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44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44호선은 양평에서 양양을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되었다. 경기도 양평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을 지나며, 주요 경유지로는 양평읍, 용문면, 홍천읍, 인제읍, 양양읍 등이 있다. 2006년 집중 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도로가 파손되기도 했으나, 지속적인 확장 및 개량 공사를 통해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44호선 - 홍천 나들목
홍천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국도 제44호선과 연결되며 한국도로공사 홍천지사와 인접해 폐쇄식 요금소를 운영한다. - 국도 제44호선 - 양양 나들목
양양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에 위치하며, 2012년 동해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나들목 역할도 수행한다. - 양양군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양양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인제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인제군의 교통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국도 제44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로 등급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44 |
노선명 | 양평 ~ 양양선 |
노선 번호 명칭 | 국도 제44호선 |
노선 개요 | |
총 연장 | 137.2 km |
개통 년도 | 1971년 8월 31일 |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
주요 경유지 | |
경기도 | 양평군 |
강원특별자치도 |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 |
주요 교차 도로 |
2. 역사
-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4호선''' 양평~양양선으로 지정되었다.[4]
- 1981년 3월 14일: 양평읍, 양양읍 승격에 따라 기점 및 종점 표기가 수정되었다.[5]
- 1987년 4월 17일: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180m 구간이 폐지되었다.[6]
- 1987년 6월 9일: 홍천군 홍천읍 결운리 260m 구간이 폐지되었다.[7]
- 1994년 10월 13일: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상오안리 5.8km 구간이 개통되었다.[8]
- 1996년 1월 12일: 홍천교(홍천군 홍천읍 연봉리~희망리) 144m 구간이 재가설 개통되었다.[9]
- 1998년 2월: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 4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 1999년 11월 15일: 양평~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0]
- 2000년 7월 1일: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상오안리 19.55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7.3km 구간은 폐지되었다.[11]
- 2000년 9월 1일: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화촌면 구성포리 8.3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7.77k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 2001년 12월 29일: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북면 한계리 15.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3.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3]
- 2002년 12월 21일: 신남~인제간 도로(강원도 인제군 남면 부평리~인제읍 남북리) 5.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4.2km 구간은 폐지되었다.[14]
- 2004년 1월 1일: 강원도 양양군 서면 논화리~양양읍 청곡리 8.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5]
- 2006년 7월 15일: 중부지방 집중 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제군 북면 한계령입구 삼거리~양양군 서면 논화 삼거리 구간 도로 파손 및 두절.
- 2006년 12월 5일: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이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16]
- 2007년 1월 15일: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구성포리~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09년 6월 30일: 오가~논화간 도로(양양군 서면 가라피리~논화리) 2.9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7]
2. 1. 지정 및 초기 변화
-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4호선''' 양평 ~ 양양선이 됨.[4]
- 1981년 3월 14일: 양평읍, 양양읍 승격에 따라 기점 및 종점 표기 수정.[5]
- 1987년 4월 17일: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180m 구간 폐지.[6]
- 1987년 6월 9일: 홍천군 홍천읍 결운리 260m 구간 폐지.[7]
2. 2. 도로 확장 및 개량
- 1994년 10월 13일: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 상오안리 5.8km 구간이 개통되었다.[8]
- 1996년 1월 12일: 홍천교(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 희망리) 144m 구간이 재가설 개통되었다.[9]
- 1998년 2월: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 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 4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 1999년 11월 15일: 양평 ~ 용문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 용문면 삼성리) 4.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0]
- 2000년 7월 1일: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상오안리 19.55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7.3km 구간은 폐지되었다.[11]
- 2000년 9월 1일: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 ~ 화촌면 구성포리 8.3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7.77k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 2001년 12월 29일: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 북면 한계리 15.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3.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3]
- 2002년 12월 21일: 신남 ~ 인제간 도로(강원도 인제군 남면 부평리 ~ 인제읍 남북리) 5.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4.2km 구간은 폐지되었다.[14]
- 2004년 1월 1일: 강원도 양양군 서면 논화리 ~ 양양읍 청곡리 8.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5]
- 2006년 12월 5일: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 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이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16]
- 2007년 1월 15일: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구성포리 ~ 인제군 남면 남전리 33.9km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09년 6월 30일: 오가 ~ 논화간 도로(양양군 서면 가라피리 ~ 논화리) 2.9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7]
2. 3. 2006년 수해 피해 및 복구
2006년 7월 15일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 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하여, 인제군 북면 한계령입구 삼거리에서 양양군 서면 논화 삼거리 구간의 도로가 파손되고 두절되었다.[16]3. 주요 경유지
국도 제44호선은 경기도 양평군과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용문면, 단월면, 청운면)과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홍천읍, 화촌면, 두촌면), 인제군 (남면, 인제읍, 북면), 양양군 (서면, 양양읍)을 지난다.
