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카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카베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비로, 프리아모스의 아내이자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 19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이다. 트로이 전쟁 전에는 막내 아들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의 왕에게 맡겼으나, 트로이 함락 후 남편과 많은 자녀를 잃고 오디세우스의 노예로 끌려갔다. 이후 폴리도로스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개로 변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헤카베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셰익스피어의 햄릿 등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비극적인 여성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폴론의 여인 - 드리오페
    그리스 신화에서 드리오페는 검은 포플러 나무로 변신하는 인물로, 로티스의 꽃을 꺾으려다 변하거나 아폴론에게 유혹당한 후 변하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폴론의 여인 - 시노페 (신화)
    시노페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시루스를 낳았거나 제우스에게 처녀로 남기를 소원하여 아폴론과 할리스 강을 속여 평생 처녀로 살았다고 전해진다.
  • 신화의 개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신화의 개 - 케르베로스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개로 저승의 입구를 지키며, 머리 개수와 모습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헤라클레스의 과업 중 하나로 유명하다.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이오 (신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헤라의 질투로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방랑을 겪고, 이집트에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를 낳는 인물이다.
헤카베
인물 정보
유형그리스 신화
기원전 6세기의 꽃병에 묘사된 헤카베
신화 속 정보
다른 이름헤카베, 디만티스
배우자아폴론
프리아모스
자녀트로일로스와 헥토르 (첫 번째)
파리스, 카산드라, 헬레노스, 데이포보스, 라오디케, 폴릭세네, 크레우사, 폴리도로스, 폴리테스, 안티포스, 팜몬, 히포노우스, 일리오네 (두 번째)
부모디마스와 에바고라 또는 글라우키페 또는 에우노에 (1)
킷세우스와 텔레클레이아 (2)
상가리오스와 메토페 또는 에바고라 또는 글라우키페 (3)
형제자매테아노 (2명)
거주지프리기아 또는 트라키아, 이후 트로이
트로이의 여왕
소속트로이 왕가

2. 가족 관계

헤카베는 프리기아의 왕 디마스와 산가리오스의 딸 에우노에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프리아모스와의 사이에서 19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헥토르를 비롯하여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도로스 등의 아들과 카산드라, 라오디케, 폴릭세나 등의 딸이 있었다.[26]

2. 1. 부모

헤카베의 부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호메로스에 따르면 헤카베는 프리기아의 왕 디마스의 딸이었다.[5] 에우리피데스[6]베르길리우스[7]는 헤카베를 트라키아의 왕 키세우스의 딸로 묘사한다. 신화학자 가짜 아폴로도로스와 히기누스는 그녀의 아버지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열어두었으며, 가짜 아폴로도로스는 세 번째 대안으로 헤카베의 부모가 강신 상가리우스와 메토페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8][9]

몇몇 다른 버전들은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에 대한 주석가에 의해 요약되었는데,[10] 그들에 따르면, 그녀는 디마스 또는 상가리우스와 나이아스 에우아고라 사이에서 태어났거나, 크산토스 (스카만드로스?)의 딸 글라우키페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키세우스의 딸일 가능성도 논의된다. 호메로스에 대한 주석가는 헤카베의 부모가 디마스와 요정 에우노에이거나 키세우스와 텔레클레이아였다고 전한다.[11] 후자의 경우 그녀는 테아노의 친자매가 되며, 이는 위에서 인용된 에우리피데스에 대한 주석가에 의해서도 언급된다.

수에토니우스는 ''열두 명의 카이사르''에서 황제 티베리우스가 고대 신화에 대한 모호한 질문으로 학자들을 괴롭혔으며, 그가 가장 좋아하는 질문 중 하나는 "헤카베의 어머니는 누구인가?"였다고 한다.[12]

2. 2. 배우자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와 사이에서 19명의 자녀를 두었다. 맏이는 헥토르이며,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도로스 등의 아들과 카산드라, 라오디케, 폴릭세나 등의 딸들을 낳았다.[26]

2. 3. 자녀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와의 사이에서 19명의 자녀를 두었다. 맏이는 유명한 영웅 헥토르이며,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도로스 등의 아들과 카산드라, 라오디케, 폴릭세나 등의 딸들을 낳았다.[26] 이들 중 헥토르[13]와 트로일루스[14]는 헤카베와 신 아폴론과의 관계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다음은 헤카베의 자녀들에 대한 여러 기록을 비교한 표이다.

