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강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강로는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시작하여 양평군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의 횡성군, 평창군, 강릉시를 잇는 도로이다. 1975년부터 여러 차례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남양주시, 양평군, 횡성군, 평창군, 강릉시가 있으며, 각 지역의 주요 시설 및 건물들이 경강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44호선 - 홍천 나들목
    홍천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국도 제44호선과 연결되며 한국도로공사 홍천지사와 인접해 폐쇄식 요금소를 운영한다.
  • 국도 제44호선 - 양양 나들목
    양양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에 위치하며, 2012년 동해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나들목 역할도 수행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 남춘천 나들목
    남춘천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에 위치한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09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 서종 나들목
    서종 나들목은 서울양양고속도로와 북한강로를 연결하는 트럼펫형 입체 교차로이며, 2009년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 위치한다.
  • 지방도 제424호선 - 강원남부로
    강원남부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서 삼척시, 동해시를 잇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
  • 지방도 제424호선 - 백두대간로
    백두대간로는 2009년 고시된 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로, 지역 균형 발전과 관광 활성화를 목적으로 국도 및 지방도와 접속하며 공공 및 편의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경강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도로 종류일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경기도 지방도
강원특별자치도 지방도
양평군도
횡성군도
평창군도
노선명경강로
노선 번호국도 제5호선의 일부
국도 제6호선의 일부
국도 제19호선의 일부
국도 제31호선의 일부
국도 제35호선의 일부
국도 제37호선의 일부
국도 제44호선의 일부
국도 제45호선의 일부
국도 제59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45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408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420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424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456호선의 일부
양평군도 제3호선의 일부
양평군도 제6호선의 일부
횡성군도 제5호선의 일부
평창군도 제8호선의 일부
평창군도 제16호선의 일부
총 연장215.165km
기점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종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견소동
주요 경유지
주요 교차 도로

2. 역사

1975년 10월 1일 양평군 단월면 모용리 ~ 청운면 가현리 간 총 280m 구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 공근면 초원리 간 총 36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의 총 380m 구간, 총 620m 구간이 폐지되었다.[1] 1976년 4월 7일에는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간 총 10.087km 구간이 개량되었다.[2] 1982년 1월 25일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58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교량 380m 구간은 폐지되었다.[3]

1994년 7월 15일 횡성군 우천면 하금리 ~ 횡성읍 추동리 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4] 1995년 12월 29일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팔당리 2.8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도곡리 3km 구간은 폐지되었다.[5] 1998년 12월 31일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km 구간 폐지[6],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18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5.49km 구간 폐지[7], 양수 ~ 덕평간 도로(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양평읍 오빈리) 15.27km 구간 확장 개통과 기존 16.73km 구간이 폐지되었다.[8]

1999년 11월 15일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9] 2000년 7월 1일 양평군 청운면 비룡리 ~ 용두리 2.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5km 구간이 폐지되었고,[10] 2000년 12월 31일 용문 ~ 용두간 도로(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 청운면 비룡리) 13.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km 구간이 폐지되었다.[11] 2001년 1월 1일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공근면 신촌리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2003년 11월 17일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 ~ 평촌리 5.42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13] 2003년 12월 31일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우천면 용둔리 구간 5.737km가 확장 개통되었다.[14] 2010년 12월 24일 오빈 교차로(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1km 구간이 입체화 개통되었다.[16]

2017년 6월 23일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이 폐지되었고,[17] 2017년 9월 22일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화도리) 10.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6km 구간이 폐지되었다.[18] 2017년 12월 4일 서원 ~ 공근간 도로(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총 8.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총 1.35km 구간이 폐지되었다.[19] 2017년 12월 27일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3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23.48km 구간 폐지[20],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190m 구간이 폐지되었다.[21] 2017년 12월 11일 간평 ~ 영동고속도로 횡계IC간 도로(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 차항리) 4.4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총 930m 구간이 폐지되었고,[22] 2017년 12월 20일 월정삼거리 ~ 차항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대관령면 유천리) 5.1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3]

