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디는 "신"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스칸디나비아와 아이슬란드에서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고디가 종교 의식을 주관하고, 지역 사회의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으며, 1000년 기독교화 이후에도 교회와 정치에 영향력을 미쳤다. 고디 제도는 1271년 노르웨이 법의 도입으로 폐지되었으며, 현대에는 게르만 신이교 종파에서 사제 직함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 문화 - 블로트
블로트는 "숭배하다"라는 의미의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게르만족의 종교 의례를 지칭하며 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물 희생과 인신 공양을 포함하기도 했으나, 기독교화 이후 금지되었고 현대 게르만 이교주의에서 재해석되어 시행된다. - 게르만 문화 - 튜턴족의 분노
- 고대 노르드어 낱말 - 스렐
스렐은 고대 게르만 사회의 노예 또는 농노를 지칭하는 용어로, 전쟁 포로, 빚 등으로 노예 신분이 되었으며, 매매가 가능했지만 법적 보호와 생명의 가치를 인정받았고, 해방을 통해 사회적 유동성을 경험할 수 있었으나 바이킹 시대 이후 쇠퇴했다. - 고대 노르드어 낱말 - 후스카를
후스카를은 본래 "집 남자"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하여 영주를 섬기는 가신, 특히 전투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었으며, 잉글랜드에서는 왕실 호위병으로 발전하여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봉건 제도 이전 사회에서 상비군의 역할을 했다. - 샤머니즘 - 오소레산
오소레산은 아오모리현 시모키타 반도 중앙의 활화산이자 8개 복합화산으로 이루어진 산지의 봉우리로, 산성화된 우소리호를 품고 862년 창건된 보다이지 사찰을 중심으로 위령의 장소이자 이타코의 구치요세 의식으로 유명한 영장이다. - 샤머니즘 - 마녀
마녀는 역사적으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인물, 특히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문화와 시대에 걸쳐 점술가, 치유자, 악의적인 존재 등 다양한 의미와 이미지로 묘사되어 왔으며, 중세와 근대 초기 유럽의 마녀 사냥과 현대 위카 신봉자, 대중 매체 속 상징적 캐릭터로 나타난다.
| 고디 | |
|---|---|
| 정의 | |
| 정의 | 고디(아이슬란드어: goði)는 아이슬란드와 스칸디나비아의 사제 또는 부족 지도자를 가리킨다. |
| 개요 | |
| 개요 | 고디는 부족 사회의 지도자로서 종교적 의례를 주관하고 법률을 해석하며 분쟁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여성 지도자는 기드야(아이슬란드어: gyðja)라고 불렸다. |
| 역사 | |
| 역사 | 고디는 바이킹 시대부터 아이슬란드 자유국 시대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지역 사회의 정치, 경제, 종교적 중심지였으며, 팅(의회)에 참여하여 법률 제정과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 역할과 권한 | |
| 역할 | 종교 의례 주관 법률 해석 및 적용 분쟁 조정 지역 사회 대표 |
| 권한 | 징세권 군사 동원권 재판권 |
| 관련 용어 | |
| 고다르 | 고디들의 모임 또는 지배 영역 |
| 기드야 | 여성 지도자 |
| 구디 | 고트족의 사제 |
| 참고 | |
| 참고 | 이 문서는 고트족과는 관련이 없다. |
2. 어원
"고디"라는 단어는 "신"을 의미하는 goðis에서 유래되었다.[1] 이는 울필라스의 고트어 은어 사본에서 "사제"를 뜻하는 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아이슬란드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gyðiis의 형태였을 것이다.[7]
"고디"라는 명칭은 울필라의 고트어 성서(은색 사본)에 "성직자"라는 의미인 "gudja"로 등장한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이와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는 여성형 "gyðja" 뿐이다.[11]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노르웨이 노르드후글로 룬 문자(Rundata N KJ65 U)에서 원시 노르드어 형태 gudijagmq로 된 하나의 사례가 남아 있으며,[2] 덴마크의 세 개의 룬 문자 비석, DR 190 헬네스(Helnæs), DR 192 플렘뢰세 1(Flemløse 1), 그리고 DR 209 글라벤드루프에서 고대 노르드어 형태 guþinon로 나타난다.[3] 스웨덴 쇠데르만란드의 Gudbysv와 같이, 이 이름을 유지하고 있는 지명이 몇 개 있다.[4] 그 외에는, goðaris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의 사례가 남아 있지 않다.[7]
3. 역사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노르웨이의 Nordhuglo 룬 비문에 노르드 조어 어형으로 기록된 "gudija"가 있다.[12] 더 후기의 고대 노르드어형인 "goði"는 덴마크의 룬 비석인 Glavendrup stone (DR 209)과 Helnæs Runestone (DR 190)에서 발견된다.[11] 스웨덴 세데르만란드의 "Gudby"와 같은 지명에서도 고디의 명칭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13]
아이슬란드를 제외하면 고디에 관한 역사적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아이슬란드에서 고디는 사가에서 종교적, 정치적 수장으로 묘사된다. 기독교화 이전의 종교적인 신전(호브is)은 사유물이었고, 호브고디(hofgoði)에 의해 유지되었다.
