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된 조양보육사범학교를 모체로 하여,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사립 대학이다. 1960년대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된 후, 1970년대 용인으로 이전했다.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포함한 다양한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배우 차태현, 김건희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의 후원으로 설립되어 명신여학교에서 시작,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여자전문학교를 거쳐 1948년 대학교로 승격, 1955년 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으며, 격변기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여 제2창학 선언, 여성 학군단 설립, 공과대학 신설 등의 성과를 이루며 리더십 함양 교육과 문화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수원시의 학교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서울과 수원에 캠퍼스를 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계승하여 근대 대학으로 개편 후 현재에 이르렀으며,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하고 삼성그룹이 재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 수원시의 학교 -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는 1972년 아주공업전문대학으로 시작하여 1977년 대우그룹의 지원으로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1981년 종합대학 승격 후 아주대학교병원 개원과 더불어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국제 교류, 혁신적인 교육 및 연구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경기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기대학교 |
영문 이름 | Kyonggi University |
한자 표기 | 京畿大學校 |
로마자 표기 | Gyeonggi Daehakgyo |
설립일 | 1947년 11월 8일 |
개교일 | 1954년 |
학교 종류 | 사립 |
학교법인 | 학교법인 경기학원 |
총장 | 이윤규 |
표어 | 진(眞)·성(誠)·애(愛) |
상징 동물 | 거북 |
교화 | 백목련 |
교목 | 향나무 |
웹사이트 | 경기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 수원캠퍼스, 서울캠퍼스 |
수원 캠퍼스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 |
서울 캠퍼스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9길 24 |
대학 및 대학원 | |
대학 | 수원캠퍼스 인문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상대학 관광대학 국제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예술대학 체육대학 서울캠퍼스 인문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상대학 관광대학 예술대학 |
대학원 |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
기타 | |
규모 | 수원 및 서울캠퍼스 2곳, 8개 대학, 10개 대학원 |
2. 학교 연혁
1947년 조양보육사범학교로 시작한 경기대학교는 1964년 4년제 대학으로, 1984년에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1] 이후 꾸준한 발전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설립자는 손상규이다.
- 1947년: 조양보육사범학교 설립 (서울)[1]
- 1957년: 경기학원 설립[1]
- 1964년: 경기전문대학(서울) 설립[1]
- 1979년: 수원캠퍼스 개교[1]
- 1984년: 경기대학교로 승격[1]
2. 1. 설립 초기 (1947년 ~ 1963년)
1947년 11월 8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 265번지에 조양보육사범학교가 설립되었다.[1] 2년제 본과 40명, 1년제 전수과 40명으로 구성되었다.1954년 4월 15일, 조양보육초급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보육과, 교육무용과, 아동문학과(각 50명)의 3개 과가 설치되었다.[1] 1955년 1월 25일, 재단법인 하초학원에 인수되었다.[1] 같은 해 3월 7일, 재단법인 한진달재단이 재단법인 하초학원으로 설립자를 변경하였다.[1] 4월 1일, 학장에 조명기 박사, 이사장에 김법린 선생이 취임하였고,[1] 4월 9일, 아동문학과는 국문학과(50명)로 변경 인가되었다.[1] 4월 11일, 경기여자초급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1]
