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자 (지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자(交子)는 중국 송(宋)나라 시대에 사용된 세계 최초의 지폐이다. 당나라 시기 어음 형태에서 시작되어, 오대 십국 시대 쓰촨 지역의 철전(鐵錢) 유통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민간 교자포에서 발행되다 정부가 관영으로 전환하여 지폐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상업 발달과 군사비 조달을 위해 발행량이 증가하며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전인(錢引)으로 대체되었다. 교자는 이후 회자(會子)로 이어지며 중국 지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경제 - 비전 (화폐)
    당나라 시대 동전 유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비전은 상인들이 발행하고 현금으로 교환하는 어음 시스템으로, 송나라 교자에 영향을 주었으며 지폐와 현대 금융 시스템의 기원이 되었다.
  • 송나라의 경제 - 청묘법
    청묘법은 북송 시대 왕안석이 시행한 신법으로, 춘궁기 농민에게 저금리로 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였으나, 시행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며 반대에 부딪혀 폐지되었다.
  • 지폐 - 폴리머 지폐
    폴리머 지폐는 위조 방지 및 내구성을 위해 개발된 종이 외 소재 지폐로, 호주에서 처음 실용화되어 4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지만, 생산 비용이 높고 특정 조건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지폐 - 유리온 별자리
    유리온 별자리는 유로화 지폐 위조 방지를 위해 개발된 5개의 작은 원 패턴으로, 컬러 복사기의 지폐 복사를 막고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로 검출 가능하며, 전 세계 지폐 위조 방지 및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위조 방지 시스템에 활용된다.
  • 중국의 경제사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중국의 경제사 - 대운하
    대운하는 기원전 486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수나라 때 완성되었으며, 중국 남북을 연결하는 주요 수로로 활용되다가 현대에는 수자원 관리 및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교자 (지폐)
개요
종류지폐
사용 기간10세기 ~ 15세기
국가중국
역사적 시기송나라
역사
기원10세기
쓰촨성
발행 기관교자무(交子務)
양회 (兩淮)
특징
재료종이
도안6가지 다른 색의 잉크와 여러 개의 은행권 도장
폐지 이유원나라의 초 (화폐) 발행
관련된 비용지묵비(紙墨費) (종이 및 잉크 비용)
명칭
한자交子
병음jiāozǐ
로마자 표기giao-ji

2. 역사적 배경

왕조 수립 후, 송 태조는 쓰촨의 금은과 동전을 중앙으로 운송하게 하고 철전을 주조해 사용하게 하면서 쓰촨에 동전을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구리 부족 사태는 여전했고, 서쪽에서 일어난 서하라는 비(非)한족 왕조의 세력이 쓰촨 가까이까지 미치게 되면서, 쓰촨에서는 거듭 철전의 사용을 강제하였다.

철전은 동전에 비해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 (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로 운반해야 할 정도였다), 가치도 동전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에 청두에서는 16곳의 교자포가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맡기고 그 맡은 바에 대한 증서로써 교자를 발행하게 되었다. 이 16개 교자포는 송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교자의 발행을 독점하였고, 신용도 높은 이 교자는 무거운 철전보다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이후 쓰촨의 교자포는 사업에 실패해 동전 보유량이 충분하지 못했고, 체불 사태가 일어났다. 인종 천성 원년(1023년), 송 정부는 교자의 이익을 눈여겨 보고 이를 관업으로 삼아 민간 발행을 금지하였다. 송 정부는 본전(本銭, 현금 교환용 준비금)으로 36만위안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위안으로 해서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

이 무렵 교자에는 계(界)라 불리는 기한이 설정되어 있어, 2년 또는 3년 이내에 동전 또는 새로운 교자로 교환하지 않으면 단순한 종이조각으로 전락해 버렸다.

