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필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필라스는 4세기에 활동한 고트족 출신의 아리우스파 주교이다. 그는 311년경 현재 루마니아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소아시아에서 서고트족에게 포로로 잡혀온 로마인 후손이다. 울필라스는 고트족의 대사로 로마 제국을 방문하여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고티아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341년 고티아로 돌아가 아리우스파 교리를 전파했다. 그는 고트 문자를 창안하고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앙 고백자로서 시르미움 공의회에서 호모이안주의를 지지했다. 울필라스는 3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하여 신조를 지지하고 모이시아 고트족을 대표했으며, 38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리우스파 주교 - 마리스
    마리스는 현재까지 알려진 내용이 없는 항목으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 310년 출생 - 아우소니우스
    아우소니우스는 4세기 로마 제국의 시인이자 학자로, 보르도 수사학 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황제 그라티아누스의 스승을 지냈고, 《모젤라》를 통해 모젤강의 풍경과 삶을 묘사하여 문학적 가치와 역사적 사료로서 평가받는다.
  • 고트 성경 - 은의 서
    은의 서는 6세기경에 제작된 고트어 성경 필사본으로, 자주색 양피지에 금색과 은색 잉크로 기록되었으며, 현재는 웁살라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울필라스
기본 정보
"빌헬름 린덴슈미트의 '울필라스, 성경을 번역하다', 1879년"
직함고트족의 사도
신앙고백자신앙의 고백자
출생지로마령 다키아
알려진 이유고트어로 성경 번역 감독
출생일기원후 311년경
사망일383년
사망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 동로마 제국
저술고트어 성경
직위고트족 주교
자녀(양자) 두로스토룸의 아욱센티우스
다른 이름울필라스, 오르필라 (모두 라틴어화된 형태)
이름
고트어𐍅𐌿𐌻𐍆𐌹𐌻𐌰 (Wulfila, "작은 늑대"를 의미)
그리스어Οὐλφίλας (울필라스)

2. 생애

울필라의 생애에 대한 주요 기록은 그의 제자인 두로스토룸의 아욱센티우스가 쓴 4세기 편지,[6] 니케아 기독교 신봉자들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 소조멘, 테오도레토스 등의 저술, 에우노미우스파 역사가 필로스토르기우스의 기록, 그리고 고트족 역사가 요르다네스의 언급 등이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티오스 1세가 필로스토르기우스의 ''교회사''를 요약한 것도 중요하지만, 울필라스의 생애에 대한 언급은 일반적으로 드물다.

울필라스는 311년경[6] 현재의 루마니아 지역에서 태어났으며,[7] 소아시아에서 서고트족에게 잡혀온 로마인 포로의 후손이었다.[7] 그의 조상들은 264년 또는 267년에 서고트족에게 납치되어 다뉴브 강 근처 지역으로 끌려갔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모계로 카파도키아 그리스인, 부계로 고트족 혈통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올트, 드네스트르 강, 다뉴브 강 사이의 테르빙기 아래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성장했다.

울필라스는 30세에 고티아 교회에서 ''독서자''로 활동했으며, 필로스토르기우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1세 통치 기간에 고트족의 대사로 로마 제국에 파견되어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고티아의 주교로 성임되었다.[8] 341년, 울필라스는 고티아로 돌아가 아리우스파 교리를 전파했다. 348년, 테르빙기의 ''이우데크스''가 기독교인을 박해하면서 울필라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로마 제국으로 추방되어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니코폴리스 근처에 정착했다.

360년, 울필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하여 공의회의 신조를 지지했다.[6] 383년, 울필라는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으로 논쟁에 참석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으나, 그곳에서 병에 걸려 사망했다.[6]

2. 1. 출생과 배경

울필라스는 311년경[6] 현재의 루마니아 지역에서 태어났다.[7] 그의 조상은 소아시아에서 서고트족의 습격으로 잡혀온 로마인 포로의 후손이었다.[7] 264년 또는 267년에 서고트족에게 납치되어 다뉴브 강 근처 지역으로 끌려갔을 가능성이 있다. 모계는 카파도키아 그리스인, 부계는 고트족 혈통으로 추정된다. 울필라스는 이교도 사회에서 기독교인으로 자랐으며, 올트, 드네스트르 강, 다뉴브 강 사이의 테르빙기 아래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성장했다.

