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리아누스 방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로마 시대에 건설된 방어 시설로, 현재 영국 북부에 위치해 있다. 122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지시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브리타니아를 통치하는 로마 제국의 북쪽 경계를 표시하고 켈트족과의 분리를 목적으로 했다. 이 방벽은 117킬로미터에 달하며, 요새, 마일캐슬, 망루, 해자 등 다양한 방어 시설로 구성되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로마 제국의 권력을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사회경제적 영향과 문화적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이자 보존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드리아누스 방벽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잉글랜드 북부 |
좌표 | 55°01′N 2°17′W |
세계 문화 유산 등재 연도 | 1987년 (제11차 회의) |
세계 문화 유산 등재 기준 | ii iii iv |
세계 문화 유산 지역 | 로마 제국의 국경선 |
세계 문화 유산 번호 | 430 |
관리 주체 | 잉글랜드 유산 |
소유주 | 다양한 사적 및 공공 소유 |
길이 | 117 킬로미터 (73 마일) |
건설 시작 | 서기 122년 |
건설 목적 | 하드리아누스 황제 |
연간 방문객 수 | 100,000명 이상 |
명칭 | |
라틴어 | Vallum Hadriani (발룸 하드리아니) |
추가 정보 | |
경로 설명 | 하드리아누스 방벽 길 - 국립 트레일 |
2. 역사
로마 제국은 1세기 중반에 브리타니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켈트족의 침입에 시달렸다. 그래서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가 방벽 건설을 명령했고[71], 122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0년 만에 완공되었다. 로마 제국이 영토 확장 정책을 단념한 상징적인 전환점이기도 하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군인들에게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는 높은 플랫폼을 제공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에 방벽이 건설된 뒤, 독일에 쳐진 벽보다 더 견고하게 보강 공사가 이루어진 것을 볼 때, 주민들의 분노가 상당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18]
완공 당시 방벽은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칼라일까지 118km에 달했고, 높이는 4~5m, 두께는 약 3m였다. 나중에 건설된 부분은 약 2.5m로 좁아졌다. 완공 초에는 토루였고, 그 후에 석벽으로 보강되었다. 약 1.5km 간격으로 감시소가, 6km 간격으로 요새가 설치되어 500명에서 1,000명의 로마 군인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38년 하드리아누스 사후,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는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사실상 방치하고, 북쪽으로 약 160km 떨어진 곳에 안토니누스 방벽 건설을 시작했다. 164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안토니누스 방벽을 포기하고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다시 주요 방어벽으로 삼았다. 208년-211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안토니누스 방벽을 일시 재점령했으나, 결국 하드리아누스 방벽으로 철수했다.
4세기 후반, 야만족의 침략, 경제 쇠퇴, 군사 쿠데타로 로마 제국의 브리타니아 지배력이 약화되었다. 410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통치 종말과 함께 로마 행정부와 군단은 사라졌다. 고고학자들은 벽의 일부가 5세기까지 점령되었음을 밝혀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폐허가 되었고, 7세기에는 자로우의 성 바울 교회 건설에 사용될 만큼 돌이 충분히 남아 있었다.[46]
이 방벽은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지만, 스코틀랜드에 대한 방어벽으로서 4세기 후반 이후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국경으로 반쯤 고정되었고, 현재의 경계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건설 배경

하드리아누스는 그의 전임자 트라야누스의 제국 확장 정책을 중단하고 당시 브리튼의 현재 국경을 방어하는 데 집중했다.[14] 아우구스투스처럼, 하드리아누스는 제국의 국경을 위해 유프라테스강, 라인강, 다뉴브강 등과 같은 강을 자연 경계로 이용하는 것을 믿었다.[14] 하지만 브리튼에는 로마가 통치하는 지역과 북쪽의 켈트 부족을 구분할 수 있는 자연 경계가 없었다.[14]
12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24] 방벽 전체 길이는 600명의 병력이 주둔하는 요새와 "12명에서 20명 사이"의 병력이 운영하는 마일캐슬(milecastle, 로마 시대의 방벽 시설)이 번갈아 가며 건설되었다.[14] 하드리아누스 방벽 대부분은 제2 아우구스타 군단, 제6 승리자 군단, 제20 발레리아 빅트릭스 군단에서 온 총 15,000명의 병사와 로마 함대의 일부 구성원들이 투입되어 6년 만에 건설되었다.[14] 방벽 건설은 군인들의 전문 분야에서 벗어난 일이 아니었다. 일부는 측량사, 기술자, 석공, 목수로 훈련받았을 것이다.[14]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잉글랜드 북부, 스코틀랜드와의 경계선 부근에 있다. 로마 제국은 1세기 중반에 브리타니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켈트족의 침입에 시달렸다. 그래서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가 방벽의 건설을 명령했고[71], 122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완공에는 10년이 걸렸다. 작업자는 로마 제국의 지배지에서 동원되었다. 영토 확장을 계속하던 로마 제국이 확장 정책을 계속하는 것을 단념한 정책 전환점으로서도 상징적인 건조물 중 하나이다.
