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릭세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릭세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공주이다. 그녀는 헥토르와 트로일로스의 여동생으로,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당한 헥토르의 무덤에서 눈물을 흘리다 아킬레우스의 청혼을 받지만, 파리스의 계략으로 아킬레우스가 죽자 아킬레우스의 망령의 요구에 따라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제물로 바쳐진다. 일부 설화에서는 아킬레우스의 죽음에 죄책감을 느껴 자살했다고도 전해진다. 폴릭세네는 고대 미술과 문학 작품에서 자주 묘사되며, 특히 아킬레우스의 희생을 묘사한 장면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왕녀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그리스 신화의 왕녀 - 페넬로페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는 그리스 신화에서 남편의 귀환을 20년간 기다리며 정절을 지키고 지혜로운 계략을 사용한 인물로, 라틴 문학에서 정숙한 아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인신공희 - 입다
입다는 사사기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판관으로, 암몬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맹세로 인해 딸을 제물로 바쳤고, 뛰어난 능력으로 지도자가 되었지만 에브라임 지파 학살을 저지르는 등 승리와 비극, 윤리적 논쟁을 야기하는 인물이다. - 인신공희 - 이광리
이광리는 전한 무제 시기의 장군으로, 대완 정벌과 흉노와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두 차례 대완 원정을 통해 한혈마를 얻었으나 흉노에 투항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 트로이아인 - 안티파테스
안티파테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을 지칭하며, 멜람푸스의 아들, 라이스트리고네스족의 왕, 트로이 전쟁의 인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트로이아인 - 아르켈로코스
아르켈로코스는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자 다르다니아 군대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아이아스가 던진 창에 목을 맞아 전사했다.
폴릭세네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Πολυξένη |
로마자 표기 | Polyxénē |
가족 | 프리아모스의 딸 |
형제자매 | 헥토르, 파리스, 헬레노스, 카산드라, 데이포보스, 트로일로스 등 |
신화 속 역할 | |
주요 관련 인물 | 아킬레우스, 네오프톨레모스 |
이야기 | 트로이 함락 후 아킬레우스의 무덤에서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희생됨 |
특징 | 아름다움, 순결, 비극적인 운명 |
2. 신화 속 폴릭세네
폴릭세네는 트로이의 공주로, 프리아모스 왕과 헤카베 왕비의 막내딸이었다. 그녀는 뛰어난 미모와 현명함을 지닌 인물로, 비극적인 운명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이 끝난 후, 그리스 군이 귀향하기 전 아킬레우스의 망령이 나타나 폴릭세네를 제물로 바칠 것을 요구했다.[5] 아가멤논은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이 임무를 맡겼다. 폴릭세네는 죽음 앞에서 의연한 태도를 보이며, 순결한 처녀로서 죽기를 원했다. 네오프톨레모스는 그녀의 용기에 감동했지만, 결국 그녀를 아킬레우스의 무덤에 제물로 바쳤다.
폴릭세네의 죽음은 여러 예술 작품에서 다뤄졌는데, 특히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트로이의 여인들》과 《헤카베》에서 비중 있게 그려진다. 이 작품들에서 폴릭세네는 아킬레우스의 망령에 의해 인신 공양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녀는 노예가 되기보다는 죽음을 택하며, 죽는 순간까지도 품위를 잃지 않는 고귀한 모습을 보여준다.[7]
2. 1. 아킬레우스와의 관계
헥토르와 트로일로스가 아킬레스에게 전사하자, 폴릭세네는 헥토르의 무덤에서 홀로 눈물을 흘렸다. 이를 염탐하던 아킬레스가 폴릭세네의 아름다움에 반해 청혼하며 전쟁을 끝내겠다고 약속했다.[5] 폴릭세네는 팀블레의 아폴론 신전에서 결혼식을 제안했다. 그러나 파리스가 이를 알고 폴릭세네에게 자초지종을 물었고, 폴릭세네는 아킬레스와의 결혼을 알렸다. 파리스는 헬레네와 헤어질 것을 염려하고 형제들의 원수라는 생각에 아킬레스를 죽이기로 결심, 신전에서 아폴론 신상에 기도하여 아킬레스의 약점을 알아내고 신상 뒤에 숨어 기다렸다.아킬레스는 오디세우스와 아이아스의 만류에도 불구, 결혼하면 처남 매부 사이가 될 것이라며 신전으로 향했다. 폴릭세네가 나타나 결혼 서약을 하려는 순간, 파리스가 독화살을 아킬레스건에 맞춰 아킬레스는 쓰러졌다. 아킬레스는 폴릭세네가 자신을 속였다며 절규하며 죽었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 따르면, 1년 뒤 트로이가 함락되고 아킬레스의 망령이 나타나 아가멤논에게 폴릭세네를 제물로 바치라고 요구했다. 아가멤논은 아킬레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폴릭세네를 제물로 바치게 했다. 폴릭세네는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순결한 처녀로 죽게 해달라고 요구했고, 네오프톨레모스는 그녀의 가슴을 찔러 아킬레스의 무덤에 묻었다.
