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프 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프 지도는 중세 시대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묘사한 지도로, 제작 연대는 1355년에서 1366년 사이로 추정되지만, 15세기 초 또는 1370년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도의 제작자는 불분명하지만, 잉글랜드의 지리 정보를 수집한 여러 사람의 협업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프 지도는 정확한 지리 묘사를 시도하여 이전의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지도와 차별성을 가지며, 16세기 이전 영국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로 평가받는다.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디지털화 연구가 진행되었다.
고프 지도의 제작 연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토머스 마틴은 에드워드 3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았고,[38] 19세기 학계에서는 에드워드 1세 재위기인 1300년경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이후 지도에 드러난 지명과 범위의 역사적 변화를 근거로 1355년~1366년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필체와 스타일 증거를 바탕으로 15세기 초나 1370년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1430년경까지 수정되었을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39][40]
고프 지도의 제작자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지도에 담긴 방대한 정보는 에드워드 1세의 웨일스와 스코틀랜드 원정에 참여하여 그레이트브리튼섬 전역을 여행한 경험이 있는 인물로부터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도에서 가장 정확하게 묘사된 지역이 에드워드 1세의 군대가 주둔했던 곳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42]
2. 제작 연대
고프 지도가 더 오래된 지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사본 중 하나일 수 있다는 설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도의 일부 정보가 에드워드 1세의 관심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원본 지도는 1280년경에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1]
2. 1. 14세기 초반설
지도의 제작 연대는 명확하게 밝혀진 적이 없다. 맨 처음에 소장하고 있던 토머스 마틴은 지도의 연대가 에드워드 3세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반면,[38] 19세기 학계에서는 그보다 좀 더 오래 전으로 올라가 에드워드 1세 재위기였던 1300년경 제작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지도에 드러난 지명과 범위의 역사적 변화를 근거로, 지도의 제작 시기가 1355년~1366년경인 것으로 여겨졌다. 본 지도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지물은 1355년에 처음 지어진 코번트리 마을 성벽이고, 반대로 지도에 셰피로 표시된 마을이 퀸스보로로 바뀐 것이 1366년이므로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2. 2. 14세기 중반설
지도의 제작 연대는 명확하게 밝혀진 적이 없다. 맨 처음에 소장하고 있던 토머스 마틴은 지도의 연대가 에드워드 3세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38] 19세기 학계에서는 그보다 좀 더 오래 전인 에드워드 1세 재위기(1300년경) 제작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지도에 드러난 지명과 범위의 역사적 변화를 근거로, 지도의 제작 시기가 1355년~1366년경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 지도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지물은 1355년에 처음 지어진 코번트리 마을 성벽이고, 반대로 지도에 셰피로 표시된 마을이 퀸스보로로 바뀐 것이 1366년이므로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2. 3. 14세기 후반~15세기 초반설
지도의 제작 연대는 명확하게 밝혀진 적이 없다. 맨 처음에 소장하고 있던 토머스 마틴은 지도의 연대가 에드워드 3세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반면,[38] 19세기 학계에서는 그보다 좀 더 오래 전으로 올라가 에드워드 1세 재위기였던 1300년경 제작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지도에 드러난 지명과 범위의 역사적 변화를 근거로, 지도의 제작 시기가 1355년~1366년경인 것으로 여겨졌다. 본 지도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지물은 1355년에 처음 지어진 코번트리 마을 성벽이고, 반대로 지도에 셰피로 표시된 마을이 퀸스보로로 바뀐 것이 1366년이므로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장 최근 연구에서는 손글씨와 양식에서 드러나는 증거로 보건대 제작 연대가 그보다 뒤일 것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지도의 제작 시기가 15세기 초임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린 연구가 있는가 하면,[39] 다른 연구에서는 1370년대설을 내세우면서도 가능한 추정 연대는 1430년경까지 넓게 잡고 있다.[40]
한편 고프 지도에서 담고 있는 지리 정보는 이미 옛 지도의 것을 따온 것이며, 여러 비슷한 사본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설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지도의 일부 정보는 에드워드 1세의 관심사가 반영되었다는 추론에 따라, 원본 지도의 연대를 1280년경으로 비정하는 설도 있다.[41]
2. 4. 13세기 후반 원본 존재설