헤카베의 자녀
이름출처
호메로스 일리아스에우리피데스 TW에우리피데스 헤카.디오도로스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아폴로도로스
헥토르
데이포보스
폴릭세나
카산드라
폴리도로스
파리스
크레우사
라오디케
헬레노스
팜몬
폴리테스
안티포스
트로일루스


3. 신화 속 헤카베

헤카베는 프리기아 출신으로, 여러 설에 따르면 아버지는 디마스, 어머니는 하신(河神) 산가리오스의 딸 에우노에라고 한다. 프리아모스와의 사이에서 19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헥토르를 비롯하여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도로스 등의 아들과 카산드라, 라오디케, 폴릭세나 등의 딸을 낳았다.

트로이 전쟁이 일어나기 전, 헤카베와 프리아모스는 막내아들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에게 보내 보호받게 했다. 헥토르가 아킬레우스에게 죽고 시체마저 모욕당하자, 프리아모스는 아들의 시체를 찾으러 가려 했지만 헤카베는 이를 만류했다.[26]

트로이가 함락된 후, 남편 프리아모스와 많은 아들들이 죽고 헤카베는 오디세우스의 노예가 되었다.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가 폴리도로스를 죽이자, 헤카베는 분노하여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개로 변했다. 그녀가 개로 변한 곳은 '퀴노스세마'('개의 무덤'이란 뜻)라고 불린다.[27]

3. 1. 트로이 전쟁 이전

헤카베의 부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프리기아 태생으로 아버지는 디마스이며 어머니는 하신(河神) 산가리오스의 딸 에우노에라고 한다.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와의 사이에서 19명의 자녀를 두었다. 맏이는 유명한 영웅 헥토르이며,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폴리도로스 등의 아들들과 카산드라, 라오디케, 폴릭세나 등의 딸들을 낳았다.

트로이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 헤카베와 프리아모스는 막내 아들인 폴리도로스를 많은 선물들과 함께 트라키아의 왕 폴리메스토르에게 보내어 안전하게 보호하게 했다. 맏아들 헥토르아킬레우스의 손에 죽고 아킬레우스가 시체마저 모욕하며 가져가 버리자, 프리아모스는 아들의 시체를 찾으러 아킬레우스를 찾아가려 하는데 헤카베는 이를 말린다.[26]

3. 2. 트로이 전쟁

오디세우스의 노예로 끌려가게 된 헤카베는 남편 프리아모스와 수많은 아들들이 죽어나가는 것을 보았다. 트로이가 함락되자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는 트로이의 막내 왕자 폴리도로스를 죽였다. 헤카베는 그리스로 끌려가던 도중 트라키아 섬을 발견하고 오디세우스의 배려로 포로에서 풀려나 섬에 내렸지만, 막내아들 폴리도로스마저 죽은 것을 알고 미쳐 버렸다. 그녀는 분노에 휩싸여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마침내 개로 변했다. 그녀가 개로 변한 곳은 '퀴노스세마'('개의 무덤'이란 뜻)라고 한다.[27]

