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온 별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온 별자리는 지폐 위조 방지 기술로, 2000년대 초반부터 유로, 미국 달러, 일본 엔, 영국 파운드, 대한민국 원 등 여러 국가의 지폐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패턴 구성과 감지 원리를 통해 작동하며, 2006년 이후 대한민국 원화 지폐의 모든 권종에 적용되어 위조 방지 기능을 강화했다. 유리온 별자리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위조 방지 시스템과 디지털 워터마크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미지 편집 및 인쇄를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터마크 - 디지털 워터마킹
    디지털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나 식별자를 삽입하여 소유권 증명, 불법 복제 방지, 위조 방지, 무결성 검증 등에 활용되는 기술로 삽입, 공격, 감지의 생명 주기를 거치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워터마크 - 지폐
    지폐는 법정통화로 사용되는 종이 또는 폴리머 재질의 화폐로, 11세기 중국 송나라의 교자에서 시작되어 금속화폐를 대체하였으며, 현재는 위조방지 기술과 다양한 재질 및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사회경제적 측면과 관련된 논의의 대상이 된다.
  • 화폐 위조 - 위조화폐
    위조화폐는 화폐의 가치를 훼손하고 경제 질서를 어지럽히는 범죄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각국은 위조 방지 기술 도입과 처벌 강화를 통해 경제 안보를 지키려고 노력한다.
  • 화폐 위조 - 슈퍼달러
    슈퍼달러는 미국 달러를 정교하게 위조한 지폐로, 진폐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품질을 자랑하며 북한이 주요 출처로 지목되고 이란, CIA 등의 연루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 지폐 - 교자 (지폐)
    교자는 송나라 시대 쓰촨 지방에서 철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처음 발행된 지폐로, 사영 기업에서 시작하여 정부가 관장하며 널리 사용되었으나, 과도한 발행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다른 화폐로 대체되었다.
  • 지폐 - 폴리머 지폐
    폴리머 지폐는 위조 방지 및 내구성을 위해 개발된 종이 외 소재 지폐로, 호주에서 처음 실용화되어 4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지만, 생산 비용이 높고 특정 조건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유리온 별자리

2. 역사

유리온 별자리는 1990년대 중반, 컴퓨터 기술 발달로 지폐 위조가 용이해짐에 따라 개발된 위조 방지 기술이다.[1] 일본오므론사가 1994년경 이 기술의 원형을 개발하고 관련 특허를 취득했으며,[2][5] 특정 패턴을 인쇄하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이를 감지하고 복사를 중단하도록 하는 원리이다.[1] '유리온 별자리'라는 이름은 2002년 컴퓨터 과학자 마르쿠스 쿤이 유로 지폐에서 발견한 패턴이 오리온자리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붙인 것이다.[3][4] 기술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2]

2. 1. 개발 배경

1990년대 중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컬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지폐 위조가 이전보다 쉬워지면서 새로운 위조 방지 기술의 필요성이 커졌다.[1] 이러한 배경 속에서 유리온의 원형이 되는 위조 감지 기술은 일본오므론1994년에 설계하고 개발했으며, 관련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다.[2]

이 기술은 발행처가 복사를 금지하는 인쇄물에 특정 무늬(유리온)를 넣어, 컬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해당 인쇄물을 쉽게 감지하여 복사를 중단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위조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1] 오므론은 기술적인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으며, 각국의 중앙 은행이나 인쇄국, 소프트웨어 및 복사기 제조사 등 특허 이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2]

2. 2. 오므론의 개발

유리온의 원형이 되는 위조 감지 기술은 일본의 전자 회사 오므론1994년경에 설계하고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에 대한 특허권은 오므론이 보유하고 있다. 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으며, 오므론은 각국의 중앙 은행이나 인쇄국, 소프트웨어 및 복사기 제조사 등 특허 이용자에게만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3. 유리온 별자리 명칭

'유리온 별자리'(EURion constellation)라는 이름은 보안 연구원 마르쿠스 쿤이 2002년 초에 만들었다. 그는 제록스 컬러 복사기가 특정 이미지가 포함된 지폐 복사를 거부하는 현상을 실험하던 중, 10 유로 지폐에서 이 패턴을 발견했다.[3]