고프 지도의 제작 연대는 명확하게 밝혀진 적이 없다. 맨 처음에 소장하고 있던 토머스 마틴은 지도의 연대가 에드워드 3세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반면,[38] 19세기 학계에서는 그보다 좀 더 오래 전으로 올라가 에드워드 1세 재위기였던 1300년경 제작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지도에 드러난 지명과 범위의 역사적 변화를 근거로, 지도의 제작 시기가 1355년~1366년경인 것으로 여겨졌다. 본 지도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지물은 1355년에 처음 지어진 코번트리 마을 성벽이고, 반대로 지도에 셰피로 표시된 마을이 퀸스보로로 바뀐 것이 1366년이므로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고프 지도에서 담고 있는 지리 정보는 이미 옛 지도의 것을 따온 것이며, 여러 비슷한 사본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설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지도의 일부 정보는 에드워드 1세의 관심사가 반영되었다는 추론에 따라, 원본 지도의 연대를 1280년경으로 비정하는 설도 있다.[41]
3. 제작자
특히 잉글랜드의 사우스요크셔와 링컨셔 지방이 가장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어, 제작자가 이 지역 출신일 가능성도 제기된다.[42] 그러나 여러 사람들의 지리 지식을 모아 지도를 만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셔 지역의 정확도는 머턴 칼리지 학생이었던 윌리엄 레드가 1340년 옥스퍼드의 지리 좌표를 계산했던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43]
3. 1. 단독 제작자설
지도의 원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지도에 담긴 많은 정보는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웨일스와 스코틀랜드로 군사 원정을 할 때, 그 일원으로 그레이트브리튼섬 주변을 여행한 한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 주변부의 가장 정확한 세부 사항은 에드워드 군대가 주둔했던 지역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우스요크셔와 링컨셔 지역의 지도 정확도를 보면 제작자가 이 지역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9] 그러나 지도가 다양한 사람들의 지역 지식을 수집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셔의 지도 제작 정확도는 1340년에 머튼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리드가 옥스퍼드의 지리적 좌표를 성공적으로 계산했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10]
3. 2. 복수 제작자 협업설
지도의 원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지도에 담긴 많은 정보는 에드워드 1세가 웨일스와 스코틀랜드로 군사 원정을 할 때, 그 일원으로 그레이트브리튼섬 주변을 여행한 한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 주변부의 가장 정확한 세부 묘사는 에드워드 군대가 주둔했던 지역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우스요크셔와 링컨셔 지역의 지도 정확도를 보면 제작자가 이 지역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9] 그러나 지도가 다양한 사람들의 지역 지식을 수집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셔의 지도 제작 정확도는 1340년에 머튼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리드가 옥스퍼드의 지리적 좌표를 성공적으로 계산했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10]
4. 지형 및 정확도
고프 지도는 이전의 신학적 기반 지도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타불라 페우틴게리아나 외에는 17세기 이전 영국 지도에서 경로와 거리를 표시한 유일한 지도로 평가받는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과 같은 이전에 알려진 지도와 비교했을 때, 잉글랜드와 웨일스 해안의 세부 묘사는 크게 개선되었지만, 당시 독립 국가였던 스코틀랜드 왕국의 묘사는 매우 부실하다.[10]
고프 지도에는 잉글랜드와 웨일스 일대의 각 마을 사이에 얇은 붉은색 노선망이 그려져 있다. 각 선에는 로마 숫자로 거리가 표기되어 있으나, 그렇지 않은 선도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붉은 선은 '도로'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학계에서는 실제 도로가 아닌 일종의 경로이거나 거리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한다.[47] 붉은 선이 특정 지역에서 누락된 이유에 대해서는 지도 주인의 관심사를 반영했거나, 편집자가 기존 여정에서 거리를 기록한 경로만 표시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9]
4. 1. 긍정적 평가

고프 지도는 이전의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지도 (TO 지도)가 아닌 지리를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지도로 평가받는다.[44] 유럽 대륙에서는 포이팅거 지도 정도에서나 볼 수 있는 각종 육로와 거리 표시는 중세 영국 지도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처럼 이전에 알려진 지도와 비교할 때, 당시 독립국이었던 스코틀랜드 왕국에 대한 묘사는 매우 빈약하지만, 잉글랜드와 웨일스 연안의 세부 묘사는 크게 향상되었다.[43] 런던과 요크는 금색 글자로 표기되었고, 그 외 주요 마을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세부적인 묘사가 돋보인다.[34]
고프 지도는 시대를 초월한 정확도로 고평가받지만, 여러 가지 오류도 포함하고 있다. 앵글시섬이나 윈더미어호 등의 섬과 호수는 너무 크게 그려져 있고, 강의 경우 동일한 굵기가 아니라 전략적 중요도를 강조하여 다르게 표시하였다. 더럼의 반도처럼 잘 알려진 지역이지만 지리적으로 작은 지형도 지나치게 눈에 띄게 표시했다.[43] 브루투스가 데본에 상륙했다는 신화를 실제 설명처럼 적어놓는 등, 신화에 대한 설명이 지리 정보인 것처럼 들어가 있다.[4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프 지도는 16세기 이전 영국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로 평가받는다.