완공 당시에는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칼라일까지 118km에 달했다. 벽의 높이는 4~5m, 두께는 약 3m였다. 나중에 건설된 부분은 약 2.5m로 좁아졌다. 완공 초에는 토루였고, 그 후에 석벽으로 보강되었다고 생각된다. 약 1.5km 간격으로 감시소가 설치되었고, 6km 간격으로 요새가 건축되었으며, 요새에는 500명에서 1000명의 로마 군인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벽은 문화적 경계가 아닌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지만, 스코틀랜드에 대한 방어벽으로서, 로마 제국의 지배가 미치지 않게 된 4세기 후반 이후에도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국경으로 반쯤 고정되었고, 현재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2. 건설 과정
하드리아누스는 그의 전임자 트라야누스의 제국 확장 정책을 중단하고 당시 브리튼의 현재 국경을 방어하는 데 집중했다.[14] 아우구스투스처럼, 하드리아누스는 제국의 국경을 위해 유프라테스강, 라인강, 다뉴브강 등과 같은 자연 경계를 이용하는 것을 믿었다.[14] 하지만 브리튼에는 로마가 통치하는 지역과 북쪽의 켈트 부족을 구분할 수 있는 자연 경계가 없었다.[14]
12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24] 방벽 전체 길이는 600명의 병력이 주둔하는 요새와 "12명에서 20명 사이"의 병력이 운영하는 마일캐슬(milecastle, 로마 시대의 방벽 시설)이 번갈아 가며 건설되었다.[14] 하드리아누스 방벽 대부분은 제2 아우구스타 군단, 제6 승리자 군단, 제20 발레리아 빅트릭스 군단에서 온 총 15,000명의 병사와 로마 함대의 일부 구성원들이 투입되어 6년 만에 건설되었다.[14] 방벽 건설은 군인들의 전문 분야에서 벗어난 일이 아니었다. 일부는 측량사, 기술자, 석공, 목수로 훈련받았을 것이다.[14]
2. 3. 건설 목적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군인들에게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는 높은 플랫폼을 제공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에 방벽이 건설된 뒤, 독일에 쳐진 벽보다 더 견고하게 보강 공사가 이루어진 것을 볼 때, 주민들의 분노가 상당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18]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122년 하드리아누스가 브리타니아를 방문하기 전에 계획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18년 또는 119년에 제작된 자로우에서 발견된 복원된 사암 조각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는 "신성한 지시"를 통해 그에게 부과된 "제국을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자 했다.[18] 117년 하드리아누스가 황위에 오르자, 로마령 브리타니아와 이집트, 유대, 리비아, 모리타니아를 포함한 제국 전역의 다양한 정복된 지역의 민족들 사이에서 불안과 반란이 일어났다.[18] 이러한 문제는 독일의 게르마니쿠스 변경 요새와 같은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리메스''로 알려진 국경 경계를 건설한 것뿐만 아니라 방벽 건설 계획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주된 목적은 약탈자, 동물, 보물 또는 노예를 얻기 위해 그 선을 넘어 침입한 후 약탈품을 가지고 돌아가는 사람들의 통과를 늦추는 물리적 장벽이었다.[14]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하드리아누스는 로마인과 야만인을 분리하기 위해 80마일 길이의 벽을 처음으로 지었다"라고 전한다.[21]
방벽의 방어적 특성은 방벽 앞의 보름 또는 평평한 지역에서 자주 발견되는 ''키피''라고 알려진 구덩이를 포함하는 해석을 뒷받침한다.[22] 이 구덩이에는 날카롭게 된 나뭇가지로 얽힌 나뭇가지나 작은 나무 줄기가 들어 있었다.[14] 이것들은 방벽에 대한 공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이것은 가시 철사와 같은 로마의 대응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고 공격자를 수비수의 미사일 사정거리에 가두는 조치이다. 커튼 월은 주로 지속적으로 전투가 벌어지는 방어선이 아니라 우발적인 통과를 막고 로마인에게 다가오는 공격을 경고하고 적군을 늦춰 지원군이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측 지점 역할을 했을 것이다.[14]
사람들의 출입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방어 구조 외에도, 방벽은 또한 사람들을 로마 속주 안에 가두어 두었다.[14] 이동은 방벽의 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곳에서 군사 정보를 위해 감시하고 적절하게 차단하거나 허용했으며, 세금을 부과했다.[14]
방벽은 또한 심리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거의 3세기 동안, 410년 브리타니아에서 로마의 통치가 끝날 때까지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개별 황제와 그의 제국의 힘, 기지, 결의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14]
방벽은 또한 로마의 제국 권력을 상징하는 선언이었으며, 소위 문명 세계와 정복되지 않은 야만적인 황무지 사이의 경계를 표시했다. 영국의 고고학자 닐 포크너는 "다른 훌륭한 로마 국경 기념물과 마찬가지로 방벽은 기능적인 시설만큼이나 선전 선언이었다"고 설명한다.[23] 하드리아누스 방벽이 원래 회반죽으로 덮여 흰색으로 칠해졌다는 증거가 있는데, 햇빛을 반사하여 수 마일 밖에서도 보였을 것이다.[18]
로마 제국은 1세기 중반에 브리타니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켈트족의 침입에 시달렸다. 그래서 로마 황제하드리아누스가 방벽의 건설을 명령했고[71], 122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완공에는 10년의 세월이 걸렸다. 영토 확장을 계속하던 로마 제국이 확장 정책을 계속하는 것을 단념한 정책 전환점으로서도 상징적인 건조물 중 하나이다.
이 방벽은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지만, 스코틀랜드에 대한 방어벽으로서, 로마 제국의 지배가 미치지 않게 된 4세기 후반 이후에도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2. 4. 하드리아누스 이후
138년 하드리아누스가 사망한 후,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는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사실상 방치하고 지원 역할로만 유지했다. 그는 북쪽으로 약 160km 떨어진 지협을 가로질러 안토니누스 방벽 건설을 시작했다. 이 벽은 약 약 60.83km 뻗어 있었으며, 하드리아누스 방벽보다 더 많은 요새를 갖추고 있었다. 안토니누스는 북부 부족을 정복하지 못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164년에 안토니누스 방벽을 포기하고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다시 주요 방어벽으로 삼았다.208-211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칼레도니아를 다시 정복하려 시도하며 일시적으로 안토니누스 방벽을 재점령했다. 그러나 이 원정은 결론 없이 끝났고, 로마인들은 결국 하드리아누스 방벽으로 철수했다. 초기 역사가 베다는 길다스를 따라 다음과 같이 썼다.
베다는 길다스의 석조 벽을 하드리아누스 방벽으로 식별하며, 밸럼이 세베루스가 건설한 둔덕이라고 믿었다.[44] 누가 무엇을 지었는지 명확해지기까지는 수 세기가 걸릴 것이었다. 베다는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너비는 8피트이고 높이는 12피트이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곧게 뻗어 있었다"라고 묘사한다. 베다는 자로우에서 평생을 살았으므로 벽에 매우 익숙했을 것이다. 그러나 베다는 벽 꼭대기를 따라 산책로가 있다는 언급은 하지 않는다.