이 패턴은 당시 공식적인 이름이 없었다. 쿤은 이 패턴의 배열이 천문학의 오리온자리(Orion constellation)와 유사하고, 유로(Euro) 통화의 ISO 4217 코드가 'EUR'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유리온(EURion) 별자리'라고 이름 붙였다. 이는 일종의 혼성어이다.[4]

이 기능에 공식적인 명칭이 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다른 이름으로 언급된 사례도 있다. 인도 준비 은행은 2005년 8월 보도 자료에서 "옴론 복사 방지 기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6] 2007년에는 지폐 수집가 협회의 시상 발표에서 "옴론 링"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7]

유리온 패턴과 이를 감지하는 알고리즘은 1994년 일본의 전자 회사 옴론에서 설계하고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련 특허는 1995년에 출원되었다.[5] 그러나 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으며, 옴론은 각국의 중앙 은행이나 인쇄국, 소프트웨어 및 복사기 제조사 등 특허 이용자에게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2]

3. 기술적 특징

유리온 별자리는 지폐와 같은 보안 인쇄물에 적용되는 위조 방지 기술이다.[4] 이는 특정 기하학적 패턴을 이용하여 컬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해당 인쇄물을 복사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3] 이 패턴은 보통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디자인 요소와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있으며, 관련 소프트웨어가 이 패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업을 중단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패턴의 구체적인 형태와 감지 원리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패턴 구성

유리온 별자리는 작고 노란색, 녹색 또는 주황색의 원 5개가 특정 기하학적 형태로 배열된 패턴을 기본 단위로 한다.[4] 이 패턴 단위는 지폐의 여러 부분에 다양한 방향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이 5개의 원 패턴이 인식되면 일부 컬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는 복사나 편집 처리를 중단하게 된다.[3]

일부 발행처에서는 이 패턴을 지폐의 다른 디자인 요소와 자연스럽게 통합시키기도 한다.

  • 과거 50마르크 지폐에서는 미세한 동심원 무늬의 가장 안쪽 원으로 사용되었다.
  • 이전 20파운드 지폐(엘가 도안)에서는 녹색 음표 머리 모양으로 나타났지만, 2007년 발행된 애덤 스미스 도안의 20파운드 지폐에서는 '£20' 글자 주변에 원들이 모여 있는 형태로 적용되었다.
  • 미국 달러 지폐(2004년 시리즈 이후)에서는 지폐 액면가를 나타내는 작은 노란색 숫자 '0'이 이 패턴의 원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5달러 지폐의 '05'나 20달러 지폐의 '20' 등 여러 개의 노란색 숫자 '0'들이 지폐 뒷면에 흩어져 배열되어 있다.
  • 일본 엔화 지폐에서는 원이 모양의 디자인 요소로 통합되기도 한다.
  • 대한민국 1,000원권 지폐(5차 시리즈)의 경우, 앞면 왼쪽 상단의 '보기' 글자 주변과 중앙 '천 원' 글자 배경에 그려진 매화 무늬의 일부로 유리온 패턴이 숨겨져 있다.

미국 20달러 지폐 뒷면의 노란색 숫자 '0'으로 구현된 유리온 패턴 (파란색 원으로 강조 표시)


앤드루 스티어(Andrew Steer)는 이 5개 원 패턴 내에서 각 원과 인접한 원 사이 거리의 제곱값이 간단한 정수비를 이루는 기하학적 특징이 있어,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패턴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한다고 분석했다.

3. 2. 감지 원리

발행처는 복사가 금지된 인쇄물에 유리온 별자리를 넣어,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나 컬러 복사기가 이를 쉽게 감지하고 복사를 막도록 한다. 이는 위조 방지에 도움이 된다.

보안 연구자 마르쿠스 쿤은 유리온 별자리에 대해 "5개의 작은 노란색, 녹색 또는 주황색 원형 무늬가 최소 단위이며, 이것들이 지폐 면에 다양한 방향으로 반복해서 그려진다. 단순한 5개의 원이지만 복사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컬러 복사를 막기에 충분하다."라고 설명했다. 이후 앤드루 스티어(Andrew Steer)는 어떤 원에서 인접한 다른 원까지 거리의 제곱값이 간단한 정수비를 이루는 특징이 있어,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유리온 별자리를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단서가 된다고 지적했다.

