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토소사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토소사대는 에도 막부가 교토의 치안 유지, 황실 감시, 서일본 다이묘 감시 등을 위해 설치한 부서이다.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 1명이 임명되었으며,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의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민정 총괄 등의 권한을 가졌다. 겐로쿠 시대 이후 권한이 축소되었으며, 막말에는 교토 수호직이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소사대는 마쓰다이라 사다아키였으며, 왕정복고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교토 - 후시미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한 후시미성은 한때 권세를 상징했으나 지진과 일국일성령으로 파괴 및 폐성되었고, 현재는 일부 성터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각과 함께 남아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교토 - 주라쿠다이
    주라쿠다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한 호화로운 저택이자 성곽으로,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할복 이후 철거되었고 현재는 터와 유물이 남아있다.
  • 에도 시대 교토 - 후시미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한 후시미성은 한때 권세를 상징했으나 지진과 일국일성령으로 파괴 및 폐성되었고, 현재는 일부 성터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각과 함께 남아있다.
  • 에도 시대 교토 - 요도번
    요도번은 1623년 마쓰다이라 씨가 입봉하며 시작되어 나가이 씨, 이시카와 씨, 마쓰다이라 씨를 거쳐 이나바 씨가 번주를 역임하며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진 야마시로국 요도의 번으로, 이나바 씨는 10만 2천 석의 영지를 다스렸고 마지막 번주 이나바 마사쿠니는 막부 말기 로주를 지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정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다 정권을 계승하여 전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으나, 임진왜란 실패와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오다 정권
    오다 정권은 오다 노부나가가 무로마치 막부 멸망 후 구축한 중앙 집권적 정치 권력으로, 도요토미 정권과 에도 막부로 이어지는 근세 일본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노부나가 사후 혼란기를 거쳐 도요토미 정권에 흡수되었다.
교토소사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직책
설치게이초 6년 (1601년)
폐지게이오 3년 (1867년) 12월 25일 (1868년 1월 19일)
소재지교토
관직 정보
직무교토의 방위, 조정 감시, 서국 다이묘 통제
역사
창설 배경도요토미 정권 붕괴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후시미성에 머물며 조정과 서국 다이묘를 감시할 필요성이 커짐
초기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신을 임명하여 후시미성에 배치, 조정 감시 및 서국 다이묘 통제 시작
게이초 6년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후시미성에서 니조성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교토 소시다이 설치, 초대 소시다이에 오쿠보 나가야스 임명
초기 임무교토의 방위, 조정 감시, 서국 다이묘 통제
후기 임무교토 시정, 조정, 사찰, 신사에 대한 감찰
변화점차 간무리지샤의 샤료, 지샤부교 관할 사찰과 신사 이외의 사찰과 신사에 대한 감찰 담당
폐지보신 전쟁 직전 왕정복고로 폐지
역대 소시다이
초대오쿠보 나가야스
말대마쓰다이라 사다노리

2. 교토쇼시다이의 역사

京都所司代일본어에도 시대 에도 막부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직책이다. 가마쿠라 막부의 로쿠하라 탄다이, 무로마치 막부의 쇼시다이(사무라이도코로 휘하, 교토 치안 담당)를 본떠 설치되었다.

정원은 1명으로,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역료 1만 석이 지급되고 요리키 30기(후에 50기)와 도신 100명이 배속되었다. 교토 통치, 조정·궁가(公家) 감찰, 서일본 다이묘 감시, 오키나이 및 오미, 탄바, 하리마 8개 국의 민정을 총괄했다. 특히 초기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등 역대 쇼군이 자주 상락하여 쇼시다이 체제와 쇼군 상락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교토쇼시다이 관청과 거처는 니조 성 북쪽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었으며, 니조 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지배하의 교토와 그 주변 행정을 위해 교토 군다이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시내를 담당하는 교토 마치부교와 주변부 및 황실령·공가령을 관리하는 교토 다이칸으로 분리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을 교토 마치부교에게 넘겨주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 결과,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자립성이 부정되고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15] 이후 지샤부교, 소자반 등을 역임한 후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여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통과점이 되었고, 지위만 높아져 막정상의 정치력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 때문에 막말에는 쇼시다이의 무력함이 지적되었으며, 교토 수호직이 그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사다노리는 교토 수호직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친동생으로, 지샤부교나 소자반 등을 전혀 역임하지 않고 교토 쇼시다이로 임명된 이례적인 인사였다.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교토 수호직과 함께 교토 쇼시다이 폐지가 선언되었다.

