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브는 이집트 신화에서 땅의 신으로, 그리스인들이 'Seb' 또는 'Keb'으로 발음하고 표기했다. 헬리오폴리스 신화에 따르면, 공기의 신 슈와 습기의 신 테프누트 사이에서 태어나 하늘의 여신 누트와 결혼하여 오시리스, 세트 등의 신들을 낳았다. 땅의 신으로서 생장, 치유, 지하세계와 관련되었으며, 때로는 수확과 치유의 여신 레네누테트와 연관되기도 했다.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와 동일시되며,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네아드 - 오시리스
    오시리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저승 세계의 왕이자 심판관이며 생명, 죽음, 재생의 신으로 숭배받았고, 곡물의 신이자 이집트의 왕으로서 문명을 전파했으나 살해당한 후 명계의 왕이 되었다.
  • 엔네아드 - 이시스
    이시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의 여신으로,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호루스의 어머니이며,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헌신적인 아내이자 어머니, 강력한 마법사이자 지혜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땅의 신 -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대지의 여신으로, 혼돈에서 태어난 태초의 신이자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여러 신과 괴물의 어머니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숭배받으며 신화와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땅의 신 - 큰메기
    일본 신화와 전설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지는 큰메기는 땅속에 살며 가시마 신궁의 신이 요석으로 억누르고 있다는 전설과 에도 시대 메기 그림 유행, 현대 지진 대비 활동 및 대중 문화 활용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이집트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이집트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게브
기본 정보
게브
게브
역할대지
상징보리, 거위, 황소, 살무사
신화
부모테프누트
형제자매누트
배우자누트, 테프누트, 레네누테트 (일부 출처)
자식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헤루-우르, 네헤브카우 (일부 신화)
이름
이집트어gbb
그리스어Κῆβ (Kē̂b)
다른 언어 표기
일본어ゲブ
한국어게브

2. 명칭

게브(Geb)라는 이름은 그리스인들이 사용한 발음과 표기이며, 이집트인들은 'Seb' 또는 'Keb'이라고 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추정은 중왕국 시대 및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문서들에 근거한다.[3] 이 이름은 그리스 시대부터 그렇게 발음되었으며, 원래는 잘못하여 '세브'로 읽혔다.[3]

3. 신화 속 역할 및 발전

게브는 '뱀의 아버지'로 여겨져 두려움의 대상이었으며, 오시리스호루스에게 왕위를 물려준 이집트의 왕으로 여겨졌다.[4] 나일 강 주변의 비옥한 토지와 척박한 사막을 동시에 의인화한 신으로, 영혼들을 무덤에서 인도하거나 가두는 역할을 했다.[4]

헬리오폴리스 신화에 따르면, 게브는 테프누트의 아들이자 누트의 남편으로, 오시리스, 세트, 이시스, 네프티스의 아버지이다. 게브와 누트는 혼돈과 질서를 구분하는 경계 역할을 하며, 슈가 그 사이를 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4]

시간이 지나면서 게브는 이집트의 거주 가능한 땅, 초기 통치자, 지하세계, 식물 등과 연관되었다.[6][7] 식물, 치유, 지하세계와의 연관성 때문에 수확의 여신 레네누테트와 연관되기도 했다.[7] 슈와 게브 사이에 이집트 최초의 신왕이 누구인지에 대한 추측이 있으며, 게브는 슈의 리더십에 도전하여 테프누트를 자신의 여왕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게브는 왕위를 오시리스에게 넘겨준 후 신들의 재판에서 판사 역할을 맡았다.[8]

3. 1. 그리스 신화와의 관련성

게브는 후에 그리스로 건너가 티탄들의 왕인 크로노스의 원형이 되었다.

그리스-로마 시대의 이집트에서 게브는 그리스 신화크로노스와 동일시되었는데, 이는 게브가 이집트 신화에서 제우스, 하데스, 포세이돈과 같은 신들의 아버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11] 이러한 동일시는 남부 파이윰 오아시스의 테브투니스에서 특히 잘 나타난다. 이곳에서 게브와 크로노스는 악어 신 소베크 숭배의 지역적 형태를 이루었다.[12] 신들의 지역적 도상에서 게브는 크로노스의 속성을 지닌 인간으로, 크로노스는 게브의 속성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2] 다른 한편으로, 지역 주요 신전의 사제들은 이집트어 텍스트에서는 "소크네브투니스-게브"의 사제로, 그리스어 텍스트에서는 "소크네브투니스-크로노스"의 사제로 자신들을 지칭했다. 따라서 신 게브의 이름을 딴 이집트식 이름은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특히 "크로니온"이라는 이름처럼 크로노스에서 파생된 그리스식 이름만큼이나 인기가 있었다.[13]

4. 상징 및 묘사

게브는 땅의 신으로서 생장, 치유, 지하 세계와도 관련이 있었다. 이집트인들은 게브를 수확과 치유의 여신인 레네누테트와 연관짓기도 했다.[7]

게브는 '뱀의 아버지'로 여겨져 두려움의 대상이었다.[4] 그는 오시리스호루스에 걸쳐 이어지는 '이집트의 왕'이라는 칭호를 최초로 가졌으며, 나일 강 주변의 비옥한 토지와 척박한 사막을 동시에 의인화한 신이었다. 그의 역할은 영혼들을 무덤에서 풀어주거나 인도하는 영역까지 확장되었고, 이는 '게브가 그의 턱을 벌린다'는 은유로 표현되었다. 그는 영혼들을 내세로 인도할 뿐만 아니라, 내세로 가기에 부적합한 영혼들을 가두는 역할도 맡았다.[6]