4. 2. 한계점
고프 지도는 시대를 초월한 정확도로 고평가받지만 여러 가지 오류가 담겨 있다. 특히 앵글시섬이나 윈더미어호 등의 섬과 호수는 너무 크게 그려져 있고, 강의 경우 동일한 굵기의 선이 아니라 전략적 중요도를 강조하여 차등 표시하고 있다. 더럼의 반도처럼 잘 알려진 지역이지만 지리적으로는 작은 지형도 지나치게 눈에 띄게 표시했다.[43] 브루투스가 데본에 상륙했다는 신화를 실제 설명처럼 적어놓는 등, 신화에 대한 수많은 설명이 지리 정보인양 들어가 있다.[4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프 지도는 16세기 이전 영국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로 평가받는다.4. 3. 붉은 선
고프 지도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잉글랜드와 웨일스 대부분 지역에 걸쳐 마을 사이에 그려진 좁은 붉은색 선으로 이루어진 불연속적인 노선망이다. 예외는 거의 없으며, 각 선에는 로마 숫자로 거리(단위는 불명[45])가 표시되어 있으나, 그렇지 않은 선도 몇몇 있다. 리처드 고프는 이러한 붉은 선을 '도로'라고 처음 설명했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도로를 표시한 것이라는 인식이 계속됐다. 오늘날에도 '영국의 도로망 지도'로 자주 언급된다.[46]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는 선 굵기가 변화한다는 점에 주목해, 실제 도로가 아닌 일종의 경로로 보거나 거리를 뚜렷이 나타낸 것으로 본다.[47]이러한 붉은 선에 대해 학계는 몇몇 지역에서 선이 빠져 있는 모습이 관찰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예컨대 런던에서는 남쪽이나 동쪽으로 향하는 경로가 없으며, 와틀링 가도의 많은 부분이 생략된 것이다. 특정 경로만 담긴 이유에 대해 지도 주인의 행보나 관심사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48] 편집자가 기존 여정에서 거리를 기록해둔 경로들만 골라 표시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49] 붉은색 노선망이 지도 전체를 포괄하지 않고 주요 경로를 모두 보여주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통상적인 '도로망 지도'처럼 길찾기용으로 쓸 수는 없다고 설명된다.[50]
5. 최근 연구 동향
2012년부터 고프 지도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고해상도 스캔, 분광 영상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의 오류를 바로잡고 지도의 새로운 면모를 밝혀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 연구는 2015년 보들리 도서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보고되었고,[51] 2017년에는 최종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52]
5. 1. 주요 연구 결과
2012년 여러 학과에 걸친 조사단이 소집되어 고프 지도를 새로 분석하였다. 조사단은 고해상도 스캔과 스펙트럼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모순된 문헌을 재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5년 보들리 도서관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 연구 결과를 보고했으며,[51] 2017년에 최종 연구 결과를 발행하였다.[52] 이를 통해 지금까지 지도에 대해 알려져 있었던 많은 사실들을 판별하게 되었다. 새롭게 제기된 대표적인 학설로는, 현존하는 지도의 제작이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3대에 걸쳐 지리 정보를 축적하면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각 시대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대 (1390년~1410년): 브리튼섬 전역
- 제2대 (1400년~1425년): 하드리아누스 방벽 이남의 잉글랜드와 웨일스 일대
- 제3대 (1475년~1500년): 잉글랜드 남동부와 중남부
특히 제2대와 제3대는 기존의 지도를 체계적으로 다시 새겨,[53] 색상과 기타 세부 사항을 추가하고 지명을 바꿨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핀홀(pinhole)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핀홀은 지도 전체에 걸쳐 마을 표지판 그림에 나타나지만, 켄트, 이스트 앵글리아, 남서부 지역에는 없다. 일부 핀홀에는 잉크 선이 없고, 어떤 곳에서는 핀홀 그룹이 잉크로 그려진 표지판에서 벗어나 있다. 이는 핀홀이 1차 제작 과정에서 지도를 복사하는 동안 만들어졌으며, 중세 시대에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핀홀은 고프의 ''영국 지지(British Topography)'' 복제본을 만드는 과정의 일부로 여겨졌다.[23]
지명의 전사(transcription)와 지도에 표시된 일부 장소의 식별 등 지도의 다른 측면에 대한 전통적인 결론도 수정되었다. 또한 지도의 후속 역사에 대한 새로운 발견도 이루어졌다. 많은 지명에 나타나는 회색 얼룩은 리처드 고프의 요청에 따라 적용된 시약(참나무 오배자와 마데이라 와인으로 만듦)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는 이 시약이 흐려진 글씨를 더 읽기 쉽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진행 중인 연구는 이미 수행된 지역 사례 연구 (잉글랜드 북서부, 노퍽 북부 해안)의 수를 늘리고 있다.
