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원더스 (2011-201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 원더스는 프로 야구에서 방출되거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창단된 독립 야구단이다. 김성근 감독을 비롯한 코칭 스태프와 선수들로 구성되어 2014년 해체될 때까지 퓨처스리그 교류전에 참가했다. 고양 원더스는 KBO 리그 진출 선수를 배출하고 독립 야구단 운영 모델을 제시하며 한국 야구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설립된 야구팀 - NC 다이노스
NC 다이노스는 2010년에 창단되어 2013년 KBO 리그에 참가한 창원시 연고의 프로 야구팀이며, 2020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고, 단디, 쎄리, 뽀로로, 둘리가 마스코트이다. - 고양 원더스 - 박철우 (1964년)
박철우는 해태 타이거즈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89년 한국시리즈 MVP 수상 및 1996년 플레이오프 포스트시즌 최초 대타 끝내기 홈런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학교 및 프로 야구팀에서 지도자 생활을 했다. - 고양 원더스 - 황목치승
황목치승은 일본 사회인 야구를 거쳐 고양 원더스에서 활동하다 2014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대주자 및 수비 요원으로 활약 후 2017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고양시의 스포츠 - 고양 히어로즈
고양 히어로즈는 2023년 KBO 리그에 합류한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으로, 경기도 고양시를 연고지로 퓨처스리그에서 활동하며 1군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고양시의 스포츠 - 원당야구장
고양 원더스 (2011-2014) | |
---|---|
기본 정보 | |
팀 이름 | 고양 원더스 |
원어 이름 | 고양 원더스 |
영문 이름 | Goyang Wonders |
별칭 | 원더스 |
창단일 | 2011년 12월 |
해체일 | 2014년 |
연고지 | 경기도 고양시 |
홈구장 |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구단주 | 허민, 위메프 |
감독 | 김성근 |
단장 | 하송 |
리그 | 한국야구독립리그, 퓨처스 리그 (교류 경기) |
참가 리그 | 한국야구위원회 퓨처스리그 (2012–2014) (상전 외 참가) |
팀 성적 (2014) | |
승률 | .613 |
기록 | 43승 25패 12무 |
유니폼 | |
홈 | 모자: 검은색 상의: 흰색, 검은색 파이핑 하의: 검은색, 흰색 벨트 양말: 검은색 |
원정 | 모자: 검은색 상의: 검은색, 흰색 파이핑 하의: 검은색, 흰색 벨트 양말: 검은색 |
로고 | |
![]() | |
![]() | |
기타 | |
색상 | 검정색, 은색 |
2. 역사
고양 원더스는 프로야구에서 방출되었거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창단되었다.[6] 구단주 허민은 네오플(Neople) 대표로, アラド戦記|아라드 전기일본어 (던전앤파이터) 제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네오플은 현재 넥슨(NEXON)의 자회사이다.
SK 와이번스 감독 출신 김성근이 초대 감독을 맡았고, 2013년부터 이상훈(일본 등록명 “삼손 리”)이 투수 코치를 맡았다. 또한, 다수의 일본인 코치들이 영입되었다.
2012년 2월, 첫 외국인 선수로 일본 출신 고바야시 료칸이 입단했다. 2012년 7월, 이희성이 LG 트윈스에 입단하며 고양 원더스에서 KBO 리그 구단으로 이적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7] 이후 2012년 5명, 2013년 12명, 2014년 9명의 선수가 KBO 리그 구단으로 이적했다.
2012년부터 2014년 해체까지 춘계 캠프는 일본 고치현 고치시 야구장과 고치시 동부 종합 운동장 야구장에서 실시되었다.
2014년 9월 11일, KBO와의 운영 방침 차이를 이유로 해체를 발표했다.[6] 고양 국가대표 그라운드는 2015년부터 NC 다이노스 2군 팀 고양 다이노스의 연고지가 되어 퓨처스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고양 원더스 해체 후, 2015년 경기도 연천군의 연천 미라클, 2017년 경기도 파주시의 파주 챌린저스, 강원도 춘천시의 저니맨 외인구단 등 후속 독립 야구단이 창설되었고, 독립 리그 리그전도 시작되었다.