2. 1. 당나라 시기 언방과 어음

당나라 시대에는 전당(堰坊)이라는 곳이 있어 돈, 금은, 비단 등을 받아두고 어음과 같은 예금증서를 발행했다. 이 증서는 다른 지역에서도 현물과 같은 가치를 지녀 지불에 사용되었고, 유통되었다. 전당은 후에 타락하여 불량배들이 모이는 도박장과 같은 곳이 되었지만, 증서 발행 방식은 전국적으로 퍼져 교자, 회자(会子), 관자(関子) 등의 증서가 발행되었고, 교자를 발행하는 곳은 교자포(交子鋪)라고 불렸다.

2. 2. 오대 십국 시대와 쓰촨 지역의 철전

오대 십국 시대 중국 전역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주요 화폐였던 동전(銅銭)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쓰촨 지방은 구리 산출이 적어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당시 쓰촨을 지배하던 전촉(前蜀) 및 후촉(後蜀) 정권은 산출량이 많은 을 가지고 철전(鐵錢)을 발행하였다. 왕조 수립 후에도 쓰촨 지역은 구리 부족 사태가 여전했고, 서쪽의 서하(西夏) 세력 확장으로 인해 철전 사용이 강제되었다.

그러나 철전은 동전에 비해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 (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로 운반해야 할 정도였다), 가치도 동전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3. 교자의 발행과 유통

왕조 이전에 시기에 이미 언방(堰坊)이라는 기관이 존재하였고, 이곳에서는 전(銭) ・ 금은(金銀) ・ 포백(布帛) 등을 맡아두고 그 증명서로써 어음을 발행하였다. 이 어음은 다른 지역에서 현물과 같은 가치를 갖는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널리 유통되었다. 언방은 훗날 변질되어 무뢰배들이 모이는 도박장 같은 성격으로 변모했지만, 이러한 어음 발행 방식은 더욱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교자 외에도 회자(會子) ・ 관자(關子) 등의 어음이 발행되었으며 그 발행처는 교자포(交子鋪)라 불렸다.

교자는 편리성 때문에 수요가 늘어났고, 송나라는 북방의 , 서하와의 군사 비용 충당을 위해 재원으로 교자를 원했다. 신종 희령(熙寧) 5년(1072년)에 발행액을 두 배로 늘렸고, 그 뒤에도 계속 늘어났다.

폐지된 후에도 교자는 계속 유통되었고, 1256년 화폐 개혁으로 남은 교자 지폐와 철전이 회자로 대체되었다.[5]

모든 교자는 동전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었지만, 고액권이라는 특징 때문에 대규모 거래에만 사용되었다. 교자는 동전뿐만 아니라, 도첩(度牒, 불교 승려와 비구니의 세금 면제 증서), 은, 금으로도 교환되었다. 결국 송나라 정부는 각 교자에 2년의 유효 기간을 설정했고, 1199년에는 3년으로 연장하여 유효 기간이 지난 교자는 상환하거나 새로운 시리즈로 교체해야 했다.

3. 1. 민간 교자포의 등장

오대 십국 시대 중국 전역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주요 화폐였던 동전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쓰촨 지방은 동전을 만들 구리가 부족하여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웠다. 당시 쓰촨을 지배하던 전촉후촉 정권은 철로 만든 철전(鐵錢)을 발행하였다. 송 태조는 쓰촨의 금, 은, 동전을 중앙으로 가져오게 하고 철전을 주조해 사용하게 하면서 쓰촨에 동전을 반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구리 부족 문제는 여전했고, 서하의 세력이 쓰촨 가까이 오게 되면서 쓰촨에서는 철전 사용을 강제하였다.