구간 거리표 (단위 km)
- 양평군: 6.3 (용두IC ~ 신당고개 정상)
- 홍천군: 49.4 (신당고개 정상 ~ 건니고개 정상)
- 인제군: 51.5 (건니고개 정상 ~ 한계령 정상)
- 양양군: 30.0 (한계령 정상 ~ 양양 종점, 오색터널 구간 포함)

3. 1. 경기도
경기도 양평군을 통과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상평 교차로[19] |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 양평군 | 양평읍 | 시점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과 중복 |
양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양평로)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과 중복 | ||
양평소방서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공흥육교 | 백운길 | |||
백동육교 | 초롱길 | |||
백안육교 | 중앙로 | |||
신흥육교 | 대흥로 | |||
용문터널 | 용문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345m 하행 연장 173m | ||
용문 교차로 | 갈월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용문교 | ||||
마룡 교차로 | 지방도 제341호선 (용문산로) | |||
금곡 교차로 | 용문로 | |||
봉상삼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용문로) | 단월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삼가 교차로[2] | 지방도 제345호선 (양동로), 봉상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 ||
단월 교차로 | 보룡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보룡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단월로)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 ||
교동 교차로 | 백동길 | 청운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비룡 교차로 | 비룡1길 | |||
용두 교차로 | 국도 제6호선 (경강로) | |||
다대 교차로 | 용두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삼성 교차로 | 청운삼성안길 | |||
신당고개 |
양평군(양평읍 · 용문면 · 단월면 · 청운면)을 지나며, 양평군 내 구간 거리는 6.3km(용두IC ~ 신당고개 정상)이다.
3. 2.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한국어 (남면, 홍천읍, 화촌면, 두촌면) - 인제군 (남면, 인제읍, 북면) - 양양군 (서면, 양양읍) 구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홍천군 구간'''
홍천군 구간의 총 거리는 49.4km이다. (신당고개 정상 ~ 건니고개 정상)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신당고개 | 홍천군 | 남면 | |
양덕중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앞 삼거리 | 새작들길 | ||
양덕원IC | 양덕원로 지방도 제494호선 (시동로) | 상행 진입 불가 | |
양덕1교 | |||
월천리삼거리 | 양덕원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며느리고개터널 | 상행 연장 약 565m 하행 연장 약 515m | ||
홍천읍 | |||
오안초등학교(상오안리 사거리) | 오안로 높은터로 | ||
홍천IC | 중앙고속도로 | ||
둔지교 남단 | 송학정로 (국도 제5호선 (영서로) | ||
연봉IC | 무궁화로 무궁화로1길 | ||
연봉1교 | 장전평로 | 하행 무궁화공원 주차장 통해 진출입 가능 | |
연봉2교 | 남산강변로 | ||
남산교 남단 | 마지기로 | 상행 진출입 불가 | |
홍천문화예술회관 | |||
갈마곡1교 | 지방도 제444호선 (공작산로) | ||
갈마곡2교 | 지방도 제444호선 (공작산로) 결운로 오룡로 | ||
검율교 | |||
와동IC | 와동로 | ||
굴운IC | 굴운로 | 화촌면 | |
구성포IC |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 (가락재로) | ||
- | 홍천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동홍천IC (성산 교차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백이동길 | ||
원평IC | 야시대로 성산로 | ||
말고개IC | 주음치로 부목길 | ||
철정터널 | 상행 연장 약 330m 하행 연장 약 345m | ||
두촌면 | |||
철정IC(철정 사거리) | 지방도 제451호선 (아홉사리로) | ||
향교골IC | 향교골길 | ||
추평IC | 가래들길 | ||
가리산IC | 가리산길 | ||
역내IC | 자은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두촌교 | |||
용소IC | 경수길 | ||
자은IC | 자은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원동IC | 지방도 제408호선 (광석로) 원동조교로 | ||
장남IC(장남 사거리) | 남덕동길 장남길 | ||
원거IC | 장남길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건니고개 |
'''인제군 구간'''
인제군 구간의 총 거리는 51.5km이다. (건니고개 정상 ~ 한계령 정상)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과훈단IC(과훈단 삼거리) | 응봉길 | 인제군 | 남면 |
어론초등학교 | |||
어론IC | 어론길 | ||
다물IC | 지방도 제446호선 (김부대왕로) | ||
신풍IC | 신풍길 | ||
신남IC | 국도 제46호선 (신남로) (삼팔선로) | 상행 진입 불가 신남삼거리와 연결 | |