2. 1. 도로 개통 및 확장

1975년 10월 1일 양평군 단월면 모용리 ~ 청운면 가현리 간 총 280m 구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 공근면 초원리 간 총 36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의 총 380m 구간, 총 620m 구간이 폐지되었다.[1] 1976년 4월 7일에는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간 총 10.087km 구간이 개량되었다.[2] 1982년 1월 25일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58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교량 380m 구간은 폐지되었다.[3]

1994년 7월 15일 횡성군 우천면 하금리 ~ 횡성읍 추동리 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4] 1995년 12월 29일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팔당리 2.8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도곡리 3km 구간은 폐지되었다.[5] 1998년 12월 31일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km 구간 폐지[6],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18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5.49km 구간 폐지[7], 양수 ~ 덕평간 도로(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양평읍 오빈리) 15.27km 구간 확장 개통과 기존 16.73km 구간이 폐지되었다.[8]

1999년 11월 15일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9] 2000년 7월 1일 양평군 청운면 비룡리 ~ 용두리 2.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5km 구간이 폐지되었고,[10] 2000년 12월 31일 용문 ~ 용두간 도로(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 청운면 비룡리) 13.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km 구간이 폐지되었다.[11] 2001년 1월 1일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공근면 신촌리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2003년 11월 17일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 ~ 평촌리 5.42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13] 2003년 12월 31일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우천면 용둔리 구간 5.737km가 확장 개통되었다.[14]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경강로'''를 고시하였다.[15] 2010년 12월 24일 오빈 교차로(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1km 구간이 입체화 개통되었다.[16]

2017년 6월 23일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이 폐지되었고,[17] 2017년 9월 22일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화도리) 10.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6km 구간이 폐지되었다.[18] 2017년 12월 4일 서원 ~ 공근간 도로(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총 8.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총 1.35km 구간이 폐지되었다.[19] 2017년 12월 27일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3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23.48km 구간 폐지[20],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190m 구간이 폐지되었다.[21] 2017년 12월 11일 간평 ~ 횡계IC간 도로(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 차항리) 4.4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총 930m 구간이 폐지되었고,[22] 2017년 12월 20일 월정삼거리 ~ 차항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대관령면 유천리) 5.1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3]

2. 2. 도로명 고시

wikitext

  • 1975년 10월 1일 : 양평군 단월면 모용리 ~ 청운면 가현리 총 28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80m 구간 폐지,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 공근면 초원리 총 36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620m 구간 폐지[1]
  • 1976년 4월 7일 :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10.087km 구간 개량[2]
  • 1982년 1월 25일 :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580m 구간 개통, 기존 교량 380m 구간 폐지[3]
  • 1994년 7월 15일 : 횡성군 우천면 하금리 ~ 횡성읍 추동리 6.8km 구간 개통[4]
  • 1995년 12월 29일 :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팔당리 2.8km 구간 개통, 기존 남양주시 상패동 ~ 와부읍 도곡리 3km 구간 폐지[5]
  • 1998년 12월 31일 :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km 구간 폐지[6],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18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5.49km 구간 폐지[7], 양수 ~ 덕평간 도로(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양평읍 오빈리) 15.2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73km 구간 폐지[8]
  • 1999년 11월 15일 :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9]
  • 2000년 7월 1일 : 양평군 청운면 비룡리 ~ 용두리 2.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5km 구간 폐지[10]
  • 2000년 12월 31일 : 용문 ~ 용두간 도로(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 청운면 비룡리) 13.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km 구간 폐지[11]
  •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공근면 신촌리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5km 구간 폐지[12]
  • 2003년 11월 17일 :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 ~ 평촌리 5.426km 구간 확장 개통[13]
  • 2003년 12월 31일 : 횡성군 횡성읍 마산리 ~ 우천면 용둔리 구간 5.737km 확장 개통[14]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경강로'''를 고시[15]
  • 2010년 12월 24일 : 오빈 교차로(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1km 구간 입체화 개통[16]
  • 2017년 6월 23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17]
  • 2017년 9월 22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1공구(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화도리) 10.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마암리 1.6km 구간 폐지[18]
  • 2017년 12월 4일 : 서원 ~ 공근간 도로(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초원리) 총 8.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 총 1.35km 구간 폐지[19]
  • 2017년 12월 27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3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횡성군 둔내면 화동리 ~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총 23.48km 구간 폐지[20],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190m 구간 폐지[21]
  • 2017년 12월 11일 : 간평 ~ 횡계IC간 도로(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 차항리) 4.4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 총 930m 구간 폐지[22]
  • 2017년 12월 20일 : 월정삼거리 ~ 차항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대관령면 유천리) 5.141km 구간 확장 개통[23]