6. 문화적 영향
앨릭스 보비는 2008년 BBC 다큐멘터리 《In Search of Medieval Britain》에서 고프 지도를 이용해 중세 영국으로 떠나는 여정을 보여주었다.[54][55]
2011년 5월, 고프 지도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56][57][58]
7. 온라인 디지털화
2010년 4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영국 AHRC 연구 위원회의 Beyond Text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을 받아 고프 지도(Gough Map)를 디지털화하고 새로운 온라인 버전을 제작하는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 이 프로젝트는 벨파스트 퀸스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 도서관, 런던 킹스 칼리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1]
7. 1. 개요
2010년 4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영국 AHRC 연구 위원회의 Beyond Text 프로그램 자금 지원으로 고프 지도를 디지털화하고 새로운 온라인 버전을 제작하는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 이 프로젝트는 벨파스트 퀸스 대학교의 키스 릴리(Keith Lilley),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 도서관 지도실의 닉 밀리아(Nick Millea), 런던 킹스 칼리지 디지털 인문학과의 폴 베치(Paul Vetch)가 협업하여 진행했다.[1]7. 2. 참여 기관
2010년 4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영국 AHRC 연구 위원회의 Beyond Text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을 받아 고프 지도를 디지털화하고 새로운 온라인 버전을 제작하는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버전은 벨파스트 퀸스 대학교의 키스 릴리(Keith Lilley),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 도서관 지도실의 닉 밀리아(Nick Millea), 런던 킹스 칼리지 디지털 인문학과의 폴 베치(Paul Vetch)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참조
[1]
웹사이트
The Gough Map
http://www.bodley.ox[...]
Bodleian Library
2008-02-01
[2]
서적
British Topography. Or, an Historical Account of What has been Done for Illustrating the Topographic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archive.org/[...]
T. Payne and Son, and J. Nichols.
1780
[3]
웹사이트
Mapping the Realm
https://web.archive.[...]
Queen's University, Belfast
2008-02-01
[4]
웹사이트
Gough Map - About
http://www.goughmap.[...]
[5]
서적
British Topography. Or, an Historical Account of What has been Done for Illustrating the Topographic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archive.org/[...]
T. Payne and Son, and J. Nichols.
1780
[6]
논문
The Date of the Gough Map
2009
[7]
논문
The Making and Re-making of the Gough Map of Britain: Manuscript Evidence and Historical Context
2012
[8]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9]
뉴스
Earliest British map is cock of the north
http://www.metro.co.[...]
Metro.co.uk
2008-02-01
[10]
웹사이트
Britain's first road map
http://www.oxfordtod[...]
Oxford Today
2008-02-01
[11]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12]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13]
웹사이트
http://www.bodleians[...]
[14]
문서
Kain, Delano-Smith pg 143; Millea pg 32, Smallwood[1] pg 3; Solopova pg 163
[15]
서적
The King’s Two Maps: Cartography and Culture in Thirteenth-Century England
Routledge
[16]
논문
The Road System of Medieval England
1936-11
[17]
문서
Delano-Smith argues that the road atlas and road map were "the one purpose for which maps were not used in pre-modern times".
[18]
문서
Parsons; Lilley pg 17; Solopova pg 163
[19]
문서
Lilley and Lloyd pg 2; Lilley, Mapping Plantagenet Rule Through the Gough Map of Great Britain pg 96
[20]
웹사이트
What's On? Gough Map Symposium 2015: Mr Gough's 'curious map' of Britain: old image, new techniques
http://www.bodleian.[...]
