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골뱅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뱅이는 육식성 포식자이며, 조간대부터 수심 10cm~50cm의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고둥이다. 자줏빛 갈색 또는 황갈색 껍데기를 가지며, 이매패류를 포식한다. 번식기는 봄이며, '모래 밥그릇' 모양의 알덩어리를 만든다. 황해, 인도양, 서태평양 등지에 분포하며, 아종과 근연종이 존재한다. 식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한국에서 골뱅이무침으로 많이 소비된다. 또한, 바지락 등 어획 대상 종을 포식하여 어업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알고둥류 - 구슬우렁이과
    구슬우렁이과는 전 세계, 특히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육식성 연체동물 과로, 껍질 형태, 뚜껑, 치설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장식품이나 식용으로 이용되고, 구슬우렁이아과와 아프리카구슬우렁이아과 등으로 나뉜다.
  • 1798년 기재된 동물 - 대합
    대합은 둥근 삼각형 껍데기를 가진 조개로, 동아시아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1798년 기재된 동물 - 블랙타이거
    블랙타이거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식용으로 양식되는 보리새우과 새우의 일종으로, 빠른 성장 속도와 염분 내성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양식되지만, 환경 문제와 질병, 생태계 영향 등의 문제도 야기한다.
  • 식용 패류 - 조개
    조개는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로, 다양한 종을 아우르며 전 세계 수중 생태계에 서식하고, 많은 동물의 먹이가 되며, 인류의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다.
  • 식용 패류 - 고둥
    고둥은 석회질 원뿔형 껍데기를 가진 나선형 연체동물로, 식용, 장식용, 화폐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조가비 수집 대상이 되고 문화적 의미도 지니지만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골뱅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활발한 개체, 위에서 본 모습
활발한 개체, 위에서 본 모습
큰구슬우렁이 껍데기의 다섯 가지 모습
큰구슬우렁이 껍데기의 다섯 가지 모습
큰구슬우렁이속
큰구슬우렁이
학명Neverita didyma
명명자뢰딩, 1798
이명Albula didyma 뢰딩, 1798
Glossaulax didyma (뢰딩, 1798)
Natica ampla 이와카와, 1900
Natica chemnitzii 레클뤼 in 셰뉘, 1843 (의심스러운 동종 이명)
Natica didyma (뢰딩, 1798)
Natica glaucina 라마르크, 1822
Natica lamarckiana 리브, 1855
Natica petiveriana 레클뤼 in 셰뉘, 1843
Natica problematica 리브, 1855
Natica robusta 둔커, 1860
Neverita bicolor 필리피, 1849
Neverita didyma (뢰딩, 1798)
Polinices didyma (뢰딩, 1798)
Polinices ephebus 헤들리, 1915
Polinices papyracea 부쉬, 필리피, 1845
Polinices (Glossaulax) aulacoglossa 필스브리 & 배나타, 1908, "1909"
Polinices (Glossaulax) ephebus 헤들리, 1915
한국어 이름츠메타가이 (砑螺貝/津免多貝)
영어 이름Bladder Moon shell
분류 정보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강
아강직복족아강
상목신생복족상목
흡강목
아목고복족아목
하목타마키비하목
상과타마가이상과
타마가이과
츠메타가이속
추가 정보
학명 (일본어)Glossaulax didyma
명명자 (일본어)Röding, 1798
한국어 이름 (일본어)츠메타가이

2. 특징

조간대부터 수심 10~50cm 정도의 모래가 깔린 얕은 바다에 많이 서식하며, 껍데기 너비가 약 50mm에 달하는 중형 고둥이다. 껍데기 색깔은 자줏빛 갈색에서 황갈색을 띤다. 밑부분은 흰색이고 매끄럽다. 뚜껑은 반원형이다. 야행성이며, 모래 속을 활발하게 돌아다닌다. 연체부가 껍데기에서 크게 드러나 껍데기를 완전히 덮는다.

육식성이며,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를 포식한다.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를 잡으면, 쇠갈이와 같은 치설을 사용하여 먹이의 껍데기에서 가장 뾰족한 부분인 껍데기 꼭대기를 평평하게 갈아내고, 2mm 정도의 구멍을 뚫어 연체부를 먹는다.[3]

번식기는 봄이며, 5월경에 밥그릇을 엎어놓은 듯한 모양의 알덩어리를 만든다. 그 모양 때문에 속칭 "모래 밥그릇"이라고 불린다.

서식 환경에 따라 모양이 변하는데, 내만의 것은 제삭 중앙의 고랑이 껍데기 축과 직각 방향으로 뻗어 제공이 막히지 않지만, 외양에 서식하는 것은 제삭 중앙의 고랑이 굽어져 제공이 막히는 형태가 되며, 호소야츠메타 (ホソヤツメタ|호소야츠메타일본어 ''Glossaulax didyma hosoyai'' KIRA)라고 불린다.