3. 주요 경유지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3. 1.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서 국도 제6호선(경춘로)과 연결되며 시작된다.[24] 도농 나들목에서는 북부간선도로와 교차하지만 강릉 방면 진입과 남양주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다.[24] 이패 나들목에서는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와 교차하며, 여기서도 강릉 방면 진입과 남양주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다.[24] 양정동을 지나 와부읍에 이르면 덕소강변대교와 도곡교를 지난다. 국도 제45호선(창우로)과 만나는 팔당대교 나들목부터는 국도 제6호선국도 제45호선이 겹치는 구간이다.[24] 이후 팔당1터널부터 팔당4터널을 지나 봉안터널까지 이어진다.[24] 조안면에서 국도 제45호선(북한강로)과 분기된 후, 신양수대교를 건너 양평군으로 진입한다.[24]

양평군 양서면에서는 양수 교차로를 통해 양수로와 연결된다. 국도 제6호선은 용담대교를 통해 강릉 방향으로만 통행이 가능하다.[24] 옥천면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만나는 양평 나들목이 있다.[24] 양평읍에서는 국도 제37호선과 만나고, 상평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마유산로)과 겹치는 구간이 시작된다.[24] 양평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7호선 여주-양평간 도로와 교차한다.[24] 용문면에서는 용문터널을 지나고, 마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41호선(용문산로)과 교차한다.[24] 단월면에서는 봉상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용문로)과 만나고, 삼가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45호선(양동로)과 교차한다.[24] 보룡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단월로)과 분기된다.[24] 청운면에서는 국도 제44호선(설악로)과 분기되고, 갈운리에서 지방도 제349호선(몰운고갯길)과 교차한 후 도덕터널을 지난다.[24]

3. 2.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서는 서원면, 공근면, 횡성읍, 우천면, 둔내면을 지난다. 평창군에서는 봉평면, 용평면, 진부면, 대관령면을 지난다.

횡성군 서원면에서는 국도 제6호선 구간인 도덕터널이 있고, 풍수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409호선(서원서로)과 교차한다. 유현 교차로에서는 서원로와 교차한다. 공근면에서는 횡성공근농공단지에서 아이티밸리길과 연결되고, 신촌 나들목에서 국도 제5호선(영서로)과 교차한다. 횡성읍에서는 학곡 나들목에서 한우로와 교차하고, 입석 나들목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9호선(횡성로)과 교차한다.[24] 읍상 교차로, 마산 교차로, 구만교는 한우로와 연결된다. 추동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42호선(한우로)과 교차하며, 영영포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성동로)과 교차한다. 우천면에서는 추용로와 연결되는 교차로가 있으며, 하산전교, 산전교, 정금교를 지난다. 둔내면에서는 황고개를 지나 현천삼거리에서 지방도 제411호선(강변로)과 교차하고, 둔내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둔방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20호선(고원로)과 교차하며, 둔내삼거리, 둔내호텔, 주막 교차로, 버덩말 교차로, 마암 교차로, 덕성 교차로, 삽교 교차로, 화동 교차로, 구두미 교차로를 지난다. 양구두미재는 태기산 정상(해발 960m)에 위치한다.[24]

