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양군은 삼한 시대 모로비리국에서 시작되어 백제 시대 마로현으로 불렸다. 940년 광양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순천에서 분리되어 감무가 배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현감으로 바뀌며 독립된 행정 단위가 되었고,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에 의해 읍이 폐허화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돌산군 태인면을 편입했다. 1949년 광양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동광양시와 통합되어 광양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양시의 역사 - 돌산군
돌산군은 1896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남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여러 섬을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나 일제강점기 군면 통폐합으로 폐지되어 여수군, 고흥군, 광양군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 여수시에 속한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능주군
능주군은 전라남도에 위치했던 군으로, 긴 역사를 거쳐 다양한 행정구역 명칭으로 존재했으며, 인헌왕후의 관향이자 전라우의군의 활약지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순군에 통합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창평군
창평군은 백제 시대 굴지현에서 시작하여 조선 시대 현령이 설치되기도 했으나, 1914년 일제에 의해 폐지되어 담양군과 곡성군에 편입된 전라남도의 옛 군이다. - 1995년 폐지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1995년 폐지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양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
폐지일 | 1994년 12월 31일 |
존속 기간 | 1895년 ~ 1994년 |
면적 | 447.85km² |
행정 구역 | |
읍 | 광양읍 골약면 |
면 | 봉강면 옥룡면 다압면 진상면 진월면 |
역사 | |
설치 | 1895년 5월 26일 |
폐지 | 1995년 1월 1일 |
변천 | 1895년 5월 26일 나주부 광양군 설치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광양군 1949년 8월 14일 광양면이 광양읍으로 승격 1986년 4월 1일 골약면이 읍으로 승격 1995년 1월 1일 광양군과 광양시를 통합하여 새로운 광양시를 설치, 광양군 폐지 |
교통 | |
철도 | 경전선 |
기타 | |
주요 산업 | 농업 임업 어업 광업 |
2. 역사
광양시의 역사는 삼한시대 마한 연맹의 모로비리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양군은 백제시대에는 마로현(馬老縣)으로 불렸다.[13]
940년(태조 23년) "마로"(牟婁)·"희양"에서 현재의 지명인 "광양"(光陽)으로 개칭되었다.[1] 983년(성종 2년) 전국 12목(牧) 설치와 함께 승평군이 승주목으로 승격되었다.[1] 1108년(예종 3년) 또는 1172년(명종 2년) 감무가 배치되면서 순천에서 분리되었다. 그로 인해 총 18곳의 향·소·부곡이 광양현의 관할로 들어갔다.[13]
1392년 조선왕조가 건국되면서 감무가 현감으로 바뀜으로서 완전히 독립된 행정단위가 되었다.[13] 1597년 정유재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군이 광양읍성을 점령했으나,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등의 조선군에 의해 탈환되었다.[13] 이로 인해 읍 전체가 폐허화되어 순천도호부로 일시 통폐합되었다가 복구되었다.[13]
1600년 ~ 1604년 행정관의 실수로 읍이 혁파당했다가 복구되었다.[13] 면리제가 확립되면서 광양현 내에 12개면이 구획되었다.[13] 1789년 기준 광양현 인구는 3,706호, 17,586명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많았다.[13]
12면은 우장면(牛藏面), 사라곡면(沙羅谷面) 또는 사곡면(四谷面), 골약면(骨若面) 또는 칠골약면(七骨若面), 옥곡면(玉谷面), 진상면(津上面), 진하면(津下面), 월포면(月浦面), 다압면(多鴨面), 칠성면(七星面), 인덕면(仁德面), 내면(內面), 옥룡면(玉龍面)이다.
1869년(고종 6년)과 1889년(고종 26년) 2차에 걸쳐 농민봉기가 발발했다.[13]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자 광양 관내에서 다수의 동학교도가 체포, 살해당했다.[13]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현(縣)제도가 폐지, 군(郡)으로 승격되어 남원부 관할 광양군이 되었다.[14] 1896년 8월 4일 13도제로 전라남도에 속하여 4등군이 되었다.[15] 1896년 2월 돌산군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9개 섬이 이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돌산군 태인면(묘도 제외)을 편입하였다.[16] 9면 : 광양면, 봉강면, 인덕면, 옥룡면, 골약면, 옥곡면, 진상면, 다압면, 진월면
1915년 1월 1일 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 일부를 경상남도 하동군에 편입하였다.[17] 1925년 4월 1일 인덕면[18]을 광양면에 합면하였다. (8면)
1949년 8월 14일 광양면을 광양읍으로 승격하였다.[19][6] (1읍 7면) 1966년 6월 1일 골약면 태인리, 금호리를 관할하는 태인출장소를 설치하였다.[20] 1973년 7월 1일 골약면 송장리(소륵도, 늑도, 장도, 송도)를 여천군 율촌면에 편입하였다.[21][8] 1981년 11월 4일 광양제철소 입지가 확정되었다. 1983년 2월 15일 골약면 태인출장소를 태금면으로 승격하였다.[22][9] (1읍 8면) 동시에 옥룡면 운곡리 일부를 광양읍 우산리로, 진월면 진정리 일부를 진상면 청암리로 편입하였다. 1986년 1월 1일 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전라남도 광양출장소가 설치되었다.[23]
