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알류트어와 에스키모어로 구성되며, 에스키모어는 이누이트어와 유픽어로 나뉜다. 알류트어는 약 500명의 화자가 사용하며, 에스키모어는 시레니크어, 유픽어, 이누이트어로 분류된다.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약 4,000년 전에 공통 조상 언어에서 분화되었고, 에스키모어는 유픽어와 이누이트어로 약 1,000년 전에 분리되었다. 이 언어들은 주로 북아메리카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고립된 언어 그룹으로 다른 언어족과의 뚜렷한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에스키모알류트어는 형태론적 구조의 기능을 강조하며, 단어는 어근과 후미사, 굴절 접미사로 구성된다. 음운론적으로는 세 개의 모음을 가지며, 파열음과 마찰음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 정보
이름에스키모·알류트어족
다른 이름에스칼류트어
에스키모-알류트어
이누이트-유픽-우나강어
지역알래스카주, 캐나다 북부(누나부트 준주, 이누비알루이트 정착 지역, 누나빅, 누나치아부트), 그린란드, 시베리아 동부 (추코트카 자치구)
어족 색상에스키모-알류트
어족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우랄-시베리아어족 등의 가설이 있다.
조어원시 에스칼류트어
하위 어족에스키모어족 (유픽어, 이누이트어)
알류트어
Glotto 코드eski1264
Glotto 참조 이름에스키모-알류트
ISO 639-5 코드esx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분포 지도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분포 (러시아,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2. 분류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 알류트어 (Unangam Tunuu) (화자 40–80명)
  • ** 서부-중부 방언: 앗칸 방언, 아투 방언 (1997년 사어), 베링 방언 (2021년 사어), 우낭안 방언
  • ** 동부 방언: 우날라스카 방언, 프리빌로프 방언
  • * 에스키모어파 (유픽·이누이트어파)
  • ** 시레니크어 (Uqeghllistun) (1997년 사어)
  • ** 유픽어파 (서부 에스키모어)

알루티크어 (태평양만 유픽어) (화자 약 80명)
* 코니아크 알루티크어 (Alutiit’stun)
* 추가치 알루티크어 (Sugt’stun)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화자 5,000명 ±50%)
* 일반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Yugtun)
* 체바크 컵익어 (Cugtun)
* 누니바크 컵익어 (Cugtun) (화자 5–25명)
나우칸어 (Nuvuqaghmiistun) (화자 70명)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Yuit/Yupigestun) (러시아에서는 "Yuit", 알래스카에서는 "Yupigestun"; 차플리노와 세인트로렌스 섬)
* 차플리노 유픽어 (Ungazighmiistun) (화자 약 200명)
* 세인트로렌스 섬 유픽어 (Sivuqaghmiistun) (화자 400–750명)

  • ** 이누이트어군 (동부 에스키모어) (화자 약 100,000명)

이누피아크어 (이누피아트) (알래스카 북부, 화자 5,000명 ±50%)
* 카위아라크 방언 (세워드 반도 이누피아크어)
* 이누피아툰/이누피아트툰 (북부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우움마르미우툰(아클라빅, 이누빅) 포함)
이누비알룩툰어 (캐나다 서부; 화자 1,020명, 2016년 인구 조사)
* 시글리툰어 (파울라툭, 삭스 하버, 툭토야툭)
* 이누인나크툰어 (울루칵툭에서는 캉기르유아르미우툰으로도 알려짐)
* 나칠링미우투트어 (네칠리크 지역, 누나부트)
이누크티투트어 (캐나다 동부; 화자 36,000명, 2016년 인구 조사)
* 이누티투트어 (누나치아부트미우투트어) (누나치아부트, 화자 550명)
* 누나빔미우티투트어 (누나비크)
* 키키크탈루크 니기아니 (남부 배핀)
* 키키크탈루크 우안나간이 (이글루링미우트어) (북부 배핀)
* 아이빌링미우투트어 (동중앙 누나부트)
* 키발리르미우투트어 (남동 누나부트)
* 이누크툰어 (아바네르수아크, 극지 에스키모) (그린란드, 화자 800명)
그린란드어 (그린란드: 화자 50,000명, 덴마크: 화자 7,000명)
* 칼랄리수트어 (서그린란드어, 화자 44,000명)
* 투누미수트어 (동그린란드어, 화자 3,000명)