2. 1. 창단 배경
이 구단은 프로야구에서 방출되었거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창단되었다.[6] 구단주인 허민은 온라인 게임 개발 회사 네오플(Neople)의 대표로, アラド戦記|아라드 전기일본어(던전앤파이터) 제작으로 알려져 있다. 네오플은 현재 넥슨(NEXON)의 자회사이다.2. 2. 코칭 스태프
초대 감독은 SK 와이번스 감독 출신 김성근이 맡았다.[6] 2013년부터는 이상훈(일본 등록명 '삼손 리')이 투수 코치를 맡았다.[6]일본인 코치들도 다수 영입되었다. 2012년부터 하노 게이코가 종합 코치를 맡았고,[6] 2014년부터는 야마나카 키요시가 배터리 코치, 이시미네 가즈히코가 타격·수비 코치, 아베 오사무가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6] 창단 첫 해에는 고바야시 신야를 캠프 기간에 한정한 임시 타격 코치, 오오야스 토모카즈를 임시 인스트럭터로 영입했다.[6]
연도 | 직책 | 이름 |
---|---|---|
2011년 ~ 2014년 | 감독 | 김성근 |
2012년 ~ 2014년 | 수석 코치 | 김광수 |
2013년 ~ 2014년 | 타격·수비 코치 | 박철우 |
2014년 | 타격·수비 코치 | 이시미네 가즈히코 |
2013년 ~ 2014년 | 트레이닝 코치 | 강성인, 홍남일 |
2014년 | 타격 코치 | 아베 오사무 |
2011년 ~ 2012년 | 투수 코치 | 조청희 |
2013년 ~ 2014년 | 투수 코치 | 이상훈 |
2012년 ~ 2013년 | 배터리 코치 | 오키 야스시 |
2012년 | 종합 코치 | 하노 게이코 |
2014년 | 배터리 코치 | 야마나카 키요시 |
2. 3. 선수단 구성
고양 원더스는 프로야구에서 전력 외 선수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창단되었다.[6] 창단 당시 트라이아웃을 통해 약 30명의 선수를 선발할 예정이었으며, 테스트 참가자 중에는 80세 노인도 있었다.[6]2012년 2월에는 첫 외국인 선수로 일본 출신 고바야시 료칸이 입단했다.[7]
2. 4. KBO 리그 진출
2012년 이희성 (투수)이 LG 트윈스에 입단하면서 고양 원더스 선수 중 처음으로 KBO 리그 구단에 입단하게 되었다.[7] 이후, 2012년에는 5명, 2013년에는 12명, 2014년에는 9명의 선수가 KBO 리그 구단으로 이적했다. KBO 리그로 이적한 선수들은 고양 원더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연도 | 선수 | 포지션 | 입단 구단 |
---|---|---|---|
2012 | 이희성 | 투수 | LG 트윈스 |
2012 | 김지성 | 내야수 | KIA 타이거즈 |
2012 | 강하승 | 외야수 | KIA 타이거즈 |
2012 | 안태영 | 외야수 | 넥센 히어로즈 |
2012 | 홍재용 | 내야수 | 두산 베어스 |
2013 | 김건국[8] | 투수 | kt 위즈 |
2013 | 이승재 | 포수 | NC 다이노스 |
2013 | 윤병호 | 외야수 | NC 다이노스 |
2013 | 이원재 | 외야수 | NC 다이노스 |
2013 | 송주호 | 외야수 | 한화 이글스 |
2013 | 김정록 | 내야수 | 넥센 히어로즈 |
2013 | 김종민 | 포수 | NC 다이노스 |
2013 | 오현민 | 투수 | kt 위즈 |
2013 | 채선관 | 투수 | kt 위즈 |
2013 | 황목치승 | 내야수 | LG 트윈스 |
2013 | 오두철 | 내야수 | KIA 타이거즈 |
2013 | 여정호 | 투수 | 두산 베어스 |
2014 | 김동호 | 투수 | 삼성 라이온즈 |
2014 | 김성한 | 투수 | 경찰 야구단 |
2014 | 최현정 | 투수 | KIA 타이거즈 |
2014 | 이용욱 | 외야수 | 삼성 라이온즈 |
2014 | 김진곤 | 외야수 | kt 위즈 |
2014 | 김선민 | 내야수 | kt 위즈 |
2014 | 이병용 | 외야수 | 롯데 자이언츠 |
2014 | 안형권 | 내야수 | 롯데 자이언츠 |
2014 | 오무열 | 내야수 | 넥센 히어로즈 |
2015 | 설재훈 | 외야수 | SK 와이번스 |
2015 | 김민형 | 투수 | SK 와이번스 |
2015 | 채기영 | 외야수 | 한화 이글스 |
2015 | 정유철 | 내야수 | 한화 이글스 |
2015 | 신성현 | 내야수 | 한화 이글스 |
2015 | 신정윤 | 투수 | 한화 이글스 |
2015 | 정규식 | 포수 | LG 트윈스 |
2015 | 김지호 | 포수 | NC 다이노스 |
2. 5. 훈련 및 경기
고양 원더스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춘계 캠프를 일본 고치현 고치시 야구장과 고치시 동부 종합 운동장 야구장에서 실시했다.[6] 퓨처스리그 교류 경기에 참가하여 프로 2군 팀들과 경기를 치렀다.2. 6. 해체
