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경기도의 소방 안전 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1946년 경기도 소방위원회로 시작하여, 경기도 소방본부, 소방재난본부, 재난안전본부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재난 예방, 대응, 복구 등 소방 안전 관리, 생활 안전 정책 및 교육, 구조 구급 및 각종 위험 활동 제거 등이다. 조직은 소방재난본부장을 포함하여 여러 과와 담당관, 소방학교, 특수대응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할 구역은 동·서·남·북부 지역으로 나뉘어 각 지역별 소방서가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소방청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서울특별시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서, 서울종합방재센터, 119특수구조단 등을 운영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 -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은 재해로부터 국토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을 담당했던 행정기관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해체되어 소방청으로 재출범하였다. - 대한민국의 소방본부 - 충청북도 소방본부
충청북도 소방본부는 충청북도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며, 1992년에 설치되어 소방서, 119안전센터 등을 산하에 두고 소방준감이 본부장을 맡는다. - 대한민국의 소방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는 2012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소방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행정과, 대응예방과, 119종합상황실 등으로 구성되어 세종소방서와 조치원소방서를 포함한 산하 소방서 및 119안전센터를 통해 화재 예방, 진압, 구조, 구급 활동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소방 - 대한민국 소방청
대한민국 소방청은 화재 예방 및 진압, 인명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으로, 1948년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로 시작하여 소방국, 소방방재청을 거쳐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로 격하되었으나 2017년 독립된 소방청으로 승격되었다. - 대한민국의 소방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서울특별시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서, 서울종합방재센터, 119특수구조단 등을 운영한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경기도소방재난본부 |
한자 | 京畿道消防災難本部 |
가타카나 | ギョンギドソバンジェナンボンブ |
영어 | Gyeonggi-do Fire Services |
좌표 | 37.254613° N, 127.036669° E |
모토 | 세계최고 경기소방 |
웹사이트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웹사이트 |
기관 정보 | |
이름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영문 표기 | Gyeonggi-do Fire Services |
설립 년도 | 1992년 |
상급 기관 | 경기도청 |
본부장 | 조선호 |
관할 구역 | 경기도 일원 |
조직 | |
산하 소방서 | 36 |
산하 기관 | 2 |
2. 연혁
- 1946년 4월: 경기도 소방위원회 설치
- 1946년 8월: 경기도 소방청 설치
- 1948년 9월: 경기도 소방청 폐지, 경기도 경찰국에 흡수
- 1975년 11월: 경기도 민방위국 소방과 설치
- 1981년 10월: 인천직할시 승격으로 소방 관할 변경
- 1991년 12월: 소방 업무를 기초자치업무에서 광역자치업무로 변경
- 1992년 4월 1일: 소방본부 설치
- 1997년 6월 2일: 경기도 소방학교, 소방항공대 설치
- 1998년 9월 14일: 소방재난본부로 개칭
- 2006년 9월 1일: 제2소방재난본부 (이후 북부소방재난본부로 개칭) 분리 설치
- 2014년 9월 24일: 재난안전본부로 개칭
- 2018년 10월 1일: 소방재난본부로 개칭
3. 조직
- 소방재난본부장 (소방정감)
- * 소방행정과 (과장: 지방소방준감)
- * 재난예방과 (과장: 지방소방준감)
- * 대응구조구급과 (과장: 지방소방준감)
- * 재난종합지휘센터 (센터장: 지방소방준감)
- * 119생활안전담당관 (지방소방정)
- * 청문감사담당관 (지방소방정)
- * 회계장비담당관 (지방소방정)
- * 특수대응단 (단장: 지방소방정)
- ** 소방항공대: 경기도 소방학교와 같은 장소에 위치해 있다.