3. 역사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센터는 에스키모어와 알류트어의 공통 조상 언어가 약 4,000년 전에 에스키모어와 알류트어 분기로 나뉘었다고 본다.[3][6][7] 에스키모어족은 이후 약 1,000년 전에 유픽어이누이트어로 분리되었다.[6] 더 최근의 분류에서는 옛 시레니크어를 세 번째 분기로 추가하기도 한다.[8]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속하는데, 이는 언어 계통이 아닌 지리적 분류이다. 이 어족은 북아메리카의 다른 언어족과 뚜렷한 관련성이 없으며,[6] 아시아에서 온 마지막 선사 시대 이주민들이 사용했던 언어로 여겨진다.

언어학자 알렉산더 보빈은 2015년 연구에서, 동시베리아와 중국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북부 퉁구스어족 언어들에 남부 퉁구스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에스키모-알류트어 차용어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9][24] 그는 이 차용이 약 2,000년 이내에, 퉁구스족이 아무르강 중류의 원래 거주지에서 북쪽으로 확산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추정했다. 이를 근거로 보빈은 에스키모-알류트어가 과거 시베리아 동부에서 훨씬 더 넓게 사용되었으며,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의 발상지(Urheimat|우르하이마트de)가 알래스카가 아닌 시베리아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9]

4. 특징

언어 유형론적으로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는 다합성어(polysynthetic)이며, 능격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단어는 항상 하나의 어근(자유 형태소)으로 시작해야 한다.[12]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는 비교적 적은 수의 어근을 가지는데,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경우 약 2,000개 정도이다.[13] 어근 뒤에는 어근의 기본 의미를 확장하는 여러 개의 '후미사'(postbase)라는 결합 형태소가 온다. 후미사의 의미만 독립적으로 표현해야 할 때는 특별한 중립 어근(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와 이누이트어에서는 'pi')을 사용한다.

기본적인 단어 구성은 어근-(후미사)-굴절-(후치사) 순서이다. 예를 들어,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의 단어 `angyagh-(gh)lla-ng(e)-yug-tuq-lu`는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14]


  • `angyagh`: 배 (어근)
  • `-ghlla-`: 크다 (후미사)
  • `-nge-`: 얻다 (후미사)
  • `-yug-`: 원하다 (후미사)
  • `-tuq`: 직설법, 3인칭 단수 (굴절 접미사)
  • `-lu`: 또한 (후치사)

전체 의미는 "그는 또한 큰 배를 얻고 싶어한다"이다.[14]

후미사 다음에는 명사의 격과 동사의 인칭 및 법을 나타내는 비어휘적 굴절 접미사가 온다. 격의 수는 언어마다 다르며, 알류트어는 에스키모어에 비해 격 체계가 상당히 축소되었다. 에스키모어는 명사에서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유픽어에서는 동사 인칭 표시에서도 능격-절대격 특징을 보인다. 모든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는 타동사 구절에서 행위자와 피행위자 모두에 동사가 일치하는 필수적인 동사 일치를 가지며, 종속절에서는 이를 위한 특별한 접미사를 사용한다. 이는 이 언어들이 북태평양 지역의 많은 언어처럼 매우 '보완 지위 하락'(switch-reference)적인 특징을 갖게 한다.

단어 끝에는 "그러나" 또는 양극 질문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진 소수의 소사(enclitic) 중 하나가 올 수 있다.

