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르기티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르기티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로이의 왕 프리아모스의 아들이다. 그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흠 없는 자"로 묘사되며, 테우케르의 화살에 맞아 죽는다. 고르기티온은 프리아모스와 여러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38명의 아들 중 한 명으로, 그의 어머니는 카스티아네이라이다. 고르기티온의 죽음은 양귀비에 비유되어 묘사되며, 알렉산더 포프의 번역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고르기티온은 나비의 속과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이아인 - 안티파테스
안티파테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을 지칭하며, 멜람푸스의 아들, 라이스트리고네스족의 왕, 트로이 전쟁의 인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트로이아인 - 아르켈로코스
아르켈로코스는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자 다르다니아 군대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아이아스가 던진 창에 목을 맞아 전사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고르기티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고르기티온 |
로마자 표기 | Gorgythiōn |
그리스어 표기 | Γοργυθίων |
출생지 | 트로이아 |
사망 장소 | 트로이아 |
국적 | 트로이아인 |
직업 | 군인 |
가족 관계 | |
부모 | 프리아모스와 카스티아네이라 |
친척 | 헥토르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테스 안티포스 히폰노오스 폴리도로스 크레우사 라오디케 폴릭세나 카산드라 트로일로스 히포토오스 케브리오네스 |
2. 이름 및 묘사
고르기티온은 《일리아스》에서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된다. 존 페어먼 브라운은 고르기티온의 이름이 게르기테스를 연상시킨다고 제안했다.[4] 헤로도토스는 게르기테스를 "고대 테우크리아인(즉, 고대 트로이인)의 잔당"이라고 기록했다.[5]
2. 1. 어원
《일리아스》에서 고르기티온은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되며, 그의 수식어는 "흠 없는 자"이다.[2] 제인 엘렌 해리슨은 "흠 없는 자"(ἀμύμων)가 신전에서 숭배받고 달래졌던 영웅화된 죽은 자의 수식어였다고 지적했다.[3] 제우스는 심지어 찬탈자 아이기스토스에게도 이 수식어를 적용한다고 해리슨은 언급한다.> 호메로스에서 수식어 άμύμων은 개별 영웅, 영웅의 무덤(《오디세이》 24.80), 인기 있는 상상력 속에서 반쯤 성인으로 여겨지는 파이에케스와 에티오피아인과 같은 마법적이고 반신화적인 사람들(《일리아스》 10.423), 신 헬리오스의 마법의 섬(《오디세이》 12.261), 가상의 반마법적인 옛날 좋은 왕(《오디세이》 19.109)에게 적용된다. 또한 신들이 보낸 '호송대'(《일리아스》 6.171)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당연히 마법적인 성격을 띤다. 올림포스 신들에게는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단어에는 실제 신성함보다는 마법적이고 악마적인 느낌이 약간 있다.
따라서 "흠 없는 자"를 고르기티온에게 적용함으로써, 시인은 호메로스나 호메로스 전통에 알려진 그의 후손들 사이의 숭배 전통을 반영했을 수도 있다. 존 페어먼 브라운은 고르기티온의 이름이 "확실히 게르기테스를 연상시키며, '테우크리아인들의 게르기테스 잔당'이 영웅 시대에 개별적인 적대자로 투영된 것"이라고 제안했다.[4]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게르기테스는 "고대 테우크리아인(즉, 고대 트로이인)의 잔당"이었다.[5]
3. 가족 관계
일리아스에서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자신이 50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중 19명은 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났고 나머지는 다른 여인들에게서 태어났다고 말한다.[6] 고르기티온은 프리아모스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언급되며,[2] 그의 어머니는 아에시메 출신의 카스티아네이라이다.[7]
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프리아모스는 헤카베 사이에서 9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낳았고, 다른 여성들을 통해 38명의 아들을 더 낳았는데, 그중에 고르기티온이 포함된다.[8]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서도 고르기티온이 프리아모스의 55명의 자녀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9]
3. 1. 프리아모스의 아들