4. 주요 업무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제27조에 따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1]
# 재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소방 안전 관리의 총괄 및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생활 안전 정책 및 교육, 재난 현장의 자원 동원에 관한 사항
# 구조 구급 및 각종 위험 활동 제거에 관한 사항
# 재난 상황의 종합 관리 및 응급 대응 체제의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소방공무원에 대한 보건 및 복지,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
# 소방시설 등의 설치·유지, 소방 대상물의 화재 예방 및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
# 위험물의 저장·취급 및 운반과 이로 인한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
이러한 법적 근거에 따라 수행하는 구체적인 업무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세부 업무 |
---|---|
행정 및 기획 | 소방행정, 정책기획, 소방예산, 소방조직, 인사정책, 인사관리, 인재선발, 회계운영, 계약관리, 소방자산관리, 장비관리, 소방건축 |
예방 및 안전 | 화재예방, 위험물안전, 화재안전조사, 소방사법(소방 관련 법규 집행), 생활안전, 도민안전지원, 안전교육 |
대응 및 관리 | 대응총괄, 긴급대응, 화재조사, 재난협력, 구조총괄, 구급총괄, 구급품질, 특수재난대책, 상황관리지원 |
정보 및 통신 | 재난정보기획, 정보통신관리, 정보통신보안, 재난정보분석 |
복지 및 감사 | 보건안전복지, 공직기강, 소방감사, 청렴법무, 감찰조사 |
소통 | 언론공보 |
5. 역대 본부장
5. 1. 역대 본부장
wikitext대수 | 이름 | 임기 |
---|---|---|
1대 | 최재홍 | 1992년 4월 10일 ~ 1994년 3월 30일 |
2대 | 고재모 | 1993년 7월 23일 ~ 1994년 3월 31일 |
3대 | 홍순구 | 1994년 4월 1일 ~ 1996년 6월 4일 |
4대 | 김광수 | 1996년 6월 5일 ~ 1999년 4월 7일 |
5대 | 이범진 | 1999년 4월 8일 ~ 2001년 2월 13일 |
6대 | 한기성 | 2001년 2월 14일 ~ 2002년 5월 19일 |
7대 | 박용호 | 2002년 5월 20일 ~ 2004년 1월 12일 |
8대 | 박권섭 | 2004년 1월 13일 ~ 2004년 12월 31일 |
9대 | 제진주 | 2005년 1월 24일 ~ 2006년 3월 7일 |
10대 | 김한용 | 2006년 3월 8일 ~ 2007년 2월 12일 |
11대 | 최진종 | 2007년 2월 13일 ~ 2009년 1월 1일 |
12대 | 최웅길 | 2009년 1월 2일 ~ 2009년 11월 5일 |
13대 | 변상호 | 2009년 11월 6일 ~ 2011년 4월 27일 |
14대 | 이양형 | 2011년 4월 28일 ~ 2015년 5월 31일 |
15대 | 강태석 | 2015년 6월 1일 ~ 2017년 7월 25일 |
16대 | 이재열 | 2017년 7월 26일[5] ~ 2019년 1월 3일 |
17대 | 이형철 | 2019년 1월 4일[6] ~ 2020년 12월 15일 |
18대 | 이상규 | 2020년 12월 25일 ~ 2021년 12월 21일 |
19대 | 최병일 | 2021년 12월 22일 ~ 2022년 6월 28일 |
20대 | 남화영 | 2022년 7월 18일 ~ 2022년 10월 21일 |
직무대리 | 조선호 | 2022년 10월 25일 ~ 2022년 12월 31일 |
21대 | 조선호 | 2023년 1월 1일 ~ |
6. 산하 기관
경기도 소방학교는 소방 공무원과 소방 관계 종사자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주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새마을안길 10-20 (봉명리 642-2)이다.
- 학교장 (소방준감)
- * 교육지원과 (과장: 지방소방정 또는 지방소방령)
- * 교육기획과
- * 교수운영과
6. 1. 지역별 소방서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동·서·남·북부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지역별 출동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동부지역은 본부 소방행정과장, 서부지역은 구조구급과장, 남부지역은 재난대응과장, 북부지역은 경기도 북부소방재난본부장이 지역현장지휘본부장을 겸임한다.[7]=== 산하 기관 ===
- 경기도소방학교
- 경기도국민안전체험관
- 경기도특수대응단
=== 지역별 소방서 목록 ===
동부지역 | 서부지역 | 남부지역 | 북부지역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각 소방서의 서장은 지방소방정이며, 수원소방서와 용인소방서의 서장은 지방소방준감이다. 소방서장은 관할 지역의 119안전센터, 119구조대, 수난구조대, 119지역대를 지휘하고 감독한다.