1957년 11월 27일, 소성 손상교 선생이 하초학원을 인수하고 재단법인 경기학원으로 인가받았다.[1] 초대 이사장에 손희장 선생이 취임하였고,[1] 12월 3일, 제2대 이사장에 백성욱 선생이 취임하였다.[1] 12월 28일, 경기여자초급대학은 경기초급대학으로 변경되고 남녀공학을 실시하였다.[1]
1958년 4월 7일, 보육과, 교육무용과, 국문학과의 3개 과는 보육과, 문학과(국문학, 영문학 전공), 상학과로 변경 인가되었으며, 각 50명씩 정원 150명이었다.[1] 9월 23일, 경대학보가 창간되었다.[1]
1959년 2월 16일, 보육과, 문학과, 상학과는 문과(50), 보육과(20), 상경과(80)로 변경되었다.[1] 3월 17일, 2부(야간)에 국문과(30명), 영문과(20명), 상경과(80명)의 3개 과 설치 인가를 받았다.[1]
1960년 2월 20일, 법과(30명)가 신설되었고, 문과는 국문(30명)과 영문 전공(20명)으로 나뉘었으며, 상경과는 상과(40명)로 변경되고, 보육과 정원은 10명으로 줄었다.[1] 12월 13일, 제3대 이사장에 손희장 선생이 취임하였다.[1]
1961년 5월 27일, 상과는 상경과로 변경되고 상학 전공(40명), 경제 전공(40명)으로 나뉘었다.[1]
1962년 2월 27일, 문과, 상경과, 법과는 폐과되고, 경기초급대학은 경기실업초급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으며, 야간부가 설치되었다.[1] 주간부 105명(보육과 40명, 의상과 25명, 상과 40명), 야간부 60명(의상과 20명, 상과 40명)으로 총 학생 수는 165명이었다.[1] 3월 19일, 1부(주간) 3개 과(공예과 25명, 토목건축과 30명, 관광과 40명) 및 2부(야간) 2개 과(공예과 20명, 토목건축과 40명)의 증설 인가를 받았다.[1]
1963년 1월 21일, 토목건축과는 토목공학과(40명)와 건축공학과(40명)로 개편 설치되고, 의상과는 가정과(40명)로 변경되었으며, 행정실무과(40명)가 신설되었다.[1] 12월 16일, 경기대학(4년제) 신설 인가를 받아 문리학부(국어국문학과 20명, 가정학과 30명)와 정경학부(상학과 20명, 행정학과 20명, 관광과 20명)가 설치되었고(정원 110명), 2부 학과(행정실무과, 상과, 관광과, 경영과)는 전폐되었다.[1]
2. 2. 4년제 대학 승격 및 발전 (1964년 ~ 1984년)
경기대학교는 1947년 11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에 설립된 조양보육사범학교를 모태로 한다.[1] 1954년 조양보육초급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55년 재단법인 하초학원에서 인수되었다. 이후 1957년 소성 손상교 선생이 하초학원을 인수하여 재단법인 경기학원으로 인가받았다.1962년, 경기실업초급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야간부를 설치하였다. 1963년에는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가정과, 행정실무과를 신설하고, 1963년 12월 16일, 마침내 4년제 대학인 경기대학으로 승격 인가를 받았다. 문리학부(국어국문학과, 가정학과)와 정경학부(상학과, 행정학과, 관광과)가 설치되었으며, 2부 학과는 전폐되었다.
1964년 1월 18일, 재단법인을 학교법인으로 변경하였고, 같은 해 4월 14일, 초대 학장에 손상교 선생이 취임하였다. 1964년 11월 7일에는 학부 강의실 및 도서관이 준공되었고, 12월 28일에는 학부에 교직과정이 설치인가를 받았다.
이후 학과 신설 및 변경이 꾸준히 이루어졌다. 1965년에는 가정학과가 폐과되고 경영학과로 개편되었으며, 관광학과가 관광경영학과로 변경되었다. 1969년에는 상학과가 무역학과로 개편되었고, 1971년에는 문리학부에 체육학과가 신설되었다. 1973년에는 학부에 2부가 설치되어 관광경영학과, 무역학과, 경영학과, 행정학과가 신설되었다.
1978년 2월 4일, 경기실업초급대학이 폐교되었고, 문리학부에 영어영문과, 정경학부에 회계학과가 신설되었다. 1979년에는 경기도 용인군(현 용인시)으로 대학 이전 인가를 받고, 수원캠퍼스 시대를 열었다. 같은 해 수원캠퍼스에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일어일문학과, 경제학과, 통계학과, 전자계산학과 등이 신설되었고, 서울캠퍼스(2부)에도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회계학과가 신설되었다.
1980년에는 전자계산소가 설립되었고, 수원캠퍼스에 사학과, 이학계, 법정계, 응용미술학과 등이 신설되었다. 1981년에는 산업공학과로 변경되었고, 1982년에는 수원캠퍼스에 도서관학과가 신설되었다. 1983년에는 중어중문학과가 신설되었고, 전자계산학과가 증원되었다.
1984년 10월 5일, 마침내 6개 단과대학(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대학)으로 구성된 종합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 이와 함께 회화과, 사회복지학과가 신설되고, 중어중문학과가 증원되었다.