게브의 가장 오래된 표현은 조세르 왕 시대의 부조에 나타나며, 턱수염을 가진 의인화된 존재로 묘사된다. 후대에는 양, 황소, 악어 등으로 묘사되기도 했다.[5] 게브는 종종 뱀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누트를 향해 기대어 있는 남자로 표현되기도 한다. 보리가 그의 갈비뼈에서 자란다고 하며, 식물과 녹색 반점들로 묘사되기도 했다.[7]

4. 1. 거위와의 연관성 (논란)

일부 이집트학자(특히 얀 베르그만, 테렌스 뒤케스네, 리차드 H. 윌킨슨)는 게브가 세상 알을 낳아 그 알에서 태양과/또는 세계가 생겨났다는 신화적 창조신 거위와 연관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신의 이름 "게브"를 흰이마거위(''Anser albifrons'')의 이름과 혼동한 결과로 추정된다.[9] 흰이마거위는 원래 ''gb(b)'' ("절름발이, 비틀거리는 자")라고 불렸다.[9]

이 새의 표시는 신의 이름을 철자하기 위해 음소 문자로만 사용된다. 이 거위 종의 또 다른 고대 이름은 '술 취한 듯 걷는', '비틀거리는 자'를 의미하는 ''trp''였다. 흰이마거위는 게브의 숭배 상징이나 신성한 새로 발견된 적이 없다. 위에 언급된 신화적 창조자 '거위'는 ''Ngg wr'' ("위대한 울음소리")라고 불렸으며 항상 나일 거위/여우 거위 또는 이집트 거위 (''Alopochen aegyptiacus'')로 묘사되었는데, 이들은 조류학적으로 별도의 속에 속하며, 이들의 일반적인 이집트 이름은 ''smn'', 콥트어로는 ''smon''이었다. 한 채색된 삽화는 21왕조의 신화적 파피루스에 태양 창조와 관련된 맥락에서 부리가 열린 나일 거위 (''Ngg wr''!)를 명백하게 묘사하고 있다.[10]

이 신성한 새와 유사한 이미지는 사원 벽 (카르나크, 데이르 엘-바하리)에서 발견되며, 왕이 파피루스 뗏목 위에 서서 테베 신 아문-레-카무테프를 위해 의식적으로 파피루스를 꺾는 장면을 보여준다. 후자의 테베 창조신은 나일 거위로 구현될 수 있었지만, 흰이마거위로는 절대 구현되지 않았다. ''Underworld Books''에서, 구별 기호가 있는 거위 기호 (아마도 ''Anser albifrons''를 나타냄)는 때때로 서 있는 익명의 남성 의인화된 신의 머리 위에 묘사되어 게브의 정체성을 가리켰다. 게브 자신은 나일 거위로 묘사된 적이 없었지만, 나중에는 아문이 나일 거위로 묘사되었으며, 일부 신왕국 석비에서는 명시적으로 "아문, 아름다운 ''smn''-거위" (나일 거위)라고 불렸다.[10]

상형 문자에서 흰이마거위 (게브의 이름을 일반적인 상형 문자 철자로 표기, 종종 추가적인 -b- 기호가 뒤따름)와 게브의 이름을 표기할 때 나일 거위의 그림이 명확하게 혼동된 유일한 예는 쿠바 엘-하와 사막 능선(아스완 맞은편)에 있는 지방 총독 사렌푸트 2세 (제12왕조, 중왕국)의 암석 묘에서 발생하며, 특히 밝게 칠해진 장례 의식 제공 공식의 첫 번째 줄에서 열린 출입구 근처의 왼쪽 (남쪽) 벽에서 나타난다. 이 혼동은 아케나톤의 대리인들이 특히 테베 사원에서 왕실 칭호 '레의 아들'에서 물총새 기호 ('아들'을 의미)를 자주 훼손한 것과 비교할 수 있는데, 그들은 물총새 기호를 당시 금지된 신 아몬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나일 거위 기호와 혼동했다.[10]

5. 지진과의 관련성

고대 이집트에서는 게브가 웃었거나 재채기를 했던 것이 지진의 발생 원인으로 해석되었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2002
[2] 웹사이트 Geb http://www.ancienteg[...] 2014-10-06
[3]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Studies in Egypt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4-10-06
[4] 서적 Archaeologies of social life: age, class et cetera in ancient Egypt Wiley Blackwell 1999-10-20
[5] 웹사이트 Myth and Mythmaking in Ancient Egypt http://jacobusvandij[...] 1995
[6] 서적 Gods and Men in Egypt 3000 BCE to 395 CE Armand Colin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03
[8]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archive.org/[...] ABC-CLIO
[9] 간행물 "On the Names of Birds and Hieroglyphic Sign-List G 22, G 35 and H 3" 1991–1992
[10] 문서
[11] 서적 Der Herr der Seen, Sümpfe und Flußläufe. Untersuchungen zum Gott Sobek und den ägyptischen Krokodilgötter-Kulten von den Anfängen bis zur Römerzeit Harrassowitz
[12] 서적 Derniers visages des dieux dʼÉgypte. Iconographies, panthéons et cultes dans le Fayoum hellénisé des IIe–IIIe siècles de notre ère Presses de lʼuniversité Paris-Sorbonne; Éditions du Louvre
[13] 서적 Gottesdiener und Kamelzüchter: Das Alltags- und Sozialleben der Sobek-Priester im kaiserzeitlichen Fayum Harrassowit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