아래 표는 각 소방서 및 소속 119안전센터의 명칭, 소속 구조대·수난구조대의 유무를 나타낸다. (한강 이남 지역 소방서 기준)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구조대 | 수난구조대 |
---|---|---|---|
수원소방서 | 정자, 매산, 서둔, 파장, 고색, 남부, 원천, 지만, 이의, 영통 | ○ (2대) | × |
성남소방서 | 수진, 신흥, 상대원, 단대, 위례, 태평 | ○ | × |
분당소방서 | 서현, 판교, 수내, 야탑, 구미 | ○ | × |
부천소방서 | 중앙, 오정, 중동, 괴안, 원종, 여월, 상동, 서부, 범박, 신상 | ○ | × |
안양소방서 | 부림, 안양, 비산, 석수, 박달, 귀인 | ○ | × |
안산소방서 | 고잔, 원시, 선부, 성곡, 신길, 월피, 군자, 사동, 대부, 반월 | ○ | × |
용인소방서 | 역북, 포곡, 모현, 남사, 구갈, 수지, 양지, 이동, 보정, 백암, 동백 | ○ | × |
평택소방서 | 비전, 안중, 팽성, 포승 | ○ | × |
송탄소방서 | 신장, 모곡, 진위, 서탄, 고덕, 청북 | ○ | × |
광명소방서 | 소하, 광명, 하안, 광남 | ○ | × |
시흥소방서 | 시흥, 은행, 정왕, 연성 | ○ | × |
군포소방서 | 오금, 산본 | ○ | × |
화성소방서 | 향남, 태안, 반송, 목동, 봉담, 남양, 정남, 장안 | ○ | × |
이천소방서 | 관고, 장호원, 대월 | ○ | × |
김포소방서 | 중앙, 통진, 양촌, 마산, 대곶, 고촌, 하성 | ○ | ○ |
광주소방서 | 초월, 경안, 오포, 능평, 곤지암 | ○ | × |
안성소방서 | 도기, 미양, 죽산, 공도, 원곡 | ○ | × |
하남소방서 | 신장, 감북, 덕풍 | ○ | × |
의왕소방서 | 고천, 부곡, 백운 | ○ | × |
오산소방서 | 청학, 원동 | ○ | × |
여주소방서 | 월송, 가남, 북내 | ○ | × |
양평소방서 | 공흥, 강상, 용문 | ○ | ○ |
과천소방서 | 중앙, 과천 | ○ | × |
6. 2. 소방서별 관할 구역 및 조직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동·서·남·북부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별 출동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7] 각 지역의 현장지휘본부장은 다음과 같다.- 동부지역: 본부 소방행정과장
- 서부지역: 본부 구조구급과장
- 남부지역: 본부 재난대응과장
- 북부지역: 경기도 북부소방재난본부장
산하기관으로는 경기도소방학교, 경기도국민안전체험관, 경기도특수대응단이 있다.
각 지역별 관할 소방서는 다음과 같다.
동부지역 | 서부지역 | 남부지역 | 북부지역 |
---|---|---|---|
소방서장은 일반적으로 지방소방정 계급이지만, 수원과 용인 소방서장은 지방소방준감이다. 소방서장은 119안전센터, 119구조대, 수난구조대, 119지역대 등을 관할한다.
소방서의 조직 구조는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과장 및 단장은 지방소방령 계급이다.)
- '''2과 1단 소방서'''
- * 소방행정과
- * 재난예방과
- * 현장대응단
- '''3과 1단 소방서'''
- * 소방행정과
- * 재난예방과
- * 화재조사분석과
- * 현장대응단
- '''3과 2단 소방서'''
- * 소방행정과
- * 재난예방과
- * 화재조사분석과
- * 북부현장대응단
- * 남부현장대응단
참조
[1]
문서
水原市、城南市、富川市、龍仁市、安山市、安養市、平沢市、始興市、華城市、光明市、軍浦市、広州市 (京畿道)|広州市、金浦市、利川市 (京畿道)|利川市、安城市 (京畿道)|安城市、烏山市、河南市、義王市、驪州郡、楊平郡、果川市の地域。
[2]
문서
道条例第4778号「京畿道行政機構及び定員条例」
[3]
문서
道条例第5934号「京畿道行政機構及び定員条例」
[4]
웹인용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시행규칙 제17조
http://www.law.go.kr[...]
2014-09-25
[5]
웹인용
정부인사발령통지
https://koreafireser[...]
국민안전처
2017-07-26
[6]
웹인용
정부인사발령통지
https://koreafireser[...]
대한민국 소방청
2020-01-04
[7]
웹인용
경기도 재난대응 소방력 운용 규칙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4-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