헤카베는 《일리아스》에 여섯 번 등장한다. 6권 326–96행에서 그녀는 도시로 돌아온 헥토르를 만나 그에게 제물 잔을 건네며 제우스에게 바치고 자신도 마시라고 지시한다. 헥토르의 조언을 받아 그녀는 알렉산드로스의 보물에서 가져온 드레스를 골라 여신에게 바치고 트로이 여성들을 이끌고 아테나 신전으로 가서 도움을 청한다. 22권에서 그녀는 헥토르에게 아킬레우스와 싸우지 말라고 간청하며 "너를 시신으로 실어가는 것을 결코 슬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감을 드러낸다.[15] 24권 201–16행에서 그녀는 프리아모스가 아킬레우스의 오두막에서 헥토르의 시신을 되찾아오려는 계획을 듣고 불안에 휩싸인다. 같은 에피소드의 24.287–98행에서 그녀는 프리아모스에게 제물 잔을 바치고 그에게 제우스에게 기도하여 아카이아 진영으로 출발할 때 좋은 징조를 받으라고 지시한다. 헥토르가 그녀의 잔을 거절했던 첫 번째 에피소드와는 달리, 프리아모스는 잔을 받아들이고 요청한 징조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그녀는 24.748–59행에서 널리 알려진 연설에서 헥토르의 죽음을 애도한다.

메리조제프 블롱델의 ''헤카베와 폴릭세나''

3. 3. 트로이 함락 이후

트로이가 함락된 후 남편 프리아모스도 죽고 수많은 아들들이 죽어나갔다. 헤카베는 오디세우스의 노예로 끌려가게 되었다. 트로이가 함락되자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는 트로이의 막내 왕자 폴리도로스를 죽여버렸다. 헤카베는 그리스로 끌려가던 도중 트라키아 섬을 발견하고 오디세우스의 배려로 포로에서 풀려나 트라키아 섬에서 내리지만, 막내아들 폴리도로스마저 죽은 것을 보고 미쳐 버렸다. 그녀는 분노에 휩싸여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마침내 개로 변했다. 그녀가 개로 변한 곳은 ‘퀴노스세마’(‘개의 무덤’이란 뜻)이라고 한다.[27]

스테시코루스는 트로이 함락 후 헤카베의 옛 연인이었던 아폴론이 그녀를 안전하게 데려가 리키아에 두었다고 말한다.[16][17]

에우리피데스의 두 희곡, ''트로이 여인들''과 ''헤카베''는 헤카베를 주요 등장인물로 다룬다. ''트로이 여인들''은 오디세우스에게 노예가 된 헤카베를 포함하여 트로이 함락 이후의 상황을 묘사한다. ''헤카베'' 역시 트로이 함락 직후를 배경으로 한다. 폴리도로스는 프리아모스와 헤카베의 막내 아들로, 안전을 위해 폴리메스토르 왕에게 보내졌지만, 트로이가 함락되자 폴리메스토르는 폴리도로스를 살해한다. 헤카베는 이 사실을 알게 되고, 폴리메스토르가 몰락한 도시로 오자 그의 눈을 멀게 하고 두 아들을 죽인다.[18]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그녀가 노예로 오디세우스에게 주어졌을 때, 그에게 으르렁거리며 저주를 퍼부었고, 이에 신들이 그녀를 개로 만들어 도망치게 했다. 헤카베는 개가 되어 나중에 헤카테에 의해 그녀의 패밀리어 중 하나로 거두어진다.

또 다른 전승에서, 헤카베는 자신의 자녀 폴리도로스와 폴릭세나의 시체를 보고 미쳐버렸다. 단테는 이 에피소드를 이탈리아 자료에서 차용하여 ''지옥'' XXX: 13–20에서 묘사했다.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헤카베는 바다에 몸을 던져[19] "불타는 눈을 가진 암캐"로 변했고, 키노세마('개의 무덤')라고 불리는 "비참한" 장소, 즉 "선원들을 위한 랜드마크"에 묻혔다고 한다.[20][21] 키노세마는 오늘날 킬리둘바히르에 위치한 곶이라고 한다.[22] 리코프론에 따르면, 그녀는 여신 헤카테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의 개의 패밀리어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23]

