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소사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토소사대는 에도 막부가 교토의 치안 유지, 황실 감시, 서일본 다이묘 감시 등을 위해 설치한 부서이다.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 1명이 임명되었으며,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의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민정 총괄 등의 권한을 가졌다. 겐로쿠 시대 이후 권한이 축소되었으며, 막말에는 교토 수호직이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소사대는 마쓰다이라 사다아키였으며, 왕정복고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교토 - 후시미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한 후시미성은 한때 권세를 상징했으나 지진과 일국일성령으로 파괴 및 폐성되었고, 현재는 일부 성터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각과 함께 남아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교토 - 주라쿠다이
주라쿠다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한 호화로운 저택이자 성곽으로,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할복 이후 철거되었고 현재는 터와 유물이 남아있다. - 에도 시대 교토 - 후시미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한 후시미성은 한때 권세를 상징했으나 지진과 일국일성령으로 파괴 및 폐성되었고, 현재는 일부 성터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각과 함께 남아있다. - 에도 시대 교토 - 요도번
요도번은 1623년 마쓰다이라 씨가 입봉하며 시작되어 나가이 씨, 이시카와 씨, 마쓰다이라 씨를 거쳐 이나바 씨가 번주를 역임하며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진 야마시로국 요도의 번으로, 이나바 씨는 10만 2천 석의 영지를 다스렸고 마지막 번주 이나바 마사쿠니는 막부 말기 로주를 지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정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다 정권을 계승하여 전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으나, 임진왜란 실패와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오다 정권
오다 정권은 오다 노부나가가 무로마치 막부 멸망 후 구축한 중앙 집권적 정치 권력으로, 도요토미 정권과 에도 막부로 이어지는 근세 일본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노부나가 사후 혼란기를 거쳐 도요토미 정권에 흡수되었다.
교토소사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직책 |
설치 | 게이초 6년 (1601년) |
폐지 | 게이오 3년 (1867년) 12월 25일 (1868년 1월 19일) |
소재지 | 교토 |
관직 정보 | |
직무 | 교토의 방위, 조정 감시, 서국 다이묘 통제 |
역사 | |
창설 배경 | 도요토미 정권 붕괴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후시미성에 머물며 조정과 서국 다이묘를 감시할 필요성이 커짐 |
초기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신을 임명하여 후시미성에 배치, 조정 감시 및 서국 다이묘 통제 시작 |
게이초 6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후시미성에서 니조성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교토 소시다이 설치, 초대 소시다이에 오쿠보 나가야스 임명 |
초기 임무 | 교토의 방위, 조정 감시, 서국 다이묘 통제 |
후기 임무 | 교토 시정, 조정, 사찰, 신사에 대한 감찰 |
변화 | 점차 간무리지샤의 샤료, 지샤부교 관할 사찰과 신사 이외의 사찰과 신사에 대한 감찰 담당 |
폐지 | 보신 전쟁 직전 왕정복고로 폐지 |
역대 소시다이 | |
초대 | 오쿠보 나가야스 |
말대 | 마쓰다이라 사다노리 |
2. 교토쇼시다이의 역사
京都所司代일본어는 에도 시대 에도 막부가 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직책이다. 가마쿠라 막부의 로쿠하라 탄다이, 무로마치 막부의 쇼시다이(사무라이도코로 휘하, 교토 치안 담당)를 본떠 설치되었다.
정원은 1명으로,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역료 1만 석이 지급되고 요리키 30기(후에 50기)와 도신 100명이 배속되었다. 교토 통치, 조정·궁가(公家) 감찰, 서일본 다이묘 감시, 오키나이 및 오미, 탄바, 하리마 8개 국의 민정을 총괄했다. 특히 초기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등 역대 쇼군이 자주 상락하여 쇼시다이 체제와 쇼군 상락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교토쇼시다이 관청과 거처는 니조 성 북쪽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었으며, 니조 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지배하의 교토와 그 주변 행정을 위해 교토 군다이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시내를 담당하는 교토 마치부교와 주변부 및 황실령·공가령을 관리하는 교토 다이칸으로 분리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을 교토 마치부교에게 넘겨주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 결과,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자립성이 부정되고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15] 이후 지샤부교, 소자반 등을 역임한 후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여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통과점이 되었고, 지위만 높아져 막정상의 정치력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 때문에 막말에는 쇼시다이의 무력함이 지적되었으며, 교토 수호직이 그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사다노리는 교토 수호직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친동생으로, 지샤부교나 소자반 등을 전혀 역임하지 않고 교토 쇼시다이로 임명된 이례적인 인사였다.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교토 수호직과 함께 교토 쇼시다이 폐지가 선언되었다.
교토쇼시다이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 및 막부와 황실 간의 관계 유지.[5]
- 다이묘가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6]
- 황실 재정 감독, 천황 신변 안전 보장, 조정 안전 보호.[6]
-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정책 수립.[7]
- 재위 중인 군주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 천황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9]
- 반역, 반란 등 은밀한 출처를 발견하고 보고하는 첩자 네트워크 지휘.[10]
-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및 기타 임무 수행.[9][11]
- 교토 시정, 교토 부지사(다이칸), 니조 성 관리, 나라와 후시미 시정 관리자들을 지휘.[6]
- 소송 심리 및 모든 사찰과 신사 감독.[6]
- 순경(요리키)과 경찰관(도신)[12] 부대 지휘.[11]
- 행정 업무 외 쇼시다이 의례 행사 참여는 막부 권력과 영향력 강화.