2014년 9월 11일, KBO와의 운영 방침 차이를 이유로 고양 원더스는 해체되었다.[6] 고양 원더스의 연고지였던 고양 국가대표 그라운드는 2015년부터 NC 다이노스의 2군 팀인 고양 다이노스의 연고지가 되어 퓨처스리그(2군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3. 역대 감독
이름 | 재임 기간 | 경기 | 승 | 패 | 무 | 승률 |
---|---|---|---|---|---|---|
김성근 | 2011년 12월 12일 ~ 2014년 9월 11일 | 176 | 90 | 61 | 25 | 0.596 |
4. 연도별 성적
연도 | 감독 | 순위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전 | 승률 | 비고 |
---|---|---|---|---|---|---|---|---|
2012 | 김성근 | 교류전 | 48 | 20 | 7 | 21 | 0.488 | |
2013 | 48 | 27 | 6 | 15 | 0.643 | |||
2014 | 80 | 43 | 12 | 25 | 0.632 |
5. 주요 선수
윤병호(2011년 ~ 2013년), 안태영(2012년), 김종민(2012년 ~ 2013년), 김건국(2012년 ~ 2013년), 송주호(2013년), 김진곤(2012년 ~ 2013년), 김수경(2014년), 신성현(2014년) 등이 고양 원더스에서 활동했다.
5. 1. 외국인 선수
연도 | 선수명 | 포지션 | 국적 |
---|---|---|---|
2012년 | 고바야시 료칸 | 투수 | 小林 良寛|고바야시 료칸일본어 |
2012년 | 타일러 럼스덴 | 투수 | Tyler Lumsden|타일러 럼스덴영어 |
2012년 | 센디 레알 | 투수 | Sendy Rleal|센디 레알es |
2013년 | 고바야시 료칸 | 투수 | 小林 良寛|고바야시 료칸일본어 |
2013년 | 루이스 곤살레스 | 투수 | Luis González|루이스 곤살레스es |
2013년 | 디오니 소리아노 | 투수 | Dioni Soriano|디오니 소리아노es |
2013년 | 오시리스 마토스 | 투수 | Osiris Matos|오시리스 마토스es |
2014년 | 멕시모 넬슨 | 투수 | Maximo Nelson|멕시모 넬슨es |
2014년 | 루이스 곤살레스 | 투수 | Luis González|루이스 곤살레스es |
2014년 | 디오니 소리아노 | 투수 | Dioni Soriano|디오니 소리아노es |
2014년 | 오시리스 마토스 | 투수 | Osiris Matos|오시리스 마토스es |
2014년 | 데럴 마데이 | 투수 | Daryl Maday|데럴 마데이영어 |
2014년 | 로버트 웨이테 | 투수 | Robert Coe Waite|로버트 웨이테영어 |
5. 2. KBO 리그 진출 선수
다음은 고양 원더스를 거쳐 KBO 리그에 진출한 선수 명단이다.연도 | 선수 | 포지션 | 입단 구단 | 비고 |
---|---|---|---|---|
2012년 | 이희성 | 투수 | LG 트윈스 | |
2012년 | 김지성 | 내야수 | KIA 타이거즈 | |
2012년 | 강하승 | 외야수 | KIA 타이거즈 | 2013 시즌 종료 후 방출 |
2012년 | 안태영 | 외야수 | 넥센 히어로즈 | 2015 시즌 종료 후 방출 |
2012년 | 홍재용 | 내야수 | 두산 베어스 | |
2013년 | 김건국[8] | 투수 | kt 위즈 | |
2013년 | 이승재 | 포수 | NC 다이노스 | 2015년 은퇴 후 NC 다이노스 전력분석관 활동 |
2013년 | 윤병호 | 외야수 | NC 다이노스 | |
2013년 | 이원재 | 외야수 | NC 다이노스 | |
2013년 | 송주호 | 외야수 | 한화 이글스 | |
2013년 | 김정록 | 내야수 | 넥센 히어로즈 | |
2013년 | 김종민 | 포수 | NC 다이노스 | |
2013년 | 오현민 | 투수 | kt 위즈 | 2015 시즌 중 웨이버 공시 |
2013년 | 채선관 | 투수 | kt 위즈 | |
2013년 | 황목치승 | 내야수 | LG 트윈스 | |
2013년 | 오두철 | 내야수 | KIA 타이거즈 | |
2013년 | 여정호 | 투수 | 두산 베어스 | 2014 시즌 종료 후 방출 |
2014년 | 김동호 | 투수 | 삼성 라이온즈 | |
2014년 | 김성한 | 투수 | 경찰 야구단 | |
2014년 | 최현정 | 투수 | KIA 타이거즈 | |
2014년 | 이용욱 | 외야수 | 삼성 라이온즈 | |
2014년 | 김진곤 | 외야수 | kt 위즈 | |
2014년 | 김선민 | 내야수 | kt 위즈 | |
2014년 | 이병용 | 외야수 | 롯데 자이언츠 | |