폴릭세네는 아가멤논과 클리타임네스트라의 딸 이피게네이아의 트로이판으로 여겨지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등장하지 않고 후대 시인들의 작품에 등장한다.
신탁에 따르면 폴릭세네의 형제 트로이루스 왕자가 스무 살이 되면 트로이가 패배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트로이 전쟁 중 폴릭세네와 트로이루스가 샘에서 물을 뜨려다 아킬레스에게 공격당했고, 트로이루스는 죽임을 당했지만 아킬레스는 폴릭세네의 현명함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
아킬레스는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에서 회복 중 폴릭세네에게 위안을 얻고, 그녀의 말을 듣고 아폴론 신전으로 갔다. 그는 폴릭세네에게 자신의 약점인 발뒤꿈치에 대해 말했다. 이후 아폴론 신전에서 폴릭세네의 형제 파리스와 데이포보스가 아킬레우스를 매복 공격, 독화살로 그의 발뒤꿈치를 쏘았는데, 아폴론이 인도했다고 한다.
아킬레스의 죽음 후, 폴릭세네가 자살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트로이의 여인들』과 『헤카베』에서는 트로이 전쟁 종결 시 폴릭세네가 죽었다고 한다. 아킬레스의 망령이 나타나 폴릭세네를 인신 공양해야 바람을 얻어 그리스로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 폴릭세네는 아킬레스의 묘 앞에서 네오프톨레모스에게 목이 베여 죽었으며, 죽을 때 옷을 정리하여 자신의 피부가 완전히 가려지도록 했다.
2. 2. 폴릭세네의 희생
헥토르와 트로일로스 남매가 아킬레스에게 죽자, 폴릭세네는 헥토르의 무덤에서 슬픔에 잠겼다. 이때 아킬레스가 그녀에게 청혼하며 전쟁을 끝내겠다고 약속했다. 폴릭세네는 팀블레의 아폴론 신전에서 결혼식을 제안했지만, 파리스는 이를 반대하며 아킬레스를 죽이기로 결심한다. 파리스는 신상 뒤에 숨어 아킬레스가 폴릭세네를 껴안으려는 순간 독화살을 쏘아 아킬레스건을 맞혔다. 아킬레스는 폴릭세네가 자신을 속였다고 비난하며 죽었고, 파리스는 폴릭세네를 데리고 떠났다.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 따르면, 1년 후 그리스가 트로이를 함락했을 때, 아킬레스의 망령이 나타나 폴릭세네를 제물로 바치라고 요구했다. 아가멤논은 네오프톨레모스에게 폴릭세네를 제물로 바치라고 명령했다. 폴릭세네는 옷을 찢고 가슴을 드러내며 순결한 처녀로 죽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네오프톨레모스는 그녀의 가슴을 찔러 아킬레스의 무덤에 묻었다.