철전은 동전에 비해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 (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로 운반해야 할 정도였다), 가치도 동전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에 쓰촨의 중심 도시인 청두에서는 16곳의 교자포가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맡기고 그 증서로 교자를 발행했다. 이 16개 교자포는 송 정부의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교자 발행을 독점했고, 신용도가 높아 무거운 철전보다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그 사용량은 다른 지역의 교자나 회자를 압도했다.[3][4]

이후 쓰촨의 교자포는 사업에 실패하여 동전 보유량이 부족해졌고, 체불 사태가 발생했다. 인종 천성 원년(1023년)에 송 정부는 교자의 이익을 주목하고 민간 발행을 금지하였다. 송 정부는 현금 교환용 준비금으로 36만 민(緡)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여 민으로 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

3. 2. 정부의 관영 교자 발행

1023년 정부는 교자의 이익에 주목하여 민간 발행을 금지하고 관영으로 전환했다. 정부는 본전(本錢, 현금 교환용 준비금)으로 36만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 이상으로 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3]

교자는 편리성 때문에 수요가 늘어났고, 송나라는 북방의 서하와의 군사 비용 충당을 위해 재원으로 교자를 원했다. 신종 희령(熙寧) 5년(1072년)에 발행액을 두 배로 늘렸고, 그 뒤에도 계속 늘어났다. 이로 인해 교자 발행은 점차 난발될 기미를 보였고, 휘종 숭녕(崇寧) 5년(1106년)에는 2600만으로 당초의 20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교자의 남발과 함께 현금 교환이 정지되고 교자의 가치는 급격히 하락해, 액면가 1관(貫)짜리 교자가 전(銭) 수십 문(文) 정도로밖에 거래되지 않게 되었다.[3]

결국 교자 유통은 중단되었고, 송 정부는 대관 원년(1107년)에 교자를 대신해 전인(銭引)을 발행했다. 훗날 남송에서는 전인 또한 신용도가 떨어져 회자(会子)가 발행되었다.[3]

3. 3. 교자의 유효 기간과 액면가

1023년 송나라 정부는 교자의 이익에 주목하여 민간 발행을 금지하고 관영으로 전환했다. 정부는 현금 교환용 준비금으로 36만 민(緡)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여 민으로 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

이 무렵 교자에는 '계(界)'라고 불리는 기한이 설정되어 있었다. 2년 또는 3년 이내에 동전 또는 새로운 교자로 교환하지 않으면 가치를 잃고 종이 조각이 되었다. 북송과 남송 모두 지폐는 계제(界制)에 의해 유효기간이 3년으로 정해졌고, 1계(界)마다 125만 관이 발행되었으며, 계(界)가 다른 지폐는 다른 화폐로 간주되었다.[3][4]

초기 교자는 1000전(錢)과 같이 고액권으로 발행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1000개의 동전과 같은 가치를 지녔다. 당시에는 표준화된 액면가가 없었기 때문에 발행 회사는 매년 명목 가치를 추가하였다. 유통 초기 5년 동안에는 교자의 디자인이나 발행량에 대한 제한이 없었지만, 5년 후 쓰촨성의 16개 대형 상업 회사가 교자호(交子戶) 또는 교자포(交子鋪)라 불리는 지폐은행을 설립하여 지폐를 표준화하였다. 이후 교자는 현 1관(串)당 30문(文)의 표준 환전 수수료를 적용하여 지역 정부에 의해 인정된 통화가 되었다.

최초의 표준 정부 지폐는 1024년에 발행되었는데, 1관(貫, 700문), 1민(緡, 1000문)에서 최대 10관까지 다양한 액면가가 있었다. 1039년에는 5관과 10관짜리 지폐만 발행되었고, 1068년에는 1관짜리 지폐가 도입되어 유통되는 모든 교자 지폐의 40%를 차지하게 되었다.

모든 교자는 동전으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었지만, 고액권이라는 특징 때문에 대규모 거래에만 사용되었다. 교자는 동전뿐만 아니라, 도첩(度牒, 불교 승려와 비구니의 세금 면제 증서), 은, 금으로도 교환되었다.