음운론적으로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북아메리카 북부의 다른 어족(나데네어족, 침시어족) 및 극동 시베리아의 언어족(축치-캄차카어족)과 유사점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a/, /i/, /u/ 세 개의 모음만 있지만, 일부 유픽 방언에는 ə(슈와)도 존재한다. 모든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에는 무기음 파열음만 있고 유기음 파열음은 없는데, 이는 북아메리카 언어보다는 시베리아 언어와 더 유사한 특징이다. 알류트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는 네 개의 조음 위치(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구개수음)에서 무성 파열 자음을 가지며, 알류트어는 양순 파열음을 잃었지만 양순 비음은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조음 위치에서 유성 및 무성 마찰음이 대립하며, 에스키모 하위 그룹에는 무성 치경 설측 마찰음도 있다. 유픽어와 알류트어의 많은 방언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특징은 대조적인 무성 비음이다.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다합성어로서,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개의 어미나 형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사에 나타나는 이누이트어의 접두사 하나를 제외하고) 오직 접미사만 사용하며, 이 접미사들이 결합하여 무한히 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다. 부착 가능한 형태소에는 명사적 주어와 목적어, 부사 정보, 직접 목적어, 공간 명사구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들이 포함된다.[17] 다합성어는 극단적인 형태의 교착어로, 다른 언어에서는 전체 절로 표현할 정보를 하나의 단어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어가 가능하다.

  • `qayarpaliqasqessaagellruaqa`[18]
  • 분석: qayar(카약)-pa(크다)-li(만들다)-qa(POL)-sqe(EV)-ssaage(A.묻다)-llru(그러나)-aqa(과거-1인칭단수/3인칭단수.직설법)
  • 의미: 나는 그에게 큰 카약을 만들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그는 아직 만들지 않았다)


다합성어로서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는 "각 형태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떤 범주에 부착될 수 있는지, 범주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어간에 부착될 때 어떤 형태음운론적 효과가 발생하는지" 등이 중요한 문법적 요소가 된다.[14]

'''능격-절대격 배열'''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SOV)의 어순을 따른다.

에스키모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다. 이는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가 절대격으로 표시되고,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으로 표시됨을 의미한다. 타동사의 목적어나 소유의 대상이 문장에 명시적으로 나타날 때는 능격 표지가 나타나지 않지만,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때는 능격 표지가 표현된다.

반면, 알류트어는 능격-절대격 언어가 아니다. 동사가 타동사인지 자동사인지에 관계없이 주어와 목적어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알류트어의 격 표시 예시는 다음과 같다.[16]

  • `Tayaĝu-x̂ qa-x̂ qa-ku-x̂`
  • 분석: Tayaĝu(남자)-x̂(절대격) qa(물고기)-x̂(절대격) qa(먹다)-ku(직설법)-x̂(3인칭단수)
  • 의미: 그 남자가 물고기를 먹는다
  • `Tayaĝu-m qa-kuu`
  • 분석: Tayaĝu(남자)-m(관계격) qa(먹다)-kuu(3인칭단수 주어/3인칭단수 목적어.직설법)
  • 의미: 그 남자가 그것을 먹는다 (여기서 '-m'은 관계격이지만, 역사적으로 능격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알류트어의 문법 변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문법은 형태론적 구조의 기능적 사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두 언어 분파(에스키모어파와 알류트어)는 같은 어족에 속하지만, 문법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언어학자 크누트 베르그슬란드(Knut Bergsland)는 알류트어가 원래는 현재의 에스키모어보다 조어(Proto-Eskimoan)에 더 가까웠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고대 언어의 특징에서 멀어졌다고 주장했다.

특히 격 변화에서 관계격(*-m*), 도구격(*-mEk/meN*), 처격(*-mi*)[19]이 음운적으로 합쳐지면서, 조어의 능격 형태론에 대한 해석이 달라지게 되었다.

베르그슬란드는 알류트어 문법에서 일어난 이러한 심오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미노 효과'를 제안했다. 이는 알류트어 고유 특징들이 발생한 연대기적 순서를 나타낸다.

'''도미노 효과'''[20]

# 마지막 음절의 음운 축소 및 그에 따른 처격, 관계격, 도구격 표시의 동음이의화(형태는 같지만 의미는 다른 현상).

# 능격 체계의 붕괴 및 후치사 구조에서 관계격과 처격 간의 구별 상실.

# 이 붕괴의 결과로 특이한 알류트어 지시적 참조 체계(anaphoric reference system)가 발달하고, SOV 어순이 엄격하게 고정됨.

# 원래 3인칭을 나타내던 형태소가 모든 지시적(비표면적) 대상을 가리키게 됨.

# 그러한 지시 대상의 수(일부 표면적 논항의 소유자 수 포함)가 (복합) 문장의 최종 동사에 반영되어 주어와의 일치를 무시하게 됨.

'''기본 어휘 비교'''

다음은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내 기본 어휘 비교표이다. (약 122개 단어 기준) 빈 칸은 해당 언어에 그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어근에서 파생되어 동족어가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언어 간 의미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시된 "공통 의미"는 대략적인 것이다. 경우에 따라 특정 형태는 해당 언어의 일부 방언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 형태는 별도 언급이 없는 한 기본 라틴 표기법으로 제공된다.