신남대교 | |||
유목IC | 국도 제46호선 (신남로)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새마을IC | 시댁골길 | ||
모루박IC | 모루박길 | ||
부평IC | 부평정자로 | ||
부평교 | |||
매고개 | |||
청구교차로 | |||
남전교 남전IC | 관대두무로 | ||
(이름 없음) | 신상촌길 | ||
인제대교 | |||
인제터널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922m 하행 연장 977m | ||
인제읍 | |||
인제공설운동장 | 인제로 가넷고개길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비봉로 | ||
합강IC | 국도 제31호선 (내린천로) 인제로 |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덕산IC(덕산삼거리) | 한석산로 | ||
북면IC | 국도 제31호선 (광치령로) 지방도 제453호선 (원통로) | ||
서호교 | 북면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금강로 | ||
원통IC | 원통로 | ||
관벌IC | |||
한계IC | 국도 제46호선 (미시령로) | ||
옥녀1교 옥녀2교 | |||
장수대 | |||
한계령 | 해발 920m |
'''양양군 구간'''
양양군 구간의 총 거리는 30.0km이다. (한계령 정상 ~ 양양 종점, 오색터널 구간 포함)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한계령 | 양양군 | 서면 | |
필례약수입구 | 필례로 | ||
용소폭포입구 | |||
오색버스터미널 | |||
오색초등학교 | |||
오색1IC | |||
남설악교 | |||
남설악터널 | 연장 약 815m | ||
논화IC |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 쌍솔배기길 | 국도 제5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 |
상평IC | 곰밭길 | ||
양양IC |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 ||
임천IC | 거마천로 임천길 양양로 | 양양읍 | |
구교IC | 북문길 한고개길 | ||
청곡IC | 국도 제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동해대로) | ||
4. 노선
- (■): 고속도로
'''IS''': 교차로, '''IC''': 분기점
국도 제44호선은 경기도 양평군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홍천군, 인제군을 거쳐 양양군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며, 여러 교차로, 교량, 터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경기도 구간
경기도 양평군을 지나는 국도 제44호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상평 교차로(상평 삼거리) |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 양평군 | 양평읍 | 시점[18]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과 중복[19] |
양평 교차로 | 국도 제37호선 (양평로)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과 중복 | ||
양평소방서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공흥육교 | 백운길 | |||
백동육교 | 초롱길 | |||
백안육교 | 중앙로 | |||
신흥육교 | 대흥로 | |||
용문터널 | 용문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345m 하행 연장 173m | ||
용문 교차로 | 갈월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용문교 | ||||
마룡 교차로 | 지방도 제341호선 (용문산로) | |||
금곡 교차로 | 용문로 | |||
봉상삼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용문로) | 단월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삼가 교차로(삼가 사거리) | 지방도 제345호선 (양동로), 봉상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 ||
단월 교차로 | 보룡길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보룡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45호선 (단월로)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4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 ||
교동 교차로 | 백동길 | 청운면 | 국도 제6호선과 중복 | |
비룡 교차로 | 비룡1길 | |||
용두 교차로 | 국도 제6호선 (경강로) | |||
다대 교차로 | 용두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삼성 교차로 | 청운삼성안길 | |||
신당고개 |
4.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국도 제44호선'''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서 홍천군, 인제군을 거쳐 양양군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홍천군 구간: 남면, 홍천읍, 화촌면, 두촌면을 통과한다. 주요 교차로로는 양덕원 교차로, 홍천 나들목, 연봉 교차로, 구성포 교차로, 동홍천 나들목(성산 교차로), 철정 교차로(철정 사거리), 원동 교차로, 장남 교차로(장남 사거리) 등이 있으며, 며느리고개터널과 철정터널이 있다.
- 인제군 구간: 남면, 인제읍, 북면을 통과한다. 과훈단 교차로(과훈단 삼거리), 신남 교차로, 유목 교차로, 합강교차로, 북면교차로, 한계교차로, 인제터널 등이 주요 지점이다. 특히, 신남 교차로부터 한계교차로까지는 국도 제46호선과 중복된다.
