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자는 인류 역사와 함께 재배되어 온 작물로, 씨앗, 잎, 오일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및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사용 기록이 발견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제국에서도 널리 재배되었다. 흰 겨자, 갈색 겨자, 검은 겨자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현대에는 캐나다, 네팔, 인도 등이 주요 생산국이며, 한국에서는 갓, 돌산갓 등이 김치, 겉절이 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겨자씨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추족 - 루콜라
루콜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볶은 참깨와 비슷한 풍미와 매운맛이 특징이며, 샐러드, 피자 토핑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며, 한해살이풀로 재배가 용이하다. - 배추족 - 무속 (식물)
무속은 배추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서양무아재비, 무 등을 포함하며, 다육질의 뿌리줄기와 유채꽃과 비슷한 흰색, 연노란색, 보라색 꽃을 피운다. - 식물 향명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식물 향명 - 블루보넷 (식물)
블루보넷은 책, 스포츠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소재로 활용되며, 토미 드파올라의 아동 도서와 텍사스 휴스턴에서 개최된 대학 미식축구 볼 게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 향신채 - 겨자무
겨자무는 매운맛을 내는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한 십자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조미료 및 약재로 사용되며 로스트비프 등과 함께 곁들여 먹고 와사비 대용품으로도 쓰인다. - 향신채 - 달래
달래는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알뿌리는 식용하며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는다.
| 겨자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Brassica juncea (브라시카 준케아) |
| 한국어 | 겨자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식물계(Plantae) |
| (미분류)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 (미분류) | 장미군(Rosids) |
| 목 | 배추목(Brassicales) |
| 과 | 배추과(Brassicaceae) |
| 속 | 배추속(Brassica) |
| 종 | B. juncea |
| 어원 | |
| 어원 | 겨자는 씨앗을 태워 약으로 쓴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 특징 | |
| 특징 | 높이는 1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5~6월에 노란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긴 각과로, 익으면 터져 씨앗이 나온다. 씨앗은 매운 맛이 있으며, 겨자, 약재, 기름 등으로 사용된다. |
2. 역사

겨자는 인류 역사와 함께 오랜 기간 재배되어 온 작물 중 하나이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기원전 2500년에서 1700년 사이 인더스 문명에서 겨자가 재배되었다.[2] 서스캐처원 겨자 개발 위원회는 기원전 3000년 수메르 및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겨자 사용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을 발견했다.[3]
2021년 ''B. rapa''에 대한 광범위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6,000년 전 중앙 아시아에서 가축화되었을 수 있으며, 순무 또는 유채가 최초의 산물이었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결과는 이 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평가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4]
2. 1. 고대 문명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일부 겨자 식물 품종이 널리 재배되었지만, 조하리와 호프는 "이러한 작물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은 거의 없다"고 언급한다. 야생 겨자 및 그 친척인 무와 순무는 서아시아와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어 해당 지역에서 가축화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하리와 호프는 "이러한 식물의 기원에 대한 추측은 필연적으로 언어학적 고려 사항에 기반을 둔다."라고 결론짓는다.[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기원전 2500년에서 1700년 사이 인더스 문명에서 겨자가 재배되었다고 한다.[2] 서스캐처원 겨자 개발 위원회는 기원전 3000년 수메르 및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겨자 사용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이 발견된다고 한다.[3]2. 2. 중세 및 근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에 이미 일부 겨자 식물 품종이 널리 재배되었지만, 조하리와 호프는 "이러한 작물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은 거의 없다"고 언급한다.[1] 야생 겨자 및 그 친척인 무와 순무는 서아시아와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어, 해당 지역 어딘가에서 가축화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하리와 호프는 "이러한 식물의 기원에 대한 추측은 필연적으로 언어학적 고려 사항에 기반을 둔다."라고 결론짓는다.[1]2. 3. 현대
현대에는 캐나다, 네팔, 인도 등이 주요 겨자 생산국이다. 한국에서는 갓, 돌산갓 등이 재배되며, 김치, 겉절이 등 다양한 한국 음식의 재료로 널리 활용된다. 최근에는 겨자씨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3. 종류
겨자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크게 흰 겨자, 갈색 겨자, 검은 겨자로 분류된다.
