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159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지는 광해군의 장남으로, 1598년에 태어나 1623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1608년 원자에 책봉되었고, 같은 해 세자로 책봉되었다. 1610년 세자빈 간택, 1611년 박자흥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인조반정으로 폐세자가 되어 강화에 위리안치되었으며, 1623년 자결하였다. 드라마 《왕의 여자》, 《왕의 얼굴》, 《화정》 등에서 배역으로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왕족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사형된 왕족 - 이차돈
이차돈은 신라 법흥왕 때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인물로, 자신의 죽음을 통해 왕의 위엄을 세우고 신하들의 반대를 잠재워 신라 불교의 초석을 다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조선의 왕세자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의 왕세자 - 문효세자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하여 정조에게 큰 슬픔을 안겼고, 그의 죽음은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지 (159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폐세자 이지 |
휘 | 이지 (李祬) |
이명 | 이수 (李修) 또는 이질 (李桎) |
출생일 | 1598년 12월 31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23년 7월 22일 (향년 25세)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강화도 배소 |
매장지 | 알 수 없음 |
왕위 | |
왕세자 | 조선 |
재위 기간 | 1608년 3월 21일 ~ 1623년 3월 14일 |
전임자 | 광해군 (왕세자 혼) |
후임자 | 소현세자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광해군 |
어머니 | 폐비 유씨 |
배우자 | 폐세자빈 박씨 |
자녀 | 딸 2명: 군주 (요절), 서녀 이씨 (김문거의 처) |
2. 생애
1598년(선조 31) 12월 31일(음력 12월 4일) 광해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1608년(광해 즉위년)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원자(元子) 칭호를 받았고, 같은 해 3월 21일 세자로 책봉되었다.[1]
광해군은 정인홍, 정구를 세자 보양관으로 삼고, 명나라에 세자 책봉을 요청하는 글을 올리는 등 세자 책봉을 위해 노력하였다.[1] 그러나 왕세자 책례는 선조의 소상으로 미루어졌다.[1]
1609년(광해군 1년) 6월 2일 광해군이 국왕 책봉 교서를 받았다. 1610년(광해군 2년) 4월 11일 명나라에서 이지의 세자 책봉을 승인하였다.[2] 5월 11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세자 책례를 거행하고 교서를 반포하였다.[2] 1611년(광해군 3년) 8월 2일 박자흥(朴自興)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고 교서를 반포하였다.[2]
1618년(광해군 10년)에는 허균의 딸을 후궁인 소훈으로 들였다.[2]
1623년(인조 1) 3월 14일 인목대비가 주도한 인조반정으로 폐세자가 되었고, 강화도에 위리안치되었다.[3] 탈출을 시도하다 붙잡혔고, 결국 자결을 명받아 7월 22일(음력 6월 25일) 목을 매어 죽었다.[3]
2. 1. 세자 책봉 이전
1598년(선조 31) 12월 31일(음력 12월 4일) 광해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1608년(광해 즉위년) 2월 2일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원자(元子) 칭호를 받았고, 같은 해 3월 21일 세자로 책봉되었다.[1]광해군은 같은 해 4월 22일 정인홍, 정구를 세자 보양관으로 삼고, 5월 22일 이필영을 명나라에 보내 세자 책봉을 요청하는 글을 올리게 하였다.[1] 8월 7일 왕세자 책례는 선조의 소상으로 미루어졌으며,[1] 8월 17일 세자의 이름을 수(脩) 자로 쓰는 문제를 대신에게 물었더니 모두 적당하다고 하였다.[1] 같은 해 8월 20일 유희분을 겸 세자 우부빈객에 임명하였다.[1]
1598년 12월 31일,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첫째 아들은 출생 직후 사망)로 태어났다. 형식적으로는 장남이다. 1608년 2월 2일, '왕위 계승자' 또는 '왕자'라는 의미의 원자(元子)로 책봉되었고, 같은 해 3월 21일에는 왕세자(王世子)로 승격되었다.
