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알렉산데르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데르 4세는 1254년부터 1261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이탈리아 젠네 출신으로, 삼촌인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동방 정교회와의 재통합, 탁발 수도회 지원, 프랑스 내 종교 재판 설립, 호엔슈타우펜 왕가와 잉글랜드와의 관계, 그리고 몽골에 대항하는 십자군 조직 시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아시시의 클라라를 시성하고, 요아킴 피오레의 사상을 단죄했으며, 마법에 대한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 또한, 시칠리아를 영국 왕자에게 양도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잉글랜드와 갈등을 겪었으며,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마지막 인물인 콘라딘을 지원했으나, 만프레드를 반대했다. 알렉산데르 4세는 비테르보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무덤은 16세기에 파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61년 사망 - 콘라트 폰 호흐슈타덴
  • 1261년 사망 - 무가 (몽골)
    무가(Möngke)는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쿠빌라이 칸을 지지하며 몽골 제국 제위 계승 전쟁에서 활약하여 쿠빌라이가 칸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 1199년 출생 - 페르난도 3세
    페르난도 3세는 카스티야와 레온을 통합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추진하여 코르도바와 세비야를 함락하고 1671년 시성되었다.
  • 1199년 출생 - 잘랄 웃딘
    잘랄 웃딘은 13세기 초 화레즘 샤 왕조의 마지막 술탄으로,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나 내부 분열과 불화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로마 수도광역시 출신 -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1년부터 1724년까지 재임한 244대 교황으로, 클레멘스 11세 시대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포르투갈 교황 사절 시절 예수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받아 얀센파 반대, 중국 의례 논쟁 강경 입장 유지, 스페인 광장 스페인 계단 건설 지시 등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수도광역시 출신 - 고프레도 페트라시
    고프레도 페트라시는 20세기 이탈리아 음악의 거장으로, 신고전주의에서 출발해 무조 및 12음 기법을 탐구하며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고,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교수와 페트라시 국제 작곡 콩쿠르 심사 위원장을 역임하며 후진 양성에도 힘썼다.
교황 알렉산데르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알렉산데르 4세의 중세 납 교황 불라
불라 (목자들의 목자)
이름알렉산데르 4세
본명리날도 디 옌네
직책로마 주교
재임 시작1254년 12월 12일
재임 종료1261년 5월 25일
이전 직책산트 에우스타키오의 부제 추기경 (1227년–1232년)
오스티아의 주교 추기경 (1232년–1254년)
서임1227년 9월 18일
서임자그레고리오 9세
축성1235년 3월
출생일1199년 또는 1185년경
출생지옌네, 교황령
사망일1261년 5월 25일
사망지비테르보, 교황령
기독교
교파가톨릭 교회
정치
이전 교황인노첸시오 4세
다음 교황우르바노 4세

2. 생애 초기

그는 젠네(현재 로마현)에서 '''리날도 디 젠네'''로 태어났다.[1] 어머니 쪽으로는 세니 백작 가문 출신으로, 교황 인노첸시오 3세교황 그레고리오 9세와 같은 세니 백작 가문 출신이었다. 그의 삼촌인 그레고리오 9세는 1227년에 그를 추기경이자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보호자로 임명했고, 1227년부터 1231년까지 성좌 재무원을, 1231년(또는 1232년)에 오스티아 주교를 역임했다.

3. 교황 재위 기간

알렉산데르 4세의 교황 재위 기간은 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재통합 노력, 프랑스 내 종교 재판의 설립, 탁발 수도회에 대한 특혜, 그리고 1259년 제2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이후 몽골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조직하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진다.[2]

인노첸시오 4세로부터 교황령 시칠리아를 양도받은 영국의 헨리 3세와 그의 아들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에게 알렉산데르 4세는 경제적 지원을 요구했다. 이를 빌미로 잉글랜드에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려다 실패하여 제2차 남작 전쟁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적대적이었다.

3. 1. 동방 교회와의 관계

알렉산데르 4세는 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재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2]

3. 2. 탁발 수도회 지원

알렉산데르 4세는 탁발 수도회에 대한 특혜를 베풀었다.[2] 1255년 10월 29일, 교황 칙서 ''Benigna Operatio''에서 성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게 귀속된 오상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선언했다.[3][4]

1256년, 요아킴 피오레의 이론을 단죄했다.[5] 요아킴은 1202년에 사망했고 그의 사상은 프란체스코회의 한 분파인 프라티첼리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요한 계시록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1260년이 세 번째 시대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성령에 의해 지배되는 시대이며, 이 시대에는 교회의 위계가 불필요해진다는 것이었다.

