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릉요강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릉요강꽃은 꽃부리가 요강을 닮아 붙여진 이름으로, 2005년 환경부에 의해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 식물 1급으로 지정된 난초과 식물이다. 1932년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걸쳐 분포한다. 낮은 산의 숲 속에서 주로 서식하며, 4~5월에 주머니 모양의 꽃이 핀다. 대한민국에서는 무주 덕유산, 강원도 춘천, 전라남도 광양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4년 기재된 식물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가을의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잎 모양, 색깔, 크기 등이 다양한 1,0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있어 관상용, 정원수, 가로수, 분재 등으로 널리 재배된다.
광릉요강꽃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쿠마가이소
쿠마가이소
학명Cypripedium japonicum Thunb.
이명Cypripedium cathayenum S.S.Chien (1930)
Cypripedium japonicum var. glabrum M. Suzuki (1980)
한국어 이름광릉요강꽃
일본어 이름쿠마가이소 (熊谷草)
영어 이름해당 정보 없음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Angiosperms)
강 (미분류)외떡잎식물군 (Monocots)
비짜루목 (Asparagales)
난초과 (Orchidaceae)
아쓰모리소우속 (Cypripedium)
보존 상태
IUCN위기
대한민국 환경부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참고 문헌
참고 문헌한국 자생 식물 영어 이름

2. 특징

꽃부리가 요강을 닮았다고 하여 광릉요강꽃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으며, 2005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 식물 1급인 식물이며 큰복주머니란이라고도 부른다.[12] 1932년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난초과 개불알꽃속에 들어가며, 높이가 30~40cm정도인 다년초다.[13][14][17]

땅속줄기는 가늘고 마디 사이가 길다. 위쪽에 2개가 마주나게 달리고 넓은 부채 모양으로 펼쳐지며 지름은 10~20cm이다.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고 잎맥을 부챗살처럼 벋는다. 4월-5월에 줄기 끝에 1개씩 주머니 모양의 꽃이 핀다. 등꽃받침은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뒤로 약간 말리며 털이 있다. 겉꽃받침은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입술꽃잎은 양옆이 안으로 말려서 서로 맞닿아 긴 타원형의 주머니를 이룬다. 주머니 안쪽에도 털이 있다. 열매는 방추형의 삭과이다.[15]

큰가슴꽃은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걸쳐 분포한다. 낮은 산의 숲 속, 특히 대나무 숲, 삼나무 숲 등에 생육하며, 큰 군락을 이룬다. 키는 40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마주나게 두 장이 나며, 각각 부채꼴의 특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꽃은 그 사이에서 뻗어 나온 줄기 끝에 피며, 옆을 향한다. 꽃잎은 5장의 가는 타원형으로 녹색을 띠며, 입술꽃잎은 10cm로 크게 부풀어 오른 주머니 모양이며, 흰색 바탕에 자갈색 무늬가 있다. 입술꽃잎의 입구는 좌우에서 부풀어 좁아져 있다.

3. 생태

꽃부리가 요강을 닮았다고 하여 광릉요강꽃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으며, 2005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 식물 1급인 식물이며 큰복주머니란이라고도 부른다.[12] 이 식물은 1932년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난초과 개불알꽃속에 들어가며, 높이가 30cm~40cm 정도인 다년초다.[13][14][17]

땅속줄기는 가늘고 마디 사이가 길다. 위쪽에 2개가 마주나게 달리고 넓은 부채 모양으로 펼쳐지며 지름은 10cm~20cm이다.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고 잎맥을 부챗살처럼 벋는다. 4~5월에 줄기 끝에 1개씩 주머니 모양의 꽃이 핀다. 등꽃받침은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뒤로 약간 말리며 털이 있다. 겉꽃받침은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입술꽃잎은 양옆이 안으로 말려서 서로 맞닿아 긴 타원형의 주머니를 이룬다. 주머니 안쪽에도 털이 있다. 열매는 방추형의 삭과이다.[15]

큰가슴꽃은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걸쳐 분포한다. 낮은 산의 숲 속, 특히 대나무 숲, 삼나무 숲 등에 생육하며, 큰 군락을 이룬다. 키는 40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마주나게 두 장이 나며, 각각 부채꼴의 특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꽃은 그 사이에서 뻗어 나온 줄기 끝에 피며, 옆을 향한다. 꽃잎은 5장의 가는 타원형으로 녹색을 띠며, 입술꽃잎은 10cm로 크게 부풀어 오른 주머니 모양이며, 흰색 바탕에 자갈색 무늬가 있다. 입술꽃잎의 입구는 좌우에서 부풀어 좁아져 있다.

