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군사관학교는 1949년 김포에서 항공사관학교로 창설된 대한민국 공군 장교 양성 기관이다. 1997년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와 함께 여성 생도의 입학을 허용했으며, 일반학, 체육, 군사훈련, 생활교육 등을 통해 소위 임관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한다. 졸업생들은 군사학사 학위와 함께 전공에 따라 문학사, 이학사, 공학사 학위를 받으며, 조종사 훈련 과정은 별도로 진행된다. 학교는 청주에 위치하며, 부활호를 소장 문화재로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 성무비행장
- 청주시의 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청주시의 학교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는 1951년 개교하여 197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국립대학교이며, 15개의 단과대학과 다양한 전공을 운영하며,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고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공군사관학교 (대한민국)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명칭 | 공군사관학교 |
한자 명칭 | 空軍士官學校 |
로마자 표기 | Gonggun Sagwan Hakgyo |
별칭 | 성무대 (星武臺) |
영어 명칭 |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
약칭 | KAFA |
건립일 | 1949년 |
표어 | 배우고 익혀서 몸과 마음을 조국과 하늘에 바친다 |
표어 (한국어) | 배우고 익혀서 몸과 마음을 조국과 하늘에 바친다 |
표어 (한글) | 배우고 익혀서 몸과 마음을 조국과 하늘에 바친다 |
표어 (로마자 표기) | Baeugo ikhyeoseo momgwa maeumeul jogukgwa haneure bachinda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
캠퍼스 | 공군기지 |
마스코트 | 보라매 (어린 매) |
웹사이트 | 공군사관학교 홈페이지 |
학교 정보 | |
종류 | 사관학교 |
총장 | 중장 이, 상학 (2022년 6월 ~ 현재) |
위치 정보 | |
2. 설립 근거
국군 장교 양성을 위한 사관학교 설치 근거는 '사관학교 설치법'에 두고 있다.[18]
3. 연혁
4. 조직
공군사관학교장(空軍士官学校長)을 중심으로 학교 전반의 운영을 위한 행정부, 기지 지원 및 생도의 훈련을 위한 사관생도대, 교수부, 학술정보원 외에도 공군박물관, 항공우주연구소 등의 기관이 있다.[4] 사관생도대, 학부, 기본군사훈련단은 학교 본부, 행정실, 학술정보센터와 함께 주요 부서이다.[4]
5. 지원 자격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19] 미혼 남녀로서 신체가 건강하고, 사관생도로서 적합한 사상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2021년 기준으로 2001년 3월 1일부터 2003년 2월 28일 사이에 출생한 사람이어야 한다. 고등학교 졸업자 및 졸업 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여야 한다.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 규정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아야 하며, 법령에 의하여 형사 처벌(기소 유예 포함)을 받지 않아야 한다.[20]
6. 교육 과정
공군사관학교의 교육 과정은 일반학, 체육, 군사훈련, 생활교육 등으로 구성되며, 생도들은 졸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 소위로 임관한다. 또한, 군사학사 학위 외에도 전공에 따라 학사 학위를 받는다.[5]
생도들은 등록금을 내지 않지만, 졸업 후에는 공군에서 최소 10년 이상 복무해야 한다. 일본, 터키,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 국제 교환 생도들도 있다. 커리큘럼에는 조종사 훈련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체검사를 통과한 모든 졸업생은 졸업 후 조종사 훈련을 받는다.
6. 1. 교육 과정 개요
공군사관생도는 일반학, 체육, 군사훈련, 생활교육 등의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생도들은 졸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 소위로 임관하며, 군사학사 외에도 전공에 따라 학사 학위를 수여 받는다.[5]정식 입교 전, 3학년 선배 지도생도들에게 받는 강도 높은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면 정식 사관생도가 된다. 1학년은 전공 수업이 없으며 국어, 수학, 물리, 화학 등의 기초 학문을 수강하며, 2학년 2학기부터 실질적인 전공 수업을 시작한다.
1학기가 끝난 후에는 4주간의 군사훈련을 실시하며 세부적으로 1학년은 패러글라이딩, 수중 및 지상생환훈련, 2학년은 유격 및 근접전투기술훈련, 해양생환훈련, 3학년은 공수훈련, 4학년은 실무견습과 1~3학년 훈련지도를 각각 실시한다. 학기 중 관숙비행을 실시하며 시뮬레이터 탑승과 가속도훈련도 실시한다. 2학기가 끝난 후에는 4주간의 동계 휴가 후 특강을 듣는 동계학기 후 졸업식 준비를 실시한다.
공군사관학교에서 제공하는 전공 과정은 다음과 같으나 매년 학제 개편으로 인해 일관된 커리큘럼을 운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생도 생활은 매일 06:30 - 24:00 이다.