캐나다와 네팔은 세계 최대의 겨자 씨 생산국으로, 2010년 세계 생산량의 약 57%를 차지했다.[6]
겨자 종은 유럽 원산의 딱정벌레인 ''Phaedon cochleariae''(겨자 잎벌레)의 흔한 기주 식물이다.[9][10]
최근에는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합한 높은 오일 함량을 가진 겨자 품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겨자 오일로 만든 바이오디젤은 좋은 유체 역학적 특성과 세탄가를 가지며, 오일 압착 후 남은 잔여물은 효과적인 살충제로 밝혀졌다.[11]
3. 1. 흰 겨자 (Sinapis alba)
흰 겨자(''Sinapis alba'')는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지중해 유럽 원산으로, 오랜 식물 재배를 통해 더 멀리 퍼져나갔다. 흰 겨자는 유럽(영국과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피복 작물로 흔히 사용된다.[7]
독일[7]과 네덜란드[8]에는 많은 품종이 존재하며, 주로 개화 시기 지연과 흰무낭충(''Heterodera schachtii'')에 대한 저항성이 다르다. 농부들은 씨앗을 생산하지 않는 늦게 개화하는 품종을 선호하는데, 이는 다음 해에 잡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기 생장은 토양을 빠르게 덮고 잡초를 억제하며 침식으로부터 토양을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 사탕무와의 윤작에서 흰무낭충의 억제는 중요한 특성이다. 저항성 흰 겨자 품종은 선충 개체수를 70~90% 감소시킨다.
3. 2. 갈색 겨자 (Brassica juncea)
히말라야 산기슭이 원산지인 갈색 겨자(''Brassica juncea'')는 인도, 캐나다, 영국, 덴마크, 방글라데시[5] 및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된다. 한국에서는 갓, 돌산갓 등이 재배되며, 김치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3. 3. 검은 겨자 (Brassica nigra)
검은 겨자(''Brassica nigra'')는 아르헨티나, 칠레, 미국 및 일부 유럽 국가에서 재배된다.[6] 씨앗은 향신료로 쓰이고, 잎은 채소로 활용된다.4. 특징
겨자의 뿌리잎은 깃 모양이며 높이는 1m~2m이다.
5. 활용
겨자는 씨앗, 잎, 오일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오일 함량이 높은 겨자 품종을 바이오디젤 생산에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1]
5. 1. 오일
최근 연구에서는 바이오디젤, 즉 디젤 연료와 유사한 재생 가능한 액체 연료 생산에 사용하기 위해 높은 오일 함량을 가진 겨자 품종을 연구했다. 겨자씨 오일은 좋은 유체 역학적 특성과 세탄가를 갖는다. 오일을 압착한 후 남은 잔유물 역시 효과적인 살충제로 밝혀졌다.[11]6. 갤러리

참조
[1]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Indus civilization
https://www.britanni[...]
2024-03-01
[3]
웹사이트
The Mustard Site | What is Mustard?
http://www.saskmusta[...]
2016-03-16
[4]
논문
Brassica rapa Domestication: Untangling Wild and Feral Forms and Convergence of Crop Morphotypes
https://academic.oup[...]
2021-04-30
[5]
웹사이트
Excellent mustard production likely in Rangpur region
https://archive.dhak[...]
2023-02-07
[6]
웹사이트
FAOSTAT Countries by Commodity
http://faostat.fao.o[...]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2-05-08
[7]
문서
BSL Getreide 2015
https://www.bundesso[...]
[8]
웹사이트
Brancheorganisatie Akkerbouw
https://www.kennisak[...]
2023-02-07
[9]
간행물
Multiple feeding stimulants in Sinapis alba for the oligophagous leaf beetle Phaedon cochleariae
http://link.springer[...]
2008-03
[10]
서적
Chrysomelidae : the leaf-beetles of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area
Natura Optima dux Foundation
[11]
웹사이트
Industrial mustard crops for biodiesel and biopesticides
http://www.bioproduc[...]
2004-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