2014년 | 안형권 | 내야수 | 롯데 자이언츠 | |
2014년 | 오무열 | 내야수 | 넥센 히어로즈 | 이후 연천 미라클 소속 |
2015년 | 설재훈 | 외야수 | SK 와이번스 | |
2015년 | 김민형 | 투수 | SK 와이번스 | |
2015년 | 채기영 | 외야수 | 한화 이글스 | |
2015년 | 정유철 | 내야수 | 한화 이글스 | |
2015년 | 신성현 | 내야수 | 한화 이글스 | |
2015년 | 신정윤 | 투수 | 한화 이글스 | |
2015년 | 정규식 | 포수 | LG 트윈스 | 신인 드래프트 지명 |
2015년 | 김지호 | 포수 | NC 다이노스 |
6. 한국 야구에 미친 영향
고양 원더스는 프로야구에서 방출되거나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한 선수들에게 다시 뛸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 야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6] 이는 선수층을 넓히고, 야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양 원더스는 독립 야구단 운영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하여, 이후 여러 독립 야구단 창설에 영향을 주었다.[7] 2015년 연천 미라클 , 2017년 파주 챌린저스, 저니맨 외인구단 등 여러 독립 구단이 창설되었고, 2018년부터는 코리아 드림 리그와 경기도독립야구연맹이라는 두 개의 독립 리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고양 원더스 출신 선수, 코치, 프런트들은 KBO 리그 각 구단에서 활약하며 한국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김성근 감독은 고양 원더스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진보 진영을 대표하는 야구인으로 평가받는다.
다음은 고양 원더스 출신으로 KBO 리그에서 활동한 주요 인물들이다.
구분 | 성명 | 고양 원더스 경력 | KBO 리그 경력 |
---|---|---|---|
감독 | 김성근 | 2011년~2014년 감독 | 한화 이글스 감독 (2015년~2017년) |
코치 | 박철우 | 2013년~2014년 타격, 수비코치 | 두산 베어스 타격코치(2015년~현재) |
코치 | 이시미네 가즈히코 | 2014년 타격·수비 코치 | kt 위즈 타격 코치 (2015년) |
코치 | 강성인 | 2013년~2014년 트레이닝코치 | 한화 이글스 트레이닝 코치 (2015년~현재) |
코치 | 홍남일 | 2013년 ~ 2014년 트레이닝코치 | 한화 이글스 트레이닝 코치 (2015년~2016년) |
코치 | 아베 오사무 | 2014년 타격 코치 | 한화 이글스 타격 코치 (2015년) |
코치 | 김광수 | 2012년~2014년 수석코치 | 한화 이글스 수석코치 (2015년~2017년) |
코치 | 조청희 | 2011년~2012년 투수코치 | 한화 이글스 잔류군 트레이닝코치 (2014년~현재) |
코치 | 이상훈 | 2013년~2014년 투수코치 | 두산 베어스 투수코치 (2015년) → LG 트윈스 피칭 아카데미 원장 (2016년 ~ 현재) |
코치 | 오키 야스시 | 2012년~2013년 배터리 코치 | kt 위즈 배터리 코치 (2014년~2015년) → 한화 이글스 배터리 코치 (2016년) |
프런트 | 이정호 | 2012년~2014년 프런트 | 한화 이글스 3군 투수코치 (2015년) |
선수 | 데럴 마데이 | 2014년 투수 | 화성 히어로즈 투수 인스트럭터 코치 (2016년) |
선수 | 김수경 | 2013년~2014년 투수 | NC 다이노스 스카우트 (2016년~현재) |
참조
[1]
뉴스
Goyang Wonders living up to nam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8-23
[2]
웹사이트
Xports News
http://xportsnews.ha[...]
2014-02-22
[3]
웹사이트
土豆-召唤全球优秀短视频
http://www.tudou.com[...]
[4]
뉴스
Independent baseball club disbanded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4-09-11
[5]
문서
(제목 없음)
[6]
뉴스
[オピニオン]運動で作る老益壮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1-11-25
[7]
문서
(제목 없음)
[8]
문서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