3. 4. 개로 변한 헤카베

트로이가 함락된 후 남편 프리아모스도 죽고 수많은 아들들이 죽어나갔다. 헤카베는 오디세우스의 노예로 끌려가게 되었다. 트로이가 함락되자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는 트로이의 막내 왕자 폴리도로스를 죽여버렸다. 헤카베는 그리스로 끌려가던 도중 트라키아 섬을 발견하고 오디세우스의 배려로 포로에서 풀려나 그곳에서 내리지만, 막내아들 폴리도로스마저 죽은 것을 보고 미쳐 버렸다. 그녀는 분노에 휩싸여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마침내 개로 변했다. 그녀가 개로 변한 곳은 ‘퀴노스세마’(‘개의 무덤’이란 뜻)이라고 한다.[27]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헤카베가 노예로 오디세우스에게 주어졌을 때, 그에게 으르렁거리며 저주를 퍼부었고, 이에 신들이 그녀를 개로 만들어 도망치게 했다. 이후 헤카베는 개가 되어 헤카테의 패밀리어 중 하나로 헤카테에게 거두어진다.

또 다른 전승에서, 헤카베는 자신의 자녀 폴리도로스와 폴릭세나의 시체를 보고 미쳐버렸다. 단테는 이 에피소드를 이탈리아 자료에서 차용하여 묘사했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헤카베는 바다에 몸을 던져[19] "불타는 눈을 가진 암캐"로 변했고, 키노세마('개의 무덤')라고 불리는 "비참한" 장소, 즉 "선원들을 위한 랜드마크"에 묻혔다고 한다.[20][21] 키노세마는 오늘날 킬리둘바히르에 위치한 곶이라고 한다.[22] 리코프론에 따르면, 그녀는 여신 헤카테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의 개의 패밀리어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23]

4. 문학 작품 속 헤카베



헤카베는 고전 문학, 중세, 르네상스, 현대 문학 작품에서 자주 언급된다. 헤카베에 관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1]

작품 종류작품명작가비고
희곡헤카베에우리피데스
희곡트로이의 여인들에우리피데스
비극트로아데스세네카
희곡트로이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장 지로두
소설프리아모스 왕데이비드 파크
자서전모두 헤카베를 위하여미케일 맥 리아모르1947년작
발레독수리의 행렬마사 그레이엄1967년작
TV 시리즈길리건의 섬1967년, 에피소드 72;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패러디한 뮤지컬 버전 공연
soap opera패션스2000년, 로빈 스트라세르가 헤카베 역 연기
희곡트로이 바비크리스틴 에반스2006년작
오디오 드라마닥터 후빅 피니쉬 제작, 더 셀레스티얼 토이메이커의 여동생으로 설정
소설하데스의 집릭 라이어던2013년작
소설트리플 여신의 분노릭 라이어던2024년작
미니시리즈트로이: 몰락의 도시2018년, 프랜시스 오코너가 헤카베 역 연기
TV 시리즈블루이2020년 시즌 2, 에피소드 2 "해머번", 빙고의 난쟁이 남편으로 등장



헤카베는 다른 작품에서도 언급된다.[1]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 2막 2장에서 햄릿은 프리아모스의 죽음을 목격하는 헤카베에 대한 독백을 하며 설득력 있는 슬픔을 표현하는 배우의 연기에 감탄한다. "헤카베가 그에게 무슨 상관이 있으며, 그가 헤카베에게 무슨 상관이 있기에 그녀를 위해 울겠는가?"라며 햄릿은 배우가 가상의 헤카베와 프리아모스를 위해 연기하는 것보다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슬픔을 덜 진정성 있게 표현하는 자신을 비판한다.[1]
  • 13세기 라틴어 및 골리아드 시집 ''카르미나 부라나''에 수록된 '운명의 상처를 애도하다(Fortune Plango Vulnera)'는 카를 오르프의 ''카르미나 부라나''의 운명 여제 부분에서 음악으로 설정되었다. 헤카베는 운명에 의해 굴복한 사람들의 예시로 언급되며 "Nam sub axe legimus, Hecubam reginam." (차축 아래에 여왕 헤카베가 기록되어 있다)라고 경고한다.[1]
  • 이디스 워튼의 ''세상의 관습''에서 그녀는 스프래그 부인을 "헤카베의 창백한 시선으로 [언딘과 스프래그 씨]를 바라보았다"고 묘사한다.[1]

