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도메네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도메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와 에우로페의 아들인 크레타의 왕 미노스의 가계와 관련된 인물이다. 미노스는 파시파에와 황소 사이에서 태어난 미노타우로스를 라비린토스에 가두었으며,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을 받아 미노타우로스를 처치했다. 이 외에도 이도메네우스는 신화 속 다양한 이야기와 상징, 문화적 해석,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레타의 왕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크레타의 왕 - 라다만티스
    라다만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와 에우로페의 아들이자 크레타 왕의 양자로, 뛰어난 입법 활동을 펼쳤으며 지하세계의 심판관 또는 엘리시온 들판에서 사는 존재로 묘사된다.
  • 미케네 문명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케네 문명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인신공희 - 입다
    입다는 사사기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판관으로, 암몬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맹세로 인해 딸을 제물로 바쳤고, 뛰어난 능력으로 지도자가 되었지만 에브라임 지파 학살을 저지르는 등 승리와 비극, 윤리적 논쟁을 야기하는 인물이다.
  • 인신공희 - 이광리
    이광리는 전한 무제 시기의 장군으로, 대완 정벌과 흉노와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두 차례 대완 원정을 통해 한혈마를 얻었으나 흉노에 투항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이도메네우스
기본 정보
이도메네우스
이도메네우스
그리스어Ἰδομενεύς
로마자 표기Īdomeneus
가계
아버지데우칼리온
어머니크레테
배우자메다
자녀이필클로스
클리시티라
오리킬코스
신화 속 역할
직위크레타의 왕
참여 전쟁트로이아 전쟁
트로이아 전쟁에서의 역할
지휘 부대크레타
아카이아군 기여80척의 배
주요 업적여러 트로이아군 영웅 살해
메리오네스와 함께 용맹 떨침
전쟁 이후
귀환안전하게 귀환했으나, 역병으로 인해 이탈리아로 이주
정착지살렌툼 (전설)
기타
관련 인물메리오네스 (전차병 겸 친구)
테우크로스
특징뛰어난 용맹과 지략을 겸비한 왕

2. 가계도

제우스에우로페의 아들이자 크레타의 왕 미노스는 왕비 파시파에와 황소 사이에서 태어난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라비린토스에 가두었다. 파시파에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딸이다.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미노스파시파에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을 받아 미노타우로스를 처치했다.

아게노르
텔레파사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카드모스킬릭스포이닉스에우로페제우스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미노스사르페돈라다만튀스알크메네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9"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미노타우로스안드로게오스데우칼리온글라우코스아리아드네디오니소스파이드라테세우스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아카마스데모폰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아에로페클리메네메리오네스토아스미르네스타퓔로스오이노피온페파레토스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아가멤논메넬라오스파라메데스오이아스이아손휩시필레몰파디아로이오파르테노스메로페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에우네오스네브로포노스토아스아니오스


2. 1. 주요 인물

제우스에우로페의 아들이자 크레타의 왕 미노스는 왕비 파시파에와 황소 사이에서 태어난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라비린토스에 가두었다. 파시파에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딸이다.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미노스파시파에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을 받아 미노타우로스를 처치했다.

2. 2. 가계도 도표

아게노르
텔레파사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카드모스킬릭스포이닉스에우로페제우스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미노스사르페돈라다만튀스알크메네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9"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미노타우로스안드로게오스데우칼리온글라우코스아리아드네디오니소스파이드라테세우스
colspan="2"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아카마스데모폰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아에로페클리메네메리오네스토아스미르네스타퓔로스오이노피온페파레토스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아가멤논메넬라오스파라메데스오이아스이아손휩시필레몰파디아로이오파르테노스메로페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colspan="3"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에우네오스네브로포노스토아스아니오스


3. 신화 속 이야기

3. 1. 탄생과 배경

3. 2. 라비린토스

3. 3. 테세우스와 아리아드네

4. 상징과 해석

4. 1. 심리학적 해석

4. 2. 문화적 상징

5. 한국 문화와의 관계

6. 대중문화 속 미노타우로스

참조

[1]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3・1
[2] 서적 『オデュッセイア』第13歌260行
[3] 서적 『イーリアス』第2歌645行-652行
[4] 서적 『イーリアス』第13歌361行
[5] 서적 『イーリアス』第23歌476行-477行
[6] 서적 『イーリアス』第13歌
[7] 서적 スミュルナのコイントス『トロイア戦記』
[8] 서적 ヒュギーヌス、114話
[9] 서적 ウェルギリウス『アエネーイス』3巻121行-122行
[10] 서적 Scholiast on Homer ''Odyssey'' ν 259
[11] 서적 Operum quae exstant, p. 174 Christophorus Raphelengius 1601
[12] 서적 アポロドーロス、摘要(E)4・10
[13] 서적 The Phaistos Disc: A Luwian Letter to Nestor Dutch Arch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y, Amsterdam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