교토쇼시다이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 및 막부와 황실 간의 관계 유지.[5]
  • 다이묘가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6]
  • 황실 재정 감독, 천황 신변 안전 보장, 조정 안전 보호.[6]
  •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정책 수립.[7]
  • 재위 중인 군주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 천황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9]
  • 반역, 반란 등 은밀한 출처를 발견하고 보고하는 첩자 네트워크 지휘.[10]
  •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및 기타 임무 수행.[9][11]
  • 교토 시정, 교토 부지사(다이칸), 니조 성 관리, 나라와 후시미 시정 관리자들을 지휘.[6]
  • 소송 심리 및 모든 사찰과 신사 감독.[6]
  • 순경(요리키)과 경찰관(도신)[12] 부대 지휘.[11]
  • 행정 업무 외 쇼시다이 의례 행사 참여는 막부 권력과 영향력 강화.


일반적인 승진 경로는 오사카 지사(주다이)에서 교토 쇼시다이, 로주(막부 통치 위원회 위원)로 가는 것이었다.[11] 쇼시다이는 자신의 영지에서 얻는 수입 외 연간 10,000코쿠를 벌었다.[4]

1862년 9월, 교토 슈고쇼쿠라는 거의 동등한 직책이 동시에 창설되었는데, 이는 고부 갓타이(황실(公)과 도쿠가와(무, 武) 가문 통합) 파벌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2. 1. 초기 교토쇼시다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다 노부나가1568년(에이로쿠 11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교토에 상락하고 교토를 지배하에 두었을 때, 무로마치 막부의 기구를 답습하여 가신 무라이 사다카쓰를 교토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기관이다.[1]

1582년(덴쇼 10년) 6월 2일, 사다카쓰는 아케치 미쓰히데가 노부나가를 살해한 혼노지의 변 때, 노부나가의 적남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에서 사망했다.[1]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교토를 지배했을 때 구와바라 사다나리, 스기하라 이에쓰구, 아사노 나가마사(이들은 모두 1582년(덴쇼 10년)부터 1583년(덴쇼 11년)까지 단기간 재임)가, 그 후에는 마에다 겐이가 교토 쇼시다이를 맡았다.[1]

1595년(분로쿠 4년), 이시다 미쓰나리마시타 나가모리 두 명이 추가되었다(같은 해 8월 고노에 노부스케에게 보낸 고노에 사키히사 서간 · 요메이 문고 소장). 이들은 무로마치 막부의 직명을 답습한 것이다.[1]

2. 2. 에도 막부의 교토쇼시다이

『낙중낙외도』(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에 그려진 게이초기 니조 성의 오른편(북)에 있는 쇼시다이 저택. 쇼시다이 이타쿠라 가쓰시게가 공사를 하고 있다.


에도 시대 에도 막부가 설치한 교토쇼시다이는 교토의 치안 유지를 담당한 막부의 부서이다. 가마쿠라 막부의 로쿠하라 탄다이, 무로마치 막부의 쇼시다이(사무라이도코로 휘하, 교토 치안 담당)를 본떠 설치되었다.