고디는 원래 고대 신들의 의식을 관장하는 신관이었지만, 아이슬란드 자유국(930년 - 1262년) 시대에는 세속적인 권력을 가진 수장을 가리켰다. 자유 농민은 고디와 계약하여 그의 부하 및 지지자인 싱멘(þingmaðr)이 되었다. 고디는 지역의 교역을 관리하고, 민회를 주재하며, 알싱에서는 판사를 지명하는 등 입법자의 역할도 했다.[14] 공화국 시대 아이슬란드에는 중앙 행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고디는 분쟁 해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5]
고즈오르즈(goðorð)는 개척 시대부터 유력자의 자손이 세습했지만, 매매나 임대가 가능했다.[14] 이 때문에 제한된 사람들이 고디의 지위를 독점하고, 고디들 간의 권력 다툼이 발생했다.[15]
1000년 알싱에서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인 후에도 교회는 고디에 의해 지배되었고, 십일조가 징수되며 그 상태가 지속되었다. 13세기에 교회의 세력이 커지면서 공화국 자체가 붕괴했고, 고디 간의 다툼은 노르웨이의 정치적 개입을 불러왔다. 결국 노르웨이 왕 호콘 4세에 의해 아이슬란드는 노르웨이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5]
1271년 노르웨이 법(야우르돈시자, Járnsíða)이 도입되면서 고디 제도는 폐지되었다.[14]
3. 1. 스칸디나비아 본토
스칸디나비아 본토의 이교 시대에 고디(goði)라는 칭호에 대한 유일한 자료는 룬 문자 비문이다. 서기 400년경 노르웨이 노르드후글로 돌에서는 이 칭호가 마법과 대립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고대 노르드어 gandr|간드non와 관련된 단어를 사용한다. 비문의 는 "나, " 다음에 "마법에 면역된 자" 또는 "마법을 사용하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6]
퓐섬에서 발견된 3개의 덴마크 돌들은 guþi|구디non의 기능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하지 않지만, 10세기 초의 글라벤드루프 돌은 종교적 구조물인 vé|베non와 관련된 지역 명사를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 따라서 이 칭호는 세속적이면서 동시에 종교적인 상류 계층과 연결된다.[3] 글라벤드루프 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다.
울필라의 고트어 역의 성서(은색 사본)에는 "성직자"라는 의미로 "gudja"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대 노르드어에서 고트어와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는 여성형 gyðja|귀댜non 뿐이다.[11]
노르웨이의 Nordhuglo 룬 비문에는 노르드 조어(Proto-Norse)어형 가 기록되어 있다.[12] 후기 고대 노르드어형 goði|고디non는 2개의 덴마크 룬 비석, Glavendrup stone (DR 209)과 Helnæs Runestone (DR 190)에서 발견된다.[11] 스웨덴 세데르만란드의 "Gudby"와 같은 지명에서도 고디의 명칭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13]
3. 2. 아이슬란드
고디는 아이슬란드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가에서 고디는 자신의 자치구 또는 "고도르드(goðorð)"의 종교적, 정치적 수장으로 묘사된다.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화 이전의 종교적인 신전 또는 호브is는 사유물이었고, 호프고디(hofgoði) 또는 신전의 신관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들은 기독교가 도래한 후에도 오랫동안 아이슬란드의 정치 제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도르드("goðorð" 또는 "godord")는 "고디 권" 또는 "고즈 권", "수장 권"을 의미했다.[14] 또한 고디에 의해 지배되고 영향 아래에 있는 영지 또는 지역을 가리켰다.