일반적인 승진 경로는 오사카 지사(주다이)에서 교토 쇼시다이, 로주(막부 통치 위원회 위원)로 가는 것이었다.[11] 쇼시다이는 자신의 영지에서 얻는 수입 외 연간 10,000코쿠를 벌었다.[4]
1862년 9월, 교토 슈고쇼쿠라는 거의 동등한 직책이 동시에 창설되었는데, 이는 고부 갓타이(황실(公)과 도쿠가와(무, 武) 가문 통합) 파벌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2. 1. 초기 교토쇼시다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다 노부나가가 1568년(에이로쿠 11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교토에 상락하고 교토를 지배하에 두었을 때, 무로마치 막부의 기구를 답습하여 가신 무라이 사다카쓰를 교토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기관이다.[1]1582년(덴쇼 10년) 6월 2일, 사다카쓰는 아케치 미쓰히데가 노부나가를 살해한 혼노지의 변 때, 노부나가의 적남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에서 사망했다.[1]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교토를 지배했을 때 구와바라 사다나리, 스기하라 이에쓰구, 아사노 나가마사(이들은 모두 1582년(덴쇼 10년)부터 1583년(덴쇼 11년)까지 단기간 재임)가, 그 후에는 마에다 겐이가 교토 쇼시다이를 맡았다.[1]
1595년(분로쿠 4년), 이시다 미쓰나리와 마시타 나가모리 두 명이 추가되었다(같은 해 8월 고노에 노부스케에게 보낸 고노에 사키히사 서간 · 요메이 문고 소장). 이들은 무로마치 막부의 직명을 답습한 것이다.[1]
2. 2. 에도 막부의 교토쇼시다이

에도 시대 에도 막부가 설치한 교토쇼시다이는 교토의 치안 유지를 담당한 막부의 부서이다. 가마쿠라 막부의 로쿠하라 탄다이, 무로마치 막부의 쇼시다이(사무라이도코로 휘하, 교토 치안 담당)를 본떠 설치되었다.
정원은 1명으로,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역료 1만 석이 지급되고 요리키 30기(후에 50기)와 도신 100명이 부속되었다. 교토 통치, 조정·공가 감찰, 서일본 다이묘 감시, 오키나이 및 오미, 탄바, 하리마 8개 국의 민정을 총괄했다. 특히 초기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등 역대 쇼군이 자주 상락하여 쇼시다이 체제와 쇼군 상락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교토쇼시다이 관청과 거처는 니조 성 북쪽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었으며, 니조 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지배하의 교토와 그 주변 행정을 위해 교토 군다이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시내를 담당하는 교토 마치부교와 주변부 및 황실령·공가령을 관리하는 교토 다이칸으로 분리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을 교토 마치부교에게 넘겨주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 결과,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자립성이 부정되고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단, 이 재편의 현지 책임자는 당시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다다치카였으며, 실제 쇼시다이 권한 축소는 다다치카가 로주로 전임한 1725년 이후로 추측된다[15]).
이후 지샤부교, 소자반 등을 역임한 후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여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통과점이 되었고, 지위만 높아져 막정상의 정치력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 때문에 막말에는 쇼시다이의 무력함이 지적되었으며, 교토 수호직이 그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사다노리는 교토 수호직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친동생으로, 지샤부교나 소자반 등을 전혀 역임하지 않고 교토 쇼시다이로 임명된 이례적인 인사였다.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교토 수호직과 함께 교토 쇼시다이 폐지가 선언되었다.
'''교토쇼시다이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 및 막부와 황실 간의 관계 유지.[5]
- 다이묘가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6]
- 황실 재정 감독, 천황 신변 안전 보장, 조정 안전 보호.[6]
-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정책 수립.[7]
- 재위 중인 군주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 천황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9]
- 반역, 반란 등 은밀한 출처를 발견하고 보고하는 첩자 네트워크 지휘.[10]
-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및 기타 임무 수행.[9][11]
- 교토 시정, 교토 부지사(다이칸), 니조 성 관리, 나라와 후시미 시정 관리자들을 지휘.[6]
- 소송 심리 및 모든 사찰과 신사 감독.[6]
- 순경(요리키)과 경찰관(도신)[12] 부대 지휘.[11]
- 행정 업무 외 쇼시다이 의례 행사 참여는 막부 권력과 영향력 강화.
일반적인 승진 경로는 오사카 지사(주다이)에서 교토 쇼시다이, 로주(막부 통치 위원회 위원)로 가는 것이었다.[11] 쇼시다이는 자신의 영지에서 얻는 수입 외 연간 10,000코쿠를 벌었다.[4]
1862년 9월, 교토 슈고쇼쿠라는 거의 동등한 직책이 동시에 창설되었는데, 이는 고부 갓타이(황실(公)과 도쿠가와(무, 武) 가문 통합) 파벌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3. 역대 교토쇼시다이 목록
1568년(에이로쿠 11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상락하고 교토를 지배했을 때, 무로마치 막부의 기구를 답습하여 가신인 무라이 사다카쓰를 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하였다.
덴쇼 10년 6월 2일, 사다카쓰는 아케치 미쓰히데가 노부나가를 살해한 혼노지의 변 때, 노부나가의 적남인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에서 사망했다.
노부나가의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교토를 지배했을 때는 쿠와바라 사다나리, 스기하라 이에쓰구, 아사노 나가마사(이 3명은 모두 1582년 (덴쇼 10년)부터 1583년 (덴쇼 11년)까지 단기간 재임)가, 그 후에는 마에다 겐이가 교토 쇼시다이를 맡았다.
분로쿠 4년에는 이시다 미쓰나리와 마시타 나가모리 두 명이 추가되었다(같은 해 8월 고노에 노부스케 앞으로의 고노에 사키히사 서간 · 요메이 문고 소장). 이들은 무로마치 막부의 직명을 답습한 것이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역대 교토쇼시다이는 다음과 같다.
3. 1. 역대 교토쇼시다이 (에도 시대)
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이에쓰나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도쿠가와 이에쓰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요시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