4. 적용 현황

유리온 별자리는 지폐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패턴 인식 기술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화폐 디자인에 이 기술을 도입하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통한 위조 시도를 막는 데 활용하고 있다.[2]

4. 1. 전 세계적 확산



유리온 별자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지폐 디자인에 널리 채택되었다. 발행처가 복사를 금지하는 인쇄물에 이 무늬를 부가함으로써,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나 컬러 복사기가 위조 시도를 쉽게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위조 방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 기술의 원형은 일본의 옴론사가 1994년에 설계 및 개발하여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다.[5] 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각국의 중앙 은행, 인쇄국, 관련 소프트웨어 및 복사기 제조사 등 특허 이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공개된다. "옴론 복사 방지 기능"이라는 용어는 인도 준비 은행의 2005년 보도 자료에 등장했으며,[6] 2007년에는 지폐 수집가 협회에서 "옴론 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7]

일부 은행은 유리온 별자리를 지폐 디자인에 자연스럽게 통합한다. 예를 들어, 과거 50 DM 독일 지폐에서는 미세한 동심원 배경 패턴의 일부로 사용되었고, 영국 엘가 £20 지폐에서는 녹색 음표 머리 모양으로 나타났다. 2007년 발행된 스미스 £20 지폐에서는 '£20' 텍스트 주변에 원들이 모여 있다. 일부 미국 달러 지폐에서는 액면가 숫자의 '0'이 작은 노란색 원 형태로 배열되어 유리온 별자리를 구성하며, 일본 엔 지폐에서는 꽃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대한민국 원 지폐에도 2006년 이후 발행된 모든 권종에 적용되어 있다.

다음 표는 유리온 별자리 또는 Omron 링이 발견된 일부 지폐 목록이다. 현재 발행되는 모든 지폐에 별자리를 사용하는 통화는 '''굵게''' 표시되어 있으며, 중앙은행 위조 방지 그룹(Central Bank Counterfeit Deterrence Group) 회원국의 통화는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

