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급행은 2008년 인천광역시의 급행형 간선버스 도입 정책에 따라 설립된 시내버스 회사이다. 2009년 900번대 간선급행버스 10개 노선을 개통했으나, 운영 초기 어려움을 겪으며 노선 조정이 있었다. 2020년에는 인천e음버스 노선과 간선버스 14-1번을 운영하며, 현재 간선버스와 인천e음버스를 포함한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우버 우버는 2009년 설립된 미국의 운송 네트워크 회사로, 모바일 앱을 통해 승객과 차량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여러 논란 및 택시 산업과의 갈등을 겪고 있다.
200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미래교통 (인천) 미래교통 (인천)은 인천광역시에서 111번, 117번, 304번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십정동, 청라국제도시, 인천국제공항 등 인천과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운송 기업으로, 일부 노선은 강인교통과 공동 운행하고 현대자동차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인천 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인천 서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2008년인천광역시는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급행형 간선버스 도입을 선언했다. 인천선진교통, 강인여객, 삼환교통 3개 회사의 컨소시엄이 간선급행버스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2008년12월 9일 이들 3개 시내버스 업체의 공동출자로 간선급행버스 전문업체인 '''공영급행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009년2월 25일, 900번대 간선급행버스 10개 노선이 신설 개통되었다. 그러나 운영 초기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2010년2월에는 수익 저조로 906번 (인천대공원/남동구청 방면) 노선이 폐선되었고, 2010년3월에는 인천광역시청의 조치로 904번과 908번 노선이 감차되었다. 2010년8월 31일에는 911번 (원인재역 - 간석역) 노선이 폐선되었으며, 2010년10월에는 901번과 908번이 통합되어 송도신도시-검단 간 노선으로 운행되었다.
2011년 11월, 904번 노선이 기존 갈산역 종점에서 부평역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1월에는 901번과 908번 두 노선이 다시 환원되어 운행되었고, 901번은 마전지구-신현여자중학교로 노선이 변경되어 선진여객에 양도되었으며, 908번은 인천대학교-동인천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2012년 3월, 908번은 천지교통에 양도되었다.
2013년 1월 11일,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89번길 42 (원창동)에 지점이 설치되었다. 2013년 3월 12일에는 904-1번 노선이 신설 개통되어 선진여객에서 운행했던 901번 버스를 공영급행이 환원받아 운행 및 운영하였다. 2015년 3월, 904-1번 노선은 대한여객으로 변경되어 운행되고 있다.
2015년 5월, 904번 노선이 서부공단에서 청라국제도시역으로 연장되었다. 2015년 7월 22일, 원창동 지점이 폐지되었다.
2020년 11월 27일, 인천e음11번, 인천e음12번, 인천e음13번, 인천e음86번 노선이 개통되었다.[1] 2020년 12월 31일에는 인천광역시 버스 노선 개편으로 간선버스 14-1번을 삼환교통으로부터 양도받았으며, 급행간선버스 905번과 909번 노선은 폐선되었다.[1]
2. 1. 설립 및 초기 운영 (2008년 ~ 2010년)
2008년인천광역시는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급행형 간선버스 도입을 선언했다. 인천선진교통, 강인여객, 삼환교통 3개 회사의 컨소시엄이 간선급행버스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2008년12월 9일 이들 3개 시내버스 업체의 공동출자로 간선급행버스 전문업체인 '''공영급행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009년2월 25일, 900번대 간선급행버스 10개 노선이 신설 개통되었다. 그러나 운영 초기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2010년2월에는 수익 저조로 906번 (인천대공원/남동구청 방면) 노선이 폐선되었고, 2010년3월에는 인천광역시청의 조치로 904번과 908번 노선이 감차되었다. 2010년8월 31일에는 911번 (원인재역 - 간석역) 노선이 폐선되었으며, 2010년10월에는 901번과 908번이 통합되어 송도신도시-검단 간 노선으로 운행되었다.
2. 2. 노선 조정 및 변화 (2011년 ~ 2015년)
2011년 11월, 904번 노선이 기존 갈산역 종점에서 부평역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1월에는 901번과 908번 두 노선이 다시 환원되어 운행되었고, 901번은 마전지구-신현여자중학교로 노선이 변경되어 선진여객에 양도되었으며, 908번은 인천대학교-동인천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2012년 3월, 908번은 천지교통에 양도되었다.