일부에서는 폴릭세네가 죄책감에 자살했다고 주장했지만,[6]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트로이의 여인들''과 ''헤카베''에서는 트로이 전쟁이 끝날 때 아킬레우스의 유령이 폴릭세네를 인신 제사로 요구했다고 한다. 폴릭세네는 노예로 사느니 죽음을 택하겠다며 어머니 헤카베를 안심시켰고, 오디세우스에게 공주로서 대우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녀의 처녀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죽을 때 옷을 정리하여 몸을 가리는 등 품위를 지켰다.[1]
“아카이아 군대 전체가 당신의 딸을 죽이기 위해 무덤 앞에 ''총 집결''했다. 아킬레우스의 아들은 폴릭세네의 손을 잡고 그녀를 언덕 꼭대기에 세웠다. 그리고 내가 가까이 있었다. 아카이아인 중에서 뽑힌 젊은이들이 그녀가 발버둥 치면 붙잡아 두기 위해 대기하고 있었다. 그런 다음 아킬레우스의 아들은 금으로 된 잔을 가득 채워 손에 들고 죽은 아버지에게 바치는 제물을 높이 들었다. 그는 나에게 아카이아 군대 전체에게 침묵을 요구하는 신호를 보냈다. 그래서 나는 가운데 서서 이렇게 말했다. ‘아카이아인들이여, 침묵하라. 온 군대가 침묵하라! 침묵하라! 한마디도 하지 말라!’ 그리고 나는 군중을 조용하게 했다. 그러자 그는 말했다. ‘펠레우스의 아들, 나의 아버지시여, 죽은 자들을 부르는 이 제물을 저로부터 받아들이고 진정하십시오. 오셔서 군대와 내가 당신에게 바치는 순결하고 어두운 처녀의 피를 드십시오. 우리에게 호의를 베푸시고, 우리 배의 뱃머리를 고정하는 밧줄을 풀고, 트로이에서 유리하게 귀환하여 우리 모두가 고국에 도달할 수 있도록 허락하십시오.’ 그가 그렇게 말하자 온 군대가 그를 따라 기도했다. 그러자 그는 단단한 금으로 된 칼자루를 잡고 칼집에서 뽑기 시작했고, 끄덕임으로 그리스 군대에서 뽑힌 젊은이들에게 소녀를 잡으라고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그녀는 이것을 보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 도시를 약탈한 아르고스인들이여, 나는 기꺼이 죽겠소. 아무도 내 몸에 손을 대지 마시오. 용감하게 내 목을 바치겠소. 신들께 맹세하건대, 내가 자유로운 여인으로 죽을 수 있도록 죽일 때 나를 자유롭게 놔두시오! 나는 공주이고, 죽은 자들 사이에서 노예라는 이름을 갖는 것은 나에게 수치일 것이오.’ 군중들은 승인을 외쳤고 아가멤논 왕은 젊은이들에게 소녀를 놓아주라고 말했다… 주인의 이 명령을 들었을 때 그녀는 옷을 잡고 어깨 꼭대기에서 허리 중간, 배꼽까지 찢었다. 그녀의 아름다운 가슴과 품은 조각상처럼 드러났고, 땅에 무릎을 꿇고 앉아 가장 가슴 아픈 말을 했다. “나를 보시오! 이 가슴을 치고 싶다면 젊은 네오프톨레모스여, 지금 치시오 – 아니면 내 목을 자르고 싶다면 내 목이 여기 준비되어 있소.” 소녀를 불쌍히 여긴 그는 주저함과 열망 사이에서 망설였지만, 칼로 그녀의 기관을 베었다. 피가 솟구쳐 나왔다. 그러나 그녀는 죽어가면서도 남자들의 눈에 보여서는 안 될 것을 가리기 위해 조심스럽게 품위를 지키며 넘어졌다.”[7]
그녀의 형제 트로이로스가 20세가 되면 트로이는 멸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탁이 있었다. 트로이 전쟁 중 폴릭세네와 트로이로스가 샘에서 물을 길으러 갔을 때, 트로이로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당했다. 아킬레우스는 폴릭세네에게 매료되었고, 그녀를 통해 위로받으며 자신의 약점을 밝혔다. 이후 폴릭세네의 형제 파리스와 데이포보스가 아킬레우스를 죽였다.
3. 묘사
말라라스의 《연대기》는 폴릭세네를 "키가 크고, 순수하며, 매우 하얗고, 눈이 크고, 검은 머리카락을 길게 늘어뜨리고, 콧날과 뺨이 좋고, 입술은 붉으며, 발이 작고, 처녀이며, 매력적이고, 매우 아름다웠고, 그녀가 죽었을 때 18세였다"라고 묘사했다.[3] 프리지아의 다레스는 그녀를 "아름답고, 키가 크고, 아름다웠다. 그녀의 목은 가늘고, 눈은 아름다웠고, 머리카락은 금발에 길었고, 몸매는 균형 잡혀 있었고, 손가락은 가늘었고, 다리는 곧았고, 발은 최고였다. 다른 모든 사람의 아름다움을 능가하며, 그녀는 완전히 순수하고 친절한 여인이었다."라고 설명했다.[4]
4. 예술 작품 속 폴릭세네
폴릭세네는 고대 그리스 미술, 중세 및 르네상스 미술, 그리고 바로크 시대 이후의 미술 작품에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그리스 미술에서는 폴릭세네가 아킬레우스의 묘 위에서 희생되는 모습으로 주로 묘사되었지만,[9] 일부 이미지는 묘가 아닌 제단 위에서 희생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원전 500년경의 폴릭세네 석관에는 묘 옆에 삼각대가 묘사되어 있는데,[10] 이는 아킬레우스의 무덤과 아폴론에게 헌정된 신성한 땅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보카치오의 ''저명한 여성들'' 삽화에 폴릭세네가 자주 등장했으며,[11] 프리마티초는 퐁텐블로 성 (1541–47)에서 그녀를 그리기도 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폴릭세네가 스키피오의 절제와 함께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는 1625년에 대형 그림(현재 카피톨리네 미술관)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11] 조반니 프란체스코 로마넬리와 샤를 르 브룅 (1647)의 그림은 모두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바스티아노 리치는 1720년대에 대형 그림을 계획했지만 완성하지 못했고,[12] 조반니 바티스타 피토니는 이 주제에 특히 열정적이었다.