4세기 후반, 야만족의 침략, 경제 쇠퇴, 군사 쿠데타로 로마 제국의 브리타니아 지배력이 약화되었다. 410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통치 종말과 함께 로마 행정부와 군단은 사라졌고, 브리타니아는 자체 방어와 정부를 찾아야 했다. 고고학자들은 벽의 일부가 5세기까지 점령되었음을 밝혀냈다. 일부 요새는 Coel Hen의 인물과 전직 duxla의 통제하에 있는 현지 브리튼인에 의해 계속 주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폐허가 되었고, 수 세기에 걸쳐 돌은 다른 지역 건물에 재사용되었다. 7세기에는 spolia가 자로우의 성 바울 교회 건설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남아 있었다.[46]
이 벽은 17세기 초 존 스피드를 매료시켰다. 그는 "픽트의 벽"(또는 "픽테스")으로 묘사했다. 1610년 ''뉴캐슬 지도''는 "세베루스 벽"으로 묘사하며, 베다가 밸럼에 부여한 이름을 실수로 부여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로마 제국이 켈트족의 침입에 시달려 1세기 중반 브리타니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로마 황제하드리아누스가 방벽 건설을 명령했고[71], 122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완공에는 10년이 걸렸다. 로마 제국이 확장 정책을 단념한 정책 전환점으로서 상징적인 건조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
완공 당시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칼라일까지 118km, 높이 4~5m, 두께 약 3m(나중에 건설된 부분은 약 2.5m)였다. 완공 초에는 토루였고, 그 후에 석벽으로 보강되었다. 약 1.5km 간격으로 감시소가, 6km 간격으로 요새가 설치되어 500명에서 1000명의 로마 군인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벽은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지만, 스코틀랜드에 대한 방어벽으로서 4세기 후반 이후에도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국경으로 반쯤 고정되었고, 현재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구조
로마 제국은 1세기 중반에 브리타니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지만, 켈트족의 침입에 시달렸다. 그래서 로마 황제하드리아누스가 방벽 건설을 명령했고[71], 122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0년 만에 완공되었다. 영토 확장을 계속하던 로마 제국이 확장 정책을 단념한 정책 전환점으로서 상징적인 건조물 중 하나이다.
장벽의 재질은 장소에 따라 달랐다. 아싱 강 동쪽은 사각형으로 성형된 석재로, 서쪽은 잔디나 흙을 굳힌 재질로 구축되었다. 이 잔디 벽은 나중에 돌 벽으로 개축되었다. 장성 중앙 부근에는 3m 정도의 기반 위에 2.4m 정도 두께의 벽이 솟아 있었으며, 이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장성 바로 남쪽에는 '''발룸'''(Vallum)이라고 불리는 해자가 있었고, 벽과 평행하게 놓인 두 개의 토루에 끼인 형태로 구축되었다. 이 '''발룸'''은 장벽보다 보존 상태가 좋아 현재에도 많은 지점에서 남아 있다.
3. 1. 규모
방벽의 길이는 80 로마 마일로, 현대의 73 마일, 즉 117 킬로미터에 해당한다(1 로마 마일은 1,620 야드 또는 1480m에 해당한다).[13] 이 방벽은 섬 전체를 가로질러 동쪽의 타인강의 월센드에서 서쪽의 보우네스온솔웨이까지 뻗어 있었다.[14] 건설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방벽의 폭은 원래 계획했던 약 3.05m에서 약 약 2.44m로 줄어들었고, 지형에 따라 더 좁아지기도 했다.[14] 일부 구간은 원래 흙과 목재로 건설되었지만, 수년 또는 수십 년 후에 돌로 교체되었다.[14] 735년에 사망한 수도사이자 역사가인 비드는 방벽의 높이가 약 3.66m였다고 기록했으며, 이는 건설 당시 몇 피트 더 높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 방벽의 길이를 따라 매 3분의 1마일마다 망루 토렛가 있었으며, 이는 로마 군대의 숙소와 생활 공간을 제공했다.[15]완공 당시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칼라일까지 118km에 달했다. 벽의 높이는 4~5m, 두께는 약 3m였으나, 나중에 건설된 부분은 약 2.5m로 좁아졌다. 완공 초에는 토루였고, 그 후에 석벽으로 보강되었다고 생각된다. 약 1.5km 간격으로 감시소가, 6km 간격으로 요새가 설치되었으며, 요새에는 500명에서 1000명의 로마 군인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길이는 약 117.5km[72]에 달했다. 장벽의 재질은 장소에 따라 달랐으며, 장벽의 두께는 각 장소의 재질에 따라 달랐다고 한다. 아싱 강 동쪽의 장벽은 사각형으로 성형된 석재로 구축되었으며, 벽의 폭은 약 3m, 높이는 약 5m에서 6m에 달했다. 반면 아싱 강 서쪽의 장벽은 잔디나 흙을 굳힌 재질로 구축되었으며, 폭은 6m, 높이는 3.5m 정도였다. 이 잔디 벽은 나중에 돌 벽으로 개축되었다. 이 치수들은 장벽만의 치수이며, 해자나 견제부 등의 부속 시설은 포함하지 않는다. 장성 중앙 부근은 3m 정도의 기반 위에 2.4m 정도의 두께를 가진 벽이 솟아 있었으며, 이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장성의 바로 남쪽에는 해자가 파여 있었고, 벽과 평행하게 놓인 두 개의 토루에 끼인 형태로 구축되었다. 이 해자는 '''발룸'''(Vallum)이라고 불리며, 이 라틴어가 영어의 '''wall'''의 어원이 되었다고 한다. 이 '''발룸'''은 장벽보다 보존 상태가 좋으며, 현재에도 많은 지점에서 남아 있다. (장벽은 지금까지 많은 돌이 도난당했다.)
3. 2. 방벽
벽은 군인들에게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을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는 높은 플랫폼을 제공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에 방벽이 건설된 뒤, 독일에 쳐진 벽보다 더 견고하게 보강 공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주민들의 분노의 강도를 짐작할 수 있다.