생도들은 외국어, 항공 공학, 우주 공학, 국제 관계, 산업 공학, 컴퓨터 과학, 기계 공학, 전자 공학, 경영학, 군사 및 전략 연구 등 제공되는 여러 전공 과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5] 졸업과 동시에 전공에 따라 문학사(외국어학·국제관계학·경영학·안보학), 이학사(무기 기초과학·컴퓨터 과학·수학), 공학사(항공공학·우주공학·기계공학·전자공학·산업공학)의 학사 학위를 수여받고, 공군 소위로 임관한다.
입학 자격은 대한민국 국민인 미혼 남녀로, 만 17세부터 21세 사이의 고등학교 졸업 자격 소지자이다. 재학 중인 생도에 대한 처우는 일본의 방위대학교나 다른 사관학교 2곳과 마찬가지로, 피복, 식사, 학비가 지급되며, 소정의 급료를 받는다.
1997년부터 여생도를 모집했으며, 한국의 사관학교 3곳 중에서는 최초로 여생도를 받아들인 학교였다. 일본의 방위대학교 및 미국의 공군사관학교와 매년 1명씩 교환 유학을 실시하고 있다.
공군사관학교 생도들은 등록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지만, 공군에서 최소 10년 이상 복무해야 한다. 일본, 터키,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 국제 교환 생도들이 있다. 커리큘럼에 조종사 훈련 과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체검사에 합격한 모든 졸업생들은 졸업 후 조종사 훈련을 받게 된다.
6. 2. 전공 과정
공군사관학교는 문학사, 이학사, 공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생도들은 외국어, 항공 공학, 우주공학, 국제 관계, 산업 공학, 컴퓨터 과학, 기계 공학, 전자 공학, 경영학, 군사 및 전략 연구 등 다양한 전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5], 졸업 후 해당 학위를 받고 공군 소위로 임관한다.6. 2. 1. 문학사 과정
공군사관학교 졸업생들은 전공에 따라 문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 문학사 학위에는 다음 전공들이 해당된다.6. 2. 2. 이학사 과정
생도들은 항공 공학, 우주 공학, 산업 공학, 컴퓨터 과학, 기계 공학, 전자 공학, 경영학 등 여러 전공 과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5] 졸업과 동시에 이학사(무기 기초과학·컴퓨터 과학·수학) 학위를 받는다.6. 2. 3. 공학사 과정
생도들은 항공 공학, 우주 공학, 국제 관계, 산업 공학, 컴퓨터 과학, 기계 공학, 전자 공학, 경영학, 군사 및 전략 연구 등 제공되는 여러 전공 과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5] 졸업과 동시에 전공에 따라 항공공학·우주공학·기계공학·전자공학·산업공학 분야의 공학사 학위를 수여받는다.7. 국제 교류
8. 캠퍼스
청주에 위치하며, 국토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9. 소장 문화재
부활호는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411호이다.
10. 졸업 후 진로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생도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조종 분야를 선택한 생도들은 졸업 후 비행입문과정, 기본과정, 고등 훈련 과정에 들어간다. 그러나 비행 훈련에 들어간 모든 조종사들이 조종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 비행 교육 중 탈락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다른 특기를 받아 일반 공군 장교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정책 분야를 선택한 생도들은 임관 시 각 특기에 따라 임무를 수행한다.[5]
공군사관학교 생도들은 등록금을 낼 필요가 없지만, 졸업 후에는 공군에서 최소 10년 이상 복무해야 한다. 일본, 터키, 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 국제 교환 생도들도 있다. 공군사관학교의 교육 과정에는 조종사 훈련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체검사에 합격한 모든 졸업생들은 졸업 후에 조종사 훈련을 받게 된다.[5]
11. 역대 학교장
대수 | 성명 | 취임일자 | 이임일자 |
---|---|---|---|
1 | 김정렬 | 1949년 2월 1일 | 1949년 10월 1일 |
2 | 이근석 | 1949년 10월 1일 | 1950년 5월 1일 |
3 | 최용덕 | 1950년 5월 1일 | 1952년 12월 1일 |
4 | 김정렬 | 1952년 12월 1일 | 1953년 5월 1일 |
5 | 김창규 | 1953년 5월 1일 | 1953년 12월 1일 |
6 | 신상철 | 1953년 12월 1일 | 1959년 9월 1일 |
7 | 신우협 | 1959년 9월 1일 | 1960년 8월 1일 |
8 | 박원석 | 1960년 8월 1일 | 1962년 8월 1일 |
9 | 박희동 | 1962년 8월 1일 | 1963년 7월 1일 |
10 | 주영복 | 1963년 7월 1일 | 1964년 1월 1일 |
11 | 장지량 | 1964년 1월 1일 | 1964년 8월 1일 |
12 | 윤응렬 | 1964년 8월 1일 | 1966년 8월 1일 |