4. 교자의 문제점과 쇠퇴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에 중국 전역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주요 화폐였던 동전의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쓰촨 지방은 동전을 만들 구리가 부족하여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당시 쓰촨을 지배하던 전촉(前蜀) 및 후촉(後蜀) 정권은 철로 만든 철전(鐵錢)을 발행하였다. 송 태조(宋太祖)는 쓰촨의 금, 은, 동전을 중앙으로 가져오게 하고 철전을 사용하게 했으며, 쓰촨에 동전을 반입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구리 부족 문제는 여전했고, 서하(西夏)의 위협으로 쓰촨에서는 철전 사용이 강제되었다.

철전은 동전에 비해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로 운반해야 할 정도였다), 가치도 동전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에 쓰촨의 중심 도시인 청두에서는 16개 교자포(交子鋪)가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맡고 그 증서로 교자를 발행했다. 이들은 송 정부의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교자 발행을 독점했고, 신용도가 높아 무거운 철전보다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4. 1. 과다 발행과 인플레이션

오대 십국 시대 이후 중국 전역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주요 화폐였던 동전의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쓰촨(四川) 지방은 동전을 만들 구리가 부족하여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당시 쓰촨을 지배하던 전촉후촉 정권은 철로 만든 철전(鐵錢)을 발행했다. 송 태조는 쓰촨의 금과 은, 동전을 중앙으로 가져오게 하고 철전을 사용하게 했으며, 쓰촨에 동전을 반입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구리 부족 문제는 여전했고, 서하의 위협으로 쓰촨에서는 철전 사용이 강제되었다.

철전은 동전에 비해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 (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로 운반해야 할 정도였다), 가치도 동전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에 쓰촨의 중심 도시인 청두에서는 16개 교자포(交子鋪)가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맡고 교자를 발행했다. 이들은 송 정부의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교자 발행을 독점했고, 신용도가 높아 무거운 철전보다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그 사용량은 다른 지역의 교자나 회자를 압도했다.

이후 쓰촨의 교자포는 사업에 실패하여 동전 보유량이 부족해졌고, 체불 사태가 발생했다. 인종 천성 원년(1023년), 송 정부는 교자의 이익을 주목하여 이를 관영으로 삼고 민간 발행을 금지했다. 정부는 본전(本銭, 현금 교환용 준비금) 36만 민(緡)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여 민으로 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

당시 교자는 계(界)라는 기한이 있어 2년 또는 3년 안에 동전이나 새 교자로 교환해야 했다. 교자는 편리성 덕분에 수요가 늘었고, 송나라는 , 서하와의 군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신종 희녕 5년(1072년)에 발행액을 두 배로 늘리는 등 계속 증액했다. 휘종 숭녕 5년(1106년)에는 발행량이 2,600만 민으로 초기 발행량의 20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교자의 남발과 현금 교환 정지로 가치가 급락하여 액면가 1관(貫) 교자가 전(銭) 수십 문(文) 정도로 거래되었다.

결국 교자 유통은 중단되었고, 송 정부는 대관 원년(1107년)에 교자 대신 전인(錢引)을 발행했다. 훗날 남송에서는 전인도 신용도가 떨어져 회자가 발행되었다.[3][4][5]

4. 2. 전인과 회자로의 대체

오대 십국 시대 이후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동전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쓰촨(四川) 지역은 구리 생산량이 적어 동전 공급이 부족했다. 전촉후촉 정권은 철전을 발행했고, 송 태조는 쓰촨의 금, 은, 동전을 중앙으로 가져오고 철전 사용을 강제하며 동전 유입을 막았다. 그러나 구리 부족은 여전했고, 서하의 위협으로 철전 사용이 강제되었다.

철전은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했고 (철전 1,000문은 25근으로 수레가 필요했다), 가치도 동전의 1/10에 불과했다. 이에 청두에서는 16개 교자포(交子鋪)가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받고 교자를 발행했다. 이들은 송 정부의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교자 발행을 독점했고, 신용도가 높아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쓰촨의 교자포는 사업 실패로 동전 보유량이 부족해져 체불 사태가 발생했다. 인종 천성 원년(1023년), 송 정부는 교자의 이익을 보고 민간 발행을 금지하고 관영으로 전환했다. 정부는 본전(本銭) 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이상으로 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 어음이 아닌 지폐가 되었다.

