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어 음운론은 영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음소, 음절 구조, 강세, 억양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음소는 화자들이 동일하다고 인지하는 소리의 묶음으로, 영어는 방언에 따라 24개 내외의 자음과 14~25개 내외의 모음 음소를 가진다. 음절 구조는 음소들이 결합하여 음절을 이루는 방식을 의미하며, 영어는 최대 3개의 자음으로 시작하고 최대 4개의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을 허용한다. 강세는 단어의 특정 음절을 강조하는 것으로, 어휘 강세와 운율 강세로 나뉜다. 억양은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 피치 변화를 의미하며, 음조성, 중점, 음조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영어 발음은 고대 영어부터 현대 영어에 이르기까지 대모음 이동과 같은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ŋ/ 음소의 지위와 모음 체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어 음운론 | |
---|---|
개요 | |
언어 | 영어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 서게르만어군 - 영어 |
음운론적 특징 | |
음소 수 (추정치) | 모음: 12-20개 (방언에 따라 다름) 자음: 24개 |
주요 특징 | 강세 기반 리듬 다양한 모음 변화 (예: cot-caught 합병) 자음 축약 및 동화 R 발음의 유무 (rhoticity) |
모음 | |
단모음 (예시, IPA 표기) | 애: /æ/ (audio=En-us-cat.ogg) 이: /ɪ/ (audio=En-us-kit.ogg) 에: /ɛ/ (audio=En-us-dress.ogg) 아: /ʌ/ (audio=En-us-strut.ogg) 어: /ə/ (audio=En-us-comma.ogg) 우: /ʊ/ (audio=En-us-foot.ogg) 이ː: /iː/ (audio=En-us-fleece.ogg) 아ː: /ɑː/ (audio=En-us-father.ogg) 오ː: /ɔː/ (audio=En-us-thought.ogg) 우ː: /uː/ (audio=En-us-goose.ogg) |
이중모음 (예시, IPA 표기) | 아이: /aɪ/ (audio=En-us-price.ogg) 아우: /aʊ/ (audio=En-us-mouth.ogg) 에이: /eɪ/ (audio=En-us-face.ogg) 오우: /oʊ/ (audio=En-us-goat.ogg) 오이: /ɔɪ/ (audio=En-us-choice.ogg) 이어: /ɪə/ (audio=En-us-near.ogg) 에어: /ɛə/ (audio=En-us-square.ogg) 우어: /ʊə/ (audio=En-us-cure.ogg) |
자음 | |
자음 (예시, IPA 표기) | ㅂ: /p/ (audio=En-us-pea.ogg) ㄷ: /t/ (audio=En-us-tea.ogg) ㄱ: /k/ (audio=En-us-key.ogg) ㅂ (유성음): /b/ (audio=En-us-bee.ogg) ㄷ (유성음): /d/ (audio=En-us-dee.ogg) ㄱ (유성음): /ɡ/ (audio=En-us-green.ogg) ㅍ: /f/ (audio=En-us-fee.ogg) ㅅ: /s/ (audio=En-us-sea.ogg) θ: /θ/ (audio=En-us-thin.ogg) ㅎ: /h/ (audio=En-us-he.ogg) ㅂ (유성): /v/ (audio=En-us-vee.ogg) ㅈ: /z/ (audio=En-us-zee.ogg) ð: /ð/ (audio=En-us-thee.ogg) ㅁ: /m/ (audio=En-us-me.ogg) ㄴ: /n/ (audio=En-us-knee.ogg) ㅇ (비음): /ŋ/ (audio=En-us-sing.ogg) ㄹ: /l/ (audio=En-us-lee.ogg) ㄹ (유음): /r/ (audio=En-us-ree.ogg) ㅇ: /j/ (audio=En-us-yea.ogg) ㅇ (순음): /w/ (audio=En-us-we.ogg) ㅊ: /tʃ/ (audio=En-us-chi.ogg) ㅈ (유성): /dʒ/ (audio=En-us-gee.ogg) ㅅ (구개음화): /ʃ/ (audio=En-us-she.ogg) ㅈ (구개음화): /ʒ/ (audio=En-us-genre.ogg) |
음운 현상 | |
플래핑 | 미국 영어에서 모음 사이의 /t/가 [ɾ]로 발음되는 현상 (예: better) |
T-글로탈화 | 영국 영어에서 /t/가 성문 파열음 [ʔ]으로 발음되는 현상 (예: button) |
L-유성음화 | 일부 방언에서 /l/이 모음처럼 발음되는 현상 (예: milk) |
H 탈락 | 일부 방언에서 어두의 /h/가 탈락하는 현상 (예: house) |
방언 변이 | |
R 발음 (Rhoticity) | R 발음을 하는 방언 (rhotic): 미국 대부분 지역,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 R 발음을 하지 않는 방언 (non-rhotic):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
Cot-caught 합병 | /ɑ/와 /ɔ/ 모음이 합쳐지는 현상 (예: cot과 caught의 발음이 같아짐) |
기타 | 다양한 지역 및 사회 계층에 따른 음운 변이 존재 |
관련 주제 | |
관련 문서 | 영어 음운론 주제 영어의 역사 영어 철자 |
2. 음소
한 언어의 음소란 그 언어나 방언의 화자들이 똑같다고 인지하는 말소리들의 묶음이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through’는 3개의 음소, 즉 처음의 ‘th’ 소리, 중간의 ‘r’ 소리, 마지막의 모음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영어 단어의 음소들은 항상 철자와 일대일로 대응하지는 않는데, 이는 영어의 정서법이 철저하게 음소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음소의 개수와 분포는 영어의 방언마다 다르고, 연구자의 해석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자음 음소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24개(또는 그보다 약간 더 많게)로 본다. 모음 음소의 개수는 더 많은 차이가 난다.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체계에서는 용인 발음에 20~25개의 모음 음소가 있고, 일반 미국 발음에는 14~16개, 오스트레일리아 영어에는 19~20개의 음소가 있다. 영어 사전에서 쓰이는 발음 표기법에는 일반적으로 이보다 조금 더 많은 수의 기호가 있는데, 이는 외국어의 발음 또는 엄밀히 말해 음소적이지 않은 발음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2. 1. 자음
영어의 자음은 대부분의 방언에서 24개가 나타나며, 일부 방언에서는 /x/가 추가로 나타난다. 경음은 항상 무성음이고 음절 초에서는 유기음이 되며, 음절 말에서는 성문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t/에서 두드러짐, T-성문음화 참조). 반면 연음은 항상 무기음이며 성문음화되지 않고, 대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유성음이 된다. 치경음은 보통 혀끝으로 발음하는 설첨음이지만, 일부 화자들은 혓날로 발음하는 설단음으로 소리내기도 한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