프리아모스는 넓은 트로이에서 가장 용감한 아들을 낳았고, 그중 아무도 남지 않았다고 아킬레우스에게 말한다. 그리스인 아들들이 도착했을 때, 프리아모스에게는 50명의 아들이 있었다. 실제로 한 배에서 19명이 태어났지만, 다른 아들들은 궁궐에서 여인들이 낳았다. 그리고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사나운 마르스가 실제로 무릎을 풀었다고 한다.[6] 고르기티온은 그의 죽음과 관련하여 "...프리아모스의 용감한 아들"이라고 언급된다.[2] 호메로스는 고르기티온의 어머니 카스티아네이라에 대해, 새뮤얼 버틀러의 번역에서 "그의 어머니인 아름다운 카스티아네이라는 여신처럼 사랑스러웠으며, 아에시메에서 결혼했습니다."라고 한다.[7]《비블리오테카》에 따르면, 프리아모스는 헤카베 사이에서 아홉 명의 아들(헥토르,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팜몬, 폴리테스, 안티포스, 히포노스, 폴리도로스)과 네 명의 딸(크레우사, 라오디케, 폴릭세네, 예언자 카산드라)을 두었다. 또한 트로일로스, 히포토오스, 케브리오네스, 그리고 고르기티온을 포함한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서 38명의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8]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서, 90번째 우화는 고르기티온이 포함된 "프리아모스의 아들과 딸 55명의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다.[9]
3. 2. 어머니 카스티아네이라
호메로스는 고르기티온의 어머니 카스티아네이라에 대해 "여신처럼 아름다웠으며, 아에시메에서 결혼했다"라고 묘사했다. (새뮤얼 버틀러 번역)[7]4. 신화 속 행적
4세기경, 로마인 Q. 셉티미우스는 딕티스 크레텐시스가 쓴 트로이 전쟁 연대기를 루키우스 셉티미우스가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Dictys Cretensis Ephemeridos belli Trojani》를 출판했다. 딕티스는 트로이 전쟁 중 이도메네우스의 동료였다고 한다. 이 책 제3권에서는 테우케르가 아닌 파트로클로스가 고르기티온을 죽였다고 하며,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14] Patroclus saw the enemy coming. Protected by his armor and with a spear which he had snatched from the ground, he resisted with even greater audacity. He slew Gorgytion and drove Deiphobus, Gorgytion's brother, away, after wounding him in the leg with his spear.|파트로클로스는 적이 오는 것을 보았다. 갑옷으로 보호받고 땅에서 낚아챈 창을 들고 그는 더욱 대담하게 저항했다. 그는 고르기티온을 죽이고 고르기티온의 형제 데이포보스를 쫓아냈으며, 창으로 그의 다리에 상처를 입혔다.영어
4. 1. 테우케르의 공격
고르기티온은 테우케르가 쏜 화살에 맞아 죽는데, 《일리아스》 제8권 303~305행에서 테우케르의 목표는 고르기티온의 형제 헥토르였다. 테우케르는 헥토르를 향해 두 개의 화살을 겨눴지만, 먼저 고르기티온을 죽였고 다음은 헥토르의 친구 아르케프톨레무스를 죽였는데, 이는 헥토르의 파악하기 어려움과 강인함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10]고르기티온이 죽자, 호메로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2] "정원에서 열매와 봄의 소나기로 인해 짓눌린 양귀비가 머리를 한쪽으로 숙이듯이, 그의 머리도 헬멧에 눌려 옆으로 기울어졌다."
수잔 린드그렌 워포드는 이 비유에 대해 "양귀비는 시들거나 죽지 않고, 단지 머리가 무거울 뿐이다. 양귀비는 매년 봄에 머리를 숙이며 돌아오지만, 고르기티온의 죽음은 영원하다. 그것은 어떤 자연적인 갱생이나 귀환의 순환에도 참여하지 않는 유일무이한 사건이다. 죽음을 아름답게 보이게 만드는 것은 그것을 다른 것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다."라고 언급한다.[11]
알렉산더 포프의 더 자유롭지만 더 시적인 번역(1715–1720)에서 죽음 장면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12]
무기가 날아와
헥토르의 가슴을 향해 하늘을 가르며 날아갔네:
그는 목표를 빗나갔지만, 고르기티온의 심장을 꿰뚫었고,
왕족의 피로 갈증 난 창에 적셨네.
(아름다운 모습의 님프인 카스티아니라,
이 자식을 프리아모스 왕의 혈통에 더했네.)
만개한 양귀비가 비에 젖어
머리를 숙이고 축 처져 땅에 입맞추듯이,
그 젊은이는 쓰러지네: 그의 아름다운 머리는 눌려,
헬멧 아래에서 가슴 위로 떨어진다네.|무기가 날아와
헥토르의 가슴을 향해 하늘을 가르며 날아갔네:
그는 목표를 빗나갔지만, 고르기티온의 심장을 꿰뚫었고,
왕족의 피로 갈증 난 창에 적셨네.
(아름다운 모습의 님프인 카스티아니라,
이 자식을 프리아모스 왕의 혈통에 더했네.)
만개한 양귀비가 비에 젖어
머리를 숙이고 축 처져 땅에 입맞추듯이,
그 젊은이는 쓰러지네: 그의 아름다운 머리는 눌려,
헬멧 아래에서 가슴 위로 떨어진다네.영어
이 《일리아스》 번역은 사무엘 존슨에 의해 "어떤 시대나 국가도 따라잡을 수 없는 성과"라고 불렸고, 반면 리처드 벤틀리는 "꽤 훌륭한 시입니다, 포프 씨, 하지만 호메르라고 부르시면 안 됩니다."라고 썼다.[13]
4세기 AD에 로마인 Q. 셉티미우스는 딕티스 크레텐시스가 쓴 트로이 전쟁 연대기를 루키우스 셉티미우스가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Dictys Cretensis Ephemeridos belli Trojani》를 출판했는데, 딕티스는 트로이 전쟁 중 이도메네우스의 동료였다. 제3권에서는 테우케르가 아닌 파트로클로스가 고르기티온을 죽였다고 한다:[14] "파트로클로스는 적이 오는 것을 보았다. 갑옷으로 보호받고 땅에서 낚아챈 창을 들고 그는 더욱 대담하게 저항했다. 그는 고르기티온을 죽이고 고르기티온의 형제 데이포보스를 쫓아냈으며, 창으로 그의 다리에 상처를 입혔다."