1987년 1월 1일 옥곡면 광영리가 골약면으로 편입되었다. 이와 동시에 승주군 해룡면 복성리 일부가 광양읍 덕례리로, 봉강면 지곡리 일부가 광양읍 구산리로 편입되었고, 여천시 묘도동 일부가 광양군 태금면으로 편입되었다.[24] 1989년 1월 1일 광양군 골약면·태금면 일원을 관할로 동광양시가 설치되었다.[25][10] (1읍 6면)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와 광양군을 광양시로 통합하였다.[26][11] 1998년 11월 5일 황금동과 성황동을 골약동으로 통폐합하고, 금당동을 금호동에 합동하였다.[27]
2. 1. 고대
광양군은 백제시대에는 마로현(馬老縣)으로 불렸다.[13]2. 2. 고려시대
940년(태조 23년) "마로"(牟婁)·"희양"에서 현재의 지명인 "광양"(光陽)으로 개칭되었다.[1] 983년(성종 2년) 전국 12목(牧) 설치와 함께 승평군이 승주목으로 승격되었다.[1] 1108년(예종 3년) 또는 1172년(명종 2년) 감무가 배치되면서 순천에서 분리되었다. 그로 인해 총 18곳의 향·소·부곡이 광양현의 관할로 들어갔다.[13]2. 3. 조선시대
1392년 조선왕조가 건국되면서 감무가 현감으로 바뀜으로서 완전히 독립된 행정단위가 되었다.[13] 1597년 정유재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군이 광양읍성을 점령했으나,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등의 조선군에 의해 탈환되었다.[13] 이로 인해 읍 전체가 폐허화되어 순천도호부로 일시 통폐합되었다가 복구되었다.[13]1600년 ~ 1604년 행정관의 실수로 읍이 혁파당했다가 복구되었다.[13] 면리제가 확립되면서 광양현 내에 12개면이 구획되었다.[13] 1789년 기준 광양현 인구는 3,706호, 17,586명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많았다.[13]
12면은 우장면(牛藏面), 사라곡면(沙羅谷面) 또는 사곡면(四谷面), 골약면(骨若面) 또는 칠골약면(七骨若面), 옥곡면(玉谷面), 진상면(津上面), 진하면(津下面), 월포면(月浦面), 다압면(多鴨面), 칠성면(七星面), 인덕면(仁德面), 내면(內面), 옥룡면(玉龍面)이다.
1869년(고종 6년)과 1889년(고종 26년) 2차에 걸쳐 농민봉기가 발발했다.[13]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자 광양 관내에서 다수의 동학교도가 체포, 살해당했다.[13]
2. 4.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현(縣)제도가 폐지, 군(郡)으로 승격되어 남원부 관할 광양군이 되었다.[14] 1896년 8월 4일 13도제로 전라남도에 속하여 4등군이 되었다.[15] 1896년 2월 돌산군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9개 섬이 이에 편입되었다.1914년 4월 1일 돌산군 태인면(묘도 제외)을 편입하였다.[16] 9면 : 광양면, 봉강면, 인덕면, 옥룡면, 골약면, 옥곡면, 진상면, 다압면, 진월면
1915년 1월 1일 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 일부를 경상남도 하동군에 편입하였다.[17] 1925년 4월 1일 인덕면[18]을 광양면에 합면하였다. (8면)
2. 5. 대한민국
1949년 8월 14일 광양면을 광양읍으로 승격하였다.[19][6] (1읍 7면) 1966년 6월 1일 골약면 태인리, 금호리를 관할하는 태인출장소를 설치하였다.[20] 1973년 7월 1일 골약면 송장리(소륵도, 늑도, 장도, 송도)를 여천군 율촌면에 편입하였다.[21][8] 1981년 11월 4일 광양제철소 입지가 확정되었다. 1983년 2월 15일 골약면 태인출장소를 태금면으로 승격하였다.[22][9] (1읍 8면) 동시에 옥룡면 운곡리 일부를 광양읍 우산리로, 진월면 진정리 일부를 진상면 청암리로 편입하였다. 1986년 1월 1일 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전라남도 광양출장소가 설치되었다.[23]1987년 1월 1일 옥곡면 광영리가 골약면으로 편입되었다. 이와 동시에 승주군 해룡면 복성리 일부가 광양읍 덕례리로, 봉강면 지곡리 일부가 광양읍 구산리로 편입되었고, 여천시 묘도동 일부가 광양군 태금면으로 편입되었다.[24] 1989년 1월 1일 광양군 골약면·태금면 일원을 관할로 동광양시가 설치되었다.[25][10] (1읍 6면)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와 광양군을 광양시로 통합하였다.[26][11] 1998년 11월 5일 황금동과 성황동을 골약동으로 통폐합하고, 금당동을 금호동에 합동하였다.[27]
3. 지리
4. 행정 구역
5. 경제
5. 1. 광양제철소
5. 2. 광양항
6. 사회
7. 문화
7. 1. 매천 황현
8. 정치
참조
[1]
간행물
대동지지·광양연혁조
지방연혁연구
1864
[2]
법률
칙령 제98호·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
법률
칙령 제36호·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기타
현재 광양읍 덕례리·도월리·세풍리·인동리·인서리
[6]
법률
대통령령 제162호·읍의 설치에 관한 건
1949-08-13
[7]
법률
군조례 제205호
1966-06-01
[8]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9]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01-10
[10]
법률
법률 제4050호·오산시 등 12개 시 및 태안군 설치와 군의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12-31
[11]
법률
법률 제4801호·전라남도 광양시 등 2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12]
법률
법률 제4801호 전라남도광양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12-22
[13]
간행물
대동지지 광양연혁조
지방연혁연구
1864
[14]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5]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법률
부령 제173호
[18]
기타
현재 광양읍 덕례리·도월리·세풍리·인동리·인서리
[19]
법률
대통령령 제162호 읍설치에관한건
1949-08-13
[20]
법률
군조례 제205호
1966-06-01
[21]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2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01-10
[23]
법률
전라남도 조례 제1554호
[24]
법률
대통령령 제27009호
[25]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6]
법률
법률 제4801호
[27]
법률
광양시 조례 제339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