2017-01-24
[21]
논문
New Light on the Medieval Gough Map of Britain
2017
[22]
논문
The Making and Re-making of the Gough Map of Britain: Manuscript Evidence and Historical Context
2012
[23]
서적
The Map of Great Britain, circa 1360, known as The Gough Map
University Press, Oxford
1958
[24]
웹사이트
BBC In Search of Medieval Britain
http://www.bbc.co.uk[...]
2010-10-06
[25]
웹사이트
Gough Map plays its part in search for Medieval Britain
http://www.bodleian.[...]
Bodleian Library, Oxford University
2010-10-06
[26]
웹사이트
2011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eb.archive.[...]
United Kingdom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11-06-04
[27]
웹사이트
Gough Map added to UNESCO’s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www.goughmap.[...]
Linguistic Geographies: The Gough Map of Great Britain
2011-06-04
[28]
웹사이트
Bodleian items added to UNESCO's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www.bodleian.[...]
Bodleian Libraries
2011-06-04
[29]
웹사이트
The Gough Map
http://www.bodley.ox[...]
보드리안 도서관
2008-02-01
[30]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 ブリテン諸島の歴史4』索引23
[31]
서적
British Topography. Or, an Historical Account of What has been Done for Illustrating the Topographic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1780
[32]
웹사이트
Mapping the Realm
http://www.qub.ac.uk[...]
Queen's University, Belfast
2008-02-01
[33]
웹사이트
Gough Map - About
http://www.goughmap.[...]
[34]
웹인용
The Gough Map
http://www.bodley.ox[...]
Bodleian Library
2008-02-01
[35]
서적인용
British Topography. Or, an Historical Account of What has been Done for Illustrating the Topographic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archive.org/[...]
T. Payne and Son, and J. Nichols.
2016-03-25
[36]
웹인용
Mapping the Realm
http://www.qub.ac.uk[...]
Queen's University, Belfast
2008-02-01
[37]
웹사이트
Gough Map - About
http://www.goughmap.[...]
[38]
서적
British Topography. Or, an Historical Account of What has been Done for Illustrating the Topographic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archive.org/[...]
T. Payne and Son, and J. Nichols.
1780
[39]
저널
The Date of the Gough Map
2009
[40]
저널
The Making and Re-making of the Gough Map of Britain: Manuscript Evidence and Historical Context
2012
[41]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42]
웹인용
Earliest British map is cock of the north
http://www.metro.co.[...]
Metro.co.uk
2008-02-01
[43]
웹인용
Britain's first road map
http://www.oxfordtod[...]
Oxford Today
2008-02-01
[44]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45]
서적
The Gough Map: The earliest Road Map of Great Britain?
Bodleian Library
2007
[46]
웹사이트
http://www.bodleians[...]
[47]
문서
Kain, Delano-Smith pg 143; Millea pg 32, Smallwood[1] pg 3; Solopova pg 163 [full refs to add]
[48]
서적
The King’s Two Maps: Cartography and Culture in Thirteenth-Century England
Routledge
2004
[49]
저널
The Road System of Medieval England
1936
[50]
문서
Delano-Smith argues that the road atlas and road map were "the one purpose for which maps were not used in pre-modern times".[full ref to add]
[51]
웹인용
What's On? Gough Map Symposium 2015: Mr Gough's 'curious map' of Britain: old image, new techniques
http://www.bodleian.[...]
2017-01-24
[52]
저널
New Light on the Medieval Gough Map of Britain
2017
[53]
저널
The Making and Re-making of the Gough Map of Britain: Manuscript Evidence and Historical Context
2012
[54]
웹사이트
BBC In Search of Medieval Britain
http://www.bbc.co.uk[...]
2010-10-06
[55]
웹사이트
Bodleian Library, Oxford University, ''Gough Map plays its part in search for Medieval Britain''
http://www.bodleian.[...]
2010-10-06
[56]
웹사이트
2011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eb.archive.[...]
United Kingdom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11-06-04
[57]
웹사이트
Gough Map added to UNESCO’s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www.goughmap.[...]
2011-06-04
[58]
웹사이트
Bodleian items added to UNESCO's UK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www.bodleian.[...]
Bodleian Libraries
2011-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