정원은 1명으로,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역료 1만 석이 지급되고 요리키 30기(후에 50기)와 도신 100명이 부속되었다. 교토 통치, 조정·공가 감찰, 서일본 다이묘 감시, 오키나이 및 오미, 탄바, 하리마 8개 국의 민정을 총괄했다. 특히 초기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등 역대 쇼군이 자주 상락하여 쇼시다이 체제와 쇼군 상락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교토쇼시다이 관청과 거처는 니조 성 북쪽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었으며, 니조 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지배하의 교토와 그 주변 행정을 위해 교토 군다이가 설치되었지만, 후에 시내를 담당하는 교토 마치부교와 주변부 및 황실령·공가령을 관리하는 교토 다이칸으로 분리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을 교토 마치부교에게 넘겨주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 결과,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자립성이 부정되고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단, 이 재편의 현지 책임자는 당시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다다치카였으며, 실제 쇼시다이 권한 축소는 다다치카가 로주로 전임한 1725년 이후로 추측된다[15]).

이후 지샤부교, 소자반 등을 역임한 후 교토 쇼시다이에 취임하여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통과점이 되었고, 지위만 높아져 막정상의 정치력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 때문에 막말에는 쇼시다이의 무력함이 지적되었으며, 교토 수호직이 그 상위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마지막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사다노리는 교토 수호직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친동생으로, 지샤부교나 소자반 등을 전혀 역임하지 않고 교토 쇼시다이로 임명된 이례적인 인사였다. 왕정복고 대호령으로 교토 수호직과 함께 교토 쇼시다이 폐지가 선언되었다.

'''교토쇼시다이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 및 막부와 황실 간의 관계 유지.[5]
  • 다이묘가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6]
  • 황실 재정 감독, 천황 신변 안전 보장, 조정 안전 보호.[6]
  •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정책 수립.[7]
  • 재위 중인 군주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 천황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9]
  • 반역, 반란 등 은밀한 출처를 발견하고 보고하는 첩자 네트워크 지휘.[10]
  •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 총독으로서 세금 징수 및 기타 임무 수행.[9][11]
  • 교토 시정, 교토 부지사(다이칸), 니조 성 관리, 나라와 후시미 시정 관리자들을 지휘.[6]
  • 소송 심리 및 모든 사찰과 신사 감독.[6]
  • 순경(요리키)과 경찰관(도신)[12] 부대 지휘.[11]
  • 행정 업무 외 쇼시다이 의례 행사 참여는 막부 권력과 영향력 강화.


일반적인 승진 경로는 오사카 지사(주다이)에서 교토 쇼시다이, 로주(막부 통치 위원회 위원)로 가는 것이었다.[11] 쇼시다이는 자신의 영지에서 얻는 수입 외 연간 10,000코쿠를 벌었다.[4]

1862년 9월, 교토 슈고쇼쿠라는 거의 동등한 직책이 동시에 창설되었는데, 이는 고부 갓타이(황실(公)과 도쿠가와(무, 武) 가문 통합) 파벌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3. 역대 교토쇼시다이 목록

1568년(에이로쿠 11년), 오다 노부나가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상락하고 교토를 지배했을 때, 무로마치 막부의 기구를 답습하여 가신인 무라이 사다카쓰를 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하였다.

덴쇼 10년 6월 2일, 사다카쓰는 아케치 미쓰히데가 노부나가를 살해한 혼노지의 변 때, 노부나가의 적남인 오다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에서 사망했다.

노부나가의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교토를 지배했을 때는 쿠와바라 사다나리, 스기하라 이에쓰구, 아사노 나가마사(이 3명은 모두 1582년 (덴쇼 10년)부터 1583년 (덴쇼 11년)까지 단기간 재임)가, 그 후에는 마에다 겐이가 교토 쇼시다이를 맡았다.

분로쿠 4년에는 이시다 미쓰나리마시타 나가모리 두 명이 추가되었다(같은 해 8월 고노에 노부스케 앞으로의 고노에 사키히사 서간 · 요메이 문고 소장). 이들은 무로마치 막부의 직명을 답습한 것이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역대 교토쇼시다이는 다음과 같다.

