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명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명음은 기류를 막거나 난류를 일으키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소리 내는 자음으로, 일반적으로 유성음이다. 비음, 반모음, 유음 등이 공명음에 속하며, 음향성 위계에서 마찰음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음절의 핵이 될 수 있다. 반대로 공기의 흐름이 끊기거나 난류가 생기는 장애음과 대비된다. 드물게 무성 공명음도 존재하며, 이는 전 세계 언어의 약 5%에서 나타나며, 오세아니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지역의 언어에서 흔히 발견된다. 한국어에는 'ㅁ, ㄴ, ㅇ, ㄹ'이, 영어에는 'l, m, n, ŋ, ɹ, w, j'가 공명 자음 음소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방법 - 마찰음
    마찰음은 조음 기관 내 좁은 통로에서 공기 흐름의 마찰로 발생하는 소리이며, 조음 위치와 성대 진동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일부는 실제 마찰 없이 발음되기도 하고, 언어별 분포가 다양하다.
  • 조음 방법 - 파열음
    파열음은 조음 기관의 완전 폐쇄와 개방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으로, 학자에 따라 폐쇄음, 폭발음과 혼용되기도 하며,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되고, 조음 위치, 성대 진동 유무 등에 따라 분류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 존재와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공명음
음성학적 정보
조음 방법공명음
분류
장애음 여부비장애음
공명강구강음
비음
기류 방향설측음
치측음
중설음
기류 근원폐장기류음
고립기류음(비 폐장기류음)
성대 울림유성음
무성음 (경우에 따라)
기식유기음 (경우에 따라)
무기음 (경우에 따라)
긴장도연음
경음
예시
음성 기호j
w
m
n
l
r

2. 종류

장애음무성음인 경우가 많은 반면, 공명음은 거의 언제나 유성음이다. 흔히 볼 수 있는 공명 자음에는 비음, 반모음, 유음 등이 있다. 공명도 위계에서 마찰음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소리들은 모두 공명음이며, 많은 언어에서 공명 자음은 음절의 핵이 될 수 있다.

공명음이 아닌 소리를 장애음이라고 부른다. 장애음은 공기의 흐름이 끊기거나 난류가 생겨서 나는 소리로, 파열음마찰음 따위가 속한다.

입의 뒤쪽이나 목구멍에서 나는 자음의 경우, 설측 접근음과 유성 마찰음 사이의 구별은 매우 흐릿하며 둘을 구별하는 언어는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구개수, 인두, 성문 마찰음은 같은 위치의 접근음과 대립하는 경우가 없다.

2. 1. 비음

장애음무성음인 경우가 많은 반면, 공명음은 거의 언제나 유성음이다. 비음은 공명음에 속한다. 공명도 위계에서 마찰음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소리들은 모두 공명음이며, 많은 언어에서 공명 자음은 음절의 핵이 될 수 있다.

2. 2. 유음

공명도 위계에서 마찰음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소리들은 모두 공명음이며, 많은 언어에서 공명 자음은 음절의 핵이 될 수 있다. 유음에는 /l/, /r/이 있다.

2. 3. 반모음

장애음무성음인 경우가 많은 반면, 공명음은 거의 언제나 유성음이다. 흔히 볼 수 있는 공명 자음에는 비음, 반모음, 유음 등이 있다.

2. 4. 무성 공명음

공명음은 유성음인 경우가 많은 반면, 장애음무성음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세계 언어의 약 5%에서 무성 공명음 음소가 존재한다.[7] 무성 공명음은 매우 조용하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으며, 무성 공명음 음소가 존재하는 언어에는 반드시 그에 대응하는 유성 공명음 음소가 있다.[3]

무성 공명음은 오세아니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지역의 언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국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 같은 몇몇 어족에는 더 흔하게 나타난다.

무성 공명음 음소가 나타나는 유럽 언어로는 웨일스어아이슬란드어가 있다. 웨일스어에는 무성 치경 전동음 및 무성 연구개·치경·양순 비음 음소가 나타난다. 아이슬란드어에는 유성음 에 각각 대응하는 무성음 음소 가 존재한다.

고대 그리스어의 일부 방언에 무성음 , 그리고 어쩌면 가 나타났다는 가설이 있다. 고전기 그리스의 아티케 그리스어는 어두에서 의 변이음으로 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어중에서 이 장음화되었을 때도 무성음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이로 인해 그리스어에서 기원한 영어 차용어는 어두에 ‘rh’, 어중에 ‘rrh’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수사학’, ‘설사’ 따위).

3. 예시

한국어, 영어, 고대 아일랜드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공명음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3. 1. 한국어

한국어의 공명 자음 음소는 'ㅁ, ㄴ, ㅇ, ㄹ'(/m, n, ŋ, ɾ~l/)의 4개가 있다. 영어에는 /l/, /m/, /n/, /ŋ/, /ɹ/, /w/, /j/의 7개가 있다.[8]

3. 2. 영어

영어에는 /l/, /m/, /n/, /ŋ/, /ɹ/, /w/, /j/|/l/, /m/, /n/, /ŋ/, /ɹ/, /w/, /j/영어의 7개의 공명 자음 음소가 있다.[8][4]

3. 3. 고대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는 언어학에서 기록된 가장 복잡한 공명음 시스템 중 하나로, 12개의 설단 공명음만 존재했다. 설단 설측음, 비음, 유음은 강세-약세와 구개음화 대립을 가졌다. /N, n, Nʲ, nʲ, R, r, Rʲ, rʲ, L, l, Lʲ, lʲ/sga[5] 또한 /ŋ, ŋʲ, m/sga과 /mʲ/sga도 존재하여 총 16개의 공명 자음 음소가 있었다.[5]

4. 음운 변화

통시적으로 무성 공명음은 유성음으로 변하거나 마찰음 따위로 강화되려는 경향이 크다.

무성 공명음은 재성음화되거나 경음화되어 /ç/|IPA ç일본어 또는 /ɬ/|IPA ɬ일본어와 같은 마찰음을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북미 영어에서 연결된 연속 음성에서 /t/|IPA t일본어와 /d/|IPA d일본어는 모음이나 음절성 /l/|IPA l일본어이 뒤따를 때 모음을 포함한 공명음 다음에 ɾ|IPA ɾ일본어로 플래핑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Linguistics 2013
[2] 서적 Phonetics 1943
[3] 서적 Patterns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4] 웹사이트 Consonants http://www.phon.ucl.[...] UCL DEPT OF PHONETICS & LINGUISTICS 1995-09-19
[5] 논문 The Growth of Palatalization in Irish
[6] 웹사이트 North American English: General Accents http://ifla.uni-stut[...] 2019-04-26
[7] 서적 Patterns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8] 웹인용 Consonants http://www.phon.ucl.[...] UCL DEPT OF PHONETICS & LINGUISTICS 2012-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