통화Omron 링이 있는 지폐Omron 링이 없는 지폐
아르메니아 드람1,000֏ (2001 및 2011), 5,000֏ (2003 및 2012), 10,000֏ (2003 및 2012), 20,000֏ (2007, 2009 및 2012), 100,000֏ (2009)20,000֏ 및 기념 50,000֏
'아루바 길더]모두 (2003 및 2019)
오스트리아 실링S 500 및 S 1,000 (1997)S 20, S 50, S 100 및 S 5,000
'호주 달러'모두 (2016년 이후), 연방 100주년 기념 5달러 (2001)[8]
벨기에 프랑500 프랑 (1998), 1,000 프랑 (1997), 10,000 프랑 (1997)100 프랑, 200 프랑, 2,000 프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환 마르크KM 200 (2002), 모두 (2012)50 페닝, KM 1, KM 5, KM 10, KM 20, KM 50, KM 100
'불가리아 레프'모두 (1999), 100 лв. (2018)
'캐나다 달러'캐나다 여정 (2001–2006) 및 프론티어 시리즈 (2011–2015) 지폐, "캐나다 150" 10달러 (2017), 10달러 ("2018 시리즈")
CFA 프랑모두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모두, 2003), 모두 (중앙아프리카, 2020)
칠레 페소1,000 페소 (2011) 2,000 페소 (2010) 5,000 페소 (2009), 10,000 페소 (2010), 20,000 페소 (2010)1,000 페소 및 2,000 페소 (구 버전)
중국 인민폐¥1 RMB (2004), ¥5 RMB 이상 2005년 개정판, ¥100 RMB (2015), ¥1 RMB, ¥10 RMB, ¥20 RMB 및 ¥50 RMB (2019), ¥5 RMB (2020)
코모로 프랑모두 (2005–2006)2,500 FC
크로아티아 쿠나5 kn., 10 kn., 20 kn. (2001), 50 kn., 100 kn. 및 200 kn. (2002)500 kn. 및 1,000 kn.
'체코 코루나'2,000 Kč. (2007), 1,000 Kč. (2008), 500 Kč. (2009), 5,000 Kč. (2009), 100 Kč. 및 200 Kč. (2018)100 Kč., 200 Kč. (2018년까지 발행)
'덴마크 크로네'모두 (1997, 2002 및 2009 시리즈)
지부티 프랑1,000 Fdj (2005), 2,000 Fdj (2008), 10,000 Fdj (2009)2,000 Fdj, 5,000 Fdj, 및 10,000 Fdj (지부티 국립은행 발행)
네덜란드 길더ƒ10 (1997)ƒ25, ƒ50, ƒ100, ƒ250, ƒ1,000
이집트 파운드£E 5 (2002), £E 10 (2003), £E 20 (2001), £E 50 (2001), £E 100 (2000), £E 200 (2007)25 PT., 50 PT., £E 1
유로모두 (2002 1차 시리즈 및 2013 "유로파" 시리즈)
'페로 제도 크로나'모두 (2001 및 2011)
프랑스 프랑100 F (1997)50 F, 200 F, 및 500 F
독일 마르크DM 50, DM 100, DM 200 (1996–2002)DM 5, DM 10, DM 20, DM 500, DM 1,000
가이아나 달러G$1,000 (2019)
'헝가리 포린트'모두 (2010 시리즈), 10,000 Ft. (2014), 20,000 Ft. (2015), 2,000 Ft. (2016), 5,000 Ft. (2016), 1,000 Ft. (2017), 500 Ft. (2018)
인도 루피50 루피 (2006 & 2017), 100 루피 (2005 & 2018), 500 루피 (2000 & 2016), 1,000 루피 (2000 ~ 2016년 폐지), 2,000 루피 (2016 ~ 2023년, 인쇄 중단)5 루피, 10 루피, 20 루피, 50 루피 (2006년 이전), 1차 발행 100 루피 (1996) 및 500 루피 (1997)
'인도네시아 루피아'Rp 10,000 (2010), Rp 20,000, Rp 50,000, Rp 100,000 (2011); 모두 (2016년 12월 19일 및 2022년 8월 17일 시리즈)Rp 1,000 (1952-2016), Rp 2,000 (2009-2016), Rp 5,000 (1958-2016), Rp 10,000 (1964-2009), Rp 20,000 (1992-2010), Rp 50,000 (1993-2010), Rp 100,000 (1999-2010)
'일본 엔'¥2,000 (D 시리즈, 2000), E 시리즈 (2004), F 시리즈 (2024); ¥1,000 (F 시리즈, 2011~현재)
'키르기스스탄 솜'모두 (2009–2010)
쿠웨이트 디나르모두 (2014)
마카오 파타카중국은행: 모두 (2003년 12월 8일)

4. 2. 대한민국 지폐 적용

유리온 별자리는 발행처가 복사를 금지하고자 하는 인쇄물에 추가하는 특수한 무늬이다. 컬러 복사기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이 무늬를 감지하면 복사를 중단하도록 설계되어 위조 방지에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원화 지폐 중에서는 1,000원권(다섯 번째 시리즈) 앞면에 유리온 별자리가 사용되었다. 지폐 앞면 왼쪽 상단의 '보기' 글자 주변과 중앙 하단 '천 원' 글자의 배경에 그려진 매화 무늬에 이 별자리가 포함되어 있다.

4. 3. 기타 국가

다음 표는 EURion 별자리 또는 Omron 링이 발견된 일부 지폐를 나열한다. 현재 모든 최근 지폐에서 별자리를 사용하는 통화는 '''굵게''' 표시되어 있으며 중앙은행 위조 방지 그룹(Central Bank Counterfeit Deterrence Group)의 회원인 통화는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