3. 1. 역대 교토쇼시다이 (에도 시대)

도쿠가와 히데타다3이타쿠라 시게무네1619년 - 1654년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이에쓰나이타쿠라 가쓰시게의 아들, 역대 최장 기간 재임4마키노 지카시게1654년 - 1668년도쿠가와 이에쓰나세키야도의 다이묘5이타쿠라 시게노리1668년 - 1670년도쿠가와 이에쓰나이타쿠라 가쓰시게의 손자; 미카와나카지마의 다이묘6나가이 나오쓰네1670년 - 1677년도쿠가와 이에쓰나7도다 다다마사1678년 - 1681년도쿠가와 이에쓰나
도쿠가와 쓰나요시8이나바 마사미치1681년 - 1685년도쿠가와 쓰나요시오다와라의 다이묘9쓰치야 마사나오1685년 - 1687년도쿠가와 쓰나요시10나이토 시게요리1687년 - 1690년도쿠가와 쓰나요시11마쓰다이라 노부오키1690년 - 1691년도쿠가와 쓰나요시12오가사와라 나가시게1691년 - 1697년도쿠가와 쓰나요시요시다의 다이묘13마쓰다이라 노부쓰네1697년 - 1714년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도쿠가와 이에쓰구14미즈노 다다유키1714년 - 1717년도쿠가와 이에쓰구
도쿠가와 요시무네오카자키의 다이묘15마쓰다이라 다다치카1717년 - 1724년도쿠가와 요시무네우에다의 다이묘16마키노 히데시게1724년 - 1734년도쿠가와 요시무네다나베의 다이묘17도키 요리토시1734년 - 1742년도쿠가와 요시무네18마키노 사다미치1742년 - 1749년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가사마의 다이묘19마쓰다이라 스케쿠니1749년 - 1752년도쿠가와 이에시게하마마쓰의 다이묘20사카이 다다모치1752년 - 1756년도쿠가와 이에시게오바마의 다이묘21마쓰다이라 데루타카1756년 - 1758년도쿠가와 이에시게다카사키의 다이묘22이노우에 마사쓰네1758년 - 1760년도쿠가와 이에시게하마마쓰의 다이묘23아베 마사스케1760년 - 1764년도쿠가와 이에하루후쿠야마의 다이묘24아베 마사치카1764년 - 1768년도쿠가와 이에하루오시의 다이묘25도이 도시사토1769년 - 1777년도쿠가와 이에하루코가의 다이묘26구제 히로아키라1777년 - 1781년도쿠가와 이에하루세키야도의 다이묘27마키노 사다나가1781년 - 1784년도쿠가와 이에하루마키노 사다미치의 아들; 가사마의 다이묘28도다 다다토1784년 - 1789년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우쓰노미야의 다이묘29오타 스케요시1789년 - 1792년도쿠가와 이에나리가케가와의 다이묘30홋타 마사나리1792년 - 1798년도쿠가와 이에나리사쿠라의 다이묘31마키노 다다키요1798년 - 1801년도쿠가와 이에나리나가오카의 다이묘32도이 도시아쓰1801년 - 1802년도쿠가와 이에나리코가의 다이묘33아오야마 다다히로1802년 - 1804년도쿠가와 이에나리도이 도시사토의 사위; 사사야마의 다이묘34이나바 마사노부1804년 - 1806년도쿠가와 이에나리요도의 다이묘35아베 마사요시1806년 - 1808년도쿠가와 이에나리오시의 다이묘36사카이 다다유키1808년 - 1815년도쿠가와 이에나리오바마의 다이묘37오쿠보 다다자네1815년 - 1818년도쿠가와 이에나리오다와라의 다이묘38마쓰다이라 노리히로1818년 - 1823년도쿠가와 이에나리니시오의 다이묘39나이토 노부아쓰1823년 - 1825년도쿠가와 이에나리무라카미의 다이묘40마쓰다이라 야스토1825년 - 1826년도쿠가와 이에나리하마다의 다이묘41미즈노 다다쿠니1826년 - 1828년도쿠가와 이에나리사카이 다다유키의 사위; 하마마쓰의 다이묘; 이후 덴포 개혁 실시42마쓰다이라 무네아키라1828년 - 1832년도쿠가와 이에나리미야즈의 다이묘43오타 스케모토1832년 - 1834년도쿠가와 이에나리가케가와의 다이묘44마쓰다이라 노부요리1834년 - 1837년도쿠가와 이에나리마키노 다다키요의 사위; 요시다의 다이묘45도이 도시쓰라1837년 - 1838년도쿠가와 이에요시도이 도시아쓰의 양자; 코가의 다이묘46마나베 아키카쓰1838년 - 1840년도쿠가와 이에요시사바에의 다이묘47마키노 다다마사1840년 - 1843년도쿠가와 이에요시마키노 다다키요의 아들; 나가오카의 다이묘48사카이 다다아키1843년 - 1850년도쿠가와 이에요시첫 번째 재임; 사카이 다다유키의 아들; 오바마의 다이묘49나이토 노부치카1850년 - 1851년도쿠가와 이에요시나이토 노부아쓰의 아들; 무라카미의 다이묘50와키사카 야스오리1851년 - 1857년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사다타쓰노의 다이묘51혼다 다다모토1857년 - 1858년도쿠가와 이에사다오카자키의 다이묘52사카이 다다아키1858년 - 1862년도쿠가와 이에모치두 번째 재임53마쓰다이라 무네히데1862년도쿠가와 이에모치마쓰다이라 무네아키라의 양자; 미야즈의 다이묘, 부임하지 않음-사카이 다다시게1862년 5월 - 9월도쿠가와 이에모치권한대행54마키노 다다유키1862년 9월 - 1863년 6월 11일도쿠가와 이에모치마쓰다이라 노리히로의 아들이자 마키노 다다마사의 사위; 나가오카의 다이묘55이나바 마사쿠니1863년 - 1864년도쿠가와 이에모치요도의 다이묘56마쓰다이라 사다아키1864년 - 1867년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마지막 쇼시다이; 구와나의 다이묘;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형제