1258년 9월 27일 교황 칙서 ''Quod super nonnullis''에서 "점술이나 마법"은 이단을 조사하는 교회의 종교 재판관들이 조사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 마법과 관련된 범죄는 "명백한 이단이 연루되었다는 지식"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지역 당국에 맡겨야 했다.[6][7][8]

3. 3. 호엔슈타우펜 왕가와의 갈등

인노첸시오 4세를 계승한 알렉산데르 4세는 즉시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마지막 인물인 콘라딘의 후견인이 되어 그를 보호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3주도 채 지나지 않아 그는 콘라딘을 모함하고 그의 삼촌인 만프레드를 격렬하게 반대했다.[14] 알렉산데르 4세는 만프레드에게 파문금지령을 내리겠다고 위협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그는 또한 잉글랜드와 노르웨이 왕들을 설득하여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일으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로마에서조차 교황에 대한 기벨린파의 영향력이 커져, 그는 비테르보로 은퇴해야 했다. 그는 1261년 비테르보에서 사망했으며, 비테르보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그러나 그의 무덤은 16세기 개축 과정에서 파괴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알렉산데르 4세는 교황이 되기 전, 1254년 5월 14일[9] 인노첸시오 4세가 영국의 헨리 3세의 둘째 아들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에게 시칠리아 왕국을 양도한 것을 1255년 4월 9일[10] 재확인했다.[11] 이 양도는 연간 금 2000ounce, 필요시 3개월간 기사 300명의 봉사, 그리고 교황이 만프레드를 시칠리아에서 몰아내기 위해 지출한 135541마르크를 대가로 이루어졌다.[11] 헨리 3세가 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하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제2차 남작 전쟁으로 이어진 국왕과 의회 간 갈등의 한 원인이 되었다.[12] 1256년, 알렉산데르 4세는 헨리 3세가 더블린 대주교로 임명한 인물을 단호하게 거부하여 둘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1261년 4월 12일, 알렉산데르 4세는 사망 직전 헨리 3세에게 옥스퍼드 규정에 대한 맹세를 면제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는데, 이 규정은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13]

3. 4. 잉글랜드와의 관계

1254년 5월 14일,[9] 인노첸시오 4세는 교황령인 시칠리아를 영국의 헨리 3세의 차남인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에게 양도했다. 알렉산데르 4세는 1255년 4월 9일[10] 연간 금 2,000온스, 필요할 때 3개월 동안 기사 300명의 봉사, 그리고 교황이 만프레드를 시칠리아에서 몰아내기 위해 지출한 돈을 변제하기 위한 135,541마르크를 대가로 그 양도를 확인했다.[11] 헨리 3세가 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세금을 납부하도록 신하들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제2차 남작 전쟁으로 이어진 국왕과 의회 간의 갈등 요인 중 하나였다.[12]

1256년, 알렉산데르 4세는 헨리 3세가 더블린 대주교로 선택한 사람을 단호하게 거부하여 두 사람의 관계가 긴장되었다. 1261년 4월 12일, 알렉산데르 4세는 사망 직전 헨리 3세에게 전쟁의 원인이 되었던 옥스퍼드 규정에서 취한 맹세를 면제하는 교황 칙서를 발부했다.[13]

알렉산데르 4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마지막 사람인 콘라딘의 후견인인 인노첸시오 4세를 계승하여 그에게 보호를 약속했다. 그러나 3주도 채 안 되어 콘라딘을 음모하고 콘라딘의 삼촌 만프레드를 격렬하게 반대했다.[14] 알렉산데르 4세는 만프레드의 편에 파문금지령을 내릴 것을 위협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는 또한 잉글랜드와 노르웨이의 왕들을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대항하는 십자군에 참여시키지 못했다.