대부분의 그림에서 폴릭세네는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며, 종종 가슴을 드러낸 채 묘사된다. 희생은 사제나 네오프톨레모스가 수행하며, 아킬레우스의 무덤 위에는 그의 기마상이 있거나 살해에 반대했던 아가멤논이 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아킬레우스의 유령이 나타나기도 한다.
피오 페디의 조각상 ''폴릭세네의 강탈''(1855–1865)은 란치 로지아에 전시되어 있는데, 이는 성폭행이 아니라 "빼앗다"라는 의미를 지닌다.[13][14] 이 작품은 네오프톨레모스에게 폴릭세네가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바닥에는 그녀의 형제 폴리테스나 헥토르의 시신이 있다.[15]
폴릭세네는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 세네카의 ''트로아데스'', 소포클레스의 ''폴릭세네'' 등 고전 드라마에도 등장한다.[16] 장-바티스트 륄리의 오페라 ''아킬레와 폴릭세네''(1687), 앙투안 도베르뉴의 오페라 ''폴릭센''(1763), 헥토르 베를리오즈의 ''트로이 사람들''에도 등장하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도 언급된다.
4. 1. 고대 미술
그리스 미술에서 폴릭세네의 희생을 묘사하는 것으로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는 몇 가지 예가 있다.[9] 대부분은 아킬레우스의 묘 위에서 희생되는 폴릭세네를 보여준다. 그러나 희생에 대한 그림 증거의 일부 세부 사항은 이야기의 다양하고 아마도 더 이전 버전임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일부 이미지는 묘가 아닌 제단 위에서 희생되는 폴릭세네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500년경으로 추정되는 폴릭세네 석관인 귬쉬차이의 한 석관 부조[10]는 묘 옆에 삼각대를 보여준다. 이러한 세부 사항은 아킬레우스의 매장된 언덕과 아폴론에게 헌정된 신성한 땅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4. 2. 중세 및 르네상스 미술
보카치오의 ''저명한 여성들'' 삽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등 중세 및 르네상스 미술에서 폴릭세네를 다룬 이미지의 흐름이 있었다.[11] 프리마티초는 퐁텐블로 성 (1541–47)에서 폴릭세네를 그렸다. 그러나 이 주제는 바로크 시대에 더욱 인기를 얻어 스키피오의 절제와 종종 함께 묘사되었다.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는 1625년에 대형 그림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11]조반니 프란체스코 로마넬리의 그림과 샤를 르 브룅 (1647)의 그림이 그 예시이며, 둘 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바스티아노 리치는 1720년대에 대형 그림을 계획했지만 연구 단계 이상으로 진행하지 못했다.[12] 18세기 베네치아 화가 조반니 바티스타 피토니는 이 주제에 특히 열정적이었다.
대부분의 그림에서 폴릭세네는 품위 있는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하며, 종종 가슴을 드러낸 채 묘사된다. 희생은 사제 또는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리치의 그림처럼, 아킬레우스의 무덤 위에는 그의 기마상이 있을 수 있으며, 살해에 반대했던 아가멤논이 반대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때로는 아킬레우스의 유령이 근처 공중에 떠다니기도 한다.
피오 페디의 작품으로, 피렌체의 란치 로지아에 매우 눈에 띄게 전시되어 있는 ''폴릭세네의 강탈''이라는 조각상 (1855–1865)은 묘사된 폭력 때문에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 이름은 성폭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라틴어 ''라페레''(수동태 어간 ''랍툼'')에서 파생된 단어의 이전 정의인 "빼앗다, 잡다, 낚아채다"를 의미한다.[13][14] 이 작품은 폴릭세네의 성적인 강간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의 어머니 헤쿠바가 앉아서 항의하는 가운데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바닥에 있는 시신은 다소 시대착오적으로 그녀의 형제 폴리테스이거나, 헥토르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훨씬 전에 죽었고 묻혔다.[15]
4. 3. 바로크 시대 이후
프리마티초는 퐁텐블로 성 (1541–47)에서 폴릭세네를 그렸는데, 이 주제는 바로크 시대에 더욱 인기를 얻었다. 스키피오의 절제와 함께 묘사되기도 하였다.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는 1625년에 대형 그림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현재 카피톨리네 미술관, 2.17m × 4.19m).[11]조반니 프란체스코 로마넬리의 그림과 샤를 르 브룅 (1647)의 그림이 그 예시이며, 둘 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바스티아노 리치는 1720년대에 대형 그림을 계획했지만 연구 단계 이상으로 진행하지 못했다.[12] 18세기 베네치아 화가 조반니 바티스타 피토니는 이 주제에 특히 열정적이었으며, 최소 4개의 구성을 9번이나 그렸다.