R. G. 콜링우드는 벽체의 광폭 부분과 반대로 협폭 부분의 존재에 대한 증거를 인용한다.[25] 그는 벽의 건설 과정에서 계획이 변경되었고 전체 너비가 줄어들었다고 주장한다.[25] 광폭 벽의 너비는 약 약 2.90m이며 협폭 부분은 약 0.61m 좁아 약 약 2.29m이다.[25] 일부 협폭 부분은 광폭 기초 위에 건설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아마도 계획 변경 전에 건설되었을 것이다.[25]
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콜링우드는 벽이 원래 현재의 뉴캐슬어폰타인과 보우니스온솔웨이 사이에 균일한 너비 10로마 피트의 돌로 건설될 예정이었다고 결론 내린다.[25] 완성되었을 때 벽의 5분의 3만 돌로 건설되었고, 나머지 서쪽 부분은 흙 벽이었으며 나중에 돌로 재건되었다.[25] 계획은 자원 부족으로 인해 변경되었을 수 있다.[25] 자원을 더 절약하기 위해 동쪽 절반의 너비는 원래 10로마 피트에서 8로 줄어들었고, 동쪽 절반의 남은 돌은 서쪽의 약 약 8.05km의 흙 벽에 사용되었다.[25][15] 원래 10로마 피트에서 8로 줄어든 것이 소위 "협폭 벽"을 만들었다.[15]
마일캐슬 49에서 서쪽 종점인 보네스온솔웨이까지의 방벽은 원래 석회암이 없었기 때문에 잔디로 건설되었다.[26] 이후 잔디 방벽은 철거되고 석벽으로 대체되었다. 이는 두 단계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단계는 (리버 이르팅에서 마일캐슬 54 서쪽 지점까지)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기간에, 두 번째 단계는 안토니누스 방벽 폐기 후 하드리아누스 방벽 재점령 이후에 이루어졌다(두 번째 단계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통치 기간에 이루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석벽의 선은 잔디 방벽의 선을 따르지만, 마일캐슬 49와 마일캐슬 51 사이의 구간에서는 석벽의 선이 약간 북쪽에 위치한다.[26]
마일캐슬 50TW 주변 구간에서는 3~4단의 잔디 블록으로 평평한 기초 위에 건설되었다.[27] 마일캐슬 72 (버러바이샌즈) 서쪽과 마일캐슬 53에서는 조약돌 기초층이 사용되었다.[28] 기반이 질퍽한 곳에서는 나무 말뚝이 사용되었다.[26]
잔디 방벽의 밑면은 너비가 6m였으며, 길이 약 45.72cm, 깊이 약 30.48cm, 높이 약 15.24cm인 잔디 블록으로 3.66m 높이로 쌓았다. 북쪽 면은 75%의 경사를 가졌고, 남쪽 면은 기초 위에서 수직으로 시작하여 빠르게 완만해졌을 것으로 보인다.[26]
석조 장막벽의 기초 위에는 하나 이상의 기초 코스가 놓였다. 이 기초 코스 위에는 (북쪽과 남쪽 면 모두에) 오프셋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벽의 폭을 줄였다. 장막벽의 폭이 언급될 때는 오프셋 위 폭을 말한다. 두 가지 오프셋 표준이 확인되었다. 표준 A는 첫 번째 기초 코스 위에 오프셋이 있는 경우이고, 표준 B는 세 번째(또는 때로는 네 번째) 기초 코스 후에 오프셋이 있는 경우이다.[29]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잉글랜드 북부, 스코틀랜드와의 경계선 부근에 있으며, 길이는 약 117.5km[72]에 달했다. 장벽의 재질은 장소에 따라 달랐으며, 장벽의 두께는 각 장소의 재질에 따라 달랐다. 아싱 강 동쪽의 장벽은 사각형으로 성형된 석재로 구축되었으며, 벽의 폭은 약 3m, 높이는 약 5m에서 6m에 달했다. 반면 아싱 강 서쪽의 장벽은 잔디나 흙을 굳힌 재질로 구축되었으며, 폭은 6m, 높이는 3.5m 정도였다. 이 잔디 벽은 나중에 돌 벽으로 개축되었다. 장성의 중앙 부근은 3m 정도의 기반 위에 2.4m 정도의 두께를 가진 벽이 솟아 있었으며, 이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3. 3. 발룸 (Vallum)

방벽 바로 남쪽에는 발룸이라고 알려진, 깊이 약 3.05m의 도랑과 같은 구조가 있으며, 이를 따라 남북으로 두 개의 평행한 둔덕이 뻗어 있다.[25] 발룸과 방벽은 동쪽 끝의 뉴캐슬과 월센드 요새 사이를 제외하고는 방벽 전체 길이를 따라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타인강과 매우 가까워 발룸이 장벽으로서 불필요하다고 여겨졌을 수 있다. 방벽과 발룸의 쌍둥이 트랙은 19세기 많은 사상가들이 서로의 관계에 주목하고 숙고하게 만들었다.[25]
일부 증거에 따르면 방벽의 경로는 발룸을 피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이는 발룸이 더 오래된 구조임을 시사할 수 있다.[25] 따라서 R. G. 콜링우드는 1930년에 발룸이 최종 형태의 방벽보다 먼저 건설되었다고 주장했다. 콜링우드는 또한 발룸이 방벽 전에 건설된 최초의 국경이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25] 이를 바탕으로 방벽은 로마인들이 영토에 대한 정의를 강화하기 위해 건설된 대체 국경으로 볼 수 있다.[25]
1936년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발룸이 방벽보다 먼저 건설될 수 없다는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발룸이 방벽의 마일캐슬 중 하나를 피했기 때문이다.[25] 이 새로운 발견은 더 많은 증거에 의해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었으며, 발룸과 방벽의 동시 건설이라는 생각을 강화했다.[25]
다른 증거는 약간 다른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증거에 따르면 발룸은 특히 좁은 방벽의 일부보다 먼저 건설되었다. 이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코우스는 발룸 건설이 넓은 방벽과 함께 시작되었거나, 좁은 방벽이 넓은 방벽을 계승했을 때 시작되었지만 좁은 방벽의 건설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고 제안한다.[25]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바로 남쪽에는 해자가 파여 있었고, 벽과 평행하게 놓인 두 개의 토루에 끼인 형태로 구축되었다. 이 해자는 '''발룸'''(Vallum)이라고 불리며, 이 라틴어가 영어의 '''wall'''의 어원이 되었다고 한다. 이 '''발룸'''은 장벽보다 보존 상태가 좋으며, 현재에도 많은 지점에서 남아 있다. (장벽은 지금까지 많은 돌이 도난당했다.)