평창군 봉평면에서는 무이 교차로, 태기사거리, 무이1/2 교차로, 남안교, 흥정천교, 평촌, 진전 교차로를 지난다. 태기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408호선(태기로)과 교차하고, 무이1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08호선(팔송로)과 교차한다. 평촌에서는 지방도 제424호선(애강나무길)과 교차한다. 용평면에서는 백옥포2 교차로, 백옥삼거리, 평창 나들목, 장평교, 장평2 교차로, 방덕 교차로, 용전1/2/5 교차로, 둔전 교차로, 성낭 교차로, 이목정1/2 교차로, 배나무정1/2 교차로, 안산 교차로, 속사 나들목을 지난다. 백옥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408호선, 지방도 제424호선(태기로)과 교차하고, 평창 나들목에서는 영동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장평교에서는 국도 제31호선(평창대로)과 교차한다. 속사 나들목에서는 영동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한다. 진부면에서는 속사삼거리, 속사1/2 교차로, 하진부2 교차로, 하진부 교차로, 진부체육공원 교차로, 오대교사거리, 오대4 교차로, 가우1 교차로, 월정삼거리를 지난다. 하진부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오대천로)과 교차하고, 월정삼거리에서는 국도 제6호선, 국도 제59호선(진고개로)과 교차한다. 대관령면에서는 유천 교차로, 고교, 싸리재 교차로, 차항리, 차항교, 대관령 나들목, 구 횡계 교차로, 대관령마을휴게소를 지난다. 대관령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구 횡계 교차로에서는 대관령로, 올림픽로와 연결된다. 대관령은 대관령마을휴게소 인근에 있다.[24]

4. 노선

4. 1. 경기도 구간

경기도 구간의 경강로는 남양주시양평군을 지난다.

남양주시 구간은 국도 제6호선 구간으로 시작한다. 다산동에서 경춘로(국도 제6호선)와 접속하며, 양정동에서는 북부간선도로와 연결되는 도농 나들목이 있다. 이 나들목은 강릉 방면 진입과 남양주 방면 진출이 불가능하다.[24] 이패방앗간앞 교차로에서 양정로(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와 교차하고, 이패 나들목에서는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와 연결된다. 이패 나들목 역시 강릉 방면 진입과 남양주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다.[24] 와부읍에서는 덕소로와 연결되는 도곡 나들목이 있고, 하팔당삼거리에서 팔당로와 만난다. 팔당대교 나들목에서 창우로(국도 제45호선)와 접속하며, 이후 국도 제6호선국도 제45호선 구간이 중첩된다.[24] 조안면에서는 북한강로(국도 제45호선)와 연결되는 조안 나들목이 있고, 여기서부터 다시 국도 제6호선 단독 구간이 된다.[24]

양평군 구간은 양서면에서 시작한다. 양수 교차로에서 양수로와 만나고, 신원역 교차로, 국수 교차로를 거쳐 옥천면에 이른다. 양평 나들목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연결된다.[24] 양평읍에서는 마유산로(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와 만나는 상평 교차로, 여주 ~ 양평간 도로(국도 제37호선)와 만나는 양평 교차로가 있다. 용문면에서는 용문산로(지방도 제341호선)와 교차하는 마룡 교차로, 용문로와 만나는 금곡 교차로가 있다. 단월면에서는 양동로(지방도 제345호선)와 교차하는 삼가 교차로, 단월로(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와 만나는 보룡 교차로가 있다. 청운면에서는 설악로(국도 제44호선)와 교차하는 용두 교차로, 몰운고갯길(지방도 제349호선)과 만나는 갈운리가 있다.[24]

4.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경강로의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횡성군, 평창군, 강릉시를 지난다.