240px


간분 연간에 호코지 대불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에도 막부의 주도로 재건축하게 되었다. 호코지를 관리하던 묘호인이 대불 재건의 경위를 적은 『낙동대불전수복병석가대상조영기』낙동대불전수복병석가대상조영기|낙동대불전수복병석가대상조영기일본어에 따르면, 교토 쇼시다이 마키노 지카나리의 지시 하에 불사 현신이 대불 재건에 참여했다고 한다.[17]

4. 교토쇼시다이의 권한과 역할

도쿠가와 막부는 황실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서일본 다이묘들을 감시하기 위해 교토소사대를 설치했다. 교토소사대는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며, 정치, 행정, 사법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다.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된 쇼시다이(所司代)는 막부와 황실 간의 소통을 책임지고, 다이묘들이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했다.[5] 황실 재정을 감독하고 천황의 신변 안전을 보장하며 조정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했다.[6] 예를 들어, 쇼시다이는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관련 정책을 수립했으며,[7] 재위 중인 군주의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임 천황의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했다.[9]

교토소사대는 첩자 네트워크를 운영하여 반역, 반란 등의 움직임을 은밀히 감시하고 보고했다.[10]

시간이 흐르면서 교토소사대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에는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이 교토 마치부교에게 이관되었고,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으로 인해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15] 이후 교토소사대는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중간 단계로 여겨지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4. 1. 정치, 행정적 권한

교토소사대는 교토 및 주변 8개 국을 통치하고 세금을 징수하며 민정을 관리하는 등 행정 전반에 걸쳐 폭넓은 권한을 가졌다.[9][11] 교토 시정 관리, 교토 부지사(다이칸), 니조 성 관리 등이 모두 교토소사대의 지휘 하에 있었다.[6] 소송을 심리하고 사찰과 신사를 감독하는 권한도 있었다.[6]

교토소사대는 휘하에 순경(요리키)과 경찰관(도신) 부대를 두었다.[12][11] 정원은 1명이었으며,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다. 역료 1만 석이 지급되었고, 요리키 30기(후에 50기)와 도신 100명이 배속되었다.