3. 4. 요새
하드리아누스 방벽에 있는 모든 요새의 라틴어 및 로마-켈트어 이름은 ''노티티아 디그니타툼'' 및 비문과 같은 다른 증거를 통해 알려져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라틴어 이름과 현대 영어 이름은 다음과 같다.[54]라틴어 이름 | 현대 영어 이름 |
---|---|
세게두눔 | 월센드 |
폰스 엘리우스 | 뉴캐슬어폰타인 |
콘데르쿰 | 벤웰 힐 |
빈도발라 | 러드체스터[55] |
훈눔 | 할턴 체스터스[55] |
킬루르눔 | 체스터스 또는 월윅 체스터스[55] |
프로콜리타 | 캐로우버러 |
베르코비시움 | 하우스스테드 |
에시카 | 그레이트 체스터스[55] |
마그니스 | 카보란 |
반나 | 버도스월드 |
캄보글란나 | 캐슬스테즈 |
욱셀로두눔 (페트리아나) | 스탠윅 |
아발라바 | 버러바이샌즈 |
코가바타 | 드럼버러 |
메이스 | 보우네스온솔웨이 |
방벽의 망루는 다음과 같다.
- 릴힐 망루
- 덴턴 홀 망루
방벽 너머의 전초 기지 요새는 다음과 같다.
방벽 뒤의 보급 요새는 다음과 같다.
4. 주둔군
하드리아누스 방벽이 완전 가동되었을 때 거의 10,000명의 병사가 주둔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방벽을 건설한 군단이 아니라 속주에서 차출된 보조 보병 및 기병 연대로 구성되었다.[14] 데이비드 브리즈는 하드리아누스 방벽 주변에 주둔한 병사들의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제시한다.[30] 브리즈는 방벽 주변의 요새에 주둔한 병사들은 방어의 주된 임무를, 마일캐슬과 망루의 병력은 국경 통제의 책임을 맡았다고 말한다.[30] 요새 주둔 병사에 대한 증거가 마일캐슬과 망루의 병사들에 대한 증거보다 훨씬 더 뚜렷하다.[30]
브리즈는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병사에 대한 세 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첫째, 마일캐슬과 망루를 지키는 병사들은 근처 요새에서 왔을 것이다. 둘째, 보조병 연대가 이 역할을 위해 특별히 선택되었을 것이다. 셋째, 이 기지를 지키기 위해 "특수 부대"가 편성되었을 것이다.[30] 브리즈는 수집된 모든 비문을 통해 방벽의 마일캐슬에는 세 개 또는 심지어 네 개의 보조 부대 출신 병사들이 있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30] 이 부대들은 "cohors I Batavorum", "cohors I Vardullorum", 번호가 없는 판노니아 군단, 그리고 상 게르마니아 출신의 "duplicarius"였다.[30] 일부 군단병도 마일캐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0] 마일캐슬을 지키는 병사들이 인근 요새에서 왔는지, 아니면 이 임무를 위해 특별히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증거는 "아직 열려 있으며", "증거의 균형은 후자에 기울어져 있다"고 브리즈는 덧붙인다.[30] 그러나 세 개의 영국 군단 출신 병사가 보조병보다 많았으며, 이는 군단병이 그러한 별동 임무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에 반한다.[30]
하드리아누스 방벽 주둔에 대한 추가 정보는 방벽 바로 남쪽에서 발견된 빈돌란다 태블릿을 통해 제공되었는데, 예를 들어 92년 또는 97년 5월 18일에 실시된 검사 기록에 따르면 756명의 벨가이 병력 중 456명만 출석했고 나머지는 병가 또는 기타 사유로 결근했다.[31]
5. 사회경제적 영향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단순한 군사 시설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방벽은 로마 군인들에게 지역 주민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는 높은 곳을 제공했으며,[71] 초기 건설 후 독일의 벽보다 더 튼튼하게 보강된 것을 통해 주민들의 저항이 컸음을 알 수 있다.