대부분의 그림에서 폴릭세네는 품위 있는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하며, 종종 가슴을 드러낸 채 묘사된다. 희생은 사제 또는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리치의 그림처럼, 아킬레우스의 무덤 위에는 그의 기마상이 있을 수 있으며, 살해에 반대했던 아가멤논이 반대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때로는 아킬레우스의 유령이 근처 공중에 떠다니기도 한다.
피오 페디의 작품으로, 피렌체의 란치 로지아에 매우 눈에 띄게 전시되어 있는 ''폴릭세네의 강탈''이라는 조각상 (1855–1865)은 묘사된 폭력 때문에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다. 이 이름은 성폭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라틴어 ''라페레'' (수동태 어간 ''랍툼'')에서 파생된 단어의 이전 정의인 "빼앗다, 잡다, 낚아채다"를 의미한다.[13][14] 이 작품은 폴릭세네의 성적인 강간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의 어머니 헤카베가 앉아서 항의하는 가운데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바닥에 있는 시신은 다소 시대착오적으로 그녀의 형제 폴리테스이거나, 헥토르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훨씬 전에 죽었고 묻혔다.[15]
4. 4. 오페라
폴릭세네 이야기는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 세네카의 ''트로아데스''와 소포클레스의 ''폴릭세네''에 등장하며, 이 중 몇몇 단편만이 남아 있다.[16] 이러한 고전 드라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5. 계보
아틀라스-플레이오네 | |
---|---|
제우스-엘렉트라 | |
이다이아-스카만드로스 | |
이아시온-데메테르 | |
다르다노스 | |
바테이아-시모에이스 | |
플루토스 | 이로스 |
에릭토니오스 | 아스티오케 |
트로스 Τρώς|트로스grc | 칼리로에 |
가니메데 | 이로스 |
아사라코스 | 히에로므네메 |
카뤼베 | 라오메돈 |
스트뤼모 | 테미스토 |
카피스 | |
부코리온 | 히케타온 |
람포스 | 클뤼티오스 |
헤시오네 | 아스티오케 |
안키세스 | 아프로디테 |
아이세포스 | 페다소스 |
멜라니포스 | 드로프스 |
칼레토르 | 테우크로스 |
텔라몬 | 에우뤼필로스 |
티토노스 | 에오스 |
아리스베 | 프리아모스 |
헤카베 | 멤논 |
에마티온 | |
아이사코스 | 헥토르 |
헬레노스 | 트로일로스 |
파리스 | 폴리도로스 |
카산드라 | 크레우사 |
아이네이아스 | |
아스티아낙스 | 안드로마케 |
데이포보스 | 헬레네 |
메넬라오스 | 폴릭세네 |
아스카니오스 |
참조
[1]
백과사전
Polyxena
Macmillan Educational Corporation
[2]
문서
Hall, 254
[3]
웹사이트
Chronography
https://topostext.or[...]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5]
문서
Hall, 249; Aghion et al, 242
[6]
문서
Heroica
[7]
서적
Hecuba; The Trojan Women; Andromach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Archaeology of Greek and Roman Tro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9]
간행물
Troilos and Polyxene. Notes on a changing legend
[10]
논문
A New Sarcophagus of Polyxena from the Salvage Excavations at Gümüşçay
1996
[11]
문서
Mylonopoulos, 61
[12]
웹사이트
"''The Sacrifice of Polyxena'' c. 1726–30"
https://www.rct.uk/c[...]
[13]
서적
Rape and Ravishment in the Literature of Medieval England
Boydell & Brewer
[14]
서적
A Most Detestable Crime: New Philosophical Essays on Rape
Oxford University Press
[15]
뉴스
"The Rape of Polyxena"
https://books.google[...]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868-01-25
[16]
문서
EB
[17]
백과사전
Polyxena
Macmillan Educational Corpo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