2. 2. 세자 시절
1609년(광해군 1년) 6월 2일 광해군이 국왕 책봉 교서를 받았고, 같은 날 왕세자가 백관을 거느리고 전(箋)을 올렸다. 그해 10월 26일 광해군은 세자의 이름이 좋지 않다 하여 경(憼) 자나 당(榶) 자로 바꾸는 것에 대해 의논하게 하였다. 11월 30일 왕세자의 휘를 지(祬)로 개명하고 종묘에 고하였다.[2]1610년(광해군 2년) 윤 3월 20일 세자의 관례를 합문(閤門) 안 대청에서 거행하도록 하였다. 4월 11일 명나라에서 이지의 세자 책봉을 승인하였다. 4월 16일 정원군 이부에게 세자의 혼례를 주관하게 하였다. 4월 28일 예조의 건의로 관례시 빈(賓)이 짓는 자(字)를 미리 마련하게 하였다. 5월 3일 성균관 입학에 대해 아뢰게 하였다. 5월 4일 세자빈 간택을 위해 금혼령을 내렸다. 5월 6일 세자의 관례를 행하였다. 5월 11일 세자 책례를 창덕궁 인정전에서 행하고, 세자 책례에 따른 교서를 반포하였다. 5월 22일 태묘와 공성왕후 사묘(私廟)를 알현하였다. 5월 28일 알성례와 작헌례를 행하였다. 9월 27일 장흥고동(長興庫洞)에 세자빈 간택 후 거처할 사제(私第)를 수리하라고 하였다. 11월 30일 세자빈 간택을 봄으로 미루고 우선 도감을 설치하여 준비하게 하였다. 12월 22일 영의정 이덕형을 가례도감 도제조로 삼았다. 12월 28일 세자빈 가례 전에 옮겨 거처할 별궁을 이현본궁(梨峴本宮)으로 옮겨 설치하게 하였다.[2]
1611년(광해군 3년) 7월 27일 박자흥(朴自興)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기 위해 그 가세(家世)를 아뢰도록 하였다. 8월 2일 박자흥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고 교서를 반포하였다. 10월 12일 이항복, 오억령 등을 보내어 왕세자의 고기례(告期禮)를 행하였다. 10월 24일 세자의 친영 가례가 끝났다.[2]
1614년(광해군 6년) 7월 5일 세자빈의 산실 설치를 이유로 대궐 안팎에서 곤장을 치는 일을 삼가게 하였다. 12월 19일 동궁 아기씨가 죽은 일로 치상(治喪) 등의 일을 예조로 하여금 참작토록 하였다.[2]
1618년(광해군 10년) 5월 13일 세자궁 소훈(昭訓)을 간택하라 하였다. 교산 허균의 딸을 후궁인 소훈으로 들였다. 이후 이아기(李娥其)라는 딸이 태어났는데, 세자의 유일한 생존 자녀였다.[2]
2. 3. 폐세자와 최후
1623년(인조 1) 3월 14일 인목대비가 광해군을 폐하고,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綾陽君)을 왕위에 오르게 하는 반정이 일어났다. 이지는 이 반정으로 폐세자가 되었고, 이 해 3월 23일 아버지 광해군 및 가족들과 함께 강화도에 위리안치되었다.[3] 같은 해 5월 22일 위리안치된 상황에서 땅굴을 파고 도망치다 붙잡혔고, 사흘 후 세자빈 박씨는 자결하였다. 이 해 5월 26일 여러 신하들이 세자의 처형을 청하여 자결을 명받았고, 7월 22일(음력 6월 25일) 목을 매어 죽었다. 능양군은 옷, 이불, 관곽, 예장 등의 일을 세자빈의 예에 따라 거행하게 하였다.유배 중 폐위된 부부는 단식을 하거나 목을 매 자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약 두 달 후인 4월(음력 5월)에 이지는 탈출을 위해 땅굴을 팠으나, 부인과 함께 섬을 탈출하려던 중 왕실 군인들에게 붙잡혔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광해군 (1575~1641) |
어머니 | 왕비 유씨 (1576~1623) |
세자빈 | 빈 박씨 (1598~1623) - 박승종의 손녀이며 이이첨의 외손녀 |
장녀 | 군주 (1614~1614)[5] |
후궁 | 소훈 허씨 - 허균의 딸 |
후궁 | 미상 |
차녀 | 현주 (1618~?) - 김문거와 혼인[6] |
후궁 | 이씨 (생몰년 미상) - 이경무의 딸 |
삼녀 | 현주 (1620~?)[7]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문서
Korean calendar (lunar) birth and death dates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서적
인조실록
인조실록 2권, 인조 1년(1623년 명 천계(天啓) 3년) 6월 25일 (갑신)
[5]
서적
응천일록 1(凝川日錄一)
1614-12-19
[6]
서적
만가보
[7]
서적
광해군일기[중초본]
광해군일기[중초본] 156권, 광해 12년(1620년 명 만력(萬曆) 48년) 9월 15일 (기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