3. 분포

이 해양 종은 황해 또는 인도양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연안에서 발견된다. 인도 동쪽, 서태평양의 얕은 바다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이남부터 오키나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4. 아종

Neverita didyma amplala (필리피, 1849)

Neverita didyma hayashiila (아즈마, 1961)

Neverita didyma hosoyaila (키라, 1959)

5. 근연종

쓰메타가이속은 현존종과 멸종종을 포함하며, 이 속이 일본 근해에 출현한 것은 중신세 무렵으로 여겨지며, 북미 대륙 원산의 ''Glossaulax sp.''에서 분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응 과정에서 종 분화가 일어나 화석종을 포함하여 7종이 확인되었다.[4][5][6]

종명분포개설각저제선벽삭구
쓰메타가이
(G. didyma (Roding, 1798))
홋카이도 이남에서 인도 이동의 서태평양에 널리 분포.쓰메타가이속의 기준종. 중기 중신세 초기에 북미 대륙의 Glossaulx sp.에서 분화하여 출현. 각경 3~5cm. 자갈색에서 황갈색.흰색이고 평활함깊고 명확한 나선형 홈깊음
히메쓰메타가이
(G. vesicalis (Philippi, 1848))
혼슈(노토반도·보소반도 이남)에서 규슈에 서식.갱신세 전기에 G. didyma에서 분화된 종. 각고 약 4cm. 각은 얇고 회갈색이며, 태각은 적갈색.흰색이고 평활함깊고 명확한 나선형 홈얕음 - 깊음
G. hyugensis (Shuto, 1964)후기 중신세 또는 전기 신생세에 G. didyma에서 분화된 종. 멸종종. 모서리가 짐평활함얕음 - 깊음
G. hagenoshitensis (Shuto, 1964)후기 신생세에 G. hyugensis에서 분화된 종. 멸종종. 모서리가 짐평활함얕음
G. nodai Majima (1985)후기 신생세에 G. hyugensis에서 분화된 종. 멸종종. 모서리가 짐평활함얕음
소메와케쓰메타가이
(G. bicolor (Philippi, 1848))
혼슈(스루가만 이남)에서 난세이 제도,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후기 중신세 무렵에 G. didyma에서 분화. 각고 약 3cm. 각구 내부가 농갈색과 담갈색의 두 가지 색으로 나뉨.둥글다이중 나선형 홈깊음
하나쓰메타가이
(G. reiniana (Dunker, 1877))
혼슈(오가반도·보소반도 이남)에서 난세이 제도에 서식.신생대 중기에 G. didyma에서 분화. 각고 약 4cm. 쓰메타가이와 비교하여 다소 소형이고 나탑이 다소 높다.평활함깊고 명확한 나선형 홈약간 얕음


6. 인간과의 관계

큰구슬우렁이는 비교적 크고 개체 수가 많으며, 인간 생활 환경 근처에 분포하기 때문에 인간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골뱅이 무침

6. 1. 식용

큰구슬우렁이는 식용으로 쓰이며, 200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소비량 4700톤 가운데 4187톤이 대한민국에서 소비된다.[11]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골뱅이무침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많이 애용되며 노화 방지 효과도 있다.

한국 요리에서는 이 달팽이를 골뱅이무침(달팽이 샐러드)에 사용한다.[2] 본 종은 무독성이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는 가열했을 때 살이 딱딱하게 굳어 식감이 좋지 않고,[8] 독특한 점성과 비린내가 나기 때문이다.[9] 아이치현 지타 반도에서는 이 종을 "운네"라고 부르며, 소금에 절여 날것으로 먹거나, 조림이나 오뎅의 재료로 먹는다.[10] 또한 미에현 남부에서는 "반쵸"라고 불리며 감칠맛 나게 조려 먹는다.

6. 2. 유해성

번식력이 강하여 바지락 등 어획 대상 종에 피해를 주어 어업에 피해를 주는 원인 생물이 될 수 있다. 때때로 대량 발생하여 갯벌체험장을 전멸시키기도 한다.[3][7]

참조

[1] 웹사이트 Neverita didyma (Röding, 1798) http://www.marinespe[...] 2011-04-14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2014-07-30
[2] 보도자료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www.korean.go[...] 2014-05-02
[3] 웹사이트 アサリの天敵・「ツメタガイ」と「サキグロタマツメタ」について https://web.archive.[...] 三重県科学技術振興センター 2018-09-05
[4] 논문 日本産ツメタガイ類(腹足綱 : タマガイ科)の分類 日本貝類学会 1987-07-15
[5] 논문 日本産 Glossaulax (Gastropoda : Naticidae) の進化 : 第一部 : G. didyma, G. vesicalis, G. bicolor および G. reiniana の進化 日本古生物学会 1988-06-03
[6] 논문 日本産 Glossaulax (Gastropoda : Naticidae) の進化 : 第二部 : G. hyugensis, G. hagenoshitensis および G. nodai の進化 日本古生物学会 1988-12-15
[7] 웹사이트 アサリの食害動物ツメタガイの駆除 http://www.fish-jfrc[...] (社)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8] 웹사이트 環境講座・第2回 味わって知るわたしたちの海 http://www.kotobuki-[...] (有)寿総合食品
[9] 논문 ツメタガイの各種加熱処理における物理的特性 https://doi.org/10.1[...]
[10] 웹사이트 美浜ぐらし - 地のものを食す https://web.archive.[...] 愛知県美浜町商工会 2005-05-20
[11] 뉴스 골뱅이…주꾸미…닭날개… 술안주 `국산이 없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