜리우스 보쿨라 | 69년 - 70년 |
아피우스 안니우스 갈루스 | 70년 - 72년 |
그나이우스 피나리우스 코르넬리우스 클레멘스 | 72년 - 75년 |
퀸투스 코르넬리우스 루푸스 | 79년 - 83년 |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 | 87년 - 89년 |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티디우스 토시아누스 루키우스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 | 89년 - 92년 |
섹스투스 루시아누스 프로쿨루스 | 93년 - 96년[15][16] |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 | 96년 - 97년 |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 | 97년/98년 |
이그노투스 (Ignotus) | 110년 - 112년 |
Kan[우스 유니우스 니게르] | 116년 - 118년 |
가이우스 퀸크티우스 케르투스 포블리키우스 마르켈루스 | 121년과 128년 사이 |
[...]ius | 128년/129년 - 130년/131년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쿠아르티누스 | 134년 - 13?년 |
티투스 카이세르니우스 스타티아누스 | 149년경 - 152년경 |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카루 페도 | 152년경 - 155년경 |
루키우스 다수미우스 툴리우스 투스쿠스 | 155년경 - 158년경 |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빅토리누스 | 162년경 - 166년경 |
루키우스 빅토리누스 플라비우스 카일리아누스 | 166년경 - 169년경 |
카일리아누스 프리스쿠스 (이름 불확실) | 174년경 - 177년경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 177년경 - 180년경 |
마르쿠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덱스트리아누스 | 187년경 |
가이우스 카이소니우스 마케르 루피니아누스 | 200년경 - 203년경 |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바르바루스 | 203년경 |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 206년경 - 209년경 |
[...] 아비티우스 | 213년 3월 28일 |
퀸투스 유니우스 [...] 퀸티아누스 | 213년 10월 |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우스 폴리오 | 218년경 |
막시무스 아티아누스 | 229년 3월 28일 |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 231년경 |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X, The Augustan Empire, 43 B.C. – A.D. 6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Germany: A New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01
[4]
문서
69 AD: The Year of Four Emperors
Oxford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6]
저널
Ein neuer Legat Domitians von Germania superior in einem Militärdiplom: Sex. Lusianus Proculus
2004
[7]
저널
Diplome, Konsuln und Statthalter: Fortschritte und Probleme der kaiserzeitlichen Prosopographie
2004
[8]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II
Verlag C. H. Beck
1983
[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https://books.google[...]
Rudolf Habelt Verlag
2017-04-12
[10]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180–235 n. Chr.
Verlag J.C. Gieben
[1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X, The Augustan Empire, 43 B.C. - A.D. 6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Germany: A New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01
[14]
저널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Verlag C. H. Beck
1982
[15]
저널
Ein neuer Legat Domitians von Germania superior in einem Militärdiplom: Sex. Lusianus Proculus
2004
[16]
저널
Diplome, Konsuln und Statthalter: Fortschritte und Probleme der kaiserzeitlichen Prosopographie
2004
[17]
저널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II
Verlag C. H. Beck
1983
[18]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https://books.google[...]
Rudolf Habelt Verlag
2017-04-12
[19]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 180-235 n. Chr. : prosopographische untersuchungen zur senatorischen elite im römischen kaiserreich
https://books.google[...]
Verlag J.C. Gieben
2017-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