교자는 편리성으로 수요가 늘었고, 송나라는 북방의 , 서하와의 군사 비용을 위해 교자 발행을 늘렸다. 신종 희령 5년(1072년)에 발행액을 두 배로 늘렸고, 휘종 숭녕 5년(1106년)에는 으로 20배 이상 증가했다. 교자의 남발과 현금 교환 정지로 가치가 폭락하여, 액면가 1관(貫) 교자가 전(銭) 수십 문(文) 정도로 거래되었다.

결국 교자 유통은 중단되었고, 송 정부는 대관 원년(1107년)에 교자를 대신해 전인(錢引)을 발행했다. 훗날 남송에서는 전인도 신용도가 떨어져 회자(会子)가 발행되었다.

5. 교자의 의의와 영향

왕조 시기, 쓰촨성 지역은 구리 부족으로 철전(鐵錢)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철전은 무겁고 가치가 낮아 휴대가 불편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두(成都)의 16개 교자포(交子鋪)는 조합을 이루어 철전을 맡기고 증서인 교자(交子)를 발행했다. 이 교자는 송 정부의 허가를 받아 쓰촨에서 발행을 독점했고, 높은 신용도를 바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3]

인종 천성 원년(1023년), 송 정부는 교자의 이익을 주목하여 민간 발행을 금지하고 관업으로 전환했다. 정부는 준비금(본전) 36만 민(緡)을 비축하고 발행 한도액을 125만여 민으로 설정하여 교자를 유통시켰다. 이로써 교자는 단순한 어음을 넘어 지폐가 되었다.[3]

교자는 편리성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했고, 송나라는 북방의 , 서하와의 군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교자 발행을 늘렸다. 신종 회령(熙寧) 5년(1072년)에는 발행액을 두 배로 늘렸고, 휘종 숭녕(崇寧) 5년(1106년)에는 2,600만 민으로 초기 발행량의 20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교자의 남발과 현금 교환 정지로 가치가 폭락하여, 1관(貫)짜리 교자가 수십 문(文) 정도로 거래되는 상황에 이르렀다.[3]

결국 송 정부는 대관 원년(1107년)에 교자를 대신해 전인(銭引)을 발행했다. 이후 남송에서는 전인의 신용도 하락으로 회자(会子)가 발행되었다. 교자는 동전, 도첩(度牒, 승려 세금 면제 증서), 은, 금으로 교환되었으며, 2년(후에 3년으로 연장)의 유효 기간이 설정되었다.[3]

교자는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기도 했는데, 지방 정부는 세금 면제 증서, 은, 금, 관직을 매각해야 할 정도였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중 하나는 북쪽 금나라로의 화폐 유출이었다.[3][4] 광종은 1192년에 철전과 교자 지폐의 환율을 고정했지만, 인플레이션은 계속되었다.[3]

폐지된 후에도 교자는 유통되었고, 1256년 화폐 개혁으로 남은 교자와 철전이 회자로 대체되었다.[5]

참조

[1] 백과사전 Paper Money in Premodern China. http://chinaknowledg[...] 2018-02-06
[2] 웹사이트 The first Chinese paper money, "jiaozi," was stamped with six different inks and multiple banknote seals. http://www.thevintag[...] 2018-02-14
[3] 논문 Silver and the Transition to a Paper Money Standard in Song Dynasty (960-1276) China. http://www.econ.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17-06-17
[4] 간행물 The Imperial Treasuries: Finance and Power in Sung China Bulletin of Sung-Yuan Studies 1988
[5] 백과사전 jiaozi 交子 and qianyin 錢引, early paper money. http://chinaknowledg[...] 2018-02-06
[6]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