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 죽산 안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 죽산 안씨는 안준과 안영의를 시조로 하는 두 문중이 1744년과 1805년에 족보를 간행하며 시작된 성씨이다. 시조로 알려진 안방준은 당나라 종실 이지춘의 아들로, 864년 왜구 토벌 공로로 안씨 성을 하사받고 죽산군에 봉해졌다. 고려 시대에는 공민왕의 제4비 정비 안씨와 우왕의 비 현비 안씨를 배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회산군, 정의공주, 신성군 등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주요 인물로는 안맹담, 안윤행, 안경수 등이 있으며,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와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구 죽산 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표기구 죽산 안씨
한자 표기舊 竹山 安氏
로마자 표기Gu Juksan Anssi
국가한국
지역안성시
시조안준(安濬)
안영의(安令儀)
관련 인물정비 안씨
씨족 정보
성씨죽산 안씨 (竹山安氏)
관향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시조안준(安濬), 안영의(安令儀)
집성촌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주요 인물안전, 안극인, 안숙로, 안맹담, 안초, 안방경, 안진, 안윤행, 안경수, 안국선, 안회남, 안막
년도2015년
인구77,026명

2. 역사

죽산 안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8명을 배출하였다.[2]

2. 1. 시조 및 기원

죽산 안씨는 1744년, 1805년에 각각 족보를 간행하며 별개로 계대(繼代)를 이어온 '''안준'''(安濬), '''안영의'''(安令儀)를 시조로 하는 두 문중이 있다. 안영의의 증손 안전(安戩)은 고려 충렬왕 때 도지휘사(都指揮使)를 지냈다.[1]

1999년에 편찬된 죽산안씨대동보에 따르면, 시조로 알려지는 '''안방준'''(安邦俊)은 당나라 종실(宗室) 이국정(李國貞)의 아들인 이원(李瑗)의 장남 이지춘(李枝春)이라고 한다. 그는 864년(신라 경문왕 4년)에 이엽춘(李葉春), 이화춘(李花春) 형제와 왜구 토벌에 큰 공을 세우자, 안국지신(安國之臣)이라는 뜻에서 안씨(安氏) 성을 받았으며, 이 때에 안방준으로 개명하고 죽산군에 봉해졌다.[1]

2. 2. 고려 시대

안영의의 증손 안전고려 충렬왕 때 도지휘사를 지냈다.[1]

2. 3. 조선 시대

안영의를 시조로 하는 문중은 1744년에, 안준을 시조로 하는 문중은 1805년에 각각 족보를 간행하며 별개로 계대를 이어왔다. 안영의의 증손 안전은 고려 충렬왕 때 도지휘사(都指揮使)를 지냈다.[1]

죽산 안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8명을 배출하였다.[2]

1999년에 편찬된 죽산안씨대동보에 따르면, 시조로 알려지는 안방준은 당나라 종실(宗室) 이국정(李國貞)의 아들인 이원(李瑗)의 장남 이지춘(李枝春)이라고 한다. 안방준은 864년(신라 경문왕 4년)에 이엽춘(李葉春), 이화춘(李花春) 형제와 왜구 토벌에 큰 공을 세워 안국지신(安國之臣)이라는 뜻에서 안씨(安氏) 성을 받았으며, 이때 안방준으로 개명하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3]

3. 주요 인물


  • 안전(? ~ 1298년) : 고려 후기 과거에 급제하여 시어사를 거쳐 1275년(충렬왕 1) 전라도안찰사가 되었다. 1287년에 부지밀직사사가 되고 이어 충청도안무사, 이듬해에 지밀직사사로 성절사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1290년 경상도도지휘사·충청도도지휘사, 1292년 서북면도지휘사를 역임하였다.
  • 안극인 : 고려 공민왕의 국구로서 동지밀직을 거쳐 우문관 대제학을 지냈다.
  • 안숙로 : 안극인의 아들. 고려 우왕 때 밀직사사를 지내고 조선이 개국되자 서북면 도순문찰리사 역임했다.
  • 안맹담 : 안숙로의 손자. 조선 세종의 부마로 연창위에 봉해지고 세조조에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 안초(1420년 ~ 1483년) : 전라도 관찰사를 거쳐 동지중추부사와 호조 참판을 지냈다.
  • 안방경(1513년 ~ 1569년) : 1540년(중종 3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형조참의와 장례원판결사에 이르렀다.
  • 안진 : 안맹담의 9세손. 1652년(효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 안윤행(1692년 ~ ?) : 안맹담의 11세손. 1740년(영조 16)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형조 판서를 거쳐 판돈령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헌이다.
  • 안경수(1853년 ~ 1900년) : 김홍집 내각에서 군부 대신을 역임했다. 중추원 일등 의관을 지내고 독립협회 조직에 참여하여 회장으로 활약하였다.

4. 왕실과의 인척관계

; 고려


; 조선

4. 1. 고려

4. 2. 조선

5. 항렬자

구 죽산 안씨 항렬표[3]
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口승(承)
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54세55세
口묵(默)


6.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죽산안씨 竹山安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2
[3] 웹사이트 안씨(安氏) 본관(本貫) 죽산(竹山)-舊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