겐로쿠 원년(1688년)에는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을 교토 마치부교에게 넘겨주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上方, 교토와 오사카 지역)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 결과,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15]

4. 2. 사법적 권한

교토소사대는 소송 심리, 사찰 및 신사 감독 등 사법적 권한을 행사했다.[15] 치안 유지 활동은 요리키도신을 통해 담당했는데, 요리키는 30기(후에 50기), 도신은 100명이 부속되었다.[15]

4. 3. 조정 및 공가 감시

도쿠가와 막부는 교토소사대를 통해 조정 및 공가를 감시하고 황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된 쇼시다이(所司代)는 쇼군의 대리인으로서 막부와 황실 간의 원활한 소통을 책임지고, 다이묘들이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했다.[5] 또한 황실 재정을 감독하고 천황의 신변 안전을 보장하며 조정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했다.[6] 예를 들어, 쇼시다이는 교토 행정관(마치 부교)을 지원하여 왕궁 소방 관련 정책을 수립했다.[7] 이 과정에서 쇼시다이는 재위 중인 군주의 조정 행정관(킨리-즈키 부교)[8] 및 전임 천황의 조정 행정관(센도-즈키 부교)과 협력했는데, 이들은 모두 막부에서 임명한 인물이었다.[9] 더불어 쇼시다이는 반역, 반란 등 불안 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고 보고하는 첩보 네트워크를 운영했다.[10]

겐로쿠 원년(1688년), 교토 지배 등 민정 관련 권한은 교토 마치부교에게 이양되었다.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 상방 지역 막부 관직의 권한 재편으로 인해 쇼시다이의 권한이 더욱 축소되어 로주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15]

4. 4. 서일본 다이묘 감시

도쿠가와 막부는 서일본 다이묘들을 감시하기 위해 교토소사대를 활용했다. 교토소사대는 첩자 네트워크를 운영하여 반역이나 반란 등의 움직임을 은밀히 감시하고 보고했다.[10] 또한, 교토 및 주변 8개 지방의 세금 징수를 담당하며 이 지역 내에서 막부의 통치를 강화했다.[11]

교토소사대는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이들은 교토 지역에서 쇼군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막부와 황실 간의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고, 다이묘들이 조정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했다.[5] 또한 황실 재정 감독, 천황 신변 안전 보장, 조정 안전 보호 등의 책임도 맡았다.[6]

겐로쿠 원년(1688년)에는 교토 지배 등 민정상의 권한이 교토 마치부교에게 이관되었고, 교호 7년(1722년)에는 오사카 마치부교 등을 포함한 상방의 막부 관직 권한 재편으로 인해 교토소사대의 권한이 더욱 축소되었다.[15] 이후 교토소사대는 로주로 가는 출세 코스의 중간 단계로 여겨지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5. 교토쇼시다이와 관련된 주요 사건

京都所司代일본어와 관련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Hideyoshi's Inauguration to Kampaku and the Foundation of Shoshidai http://ci.nii.ac.jp/[...] 1997-00-00
[2]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3]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books.google[...]
[4] 서적 A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5] 서적 Select Documents on Japanese Foreign Policy, 1853–1868
[6] 서적 https://books.google[...]
[7] 논문 The Fire Fighting for the Royal Palace by Kyoto Shoshidai and Machi-bugyō-shō: A study on the fire fighting in Kyoto under Tokugawa era (No.3) http://ci.nii.ac.jp/[...] 2005-05-30
[8] 서적 Kinri-zuki Google books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서적 A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서적 Dōshin Google books
[13] 서적 State and Diplomacy in Early Modern Japan: Asia in the Development of the Tokugawa Bakufu https://books.google[...]
[14]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794–1869
[15] 서적 近世の公家社会と幕府 吉川弘文館
[16] 서적 ケンペルと徳川綱吉 ドイツ人医師と将軍との交流 中央公論社
[17] 간행물 東京国立博物館保管「京都大仏雛形」について― 寛文期方広寺大仏の再興に関連して― 199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