횡성군 구간에서는 서원면, 공근면, 횡성읍, 우천면, 둔내면을 지난다. 주요 교차로 및 나들목으로는 풍수원 교차로, 신촌 나들목, 학곡 나들목, 입석 나들목, 읍상 교차로, 마산 교차로, 추동 교차로, 영영포 교차로, 둔내 나들목, 둔방 교차로, 주막 교차로, 버덩말 교차로, 마암 교차로, 덕성 교차로, 삽교 교차로, 화동 교차로, 구두미 교차로 등이 있다. 특히, 입석 나들목에서는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9호선이 교차하며, 영영포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19호선 (성동로)과 연결된다.[24] 횡성군 내 주요 터널로는 도덕터널과 횡성터널이 있으며, 섬강교, 왕래교, 연내교, 원대교, 광전교, 학곡육교, 학곡교, 가담육교, 전천1교, 읍상육교, 구만육교, 구만교, 추동2교, 추동3교, 하산전교, 산전교, 정금교 등의 다리가 있다.[24] 또한, 횡성공근농공단지가 위치해 있다.

평창군 구간에서는 봉평면, 용평면, 진부면, 대관령면을 지난다. 주요 교차로 및 나들목으로는 무이 교차로, 태기사거리, 무이1 교차로, 무이2 교차로, 진전 교차로, 백옥포2 교차로, 백옥삼거리, 평창 나들목, 장평2 교차로, 방덕 교차로, 용전1 교차로, 용전2 교차로, 용전5 교차로, 둔전 교차로, 둔지 교차로, 성낭 교차로, 이목정1 교차로, 이목정2 교차로, 배나무정1 교차로, 배나무정2 교차로, 안산 교차로, 속사 나들목, 속사삼거리, 속사1 교차로, 속사2 교차로, 하진부2 교차로, 하진부 교차로, 오대4 교차로, 가우1 교차로, 월정삼거리, 대관령 나들목 등이 있다. 특히, 평창 나들목, 속사 나들목, 대관령 나들목에서는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된다.[24] 평창군 내 주요 교량으로는 남안교, 흥정천교, 장평교, 용전1교, 이목정1교, 사남1교, 사남2교, 하진부교, 가우교, 월정교, 고교, 차항교, 횡계2교, 횡계3교, 횡계육교, 초막교, 어흘교 등이 있다.[24] 양구두미재는 태기산 정상에 위치하며 해발 960m이다. 속사리재와 대관령도 이 구간에 속한다. 또한, 대관령마을휴게소가 있다.

강릉시 구간은 성산면, 홍제동, 중앙동, 옥천동, 포남동, 송정동을 지난다. 주요 교차로 및 나들목으로는 장안 교차로, 남문삼거리, 객사문사거리, 옥천오거리, 안목사거리가 있으며, 강릉 나들목에서는 동해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강릉국도유지관리사무소(구 구산휴게소)가 위치해 있다. 주요 교량으로는 홍제1교, 홍제2교, 홍제육교 등이 있다.[24]

5. 주요 시설 및 건물

양정역 (경기도 남양주시 경강로 237)

프라움악기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 756)

양평군환경사업소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경강로 1496)

양평소방서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경강로 2047)

봉상치안센터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경강로 3526)

청운초등학교 갈운분교 (현 양평갈운수련원,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경강로 4867)

유현치안센터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서원면 경강로 483)

유현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서원면 경강로 711)

신촌치안센터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경강로 1520)

한얼문예박물관 (구 용둔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경강로 2885-2)

정금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경강로 3276)

현천고등학교 (구 현천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 4119)

둔내초등학교 덕성분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 5353)

화동보건진료소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 5369)

용평치안센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03-3)

용평119지역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04)

용평우체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17-18)

용평면사무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27)

대관령원예조합산지도매시장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220)

도성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경강로 4177-6)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경강로 4937)

대관령기상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경강로 5372)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경강로 5481)

강릉국도유지관리사무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경강로 1247)

홍제동주민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1953)