4. 분포 지역

광릉요강꽃은 1932년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2] 이후 무주 덕유산, 강원도 춘천, 전라남도 광양 등지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전국적으로 약 800여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17]

5. 보전 상황 및 보호 활동

광릉요강꽃은 멸종위기 야생 식물 1급이자, 일본 환경부 레드 리스트의 위기종 II류(VU)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5][6][12]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희귀종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도굴 방지 및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1. 한국에서의 보호 활동

광릉요강꽃은 꽃부리가 요강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2005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 식물 1급이다. 큰복주머니란이라고도 불린다.[12] 1932년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난초과 개불알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40cm 정도이다.[13][14][17]

최근에는 무주 덕유산, 강원도 춘천, 전라남도 광양에서도 발견되어 전국에 약 800여 개체가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6][17]

군락이 있는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보호 단체를 만들어 5월 개화 시기에 맞춰 관광지로 개방하면서 도굴을 방지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8]

5. 2. 일본에서의 보호 활동

일본에서는 환경부에 의해 레드 리스트의 위기종 II류(VU)로 지정되어 있으며[5][6], 많은 도도부현에서 레드 리스트로 지정되어 있다[7]

군락이 있는 지역에서는 주민에 의한 보호 단체가 개화하는 5월에 관광지로 개방하면서 도굴을 방지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예가 있다[8]

구마가이 나오자네의 고향인 사이타마현구마가야시에서는 뜻있는 사람들이 1979년에 "구마가이소 보존회"를 결성했다. 정원 세케이엔 등에 식재했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화분 등을 제외하고는 사라져 보존회는 2014년에 해산했다[9]

6. 재배

큰꽃으아리의 지하경은 마디 사이가 길고, 전체 길이는 종종 1m 이상이 된다. 적절한 환경이라면 노지 재배가 가능하다.

7. 근연종

Cypripedium formosanum영어은 타이완산으로, 지하경이 짧아 화분 재배가 가능하다.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16
[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 25 p 29, 扇脉杓兰 shan mai shao lan, Cypripedium japonicum http://www.efloras.o[...]
[3] 웹사이트 クマガイソウ http://ylist.info/yl[...] 2014-09-05
[4] 백과사전 クマガイソウ 小学館
[5] 웹사이트 第4次レッドリスト「植物I(維管束植物)」 http://www.biodic.go[...] 環境省 2014-11-05
[6] 웹사이트 絶滅危惧情報検索「クマガイソウ」 http://www.biodic.go[...] 環境省 2014-11-05
[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クマガイソウ」 http://www.jpnrdb.co[...]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4-11-05
[8] 뉴스 絶滅危惧種のクマガイソウ 福島の山中で5万株満開 限界集落の住民らが保護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6-03
[9] 뉴스 熊谷草の歌碑建立へ寄付募る 有志「保存活動後世に」 朝日新聞 2018-12-02
[10]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www.iucnredlist.org/[...]
[11]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2] 뉴스 한강환경청, 야생생물 1급 ‘광릉요강꽃’ 서식지 발견 http://www.asiatoday[...] Asia Today 2015-12-04
[13] 웹인용 한국의 식물원, 광릉요강꽃 78년만의 환생 실험, 포천 국립수목원 http://navercast.nav[...] 2015-11-19
[14] 웹인용 한국화재식물도감, 광릉요강꽃 https://terms.naver.[...] 2015-11-19
[15] 서적 한국의 야생화 바로알기 이비락 2013-03-25
[16] 뉴스 국립공원 내 유일한 '광릉요강꽃' 무주 덕유산서 개화 http://www.newsis.co[...] Newsis 2015-11-19
[17] 웹인용 멸종위기종 1급 광릉요강꽃, 종자발아 개체 최초 확보 http://www.me.go.kr/[...] 2015-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