방벽 건설은 로마 제국이 영토 확장을 멈추고 정책을 바꾼 상징적인 사건이었다.[71] 이 방벽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 부근에 건설되었고, 로마 제국의 지배가 끝난 4세기 후반 이후에도 17세기까지 사용되어 현재 양국 국경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71]
5. 1. 문화적 통합
기원전 200년경, 로마인들이 브리타니아에 도착하기 훨씬 전부터, 로디언 북쪽과 위어 강 남쪽, 방벽이 세워질 양쪽 지역은 사각형 울타리가 지배하는 지역이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사회 계층, 즉 다수이자 광범위한 귀족 계층의 광대한 농업 정착지를 중심으로, 하위 계층은 고고학적 흔적이 훨씬 적은 원형 가옥에 무리를 지어 사는 형태였다. 방벽은 아마도 일관된 문화권을 가로질렀으며, 브리타니아에서 심각한 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에 계획되고 건설되어 브리타니아 외부로부터의 주요 로마 증원을 필요로 했다.[32] 빈돌란다에서 발견된 석판에는 로마가 이 지역을 정복한 지 약 30년 후 칼라일에서 직접 군사 통치를 행사한 ''구역 백인대장''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벽 건설 직후 이 지역의 정착 패턴은 즉시 바뀌지 않았으며, 로마와 싸운 집단은 이전에 평정된 남쪽 부족이나 방벽 북쪽에서 온 사람들일 수도 있다.[33]주둔지의 로마 군인들은 그들의 가족 및 다른 이민자들과 함께 이 지역 인구의 약 22~30%에 달했을 것이다. 그들은 현지 자원만으로는 완전히 공급될 수 없었지만, 현지 잉여분은 세금으로 징수되거나 징발되었을 것이다. 군 징집병 또한 인근 집단에서 징집되었을 수도 있다.[34]
5. 2. 방벽 남쪽 지역의 발전
티스 강과 방벽 남쪽 사이로, 2세기 초에 로마 양식의 정착지가 나타났는데, 이는 방벽 건설 직후였다. 이는 더 남쪽에 위치한 요크셔의 로마 별장보다 더 빠른 시기이다.[35] ANAVSla라는 이름이 찍힌 모르타륨은 방벽에서 남쪽으로 약 80km 떨어진 페이버데일에서 생산되었으며, 발견된 대부분은 코리아 요새에서 나왔다. 아나우스는 아마도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온 사람일 것이다.[35] 150년에, 26년간 게르마니카 함대에서 복무한 마글로티게르누스의 아들 벨보티게르누스에게 제대 증명서가 발급되었다. 그것은 롱고비키움 로마 요새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요새 안에서가 아니라). 벨보티게르누스는 아마도 영국 사회의 상류층 출신이었을 것이며(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위대한 지배자'를 의미한다), 그는 방벽에서 남쪽으로 약 27km 떨어진 랭커스터 근처에 정착하기로 결정했다.[36] 이는 상업적 가능성에 매료되었거나 공식적으로 정착하도록 장려된 이민자들, 그리고 지역 상류층 모두에 의해 로마 문화의 요소들이 빠르게 발전했음을 시사한다.[37]5. 3. 방벽 북쪽 지역의 변화
북쪽으로는 매우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현재 스코틀랜드 남부의 로디언(Lothian) 지역과 노섬브리아(Northumbrian) 해안 평원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에서 견고한 목조 원형 가옥과 토루 울타리의 기념비적인 건축 전통이 사라졌다.[38] 그곳에서는 후기 로마 시대의 도자기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로마인들은 라인강 유역과 도나우강 국경 너머 10로마 마일에 걸쳐 인구를 몰아낸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이 지역의 인구를 제거했을 수 있다. 일부 지역은 여전히 점유되었는데, 이전에 폐허가 되었던 번스워크 힐 요새는 방벽이 건설될 무렵 재점령되었다. 아마도 이것은 북쪽 칼레도니아로 가는 이 주요 경로에서 협력적인 권위를 확립하려는 로마의 단기적인 시도를 나타낼 것이다. 불과 몇 년 안에 요새는 로마 야영지로 둘러싸였고 로마 미사일의 공격을 받았다. 결국 기원후 140년경에 버려졌다.다른 지역들은 토착 집단에 의해 관리되었을 수 있으며, 아마도 가축 관리를 위해, 그리고 아마도 로마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관리되었을 것이다. 꽃가루 증거는 방벽 바로 북쪽의 풍경이 로마 통치가 끝날 때까지 숲이 재생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열린 상태로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38] 캐슬 오어에서는 철기 시대의 언덕 요새에 부속 건물과 도랑 및 제방 경계망이 설치되었다.[39] 페그스우드(Pegswood) 무어와 세인트 조지 병원 또한 가축 울타리와 길을 보여주는데, 이 지역의 거대한 철기 시대 유적지보다 훨씬 덜 견고하다. 헉호 정착지 유적지는 이 지역에서 하드리아누스 시대 이후의 주거지(3세기 후반, 어쩌면 4세기까지의 고급 수입 식품 용기일 가능성이 있는 로마 거친 도자기)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유일한 곳이며, 마찬가지로 주로 가축 관리 및 운송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40]
6. 보존 및 활용
1987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에는 독일의 유적지를 포함하는 초국가적인 로마 제국의 국경 세계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8]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1987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지만, 경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방문객들은 역사적인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는 않지만,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오르고 그 위에 설 수 있다. 2010년 3월 13일에는 500개의 봉화로 방벽의 경로를 밝히는 하드리아누스 방벽 조명이라는 공개 행사가 열렸다. 2012년 8월 31일과 9월 2일에는 런던 2012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연결의 빛"이라는 디지털 예술 설치물로 방벽을 두 번째로 조명했다. 2018년에는 만리장성과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관리하는 단체들이 관광 진흥과 기념물의 역사적, 문화적 이해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50]
6. 1. 존 클레이턴의 노력
장벽의 많은 부분은 현재 사라졌다. 18세기에는 장벽의 긴 구간이 웨이드 장군이 군대를 이동시켜 1745년 자코바이트 봉기를 진압하기 위한 군사 도로(대부분은 현재 B6318 "군사 도로")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다.[47] 남아있는 부분의 상당 부분을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은 골동품 수집가 존 클레이턴의 공로이다. 그는 변호사로 훈련을 받았고 1830년대에 뉴캐슬의 타운 클러크가 되었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체스터스를 물려받은 후 장벽 보존에 열정을 갖게 되었다. 농부들이 장벽에서 돌을 가져가는 것을 막기 위해 그는 장벽이 서 있는 토지를 매입하기 시작했다. 1834년, 크래그 로우 근처 스틸 리그 주변의 부동산을 매입하기 시작하여, 브런턴에서 코필드까지의 토지를 관리하게 되었다. 이 구간에는 체스터스, 캐로우버러, 하우스스테즈, 빈돌란다 부지가 포함되었다. 클레이턴은 킬루르눔의 요새와 하우스스테즈에서 발굴 작업을 수행했으며 일부 마일캐슬을 발굴했다.클레이턴은 자신이 인수한 농장을 관리했고 토지와 가축을 모두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농장에서 얻은 수익을 복원 작업에 사용했다. 일꾼들은 일반적으로 7단 높이까지 장벽의 일부를 복원하기 위해 고용되었다. 클레이턴 벽의 가장 좋은 예는 하우스스테즈에 있다. 클레이턴이 사망한 후, 그의 재산은 친척들에게 상속되었고 곧 도박으로 잃게 되었다. 결국, 내셔널 트러스트가 장벽이 서 있는 토지를 매입하기 시작했다. 월링턴 홀 (모페스 근처)에는 윌리엄 벨 스콧의 그림이 있는데, 그 그림은 장벽 건설을 감독하는 백인대장을 보여준다. 백인대장은 존 클레이턴의 얼굴을 하고 있다.