에스키모어파 언어의 동족어는 Michael Fortescue 외 (2010)에서,[21] 알류트어의 동족어는 Knut Bergsland (1997)에서[16] 확인할 수 있다.

'''인물'''

공통 의미알류트어원시 에스키모어시레니크어시베리아 유픽어알루틱어유픽어세워드 이누피아크어카위아라크어말리미우툰어노스 슬로프어움마르미우툰어식리툰어이누인나크툰어나실릭어키발릭어아이빌릭어노스 배핀어사우스 배핀어누나빅어래브라도 이누투트어노스 그린란드어웨스트 그린란드어이스트 그린란드어
남자아이hlax*aleqanukeɫpegaẋnukaɫpegaqnukaɫpiaqnukaɫpiaqnugatpiaqnugatpiaqnukatpiaqnukatpiaqnukatpiaqnukatpiraqnukatpiaqnukatpiaqnukatpiaqnukappiaqnukappiaqnukappiaqnukappiaqnukappiaknukappiaqnukapperaqnugappiaq
*paniɣpanex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panik
가족, 친척ilaanux̂*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ila
여자아이ayaĝaadax̂*nǝvi(a)ʁc(ǝɣ)a-náẋserráẋneveghsaqneviarcaqniaqsaaʁrukniaqsiaʁrukniviaqsiaʁrukniviaqsiaʁrukniviakkaqniviaqsiraqniviaqhiaqniviaqhiaqniviakkiaqniviaqsiaqniviaqsaaqniviaqsiaqniviatsiaqniviatsiakniviarhiaqniviarsiaraqniiarsiaq
(할)아버지adax̂/taatax̂*ata / *ata-ataataataataaataata/avaata/avaaapa/taataaapaaapa/ataaappak/ataatakaappak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ataqalaala
인간(무당의 말)taĝutaʁutarextaghutarutar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utaataa
남편ugi*uɣiugaugwikwikwiiuiuiuiuiuiuiuiuiuiuiuiuiuiuikuiuiuviq
남자tayaĝux̂*aŋu-ntangetaangunangunangunangunangunangunangunangunangunangunangutangutangutangutiangutiangutiangutikangutanguttikkaq
어머니anax̂*ana / *ana-ananananaa/anaaanaaanaaagaaagaaakaaakaaakaamaamak/aanaamaamak/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anaqannivik
시어머니*cakisakasakicakicakiqsagichagisakisakihakigaqsakihakihakihakigaqsakisakisakisakisakikhakisakisaqiq/sagiq
(여자아이에게) 오빠huyux̂*aNǝ-LГunantaaningakanngaqanngaqanianianianianianiraalukanianianianianianianianikanianiani
(남자아이에게) 누나uhngix*aleqanuskitalqaqaɫqaqalir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qaliqannaqangajukangajukangajukaliqaaleqaqalara
사람anĝaĝinax̂*inguɣjuxyuksukyuk/cukinukinukiñukiñukiñ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inuk


5. 음운론

에스키모어의 중설 중모음 /ə/는 알류트어의 전설 고모음 /i/에 대응한다.

알류트어의 모음과 자음 체계는 크누트 베르스글란(Knut Bergsland)의 1997년 연구를 따른다.[16] 알류트어는 총 6개의 모음을 가지는데, 짧은 모음 3개(/i/, /u/, /a/)와 이에 대응하는 긴 모음 3개(/iː/, /uː/, /aː/)가 있다. 긴 모음은 철자법상 ''ii'', ''uu'', ''aa''로 표기된다. 알류트어에는 이중 모음이 없다. 모음의 길이는 강세, 주변 자음, 그리고 특히 동부 알류트어에서는 주변 모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짧은 모음은 뒤따르는 자음이 연구개음이나 순음일 경우 단어 첫머리에 올 수 있다(예: 지시사 ''uka'', ''ika'', ''aka''). 긴 모음은 짧은 모음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발음되지만, 구개수 자음과 인접할 때는 덜 후퇴한다(예: ''uuquchiing'' '푸른 여우', ''qiiqix̂'' '바다제비', ''qaaqaan'' '먹어라!').