5. 현대 대중문화 속 헤카베


  • Gilligan's Island|길리건의 섬영어(1967) TV 시리즈 72화에서 영화 제작자 해롤드 헤카베(Phil Silvers|필 실버스영어)가 섬에 불시착하자, 출연진들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패러디한 뮤지컬을 공연한다.
  • Passions|패션스영어(2000)에서 헤카베는 Robin Strasser|로빈 스트라세르영어가 연기했으며, 마을 마녀의 초자연적인 적대자이다.
  • Troy Baubie|트로이 바비영어(2006)는 크리스틴 에반스의 희곡이다.
  • 닥터 후의 각본에서 헤카베는 제작되지 않은 시즌 5 스토리인 '시간의 여왕'에서 더 셀레스티얼 토이메이커의 여동생으로 설정되었으나, 빅 피니쉬 오디오 드라마로 변경되었다.
  • 릭 라이어던의 소설 ''하데스의 집''(2013)과 ''트리플 여신의 분노''(2024)에 등장한다.
  • 트로이: 몰락의 도시(2018)에서 헤카베는 프랜시스 오코너가 연기했다.
  • 블루이(2020) 시즌 2, 에피소드 2 "해머번"에서 헤카베는 빙고의 난쟁이 남편으로 등장한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 2막 2장에서 햄릿은 프리아모스의 죽음을 목격하는 헤카베에 대한 독백을 하며 배우의 연기에 감탄한다. "헤카베가 그에게 무슨 상관이 있으며, 그가 헤카베에게 무슨 상관이 있기에 그녀를 위해 울겠는가?"라며 배우가 가상의 헤카베와 프리아모스를 위해 연기하는 것보다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슬픔을 덜 표현하는 자신을 비판한다.
  • 13세기 라틴어 및 골리아드 시집 ''카르미나 부라나''에 수록된 '운명의 상처를 애도하다(Fortune Plango Vulnera)'는 카를 오르프의 ''카르미나 부라나''의 운명 여제 부분에서 음악으로 설정되었다. 헤카베는 운명에 굴복한 사람들의 예시로 언급되며, "Nam sub axe legimus, Hecubam reginam." (차축 아래에 여왕 헤카베가 기록되어 있다)라고 경고한다.
  • 이디스 워튼의 ''세상의 관습''에서 스프래그 부인은 "헤카베의 창백한 시선으로 [언딘과 스프래그 씨]를 바라보았다"고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Hecuba http://encyclopedia.[...]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 서적 Chronography https://topostext.or[...]
[3] 서적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4] 서적 The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Heinemann Ltd. 1921
[5] 서적 Iliad
[6] 서적 Hecuba
[7] 서적 Aeneid
[8] 서적 Bibliotheca
[9] 서적 Fabulae
[10] 서적 Hecuba
[11] 서적 Iliad
[12] 서적 The Twelve Caesars
[13] 서적
[14] 서적 Bibliotheca
[15] 서적 The Iliad
[16] 서적 Fr.109
[17]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Volume 1
[18] 웹사이트 Hecuba http://public.wsu.ed[...]
[19] 서적 Fabulae
[20] 서적 Trojan Women: Eurip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1] 논문 Alexander, Palamedes, Troades, Sisyphus - A Connected Tetralogy? A Connected Tri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22] 간행물 Boundary and divide: The antiquity of the Dardanell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17
[23] 웹사이트 Lycophron, Alexandra http://www.theoi.com[...]
[24] 웹사이트 Hamlet: the play within the play https://www.bl.uk/sh[...] 2019-11-22
[25] 서적 ギリシアの神話 英雄の時代 中公文庫 1985
[26] 서적 일리아스
[27] 서적 변신이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