6. 2. 세계유산 등재 및 관광
1987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에는 독일의 유적지를 포함하는 초국가적인 로마 제국의 국경 세계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8]하드리아누스 방벽은 1987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지만, 경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방문객들은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오르고 그 위에 설 수 있지만, 역사적인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는 않는다. 2010년 3월 13일에는 500개의 봉화로 방벽의 경로를 밝히는 하드리아누스 방벽 조명이라는 공개 행사가 열렸다. 2012년 8월 31일과 9월 2일에는 런던 2012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연결의 빛"이라는 디지털 예술 설치물로 방벽을 두 번째로 조명했다. 2018년에는 만리장성과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관리하는 단체들이 관광 진흥과 기념물의 역사적, 문화적 이해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50]
7. 대중문화 속 하드리아누스 방벽
- 로즈메리 서트클리프의 1954년 소설 ''아홉 군단의 독수리(The Eagle of the Ninth)''는 잃어버린 독수리 기장을 찾기 위해 하드리아누스 방벽 너머로 모험을 떠나는 젊은 로마 장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1866년에 발견된 청동 실체스터 독수리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2011년 영화 ''이글''의 영감이 되었다.[57]
- 짐 셰퍼드의 단편 소설 모음집 ''네가 이해할 수 있다면(Like You'd Understand Anyway)''(2007)에는 방벽 건설 기간 동안 살며 일하는 사무원의 상상을 담은 "하드리아누스 방벽(Hadrian's Wall)"이라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57]
- 러디어드 키플링은 픽트족에 대항하여 방벽을 지키는 로마 군단병 파르네시우스를 주인공으로 하는 단편 소설을 통해 "거대한 픽트족의 방벽"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 이야기들은 1906년에 출판된 ''푸크 오브 푸크스 힐(Puck of Pook's Hill)'' 앤솔로지의 일부이다.[58]
- 조지 R. R. 마틴은 ''얼음과 불의 노래(A Song of Ice and Fire)'' 시리즈의 벽이 하드리아누스 방벽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시리즈는 판타지 TV 드라마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으로 각색되었으며, 드라마에서도 벽은 국가의 북쪽에 위치하며 해안에서 해안까지 뻗어 있다.[59]
- M. J. 트로의 소설 ''브리타니아(Britannia)'' 시리즈에서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중심적인 장소이며, 코엘 헨과 파던 베이르루드는 리미타네이 (국경 군인)로 묘사된다.[60]
- 애드리안 골즈워디의 ''하드리아누스 방벽(Hadrian's Wall)''은 방벽에 대한 간략한 역사서이다.[61]
- 1991년 영화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는 시커모어 갭을 촬영 장소로 사용했다.[62]
- 2011년 영화 ''이글''은 하드리아누스 방벽 너머 칼레도니아 고원으로 사라진 로마 제9군단의 로마 군기(독수리 문장)를 되찾기 위해 떠나는 젊은 로마 장교의 이야기를 다룬다. 2010년 영화 ''센츄리온''도 비슷한 이야기를 다룬다.
- 2004년 영화 ''킹 아서''에서 아서와 그의 기사들이 북쪽으로 퀘스트를 떠날 수 있도록 방벽 건설 이후 처음으로 주요 관문 중 하나가 열린다. 아서 왕과 그의 기사들이 이끄는 브리튼족과 체르딕과 그의 아들 킨릭이 이끄는 색슨족 사이의 절정적인 바돈 산 전투는 방벽 안쪽에서 벌어진다.
- 맥심의 첫 번째 솔로 앨범 ''헬스 키친''의 오프닝 트랙 제목은 "하드리아누스 방벽"이다.[63]
-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시리즈 《모던 마블스》 시즌 8의 일곱 번째 에피소드는 하드리아누스 방벽에 관한 것이었으며, 2001년 3월 1일에 방영되었다.[64]
- W. H. 오든은 1937년 BBC 북동부 지역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BBC 라디오 다큐멘터리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대본을 썼다. 오든은 나중에 이 대본에서 가져온 "로마의 벽 블루스"라는 시를 그의 저서 ''또 다른 시간''에 발표했다. 이 시는 방벽에 주둔한 외로운 로마 병사의 목소리로 말하는 짧은 독백이다.[65]
-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 870년대에 까마귀 일족의 주인공 에이보르가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방문할 수 있다.[66]
- 크루세이더 킹즈 III에서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해당 지역을 통제하는 플레이어 또는 AI에게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는 역사적 건물로 등장한다.[67]
- 2021년에는 동명의 보드 게임이 출시되었으며, 플레이어는 방벽 건설과 방어의 임무를 맡게 된다.[68] 2022년에는 이 게임이 미국 테이블탑 어워드 전략 게임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69]
참조
[1]
웹사이트
Hadrian's Wall: The Facts
https://web.archive.[...]
2016-03-08
[2]
뉴스
Obituary: Brian Dobson
2012-09-21
[3]
웹사이트
Route Description – Hadrian's Wall Path
https://www.national[...]
2023-09-05
[4]
뉴스
Hadrian's Wall: A horde of ancient treasures make for a compelling new Cumbrian exhibition
https://www.independ[...]
2023-09-05
[5]
뉴스
More than 25,000 people see Hadrian's Wall lit up
http://news.bbc.co.u[...]
BBC
2023-09-05
[6]
웹사이트
Hadrian's Wall
https://web.archive.[...]
2004-07-22
[7]
웹사이트
More than a Roman Monument: A Place-centred Approach to the Long-term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Antonine Wall
https://web.archive.[...]
Durham University. Available at Durham E-Theses Online ref: 9458
2017-10-14
[8]
웹사이트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https://whc.unesco.o[...]
UNESCO
2023-09-05
[9]
뉴스
Wall gains World Heritage status
http://news.bbc.co.u[...]
2008-07-08
[10]
웹사이트
Borders held dear to English and Scots
https://www.ft.com/c[...]
2017-03-18
[11]
웹사이트
Hadrian's Wall
https://www.history.[...]