아이슬란드에서 고디는 870년부터 930년에 걸친 "개척 시대" 초기에 성립되었다. 고디는 본래 고대 신들의 의식을 관장하는 신관이었지만, 아이슬란드 자유국(930년 - 1262년) 시대에는 세속적인 권력을 가진 수장을 가리켰다. 자유 농민은 고디와 계약함으로써 그의 부하 및 지지자인 싱그멘is(단수형:þingmaðr, 복수형:þingmenn)이 되었다. 그들은 민회에서 고디를 지지할 의무가 있었고, 고디는 그들을 자신의 지배 지역(고도르드) 내에서 보호했다. 또한 고디는 지구 민회를 주재하거나, 알싱에서는 판사를 지명하는 외에 입법자의 역할을 했다.[14] 공화국 시대의 아이슬란드에는 중앙 행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고디는 우선 지배 지역 내에서 재판을 열고, 거기에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알싱으로 가져가는 방식이었다.[15] 고도르드는 개척 시대부터 유력자의 자손이 세습해 갔지만, 매매나 임대가 가능했다.[14] 이 때문에 제한된 사람들이 고디의 지위를 독점하게 되었고, 또한 고디들 간의 권력 다툼의 원인이 되었다.[15]
고디는 지역의 교역 관리도 했다. 고도르드에 배가 기항하면 우선적으로 거래를 하고, 상품의 가격을 결정했다. 외국 상인들은 지역의 고디나 숙박을 부탁할 농장주와의 호혜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16]
3. 2. 1. 알싱과 고디
아이슬란드의 고디(goðar)에 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는 회색 거위 법, 토지대장(Landnámabóknon 및 스투를루가 사가(Sturlunga saganon이다. 아이슬란드 정착 이후, 호프고디(hofgoði)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지역에서 부유하고 존경받는 사람이었다. 그는 지역 사회의 종교 의식과 축제가 열리는 공동 홀 또는 호프(hof)is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이다. 고디(goði)가 지휘권을 가진 직책은 고도르드(goðorð)라고 불렸는데, 이 단어는 아이슬란드어 자료에서만 나타난다.[1] 초기에는 많은 독립적인 고도르드(goðorð)가 설립되었으며, 930년경 알싱 아래에서 통합되었다. 964년에는 39개의 고도르드(goðorð)를 인정하는 헌법에 따라 시스템이 고정되었다.
고디(goðar)의 세속 지도자로서의 역할은 그 단어가 höfðingiis(회브딩기)와 동의어로 사용된 방식에서 나타나며, 이는 "추장"을 의미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아이슬란드에서 기독교 개종이 일어난 1000년 이후에는 이 용어는 모든 종교적 의미를 잃고 주군 또는 아이슬란드 연방의 추장을 의미하게 되었다.[7]
고도르드(goðorð)는 사고 팔거나, 공유하거나, 거래하거나, 상속할 수 있었다. 여성이 고도르드(goðorð)를 상속받으면 남성에게 지도자 자리를 넘겨야 했다.[1] 이 직책은 여러 면에서 사유 재산으로 취급되었지만 과세 대상으로는 간주되지 않았으며, 회색 거위 법에서는 "재산이 아닌 권력"(veldi er þat en æigi feis)으로 정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디(goðar)는 사가에서 돈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기대하는 것으로 자주 묘사된다.[1]
아이슬란드 연방 기간 동안, 고디(goði) 또는 고도르드스마뒤르(goðorðsmaður)("고도르드(goðorð) 사람")의 책임에는 봄에는 연례 지역 의회 várþingis(바우르싱)을, 가을에는 leiðis(레이드)을 조직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국가 알싱에서 그들은 의회의 입법부인 Lögréttais(뢰그레타)의 투표 회원이었다. 960년대에 분기 법원이 도입되었을 때, 고디(goðar)는 알싱 법원 판사를 지명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11세기 초에 항소 법원이 설립되었을 때, 그들은 또한 이 법원의 판사를 지명했다. 또한, 그들은 불법자의 재산을 몰수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공식적 및 비공식적 행정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또한 부의 재분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축제를 열고, 선물을 주고, 대출을 해주고, 환대를 베풀고, 수입품의 가격을 정하고 분배하는 것을 도왔다.[1]
잉골프르 아르나르손의 후손인 고도르드(goðorð)의 소유자는 매년 알싱을 성화하는 의식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allsherjargoði(allsherjargoði)is(알스헤랴르고디)("모든 사람의 고디(goði)")라고 불렸다.[8] 고디(goði)의 추종자는 싱그멘(þingmenn)이라고 불렸다. 일정량의 재산을 소유한 모든 자유로운 토지 소유자는 고디(goði)와 연관되어야 했다. 고도르드(goðorð)는 지리적 단위가 아니었기 때문에 어떤 고디(goði)를 선택할지는 자유였다. 고디(goði)는 자신의 싱그멘(þingmenn)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권리를 행사하도록 도왔으며, 싱그멘(þingmenn)은 그 대가로 고디(goði)에게 분쟁을 위한 무장 병력을 제공하고 법적 판결을 수행했다.[1]