전설중설후설
폐쇄/i/   /iː//u/   /uː/
개방/a/   /aː/



아래 표는 알류트어의 자음 체계를 보여준다. 표에는 단일 로마자, 이중 자음, 그리고 하나의 삼중 자음 표기가 포함되어 있다. 괄호 안의 음소는 주로 러시아어와 영어 차용어에서 발견되며, 이탤릭체로 표시된 음소는 동부 알류트어 방언에만 나타난다. 굵게 표시된 음소는 표준 알류트어의 음소이다.

알류트어는 고유어에 순음 파열음이 없으며, 단어 내에서 최대 3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집을 허용하고 단어 첫머리에도 자음군집이 올 수 있다. 언어학적으로 드문 특징으로는 무성 비음의 존재와 /p/ 음소의 부재가 있다.

순음치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파열음(p)(b)t /t/(d) /d/ /t̺͡s̺/*ch /tʃ/k /k/(g) /ɡ/q /q/
마찰음(f) /f/v /v/*hd /θ/d /ð/s /s/z /z/x /x/g /ɣ/ /χ/ĝ /ʁ/
비음hm /m̥/m /m/hn /n̥/n /n/colspan="2" | /ŋ̥/ng /ŋ/colspan="2" |
설측음colspan="2" |hl /ɬ/l /l/colspan="2" |colspan="2" |colspan="2" |
접근음hw /ʍ/w /w/colspan="2" |/ɹ/, /ɾ/ (r)hy /ç/y /j/colspan="2" |colspan="2" |h /h/


  • ''tʳ''은 치경 파찰음 /t̺͡s̺/, ''v''는 순치 마찰음 /v/이다.

5. 1. 에스키모어

에스키모어파(유픽·이누이트어파)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주요 분파 중 하나로, 크게 유픽어파와 이누이트어군으로 나뉜다.

  • 유픽어파: 화자 약 11,000명
  •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 태평양만 유픽어(알루티크어)
  •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 나우칸어
  • 시레니크어 (사어)
  • 이누이트어군: 화자 약 100,000명
  • 이누피아크어 (알래스카 북부)
  • 카위아라크어
  • 이누피아툰어 (북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
  • 이누비알룩툰어 (캐나다 서부)
  • 시글리툰어
  • 이누인나크툰어
  • 나트실링미우투트어
  • 이누크티투트어 (캐나다 동부): 화자 약 40,000명
  • 누나트시아붐미우투트어 (래브라도)
  • 누나빔미우티투트어 (웅가바 퀘벡)
  • 키키크탈루크 니기아니어 (사우스 배핀)
  • 키키크탈루크 우안낭아니어 (노스 배핀)
  • 아이빌림미우투트어 (사우샘프턴 섬 동부)
  • 키발리르미우투트어 (키웨이틴 지역)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 화자 약 50,000명
  • 칼랄리수트어 (서 그린란드어, 표준 그린란드어)
  • 투누미수트어 (동 그린란드어)
  • 이누크툰어 (북 그린란드어, 아바네르수아크어)


다음 모음과 자음 체계는 Michael Fortescue 등의 연구(2010)를 따른다.[15] 에스키모어의 중설 중모음 ə는 알류트어의 전설 고모음 i에 대응하는 관계를 보인다.