2020-08-17
[12]
웹사이트
The extraordinary tale of Hadrian's Wall: 'Men have been deified for trifles compared with this admirable structure'
https://www.countryl[...]
2023-09-05
[13]
웹사이트
Definition of Roman mile in American English
https://www.collinsd[...]
2021-04-03
[14]
간행물
The Wall at the End of the Empire
2017
[15]
서적
Britannia Romana: Roman Inscriptions & Roman Britain
Oxbow Books
[16]
서적
Handbook to the Roman Wall
Society of Antiquaries of Newcastle upon Tyne
[17]
서적
Romans on the Solway : essays in honour of Richard Bellhouse
Cumberland and Westmorland Antiquarian & Archaeological Society on behalf of the Trustees of the Senhouse Roman Museum, Maryport
[18]
서적
Hadrian and the Triumph of Rome
Random House, Inc
[19]
서적
Hadrian's Wall
[20]
문서
A Chinese Puzzle for the Romans
[21]
서적
Hadrian's Wall
Penguin Books
[22]
문서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king of cippi pits in Book VII, Chapter 73 of his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as part of his account of his siege of Vercingetorix in Alesia
[23]
뉴스
The Official Truth: Propaganda in the Roman Empire
https://www.bbc.co.u[...]
2023-09-05
[24]
서적
Hadrian's Wall
Penguin Books
[25]
간행물
Collingwood's Detective Image of the Historian and the Study of Hadrian's Wall
https://doi.org/10.2[...]
1990-12
[26]
서적
Handbook to the Roman Wall
Society of Antiquaries of Newcastle upon Tyne
[27]
간행물
Report of the Cumberland Excavation Committee for 1934
[28]
간행물
Report of the Cumberland Excavation Committee for 1932
[29]
서적
Handbook to the Roman Wall
Society of Antiquaries of Newcastle upon Tyne
2006
[30]
간행물
Auxiliaries, Legionaries, and the Operation of Hadrian's Wall
2003
[31]
서적
A History of Britain
https://archive.org/[...]
BBC Worldwide Ltd
2000
[32]
문서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3]
문서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4]
문서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1338, Anthony Birley 2001. 'The Anavionenses', in N Higham (ed.) Archaeology of the Roman Empire: A tribute to the life and works of Professor Barri Jones.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International Series S940, Oxford, pp 15-24. As referenced page 132 in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James Bruhn, Nick Hodgson. Britannia 53 (2022) 125-157. doi:10.1017/S00681113X22000241
[35]
문서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6]
논문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7]
논문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8]
논문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39]
서적
Native and Roman on the Northern Frontier; Excavations and Survey in a Later Prehistoric Landscape in Upper Eskdale, Dumfriesshire
[40]
논문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41]
논문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Hadrian's Wall on the Frontier Zone in Britain
[42]
간행물
Metal-detecting and geophysical survey at Great Whittington, Northumberland
https://archaeologyd[...]
2023-05-19
[43]
웹사이트
Imperial dedication
https://romaninscrip[...]
RIB
[44]
웹사이트
Wall of Severus
http://www.dot-domes[...]
2021-04-07
[45]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46]
서적
The Buildings of England: County Durham
[47]
웹사이트
Hadrian's Wall
http://www.english-l[...]
[48]
뉴스
Hadrian's Wall section found under Newcastle street
https://www.bbc.co.u[...]
2021-08-11
[49]
웹사이트
Hadrian's Wall discovered underneath one of Newcastle's busiest streets
https://www.nwg.co.u[...]
Northumbrian Water Group
2021-08-10
[50]
뉴스
Two historic structures in wall-to-wall collaboration
https://www.telegrap[...]
2018-01-24
[51]
웹사이트
Every Footstep Counts – The Trail's Country Code
http://www.nationalt[...]
[52]
웹사이트
The Staffordshire Moorlands Pan
https://www.britishm[...]
[53]
서적
Hadrian's Wall
[54]
웹사이트
The Notitia Dignitatum in Britain
http://www.romaneran[...]
2020-04-28
[55]
문서
The suffix "chester" reflects the presence of a Roman [[castra]].
[56]
웹사이트
GENUKI: The National Gazetteer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868) – Northumberland
http://www.genuki.bp[...]
Genuki.bpears.org.uk
2010-08-03
[57]
뉴스
Like You'd Understand, Anyway (review)
https://www.kirkusre[...]
2007-09-25
[58]
웹사이트
On the Great Wall
http://www.kiplingso[...]
2005-08-02
[59]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George R. R. Martin
http://www.sfsite.co[...]
[60]
웹사이트
The Wall (Britannia #1)
https://www.goodread[...]
2014
[61]
서적
Hadrian's Wall
https://books.google[...]
[62]
웹사이트
Robin Hood: Prince of Thieves (1991) Filming & Production
https://www.imdb.com[...]
[63]
웹사이트
MAXIM : Hells Kitchen – the album, scans and info
http://www.nekozine.[...]
[64]
웹사이트
Modern Marvels (1993–) Hadrian's Wall
https://www.imdb.com[...]
[65]
웹사이트
Roman Wall Blues
https://kidsofthewil[...]
2019-05-27
[66]
웹사이트
Assassins Creed Valhalla: Is There Anybody Out There trophy – how to unlock?
https://guides.gamep[...]
[67]
웹사이트
Crusader Kings 3 Special Buildings Guide
https://segmentnext.[...]
2023-05-13
[68]
웹사이트
Be a Roman General in Hadrian's Wall
https://geektyrant.c[...]
2021-01-15
[69]
웹사이트
2022 American Tabletop Award Winners
https://americantabl[...]
2022-04-11
[70]
문서
Sycamore Gap, a section of the wall between two crests just east of Milecastle 39, is locally known as the "Robin Hood Tree" for its use in the 1991 film ''[[Robin Hood: Prince of Thieves]]'' (1991).
[71]
웹사이트
ハドリアヌスの長城
https://www.tv-asahi[...]
テレビ朝日
2018-06-02
[72]
웹사이트
BBC – History – Hadrian's Wall Gallery
https://www.bbc.co.u[...]
Bbc.co.uk
2013-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