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슬우렁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슬우렁이과는 전 세계 해양에 널리 분포하는 연체동물 과로, 다양한 깊이의 모래 기질에서 서식하며 이매패류 등을 포식하는 육식성 동물이다. 열대 지방에서 종과 속의 생물 다양성이 가장 크지만, 온대, 북극해, 남극해 해역에서도 발견된다. 구슬우렁이는 주로 이매패류를 먹으며, 치설과 산을 사용하여 껍데기에 구멍을 뚫어 먹이를 섭취한다. 산란기에는 모래와 점액으로 이루어진 알 덩어리를 낳으며, 이는 "모래 칼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골뱅이'로 불리며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껍데기가 장식품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구슬우렁이과는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구슬우렁이아과, 민구슬우렁이아과, 둥근구슬우렁이아과, 알구슬우렁이아과 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알고둥류 - 골뱅이
    골뱅이는 얕은 바다에 사는 육식성 고둥인 큰구슬우렁이의 일반 명칭으로,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이매패류를 잡아먹으며, 봄에 알덩어리를 낳고,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어업에 피해를 주는 유해 생물이기도 하다.
구슬우렁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앞에서 본 Naticarius hebraeus (Martyn, 1786)의 살아있는 개체"
학명Naticidae
명명자Guilding, 1834
이명Pseudomelatoma
이명 명명자Dall, 1918
본문 참조
다양성260–270 현존 종
화석 범위후기 트라이아스기 또는 초기 쥐라기 – 현재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강
아강직복족아강
상목신생복족상목
흡강목
아목고복족아목
하목타마키비가이하목
상과타마가이상과
타마가이과

2. 분포

구슬우렁이과는 전 세계 해양에 널리 분포하며, 다른 많은 생물들과 함께 자연 생태계의 섬세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종과 속의 가장 큰 생물 다양성은 열대 지역에서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슬우렁이류는 온대, 북극해남극해 해역에서도 풍부하게 서식한다.[1] 구슬우렁이과의 조개는 주로 열대 지방에 분포하지만, 북극해남극해에도 분포한다.[15]

3. 서식 환경

구슬우렁이과는 모래 기반에 서식하며, 조간대에서 수심 수천 m심해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서식한다.[15] [1] 종에 따라 다양한 깊이의 모래 기질에서 서식하며, 모래 속을 쟁기질하며 이매패류와 다른 먹이를 찾는데, 이로 인해 카운터싱크 보어홀이 생긴다.

''Divaricella quadrisulcata'' showing Naticid predation holes

4. 생태

구슬우렁이과는 주로 이매패류를 먹는 육식성 동물이다. 이들은 모래 속에서 발견되는 거의 모든 껍질을 가진 연체동물을 공격하는데, 여기에는 두족류, 다른 복족류, 심지어 다른 구슬우렁이류도 포함된다.[1] 또한, ''Conuber sordidum''은 병정게(''Mictyris longicarpus'', 갑각류)를 잡아먹기도 한다.[2][3]

구슬우렁이는 치설과 분비를 이용하여 먹이의 껍데기에 구멍을 뚫는다. 껍질에 구멍이 뚫리면 를 사용하여 먹이의 살을 먹는다. 껍데기에 뚫린 구멍은 카운터싱크 모양으로, 모따기된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구슬우렁이류 포식의 특징적인 징후이다.

번식기에는 암컷 구슬우렁이가 모래와 점액을 섞어 만든 "모래 칼라" 또는 "모래 찻잔"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알 덩어리를 낳는다.

5. 인간과의 관계

한국 요리에서 구슬우렁이는 '골뱅이'라고 불리며, 골뱅이무침으로 먹는다.[4]

구슬우렁이 껍데기는 매력적이고 비교적 커서 장신구나 장식품으로 인기가 많다.

6. 분류

전통적으로 구슬우렁이과는 형태학적 특징, 즉 뚜껑의 재질(석회질인 Naticinae, 각질인 Polinicinae 및 Sininae) 및 껍데기 형태 등을 기준으로 Ampullospirinae, Naticinae, Polinicinae, Sininae의 4개 아과로 구분되었다.[5][6][7][8]

2005년 부셰와 로크루아의 분류에서는 구슬우렁이아과(Naticinae), 민구슬우렁이아과(Globisininae), 둥근구슬우렁이아과(Polinicinae), 알구슬우렁이아과(Sininae)의 4개 아과를 인정했다.[9]

6. 1. 하위 속

아과 미정Naticinae 아과Globisininae 아과Polinicinae 아과Sininae 아과


  • ''Acrybia'' Adams, 1853는 ''Bulbus'' T. Brown, 1839의 동의어이다.
  • ''Lunaia'' Berry, 1964는 ''Natica'' Scopoli, 1777의 동의어이다.

참조

[1] 논문 The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of Giglio Island (Tuscany, Italy): Shell characters, live animals, and a molecular analysis of egg masses http://www.mapress.c[...] Magnolia Press 2010-06-07
[2] 논문 Some aspects of the behaviour of the soldier crab, ''Mictyris longicarpus''
[3] 간행물 First evidence of drilling predation by Conuber sordidus (Swainson, 1821) (Gastropoda: Naticidae) on soldier crabs (Crustacea: Mictyridae) http://www.mapress.c[...]
[4]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2014-07-30
[5] 문서 The classification of the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Review and analysis of the supraspecific taxa.
[6] 문서 The family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in the [[Fiji]] [[Island]]s
[7] 문서 Cenozoic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of the Northeastern Pacific
[8] 문서 On the origin of the carnivorous gastropod group Naticoidea (Mollusca) in the Cretaceous with description of some convergent but unrelated groups
[9] 논문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ConchBooks
[10] 간행물 Molecular analysis of adults and egg masses reveals two independent lineages within the infaunal gastropod ''Naticarius onca'' (Röding, 1798) (Caenogastropoda: Naticidae) http://www.mapress.c[...]
[11] 문서 Cenozoic fossil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in Japan
[12] 문서 Neverita delessertiana (Recluz in Chenu, 1843): a naticid species (Gastropoda: Caenogastropoda) distinct from Neverita duplicata (Say, 1822) based on molecular data,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http://www.mapress.c[...]
[13] 문서 Systematics and phylogenetic species delimitation within Polinices s.l. (Caenogastropoda: Naticidae) based on molecular data and shell morphology
[14] 문서 Macroinvertebrate paleoecology of a transgressive marine sandstone, Cliff House Sandstone (Upper Cretaceous), Chaco Canyon, northwestern New Mexico http://nmgs.nmt.edu/[...]
[15] 문서
[16] 문서
[17] 저널 The Naticidae (Mollusca: Gastropoda) of Giglio Island (Tuscany, Italy): Shell characters, live animals, and a molecular analysis of egg masses http://www.mapress.c[...] Magnolia Press 201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