- 양양군 구간: 서면과 양양읍을 지난다. 한계령, 필례약수입구, 용소폭포입구, 오색버스터미널, 논화 교차로, 양양 나들목, 청곡 교차로, 남설악터널 등이 주요 지점이다.
4. 2. 1. 홍천군
洪川郡중국어은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이다. 국도 제44호선은 홍천군을 통과하며,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양덕원 교차로 | 양덕원로, 지방도 제494호선 (시동로) | 상행 진입 불가 |
홍천 나들목 | 중앙고속도로 | |
연봉 교차로 | 무궁화로, 무궁화로1길 | |
구성포 교차로 |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 가락재로) | |
동홍천 나들목 (성산 교차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백이동길 | |
철정 교차로 (철정 사거리) | 지방도 제451호선 (아홉사리로) | |
원동 교차로 | 지방도 제408호선 (광석로), 원동조교로 | |
장남 교차로 (장남 사거리) | 남덕동길, 장남길 | |
주요 터널 | ||
며느리고개터널 | 상행 약 565m, 하행 약 515m | |
철정터널 | 상행 약 330m, 하행 약 345m |
4. 2. 2. 인제군
이름[18]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과훈단 교차로(과훈단 삼거리) | 응봉길 | 인제군 | 남면 | |
어론초등학교 | ||||
어론 교차로 | 어론길 | |||
다물 교차로 | 지방도 제446호선 (김부대왕로) | |||
신풍 교차로 | 신풍길 | |||
신남 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신남로) (삼팔선로) | 상행 진입 불가 신남삼거리와 연결 | ||
신남대교 | ||||
유목 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신남로)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새마을교차로 | 시댁골길 | |||
모루박교차로 | 모루박길 | |||
부평교차로 | 부평정자로 | |||
부평교 | ||||
매고개 | ||||
청구교차로 | ||||
남전교 남전교차로 | 관대두무로 | |||
(이름 없음) | 신상촌길 | |||
인제대교 | ||||
인제터널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922m 하행 연장 977m | |||
인제읍 | ||||
인제공설운동장 | 인제로 가넷고개길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비봉로 | |||
합강교차로 | 국도 제31호선 (내린천로) 인제로 | 국도 제31, 46호선과 중복 | ||
덕산교차로(덕산삼거리) | 한석산로 | |||
북면교차로 | 국도 제31호선 (광치령로) 지방도 제453호선 (원통로) | |||
서호교 | 북면 | 국도 제46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금강로 | |||
원통교차로 | 원통로 | |||
관벌교차로 | ||||
한계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미시령로) | |||
옥녀1교 옥녀2교 | ||||
장수대 | ||||
한계령 | 해발 920m |
4. 2. 3. 양양군
'''국도 제44호선''' 양양군 구간에는 다음과 같은 교차로, 시설, 터널이 있다.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한계령 | 해발 920m | |
필례약수입구 | 필례로 | |
용소폭포입구 | ||
오색버스터미널 | ||
오색초등학교 | ||
오색1 교차로 | ||
남설악교 | ||
남설악터널 | 연장 약 815m | |
논화 교차로 |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 쌍솔배기길[18] | |
상평 교차로 | 곰밭길[18] | |
양양 나들목 |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65호선 동해고속도로[18] | |
임천 교차로 | 거마천로, 임천길, 양양로[18] | |
구교 교차로 | 북문길, 한고개길[18] | |
청곡 교차로 | 국도 제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동해대로)[18] |
5. 도로명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5]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6호
http://theme.archive[...]
1987-04-17
[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7-06-09
[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46호
http://theme.archive[...]
1994-10-13
[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6호
http://theme.archive[...]
1996-01-18
[1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05호
http://theme.archive[...]
1999-12-04
[1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66호
http://theme.archive[...]
2000-07-05
[1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90호
http://theme.archive[...]
2000-08-19
[1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53호
http://gwanbo.mois.g[...]
2001-12-29
[1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44호
http://gwanbo.mois.g[...]
2002-12-21
[1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4호
http://www.provin.ga[...]
2004-01-17
[16]
뉴스
홍천-인제 국도 4차로 확장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12-04
[1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9-41호
http://wcmo.molit.go[...]
2009-06-30
[18]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19]
문서
군산 옥구읍에도 상평 삼거리가 있다. 현재의 '상평교차로'는 '상평삼거리'였으나 지역 토박이에 의하면 상평삼거리라고 계속 부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