이누이트어는 단어의 시작에 하나의 자음만 올 수 있으며, 모음 사이에는 최대 두 개의 자음만 연속해서 올 수 있다는 음소 배열 제약을 가진다. 반면, 유픽어는 이누이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자음 동화 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아래 표는 에스키모어의 자음 체계를 보여준다. 괄호 안의 자음은 원시 에스키모어에는 없었던 음소이다.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평음구개음화설측음
비음m (m̥)n (n̥)(nʲ)ŋ (ŋ̥)
파열음ptkq
파찰음tscolspan="2" |
마찰음무성음(f) (w̥)s (s̆)(ɬ)(x)(χ)(h)
유성음v (w)ð(z) (z̆)ɣʁ
전동음colspan="3" |(ʀ̃)
접근음jl


6. 다른 어족과의 관계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현재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바와 같이, 세계의 다른 어떤 언어족과도 명확한 언어 유전적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특히 북아메리카의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들과는 뚜렷한 관련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며,[6] 이는 툴레인처럼 아시아에서 온 마지막 선사 시대 이주민 집단의 언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외부 관계에 대한 여러 가설들은 주로 북부 유라시아의 언어족들과의 연관성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베링 해협 건너편의 추코트-캄차달어족과의 관계가 거론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설 중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는 1818년 덴마크의 언어학자 라스무스 라스크가 그린란드어핀란드어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제안한 에스키모-우랄어족 가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된 가설로는 1998년 마이클 포테스큐가 제안한 우랄-시베리아어족 가설이 있는데, 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을 유카기르어족우랄어족과 연결한다.

알렉산더 보빈(2015)은 동시베리아와 중국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북부 퉁구스어족 언어들에서 남부 퉁구스어족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차용어가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다.[9][24] 그는 이 차용이 약 2,000년 전, 퉁구스족이 아무르강 유역에서 북쪽으로 확장하던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를 근거로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의 발상지(''Urheimat'')가 알래스카가 아닌 시베리아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9]

한편, 조지프 그린버그(2000–2002)는 예니세이어족을 제외한 북부 유라시아의 거의 모든 언어족(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한국어, 일본어, 아이누어, 니브흐어, 추코트-캄차달어족)을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 함께 묶어 유라시아어족이라는 거대 가설을 제안했다. 그린버그는 자신의 연구가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 등의 초기 거시 비교 연구에 기반한다고 밝혔으며 어휘 비교를 통해 가설을 뒷받침하려 했다.[10] 그러나 이 가설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피상적인 유사성에 의존하는 대량 비교 방법론의 한계 때문에 비역사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며[10]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비교 언어학은 산발적인 유사성이 아닌 규칙적인 음운 변화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일부 학자들은 그린버그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가설 자체를 즉각 기각하는 데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10]

그 외에도 1960년대 모리스 스와데시는 와카샨어족과의 연관성을 제안했으며, 이는 얀 헨릭 홀스트(2005)에 의해 확장되기도 했다.[11]

현재까지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 다른 어족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학설은 정립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of Comparative Inuit–Yupik–Unangan. http://www.uaf.edu/a[...] 2013-11-18
[2] 문서
[3] 서적 Inupiaq and the Schools – A Handbook for Teachers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Yupik Sirenk http://www.ethnologu[...] 2008-08-25
[5] 웹사이트 Alaska Native Languages – An Overview http://www.uaf.edu/a[...] 2008-08-25
[6] 서적 Central Yupik and the Schools – A Handbook for Teachers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7] 서적 The A to Z of the Inuit Scarecrow Press
[8] 서적 The Language of the Inuit: Syntax, Semantics, and Society in the Arcti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9] 논문 Eskimo Loanwords in Northern Tungusic Brill
[10] 간행물 Review of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Volume 2: Lexicon
[11] 서적 Einführung in die eskimo-aleutischen Sprachen Buske Verlag
[12] 서적 Dependent–Head Synthesis in Nivkh: A Contribution to a Typology of Polysynthesis
[13]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14] 간행물 The Oxford Handbook of Derivational Morphology
[15] 서적 Comparative Eskimo Dictionary with Aleut Cognates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16] 서적 Aleut Grammar: Unangam Tunuganaan Achixaasix̂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A grammar of Central Alaskan Yupik (cay) Mouton Grammar Library
[19]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Bookcraft Ltd.
[20]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Bookcraft Ltd.
[21] 서적 Comparative Eskimo Dictionary with Aleut Cognates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22] 서적 Morphologie / Morphology Walter de Gruyter
[23] 웹사이트 Eskimo–Aleut Languages http://www.languages[...] 2013-01-01
[24] 논문 Eskimo Loanwords in Northern Tungusic. https://www.research[...] Brill
[25] 서적 A grammar of Central Alaskan Yupik (cay) Mouton Grammar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