통화Omron 링이 있는 지폐Omron 링이 없는 지폐
아르메니아 드람1,000֏ (2001, 2011), 5,000֏ (2003, 2012), 10,000֏ (2003, 2012), 20,000֏ (2007, 2009, 2012), 100,000֏ (2009)20,000֏ 및 기념 50,000֏
'아루바 길더]모두 (2003, 2019)
오스트리아 실링S 500 및 S 1,000 (1997)S 20, S 50, S 100 및 S 5,000
'호주 달러'모두 (2016년 이후), 연방 100주년 기념 5달러 (2001)[8]
벨기에 프랑500 프랑 (1998), 1,000 프랑 (1997), 10,000 프랑 (1997)100 프랑, 200 프랑, 2,000 프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환 마르크KM 200 (2002), 모두 (2012)50 페닝, KM 1, KM 5, KM 10, KM 20, KM 50, KM 100
'불가리아 레프'모두 (1999), 100 лв. (2018)
'캐나다 달러'캐나다 여정 (2001–2006) 및 프론티어 시리즈 (2011–2015) 지폐, "캐나다 150" 10달러 (2017), 10달러 ("2018 시리즈")
CFA 프랑모두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모두, 2003), 모두 (중앙아프리카, 2020)
칠레 페소1,000달러 (2011) 2,000달러 (2010) 5,000달러 (2009), 10,000달러 (2010), 20,000달러 (2010)1,000달러 및 2,000달러 (구 버전)
중국 인민폐¥1 RMB (2004), ¥5 RMB 이상 2005년 개정판, ¥100 RMB (2015), ¥1 RMB, ¥10 RMB, ¥20 RMB 및 ¥50 RMB (2019), ¥5 RMB (2020)
코모로 프랑모두 (2005–2006)2,500 FC
크로아티아 쿠나5 kn., 10 kn., 20 kn. (2001), 50 kn., 100 kn. 및 200 kn. (2002)500 kn. 및 1,000 kn.
'체코 코루나'2,000 Kč. (2007), 1,000 Kč. (2008), 500 Kč. (2009), 5,000 Kč. (2009), 100 Kč. 및 200 Kč. (2018)100 Kč., 200 Kč. (2018년까지 발행)
'덴마크 크로네'모두 (1997, 2002 및 2009 시리즈)
지부티 프랑1,000 Fdj (2005), 2,000 Fdj (2008), 10,000 Fdj (2009)2,000 Fdj, 5,000 Fdj, 및 10,000 Fdj (지부티 국립은행 발행)
네덜란드 길더ƒ10 (1997)ƒ25, ƒ50, ƒ100, ƒ250, ƒ1,000
이집트 파운드£E 5 (2002), £E 10 (2003), £E 20 (2001), £E 50 (2001), £E 100 (2000), £E 200 (2007)25 PT., 50 PT., £E 1
유로모두 (2002 1차 시리즈 및 2013 "유로파" 시리즈)
'페로 제도 크로나'모두 (2001 및 2011)
프랑스 프랑100 F (1997)50 F, 200 F, 및 500 F
독일 마르크DM 50, DM 100, DM 200 (1996–2002)DM 5, DM 10, DM 20, DM 500, DM 1,000
가이아나 달러G$1,000 (2019)
'헝가리 포린트'모두 (2010 시리즈), 10,000 Ft. (2014), 20,000 Ft. (2015), 2,000 Ft. (2016), 5,000 Ft. (2016), 1,000 Ft. (2017), 500 Ft. (2018)
인도 루피50루피 (2006, 2017), 100루피 (2005, 2018), 500루피 (2000, 2016), 1,000루피 (2000 ~ 2016년 폐지), 2,000루피 (2016 ~ 2023년 인쇄 중단)5루피, 10루피, 20루피, 50루피 (2006년 이전), 1차 발행 100루피 (1996) 및 500루피 (1997)
'인도네시아 루피아'Rp10,000 (2010), Rp20,000, Rp50,000, Rp100,000 (2011); 모두 (2016년 12월 19일 및 2022년 8월 17일 시리즈)Rp1,000 (1952-2016), Rp2,000 (2009-2016), Rp5,000 (1958-2016), Rp10,000 (1964-2009), Rp20,000 (1992-2010), Rp50,000 (1993-2010), Rp100,000 (1999-2010)
'일본 엔'¥2,000 (D 시리즈, 2000), E 시리즈 (2004), F 시리즈 (2024); ¥1,000 (F 시리즈, 2011~현재)
'키르기스스탄 솜'모두 (2009–2010)
쿠웨이트 디나르모두 (2014)
마카오 파타카중국은행: 모두 (2003년 12월 8일)

5. 다른 위조 방지 기술과의 관계

유리온 별자리는 지폐 자체에 적용되는 물리적인 위조 방지 기술 중 하나이다. 이와 별개로,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 등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위조 방지 장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위조 방지 시스템(CDS)과 디지털 워터마크 기술이 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가 특정 지폐 이미지를 인식하고 복제를 제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은 유리온 별자리 패턴을 직접 감지하는 것과는 다른 원리로 작동한다.