강릉문화회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1963)

중부지방고용노동청 강릉지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1991)

강릉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007)

한국은행 강릉본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063)

홈플러스 강릉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20)

한국자산관리공사 강원지역본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51)

옥천동주민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179)

이마트 강릉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398-10)

강릉동부지구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439)

송정동 행정복지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451)

동명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473)

강릉경찰수련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580)

동해상사고속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628)

5. 1. 경기도

양정역경기도 남양주시 경강로 237에 위치해 있다. 프라움악기박물관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 756에 있다. 양평군에는 경강로를 따라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는데, 양평군환경사업소는 옥천면 경강로 1496, 양평소방서양평읍 경강로 2047, 봉상치안센터는 단월면 경강로 3526, 청운초등학교 갈운분교(현 양평갈운수련원)는 청운면 경강로 4867에 위치한다.

5. 2. 강원특별자치도

유현치안센터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서원면 경강로 711에, 유현초등학교는 경강로 483에 위치한다. 신촌치안센터는 횡성군 공근면 경강로 1520에 있다. 한얼문예박물관(구 용둔초등학교)은 횡성군 우천면 경강로 2885-2에, 정금초등학교는 경강로 3276에 위치한다. 현천고등학교(구 현천초등학교)는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 4119에, 둔내초등학교 덕성분교는 경강로 5353에, 화동보건진료소는 경강로 5369에 있다.

용평치안센터는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03-3에, 용평119지역대는 경강로 2004, 용평우체국은 경강로 2017-18, 용평면사무소는 경강로 2027, 대관령원예조합산지도매시장은 경강로 2220에 위치한다. 도성초등학교는 평창군 대관령면 경강로 4177-6에,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는 경강로 4937, 대관령기상대는 경강로 5372,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는 경강로 5481에 위치한다.

강릉국도유지관리사무소는 강릉시 성산면 경강로 1247에 위치한다. 홍제동주민센터는 강릉시 경강로 1953, 강릉문화회관은 경강로 1963, 중부지방고용노동청 강릉지청은 경강로 1991, 강릉의료원은 경강로 2007, 한국은행 강릉본부는 경강로 2063, 홈플러스 강릉점은 경강로 2120, 한국자산관리공사 강원지역본부는 경강로 2151, 옥천동주민센터는 경강로 2179, 이마트 강릉점은 경강로 2398-10, 강릉동부지구대는 경강로 2439, 송정동 행정복지센터는 경강로 2451, 동명초등학교는 경강로 2473, 강릉경찰수련원은 경강로 2580, 동해상사고속은 경강로 2628에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10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2]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31호 http://theme.archive[...] 1976-04-07
[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6호, 제7호 http://theme.archive[...] 1982-01-25
[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30호 http://theme.archive[...] 1994-07-15
[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148호 http://theme.archive[...] 1996-01-15
[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3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4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5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05호 http://theme.archive[...] 1999-12-04
[1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66호 http://theme.archive[...] 2000-07-05
[1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5호 http://gwanbo.mois.g[...] 2001-01-16
[1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3호 http://gwanbo.mois.g[...] 2001-01-10
[1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21호 http://www.provin.ga[...] 2003-12-26
[1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6호 http://wcmo.molit.go[...] 2004-01-14
[15]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http://gwanbo.mois.g[...] 2009-07-10
[1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28호 http://gwanbo.mois.g[...] 2010-12-24
[1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42호 http://gwanbo.mois.g[...] 2017-06-23
[1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67호 http://gwanbo.mois.g[...] 2017-09-21
[1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96호 http://gwanbo.mois.g[...] 2017-12-04
[2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8호 http://gwanbo.mois.g[...] 2017-12-27
[2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17호 http://gwanbo.mois.g[...] 2018-01-05
[22]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7-1382호 http://www.provin.ga[...] 2017-12-11
[23]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7-1417호 http://www.provin.ga[...] 2017-12-20
[24]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25]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6]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