2. 2. 초기 활동

울필라스는 30세에 고티아 교회에서 ''독서자''로 활동하며 성경을 공부하고 번역하는 능력을 키웠다.[8] 필로스토르기우스에 따르면, 울필라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 통치 기간에 고트족의 대사로 로마 제국에 파견되었으며, 그곳에서 아리우스파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고티아의 주교로 성임되었다.[8] 그는 그리스어라틴어에 능통했으며, 주교로서 두 언어로 신학적, 주석적인 논문을 저술했다.[9]

울필라스가 고트족에게 복음을 설명하는 모습

2. 3. 주교 서임과 활동

341년, 울필라스는 고티아로 돌아가 그 후 7년 동안 아리우스파 교리를 전파했다.[9] 348년, 테르빙기의 ''이우데크스''가 기독교인을 박해하면서 울필라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로마 제국으로 추방되어 콘스탄티우스 2세의 환영을 받으며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니코폴리스 근처에 정착했다.[9]

울필라스는 이후 33년 동안 주교로 봉사하며 교회 회의에 참석했고, ''고백자''라는 칭호를 받았다.[10] 또한 357년 시르미움 공의회에서 확립된 호모이안주의를 지지했다.[10]

2. 4.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와 사망

360년, 울필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하여 공의회의 신조를 지지했다.[6] 테오도시우스 1세는 380년에 이단에 반대하는 법을 발표하고 니케아 공의회를 지지하며, 아리우스파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데모필루스를 폐위시켰다. 383년, 울필라는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으로 논쟁에 참석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으나, 그곳에서 병에 걸려 사망했다.[6]

3. 성서 번역

울필라스는 고트 문자를 창안하고 성경고트어로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카시도루스는 울필라스가 "고트 문자를 발명하고 신성한 성경을 그 언어로 번역했다"고 증언한다.[3] 발라프리트 스트라보는 "(팀의) 학자들이 성서를 번역했다"고 썼다.[3]

울필라스가 성경 번역을 감독하면서 여러 번역가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가 단독으로 성경 전체를 번역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5] 현대 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고트어 성경은 여러 번역가 그룹에 의해 저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

4. 신학

두로스토룸의 아욱센티우스가 쓴 편지에는 울필라스의 신조가 기록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6]

구분내용
성부 하느님유일하고 무로부터 오신 분
성자 하느님독생자이자 모든 피조물을 설계하고 만드신 분, 성부와 동등하지 않음
성령하느님(아버지)도, 우리 하느님(그리스도)도 아닌, 그리스도의 사역자로서 아들에게 복종하며, 아들은 아버지 하느님께 복종함



울필라스는 아리우스파 신학, 그중에서도 호모이안주의를 따랐다. 호모이안주의는 성자는 성부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다고 보는 견해이다. 그는 성부, 성자, 성령의 관계를 위와 같이 설명하였다.

아욱센티우스의 편지를 비롯한 울필라스의 신학에 관한 자료는 5세기 아리우스파 신학자 막시미누스가 암브로시우스의 ''신앙론'' 사본 여백에 필사한 것을 통해 전해진다. 다만, 현존하는 텍스트에는 일부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6]

5. 영예

남극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그리니치섬의 울필라 빙하는 울필라 주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독일 바이에른주의 발할라에는 울필라의 흉상이 안치되어 있다.[2]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othic Language 1980
[2] 기타
[3] 서적 Studies in Gothic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4] 서적 The gothic version of the Gospels and pauline Epistles: cultural background, transmission and character De Gruyter 2015
[5] 학술지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othic Language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Middle Dut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3-06
[15] 기타
[16] 서적 キリスト教史<2>教父時代 講談社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othic Language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Middle Dutch http://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