13 | 김성룡 | 1966년 8월 1일 | 1967년 8월 1일 |
14 | 김두만|김두만 (1927년)한국어 | 1967년 8월 1일 | 1968년 8월 1일 |
15 | 옥만호 | 1968년 8월 1일 | 1970년 8월 1일 |
16 | 손재권 | 1970년 8월 1일 | 1970년 12월 1일 |
17 | 윤자중|윤자중한국어 | 1970년 12월 1일 | 1973년 4월 1일 |
18 | 이희근|이희근 (1929년)한국어 | 1973년 4월 1일 | 1974년 8월 1일 |
19 | 김중보 | 1974년 8월 1일 | 1976년 5월 1일 |
20 | 전창록 | 1976년 8월 1일 | 1979년 5월 1일 |
21 | 이지영[6] | 1979년 5월 1일 | 1979년 12월 1일 |
22 | 김인기 | 1979년 12월 1일 | 1981년 4월 1일 |
23 | 백낙승 | 1981년 4월 1일 | 1983년 1월 1일 |
24 | 한영규[7] | 1983년 1월 1일 | 1985년 1월 1일 |
25 | 박용태 | 1985년 1월 1일 | 1986년 4월 1일 |
26 | 전춘우[8] | 1986년 4월 1일 | 1987년 6월 1일 |
27 | 전윤수[9] | 1987년 6월 1일 | 1988년 1월 1일 |
28 | 곽영달|곽영달한국어 | 1988년 1월 1일 | 1990년 1월 1일 |
29 | 서진태[10] | 1990년 1월 1일 | 1991년 12월 1일 |
30 | 강민수|강민수한국어 | 1991년 12월 1일 | 1993년 6월 1일 |
31 | 배양일[11] | 1993년 6월 1일 | 1994년 4월 1일 |
32 | 이광학 | 1994년 4월 1일 | 1996년 3월 1일 |
33 | 이기현[12] | 1996년 3월 1일 | 1998년 3월 1일 |
34 | 안병철[13] | 1998년 3월 1일 | 2000년 4월 1일 |
35 | 주창성 | 2000년 4월 1일 | 2002년 5월 1일 |
36 | 박성국 | 2002년 5월 1일 | 2003년 10월 1일 |
37 | 김명헌 | 2003년 10월 1일 | 2005년 10월 1일 |
38 | 이찬[14] | 2005년 10월 1일 | 2007년 4월 1일 |
39 | 박종헌|박종헌한국어 | 2007년 5월 1일 | 2007년 11월 1일 |
40 | 황원동 | 2007년 11월 1일 | 2008년 11월 1일 |
41 | 성일환|성일환한국어 | 2008년 11월 1일 | 2010년 12월 1일 |
42 | 오창환[15] | 2010년 12월 1일 | 2011년 11월 1일 |
43 | 김용홍 | 2011년 11월 1일 | 2012년 5월 1일 |
44 | 김용민 | 2012년 5월 1일 | 2013년 4월 1일 |
45 | 이영만[16] | 2013년 4월 29일 | 2014년 4월 23일 |
46 | 김형철 | 2014년 4월 23일 | 2015년 4월 14일 |
47 | 박재복 | 2015년 4월 14일 | 2015년 11월 3일 |
48 | 이건완|이건완한국어[17] | 2015년 11월 3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afa.ac.kr[...]
[2]
뉴스
Air Force Academy Admits Female Cadets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1996-02-02
[3]
뉴스
First 19 Female Cadets Enter Air Force Academy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1997-02-22
[4]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afa.ac.kr[...]
[5]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afa.ac.kr[...]
[6]
웹사이트
功勲録
http://dnc.go.kr/_pr[...]
[7]
웹사이트
功勲録
http://dnc.go.kr/_pr[...]
[8]
웹사이트
韓国人物情報 全春雨
http://egochang.kr/w[...]
[9]
웹사이트
韓国人物情報 全潤壽
http://people.joins.[...]
[10]
뉴스
書院大新理事長 徐鎭泰さん(서원대 새총장 서진태씨)
http://news.joins.co[...]
1998-02-06
[11]
뉴스
国防改革推進委員長 李俊(국방개혁추진위원장 이준)
http://news.joins.co[...]
1998-04-09
[12]
뉴스
空軍総長早期人事可能性...李起炫 - 李億秀さんなど取り上げ(공군총장 조기人事 가능성…이기현-이억수씨등 거론)
http://news.donga.co[...]
2000-01-26
[13]
뉴스
将星昇進 電報人事(장성 승진.전보인사)
http://www.imaeil.co[...]
2000-10-25
[14]
뉴스
軍将星114人人事...大佐83人准将進級(軍장성 114명 人事… 대령 83명 준장진급)
http://news.donga.co[...]
2000-10-29
[15]
뉴스
将軍106人の定期人事(군장성 106명 정기 인사)
http://www.chosun.co[...]
2007-10-20
[16]
웹사이트
韓国人物情報 李永満
http://people.joins.[...]
[17]
뉴스
空士48代校長 李建完中将 就任(空士 48대 교장 이건완 중장 취임)
http://www.dynews1.c[...]
2015-11-03
[18]
법률
제1조(사관학교의 설치)
[19]
문서
복수국적자 지원 조건
[20]
문서
재판 계류 중 지원자 합격 조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