5. 1. 위조 방지 시스템 (CDS)

어도비 포토샵에서 20달러 지폐 이미지 인쇄 시 나타나는 CDS 오류 메시지.


2003년부터 어도비 포토샵 CS나 페인트샵 프로 8과 같은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는 특정 지폐 이미지의 편집이나 인쇄를 거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미국의 IT 전문지 와이어드에 따르면,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탑재된 지폐 감지 코드인 위조 방지 시스템(Counterfeit Deterrence System, '''CDS''')은 중앙 은행 위조 방지 그룹이 개발하여 어도비와 같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바이너리 모듈 형태로 제공되었다.[12][16][17]

보안 연구자인 스티븐 머독 등의 실험 결과, 이 위조 방지 시스템(CDS)은 유리온 패턴 자체를 인식하는 방식이 아니라, 디지마크사가 개발하여 지폐 이미지에 삽입된 디지털 워터마크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14][18]

5. 2. 디지털 워터마크



2003년부터 어도비 포토샵 CS나 페인트샵 프로 8과 같은 일부 이미지 편집기는 특정 지폐 이미지의 편집이나 인쇄를 거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와이어드(Wired.com)에 따르면, 이러한 기능은 위조 방지 시스템(Counterfeit Deterrence System, CDS)이라는 코드에 의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중앙 은행 위조 방지 그룹(Central Bank Counterfeit Deterrence Group)이 개발하여 어도비와 같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바이너리 모듈 형태로 제공한 것이다.[12][16][17]

스티븐 머독(Steven J. Murdoch) 등의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CDS가 유리온 별자리 패턴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냈다.[13] 대신, 이 시스템은 디지마크(Digimarc)사가 개발한 디지털 워터마크가 지폐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4][18] 즉,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디지털 워터마크가 소프트웨어로 하여금 해당 이미지가 지폐임을 인식하고 복제를 막도록 하는 핵심 기술인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banknotes https://regulaforens[...] www.regulaforensics.com 2009-01-01
[2] 웹사이트 The secret codes of British banknotes https://www.bbc.com/[...] 2015-06-25
[3] 간행물 The EURion constellation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2002-02-08
[4] 웹사이트 What Happens If You Photocopy Money? https://omscopiers.c[...] null
[5] 특허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input image, and copier scanner and printer including same Omron Corporation
[6] 뉴스 "Issue of Rs.50 denomination banknotes in Mahatma Gandhi Series with additional/new security features without inset letter in numbering panel bearing the signature of Dr. Y. V. Reddy, Governor" http://www.rbi.org.i[...] Reserve Bank of India 2005-08-24
[7] 뉴스 "2007 Bank Note of the Year award: 1,000-franc note from Comoros" http://www.theibns.o[...] International Bank Note Society 2007-10-15
[8] 웹사이트 RBA Banknotes: Next Generation Banknote Program https://banknotes.rb[...] 2016-04-12
[9]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Myanmar issuing new 1,000-kyat bank note https://www.coinworl[...] 2020-06-19
[10] 뉴스 Myanmar new 500-kyat note (B118.5a) reported for introduction on 19.07.2020 https://banknotenews[...] BanknoteNews 2020-06-21
[11] 웹사이트 Geheimnisvoller Kopierschutz – Weshalb kann man Banknoten nicht kopieren? https://www.srf.ch/s[...] 2019-11-25
[12] 잡지 Currency Detector Easy to Defeat http://archive.wired[...] 2004-01-14
[13] 웹사이트 Software Detection of Currency https://murdoch.is/p[...] murdoch.is 2004-06-13
[14] 문서 Counterfeit Deterrence System Development and License Agreement https://www.sec.gov/[...] Digimarc 1999-11-24
[15] 웹사이트 Glossary of banknotes https://regulaforens[...] Regula 2021-06-15
[16] 웹사이트 G10中央銀行総裁によるプレス・リリース(仮訳) https://www.boj.or.j[...] 日本銀行発券局 2004-03-09
[17] 웹사이트 Currency Detector Easy to Defeat http://archive.wired[...] WIRED 2004-01-14
[18] 웹사이트 Software Detection of Currency https://murdoch.is/p[...]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