2013년 1월 11일,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89번길 42 (원창동)에 지점이 설치되었다. 2013년 3월 12일에는 904-1번 노선이 신설 개통되어 선진여객에서 운행했던 901번 버스를 공영급행이 환원받아 운행 및 운영하였다. 2015년 3월, 904-1번 노선은 대한여객으로 변경되어 운행되고 있다.
2015년 5월, 904번 노선이 서부공단에서 청라국제도시역으로 연장되었다. 2015년 7월 22일, 원창동 지점이 폐지되었다.
2. 3. 최근 현황 (2020년 ~ 현재)
2020년 11월 27일, 인천e음11번, 인천e음12번, 인천e음13번, 인천e음86번 노선이 개통되었다.[1] 2020년 12월 31일에는 인천광역시 버스 노선 개편으로 간선버스 14-1번을 삼환교통으로부터 양도받았으며, 급행간선버스 905번과 909번 노선은 폐선되었다.[1]
출퇴근시(오전 7:30-8:30, 오후 18:30-19:30): 대공원 미경유 하고 대공원앞 지하차도 운행.
3. 1. 1. 14-1번
세원에너지충전소(나비공원)에서 출발하여 서창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인향A, 백운역, 인천성모병원, 송내역, 인천대공원 등이다. 배차 간격은 9~12분이며, 인가 대수는 19대이다. 출퇴근 시간(오전 7:30~8:30, 오후 18:30~19:30)에는 인천대공원을 경유하지 않고 대공원앞 지하차도로 운행한다.
3. 2. 인천e음버스
송월동 동화마을을 출발하여 송월시장, 신포역, 동인천동 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하여 경남아파트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송월시장, 신포역(수인선), 동인천동 행정복지센터이다. 배차간격은 22~26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인천역(차이나타운)을 기점으로 중구청, 신포역, 제2국제여객터미널, 신광초등학교, 숭의로터리를 경유하여 다시 숭의로터리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이다. 배차간격은 24~26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영종역을 출발하여 허브주유소, 원성골, 운남교차로, 중산교차로, 우미린1단지후문, 영종하늘도서관을 경유하여 e편한세상 영종오션하임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24~30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만석비치타운에서 출발하여 도원고개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만석주공, 새마을금고, 영풍아파트, 화도진공원, 화도진도서관, 미림극장, 인천정보산업고, 도원동행정복지센터, 송림시장, 송림오거리, 현대시장, 미래빌라, 풍림A, 서흥초교, 동부A, 송현A, 미륭A, 화수부두, 만석어린이공원이다. 배차간격은 26~32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교통 방송 사거리에서 출발하여 주안역 환승 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주안역, 시민공원, 제일사거리, 수봉공원, 용정초등학교, 제물포역, 미추홀구청, 숭의초등학교, 용현2동주민센터, 미추홀퍼스트2단지이다. 배차 간격은 18~27분이며, 인가 대수는 4대이다.
영종역을 출발하여 허브주유소, 원성골, 운남교차로, 중산교차로, 우미린1단지후문, 영종하늘도서관을 경유하여 e편한세상 영종오션하임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24~30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3. 2. 4. 인천e음22번
만석비치타운에서 출발하여 도원고개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만석주공, 새마을금고, 영풍아파트, 화도진공원, 화도진도서관, 미림극장, 인천정보산업고, 도원동행정복지센터, 송림시장, 송림오거리, 현대시장, 미래빌라, 풍림A, 서흥초교, 동부A, 송현A, 미륭A, 화수부두, 만석어린이공원이다. 배차간격은 26~32분이며 인가대수는 2대이다.
3. 2. 5. 인천e음31번
교통 방송 사거리에서 출발하여 주안역 환승 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주요 경유지는 주안역, 시민공원, 제일사거리, 수봉공원, 용정초등학교, 제물포역, 미추홀구청, 숭의초등학교, 용현2동주민센터, 미추홀퍼스트2단지이다. 배차 간격은 18~27분이며, 인가 대수는 4대이다.
911번: 우성 2차아파트에서 간석역까지 운행하였으며, 2010년 8월 31일 폐선되었다.
5. 보유 차량
공영급행은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카운티 뉴브리즈, 현대 그린시티 개선형, 스카이웰 엘페를 보유하고 있다.
6. 사업장
본점은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