3. 5. 종교 재판과 마법

알렉산데르 4세는 1258년 9월 27일 교황 칙서 ''Quod super nonnullis''를 통해 "점술이나 마법"은 이단을 조사하는 교회의 종교 재판관들이 조사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6][7][8] 마법 관련 범죄는 "명백한 이단이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지역 당국에 맡겨야 했는데, 여기서 "명백한 이단"이란 "우상의 제단에서 기도하고, 희생을 바치고, 악마와 상담하고, 그들로부터 응답을 얻는 것"을 의미했다. 교회 역사에서 이 시기에 마법 사용은 본질적으로 이단이라기보다는 미신이나 그릇된 믿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졌다.[6][7][8]

3. 6. 기타 업적

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재통합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프랑스 내 종교 재판을 설립하고 탁발 수도회에 특혜를 주었다. 또한 1259년 제2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이후 몽골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조직하려 시도했다.[2]

1255년 9월 26일,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의 설립자인 성 아시시의 클라라를 시성했다. 같은 해 10월 29일, 교황 칙서 ''Benigna Operatio''를 통해 성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게 나타난 오상에 대해 "자신의 지식"을 선언했다.[3][4]

1256년에는 요아킴 피오레의 이론을 단죄했다. 프란체스코회의 한 분파인 프라티첼리가 수용한 요아킴의 사상은 요한 계시록 해석을 바탕으로 1260년에 성령의 시대가 시작되어 교회의 위계가 불필요해진다는 주장이었다. 1260년은 알렉산데르 4세의 생존 기간 동안 아무런 변화 없이 지나갔지만, 요아킴의 사상은 이후 성령 숭배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포르투갈과 그 식민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5]

1258년 9월 27일 교황 칙서 ''Quod super nonnullis''에서 "점술이나 마법"은 이단을 조사하는 교회의 종교 재판관들이 조사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 "명백한 이단"이 아닌 마법 관련 범죄는 지역 당국에 맡겨야 했는데, "명백한 이단"에는 "우상의 제단에서 기도하고, 희생을 바치고, 악마와 상담하고, 그들로부터 응답을 얻는 것"이 포함되었다. 당시 마법은 이단적인 것이 아니라 미신이나 그릇된 믿음으로 여겨졌다.[6][7][8]

1254년 5월 14일,[9] 인노첸시오 4세는 교황령인 시칠리아를 영국의 헨리 3세의 차남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에게 양도했다. 알렉산데르 4세는 1255년 4월 9일[10] 이를 확인하며 연간 약 56699.00g의 금, 3개월간 기사 300명의 봉사, 교황이 만프레드를 몰아내기 위해 지출한 135541마르크를 요구했다.[11] 헨리 3세가 세금 납부를 설득하지 못하면서 제2차 남작 전쟁으로 이어진 갈등의 요인이 되었다.[12] 1261년 4월 12일, 알렉산데르 4세는 헨리 3세에게 옥스퍼드 규정에서 취한 맹세를 면제하는 교황 칙서를 발부했다.[13]

알렉산데르 4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마지막 사람인 콘라딘의 후견인이었으나, 3주도 채 안 되어 콘라딘의 삼촌 만프레드를 격렬하게 반대했다.[14] 파문금지령 위협에도 만프레드는 굴복하지 않았다. 잉글랜드와 노르웨이 왕을 십자군에 참여시키지 못했고, 로마는 교황에게 기벨린 성향을 보여 비테르보로 물러났으며, 그곳에서 1261년 사망했다. 비테르보 대성당에 묻혔으나, 그의 무덤은 16세기 개조 공사 중 파괴되었다.

참조

[1] 간행물 Les Registres d' Alexandre IV Paris 1953
[2]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3]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4] 서적 St. Francis of Assisi: His Times, Life and Work: Lectures Delivered in Substance in the Ladye Chapel of Worcester Cathedral in the Lent of 1896 Isbister 1897
[5] 문서 Maria Santos Montez 2007
[6] 서적 Grimoires : a history of magic book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7]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8] 서적 Battling demons : witchcraft, heresy, and reform in the lat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1875
[10] 간행물 Rymer
[11] 간행물 Edmund Crouchback http://www.oxforddnb[...] 2004
[12] 서적 The Origins of the English Parliament, 924–1327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3] 서적 England in the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Alexandre IV contre Manfred 1963
[15] 간행물 Les Registres d' Alexandre IV Paris 1953
[16] 간행물 Alexandre IV contre Manfred 1963
[17]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18]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19] 간행물 Bullarum, Diplomatum et Privilegiorum Sanctorum Romanorum Pontificum Taurensis editio Turin 1858
[20] 간행물 Edmund Crouchback http://www.oxforddnb[...] 2004
[21] 서적 The Origins of the English Parliament, 924–1327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2] 서적 England in the Thir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