2. 3. 종합대학교 승격 및 성장 (1984년 ~ 현재)
경기대학교는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이후 현재까지 발전을 거듭해왔다.- 종합대학교 승격 (1984년): 6개 단과대학(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대학)으로 구성된 종합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 회화과, 사회복지학과가 신설되고, 중어중문학과는 10명이 증원되었다.[1]
- 대학원 확장: 행정대학원(일반행정, 도시및지역개발행정, 안보행정, 부동산관리전공)이 석사과정 정원 60명으로 신설되었다. 대학원 석사과정에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법학과, 관광개발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등 6개 학과가 증설되어 총 15개 학과, 정원 90명으로 인가되었다.[1]
- 초대 총장 취임 (1985년): 김한주 박사가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1]
- 단과대학 개편 (1988년): 경상대학이 경상대학(6과 390명)과 관광대학(3과 130명)으로 개편되었다. 관광대학에 호텔경영학과(40명)가 신설되고, 예체능대학에 공예디자인학과(40명)가 신설되었다. 서울교사도 경상대학(4과 240명)과 관광대학(1과 40명)으로 개편되었다.[1]
- 대학원 추가 설치: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이 신설되었다.[1]
- 캠퍼스 확장: 수원교사에 2부 대학(4개 학과 60명)이 설치되고, 산업정보대학원(6개 학과 60명)이 신설되었다.[1]
- 지속적인 학과 신설 및 증원: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학과 신설 및 증원이 이루어졌다. 특히, 1994년에는 조형대학원, 건축대학원이 신설되었고, 1995년에는 통일안보대학원, 국제관계대학원이 신설되었다.[1]
- 전문대학원 체제 도입: 1997년 건축대학원이 건축전문대학원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관광전문대학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등이 신설되었다.[1]
- 캠퍼스 통합 및 학제 개편: 2000년대 이후 학부 및 대학원 구조조정을 통해 캠퍼스 통합 및 학제 개편을 추진했다. 특히, 2006년에는 총괄학부 체제에서 단과대학 체제로 편제를 조정했다.[1]
- 최근의 변화 (2010년대 이후): 2010년 본부대학 융합보안학과가 신설되었고, 2012년에는 건축공학과가 플랜트·건축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4년에는 법과대학, 국제대학이 폐지되고 사회과학대학으로 통합되었다. 2017년에는 단과대학 편제가 융합교양대학, 인문사회대학, 경상대학, 관광문화대학, 이공대학, 예술체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1]
- 2020년대 변화: 단과대학을 진성애교양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경영대학, 융합과학대학, 창의공과대학, 관광문화대학으로 개편하였다.
경기대학교는 종합대학교 승격 이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4. 역대 총장
대수 | 성명 | 임기 | 비고 |
---|---|---|---|
초대 | 김한주 | 1985년 3월 ~ 1988년 8월 | 자세한 정보는 [https://www.kyonggi.ac.kr/www/contents.do?key=5088 링크 참고] |
제2대 | 나민수 | 1988년 12월 ~ 1989년 8월 | |
제3대 | 박노우 | 1990년 7월 ~ 1993년 7월 | |
제4, 5, 6대 | 손종국 | 1993년 7월 ~ 2004년 5월 | |
제7대 | 이태일 | 2005년 5월 ~ 2009년 4월 | |
제8대 | 최호준 | 2009년 5월 ~ 2013년 1월 | |
제9대 | 김기언 | 2013년 3월 ~ 2017년 2월 | |
제10대 | 김인규 | 2017년 6월 ~ 2021년 5월 | |
제11대 | 이윤규 | 2022년 7월 ~ 2026년 7월 |
경기대학교는 서울특별시와 수원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3. 캠퍼스
'''서울캠퍼스'''는 과거 야간학부만 존재했으나, 1998년 연기전공 신설, 2000학년도 다중매체영상학부 5개 학과(정치매체관리학전공, 영상전공, 애니메이션전공, 전자디지털음악전공) 주간 신설, 이후 관광대학, 행정학과, 법학과, 경제학과의 주간 전환 등 변화를 겪었다. 2016년에는 서울캠퍼스 인문계열 8개 학과를 수원캠퍼스로, 수원캠퍼스 관광계열 3개 학과를 서울캠퍼스로 옮기며 서울캠퍼스를 관광·예술 분야로 특성화하고, 9개 단과대학을 6개로 통합하는 개편을 단행했다.
2017년 대학 측의 구조조정안 발표 및 이사회 의결에 대해 학생들은 반발하고 있다.[2]
캠퍼스 내에는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다.시설명 위치 연락처 영업시간 사진관 제2복지관 1층 031-249-8996, 031-252-7100 09:00~18:00 음료 자판기 각 강의동 장주원 010-2347-0248 없음 그라찌에 2강의동 로비 011-787-3925 08:40~19:00 종합강의동 1층 010-3209-5561 09:00~20:30 9강의동 1층 011-9984-3536 08:00~20:00 7강의동 1층 010-4810-3381 08:00~20:00 LSC (복지관) 복지관 지하 1층 031-207-2254 09:00~19:00 제2복지관 2층 031-241-3196 11:00~18:50 (09:00~11:00 라면 가능) 도서관 뒤, 교수 연구동 사이 031-241-8636 11:00~19:00 주 헤어 복지관 1층 106호 031-252-9751 10:00~19:30 (토요일 10:00~16:00) THE TABLE 홍보관 1층 031-242-2043 08:30~20:30 (주말 정상 영업) 플랜비 교수연구동 5층 031-245-2015 08:30~20:00 띠아모 미래관 로비 010-9439-3004 08:00~20:00 미래관 매점 미래관 1층 031-249-8990 월~금: 08:00~20:30 (토요일: 09:00~15:00) 우체국 복지관 1층 031-242-4502 금융: 09:00~16:30 / 우편: 09:00~18:00 ㈜제이맥 호연관 9434호 031-249-8696, 031-243-2157 09:00~18:00 경기 카피랜드 중앙도서관 1층 031-249-9536, 010-3446-3966 평일: 08:10~21:00, 토요일: 09:00~17:00, 방학기간: 09:00~17:00 종합강의동 평일: 08:30~20:00, 토요일: 09:30~15:00, 방학기간: 09:00~17:00 비어드 파파 제2복지관 1층 070-8885-941 08:00~18:00 제3복지관 2층 031-256-2987 07:30~19:30 신한은행 복지관 1층 031-252-7182 09:00~16:00 구두수선소 스쿨버스 매표소 부근 016-9223-9021 10:00~18:00 하나투어 경기대점 ㈜스카이투어여행사 제2복지관 1층 031-223-4774 09:00~18:00 구내서점 제2복지관 1층 031-249-8994, 010-4057-5001 학기중: 08:30~17:30, 방학중: 09:00~15:00, 3월/9월: 08:30~20:30 보광훼미리마드 복지관 1층 031-249-8797 평일: 08:00~22:00, 주말 및 공휴일: 09:00~17:00 제2복지관 1층 031-241-9353 월~금: 07:00~22:00, 토요일 및 공휴일: 08:00~17:00
3. 1. 수원캠퍼스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는 다양한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
단과대학 | 학부 및 학과 |
---|---|
진성애교양대학 | 교직학부, 교양학부, 진성애교양교육연구센터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문헌정보학과, 문예창작학과, 유아교육과, 글로벌어문학부(독어독문전공, 프랑스어문전공, 일어일문전공, 중어중문전공, 러시아어문전공) |
예술체육대학 | 입체조형학과, 체육학과, 시큐리티매니지먼트학과, 디자인비즈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장신구금속디자인전공), Fine Arts학부(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미술경영전공, 서예전공), 스포츠과학부(스포츠건강과학전공, 스포츠레저산업전공) |
사회과학대학 | 법학과, 무역학과, 공공안전학부(범죄교정심리학전공, 경찰행정학전공), 휴먼서비스학부(사회복지학전공, 청소년학전공), 공공인재학부(행정학전공, 정치외교학전공), 경제학부(경제학전공, 응용통계학전공, 지식재산학전공) |
소프트웨어경영대학 | 경영학부(경영학전공, 회계세무학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과, AI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 인공지능전공, SW안전보안전공) |
융합과학대학 | 수학과, 화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전공, 식품생물공학전공) |
창의공과대학 | 건축학과,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전자공학부(나노ㆍ반도체전공, 정보통신시스템전공), 신소재화학공학부(신소재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스마트시티공학부(건축공학전공, 도시ㆍ교통공학전공), 건축안전공학과(계약학과), 공학교육혁신센터 |
2016년 서울캠퍼스에 있던 인문계열 8개 학과가 수원캠퍼스로 이전되었고, 2017년에는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이 인문사회대학으로 통합되었다.[2]
3. 2. 서울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는 관광문화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단과대학 | 학과 |
---|---|
관광문화대학 |
4. 대학원
일반대학원(서울/수원) | 전문대학원(서울) | 특수대학원 |
---|---|---|
5. 저명 동문
6. 저명 교수
참조
[1]
웹인용
연혁 : 경기대학교 KYONGGI UP!
https://web.archive.[...]
2013-07-31
[2]
뉴스
경기대 모집단위 30여개 줄이는 '트랙제' 구조조정 시동 - 한국대학신문
https://web.archive.[...]
한국대학신문
2017-04-19
[3]
웹인용
인문사회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4]
웹인용
경상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5]
웹인용
관광문화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6]
웹인용
이공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7]
웹사이트
자연과학대학 대학소개
http://www.kyonggi.a[...]
2014-10-04
[8]
웹인용
예술체육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9]
웹사이트
예술대학 대학소개
http://www.kyonggi.a[...]
2014-10-04
[10]
웹인용
융합교양대학 대학소개
https://web.archive.[...]
2013-07-31
[11]
웹인용
일반대학원(서울/수원)
https://web.archive.[...]
2013-07-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경기대학교-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한국생산성본부,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8월8일 궂긴 소식
명지대학교, 경기대·강남대·상명대와 ‘(공동사업) 학부모 연수’ 개최
7월9일 알림
라이언로켓, AI 창작 플랫폼 ‘젠버스 라이트’ 대학 속으로
7월4일 알림
5월30일 알림
고3 중간고사, 이것만은 알고 준비하자!
중앙대, 산양삼의 차별화된 가치 밝힌다
경기대학교, 경기도 수원 남부권 대학(경기대-한신대-협성대) RISE사업 컨소시엄 업무협약 체결
3월5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