4. 2. 죽음의 묘사
고르기티온은 테우케르가 쏜 화살에 맞아 죽는다. 《일리아스》 제8권 303~305행에 따르면, 테우케르의 원래 목표는 고르기티온의 형 헥토르였다.[10] 테우케르는 헥토르를 향해 두 번 화살을 쏘았지만, 첫 번째 화살은 고르기티온을 맞췄고, 두 번째 화살은 헥토르의 친구 아르케프톨레무스를 쓰러뜨렸다. 이는 헥토르의 비범함과 강인함을 더욱 부각하는 역할을 한다.[10]호메로스는 고르기티온의 죽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2]
수잔 린드그렌 워포드는 이 비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양귀비는 시들거나 죽지 않고, 단지 머리가 무거울 뿐이다. 양귀비는 매년 봄에 다시 돌아오지만, 고르기티온의 죽음은 영원하다. 그것은 자연적인 순환에 속하지 않는 유일한 사건이다... 죽음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그것을 다른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11]
4세기경, 로마인 Q. 셉티미우스는 딕티스 크레텐시스가 쓴 트로이 전쟁 연대기를 루키우스 셉티미우스가 번역했다고 주장하는 《Dictys Cretensis Ephemeridos belli Trojani》를 출판했다. 딕티스는 트로이 전쟁 당시 이도메네우스의 동료였다고 한다. 이 책의 제3권에서는 테우케르가 아닌 파트로클로스가 고르기티온을 죽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4]
4. 2. 1. 알렉산더 포프의 번역
알렉산더 포프는 일리아스의 죽음 장면을 더 자유롭지만 더 시적인 번역(1715–1720)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2]사무엘 존슨은 이 《일리아스》 번역을 "어떤 시대나 국가도 따라잡을 수 없는 성과"라고 칭찬했고, 리처드 벤틀리는 "꽤 훌륭한 시입니다, 포프 씨, 하지만 호메르라고 부르시면 안 됩니다."라고 평했다.[13]
5. 다른 용례
고르기티온은 다음 두 가지를 가리킨다.
- 프레데릭 듀 케인 굿맨과 O. 샐빈의 ''Biologia Centrali Americana''(1896)에서 언급된 북아메리카 나비의 일종인 넓은날개 스키퍼로 널리 알려진 피르기나이의 속[15][16]
- 1977년 10월 16일 C. J. 반 하우텐과 I. 반 하우텐-그로네벨트에 의해 발견된 태양계의 소행성 48373 고르기티온[17]
5. 1. 생물학
고르기티온이라는 이름은 프레데릭 듀 케인 굿맨과 O. 샐빈의 ''Biologia Centrali Americana''(1896)에서 북아메리카 나비의 일종인 넓은날개 스키퍼로 널리 알려진 피르기나이의 속에 붙여졌다.[15][16] 48373 고르기티온은 1977년 10월 16일 C. J. 반 하우텐과 I. 반 하우텐-그로네벨트에 의해 발견된 태양계의 소행성이다.[17]5. 2. 천문학
48373 고르기티온은 1977년 10월 16일 C. J. 반 하우텐과 I. 반 하우텐-그로네벨트에 의해 발견된 태양계의 소행성이다.[17]참조
[1]
서적
Troy: A Study in Homeric Geography
1912
[2]
서적
Iliad
1873
[3]
서적
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
1922
[4]
서적
Israel and Hellas
Walter de Gruyter, Berlin and New York
2000
[5]
간행물
The Histories
[6]
서적
Iliad
[7]
웹사이트
Iliad
https://www.gutenber[...]
2008-01-22
[8]
문서
Bibliotheca
[9]
웹사이트
Fables 50 – 99, translated by Mary Grant
http://www.theoi.com[...]
[10]
웹인용
The Virtual Iliad
http://library.think[...]
2008-01-21
[11]
서적
The Choice of Achilles: The Ideology of Figure in the Epic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2
[12]
서적
The Iliad of Homer
1899
[13]
서적
Pope's Iliad: Homer in the Age of Pass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3
[14]
웹사이트
DICTYS CRETENSIS BOOK 3 TRANS. BY R. M. FRAZER
http://www.theoi.com[...]
2008-01-23
[15]
웹사이트
Gorgythion, Godman and Salvin, 1896
https://www.itis.gov[...]
2008-01-23
[16]
서적
Biologia Centrali Americana: Zoologia-Insecta-Diptera
London
1896
[17]
웹사이트
48373 Gorgythion (2161 T-3)
http://ssd.jpl.nasa.[...]
2008-01-21
[1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2・5
[19]
문서
『イーリアス』8巻300行-308行
[20]
문서
『イーリアス』8巻266行-299行
[21]
문서
クレータのディクテュス、3巻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