13세기까지 모든 고도르드(goðorð)는 5~6개의 가문이 통제했으며, 현대 연구에서 스토르고다르(storgoðar)("위대한 고디(goðar)") 또는 스토르회브딩갸르(storhöfðingjar)("위대한 추장")으로 알려진 직위 소유자 아래에서 종종 연합했다. 이 고디(goðar)는 지역적, 때로는 국가적 권력을 위해 투쟁했으며, 때로는 노르웨이 왕의 가신이 되려고 했다. 이 제도는 주요 고디(goðar)가 1262~1264년에 노르웨이의 호콘 4세에게 충성 맹세를 하고 구 조약에 서명하면서 끝났으며, 노르웨이 왕관은 고도르드(goðorð) 시스템을 폐지했다.[1]
3. 2. 2. 기독교화 이후
1000년 알싱에서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고, 교회도 세워졌지만, 교회는 고디에 의해 지배되었다. 교회 재정의 재원으로 십일조가 징수되면서 그 상태가 지속되었다. 13세기에 교회의 세력이 고디 측에 이겼지만, 이 무렵에는 공화국 자체가 붕괴했다. 고디 간의 다툼이 격화되었고, 이는 이전부터 아이슬란드의 영유를 원했던 노르웨이의 정치적 개입을 불러왔다. 결국 노르웨이 왕 호콘 4세에 의해 아이슬란드는 노르웨이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15]
1271년 노르웨이 법(야우르돈시자 - "철편"의 의미[17], Járnsíðais)이 아이슬란드에도 도입되면서 고디 제도는 폐지되었다.[14]
3. 3. 노르웨이의 지배와 고디 제도의 폐지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노르웨이의 Nordhuglo 룬 비문에 노르드 조어(Proto-Norse)어형으로 기록된 "gudija"가 있다.[12]。 보다 후기의 고대 노르드어형인 "goði"는 2개의 덴마크의 룬 비석, Glavendrup stone (DR 209) 과 Helnæs Runestone (DR 190) 에서 발견된다.[11]。 스웨덴의 세데르만란드의 "Gudby"와 같은 지명도 몇몇 찾아볼 수 있는데, 아마도 지명으로서 고디의 명칭이 남은 것으로 보인다.[13]。
1000년에 열린 알싱에서는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것을 공식적으로 결정했고, 교회도 세워졌지만, 교회는 고디에 의해 지배되었고, 교회 재정의 재원으로 십일조가 징수되면서 그 상태가 지속되었다. 13세기에 교회의 세력이 고디 측에 이겼지만, 이 무렵에는 공화국 자체가 붕괴했다. 고디 간의 다툼이 격화되었고, 이것이 그 이전부터 아이슬란드의 영유를 원했던 노르웨이의 정치적 개입을 불러왔고, 결국 노르웨이 왕 호콘 4세에 의해 아이슬란드는 노르웨이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15]。
1271년에 노르웨이 법(야우르돈시자("철편"의 의미[17]), Járnsíða. is, no)가 아이슬란드에도 도입됨으로써, 고디의 제도는 폐지되었다.[14]。
4. 현대의 고디
1970년대 초, goði|고디is, goðorð|고도르드is 및 allsherjargoði|알셰르야르고디is라는 단어가 아이슬란드의 신이교 단체인 Ásatrúarfélagið|아우사트루아르펠라기드is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후, goði|고디is, godi|고디gmq 또는 gothi|고디gmq는 다양한 게르만 신이교 종파의 현대 신봉자들이 사제 직함으로 자주 사용한다.
고디라는 단어는 게르만 신이교주의의 다양한 종파, 특히 아사트루(en)에서 현대 신자들이 사용하는 성직자의 칭호로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Goði
Garland
1993
[2]
간행물
gotiska
1992
[3]
서적
Runen als Phänomen der oberen Schichten
https://books.google[...]
2008
[4]
서적
Svensk etymologisk ordbok
C.W.K. Gleerups förlag, Lund
1966
[5]
웹사이트
Project Samnordisk Runtextdatabas Svensk
http://www.nordiska.[...]
[6]
서적
Norwegian Runes and Runic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2005
[7]
사전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lexicon.ff.cu[...]
1874
[8]
서적
Goðamenning.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the goðar (chieftains) in the Old Commonwealth period
2004
[9]
문서
フレイ神官ラヴンケルの物語にみられる表記。
[10]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にみられる表記と綴り。
[11]
사전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lexicon.ff.cu[...]
1874
[12]
간행물
gotiska
1992
[13]
문서
Hellquist 1966:308
[14]
문서
「フレイ神官ラヴンケルの物語」139頁。
[15]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1』の記事「アイスランド」の節「共和国の成立と崩壊」、18頁。
[16]
문서
松本「中世アイスランドと北大西洋の流通」
[17]
서적
アイスランド小史
早稲田大学出版部
2002
[18]
서적
Goði
Garland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