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슬레는 발칸 반도에서 사용되는 현악기로, 단풍나무 공명통과 말총 활을 사용하여 연주한다.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7세기 비잔틴 기록이나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양 기원설 등이 있다. 구슬레는 세르비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발칸 반도의 영웅 서사시를 기악적으로 반주하는 데 사용되었다. 세르비아에서는 구슬레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전통이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알바니아에서는 라후타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악기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불가리아의 악기 - 카눈 (악기)
카눈은 기원전 19세기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하여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현악기로, 아랍과 터키에서 다른 형태를 가지며 만달을 이용해 음높이를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 세르비아의 악기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세르비아의 악기 - 아코디언
아코디언은 벨로즈의 공기압으로 리드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로, 건반이나 버튼으로 음을 선택하고 왼손으로 벨로즈와 베이스 버튼을 조작하며, 휴대성과 화음 반주, 음량 조절이 가능하고 피아노 아코디언과 버튼 아코디언(크로매틱, 다이애토닉)으로 나뉘며 다양한 음색과 폭넓은 장르에 사용된다. - 현울림악기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 현울림악기 - 콘트라베이스
콘트라베이스는 첼로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을 가진 15세기 유럽 비올로네의 현대적 현악기로, 더블베이스나 업라이트 베이스 등으로도 불리며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풍부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제공한다.
구슬라 | |
---|---|
악기 분류 | |
악기 종류 | 현악기 |
연주 방식 | 활로 연주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 활로 소리 내는 리라형 악기 (321.321-71) |
기원 및 관련 악기 | |
기원 | 비잔티움 리라 및 파생 악기 |
관련 악기 | 이길 (투바) 마센코 (아프리카의 뿔) 기타 "피들" |
명칭 | |
세르비아어 | гусле (구슬레) |
알바니아어 | lahutë (라후터) |
음향 | |
추가 정보 | |
특징 | 단일 현을 가진 악기 |
2. 기원 및 역사
구슬레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7세기 비잔틴 그리스 역사가인 테오필락트 시모카타(Θεοφύλακτος ὁ Σιμοκάττης|테오필락토스 호 시모카테스grc)는 발칸 반도에 정착한 남슬라브족이 가져온 "작은 리라"를 언급했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이것이 구슬레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F. 삭스와 같은 학자들은 구슬레가 10세기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아 유럽으로 전해진 동양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랍 여행자들의 기록에는 10세기에 슬라브족이 구슬레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나타난다.
힐란다르의 테오도시예(1246–1328)는 스테판 네마니치(재위 1196–1228)가 드럼과 "구슬레"를 연주하는 음악가들과 함께 중세 세르비아 귀족들을 자주 즐겁게 했다고 썼다. 15세기부터 구슬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 나타난다. 16세기 여행 회고록에서는 보스니아와 세르비아에서 이 악기를 언급한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이 악기가 언급되는데, 알바니아에서는 라ഹു타라고 불린다.[1]
2. 1. 기원 논쟁
악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가 없다. 7세기 비잔틴 그리스 역사가인 테오필락트 시모카타(630년)은 발칸 반도에 정착한 남슬라브족이 가져온 "작은 리라"에 대해 언급했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이것이 구슬레일 수 있다고 믿는다. F. 삭스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구슬레가 10세기 이슬람 문화의 물결을 통해 유럽으로 전해진 동양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아랍 여행자들은 10세기에 슬라브족이 ''구슬레''를 사용했다는 증거를 보고한다.[1] 힐란다르의 테오도시예(1246–1328)는 스테판 네마니치(재위 1196–1228)가 드럼과 "구슬레"를 연주하는 음악가들과 함께 중세 세르비아 귀족들을 자주 즐겁게 했다고 썼다.[1] ''구슬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은 15세기에야 나타난다.[1] 16세기 여행 회고록에서는 보스니아와 세르비아에서 이 악기를 언급하고 있다.[1] 19세기와 20세기에는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이 악기가 언급되는데, 알바니아에서는 라후타라고 불린다.[1]2. 2. 중세 시대
힐란다르의 테오도시예(1246–1328)는 스테판 네마니치(재위 1196–1228)가 드럼과 "구슬레"를 연주하는 음악가들과 함께 중세 세르비아 귀족들을 자주 즐겁게 했다고 기록했다. 15세기부터 구슬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다.[1]2. 3. 근세 및 현대
''구슬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은 15세기에야 나타난다. 16세기 여행 회고록에서는 보스니아와 세르비아에서 이 악기를 언급하고 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이 악기가 언급되는데, 알바니아에서는 라후타라고 불린다.3. 구조 및 연주법
구슬은 발칸반도의 영웅 서사시를 기악적으로 반주하는 데 사용된다.[1]
3. 1. 구조
구슬레는 나무 공명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풍나무가 최고의 재료로 여겨진다(따라서 악기는 종종 "구슬 야보로베" - 단풍나무 구슬이라고 불린다). 동물 가죽으로 덮여 있고, 복잡하게 조각된 머리가 있는 넥이 있다. 활은 말총으로 만들어진 현을 켜서 극적이고 날카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며, 표현력이 풍부하고 익히기 어렵다. 현은 30개의 말총으로 만들어진다.[1]악기는 연주자의 무릎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왼손 손가락은 넥에 위치한다. 현은 넥에 눌리지 않으며, 조화롭고 독특한 소리를 낸다.[1] 가장 흔하고 전통적인 형태는 단현이며, 보산스카 크라이나와 리카에서 2현 구슬레도 발견된다.
3. 2. 연주법
구슬레는 연주자의 무릎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 연주하며, 왼손 손가락은 목에 위치한다.[1] 현은 목에 눌리지 않아 조화롭고 독특한 소리를 낸다.[2] 가장 흔하고 전통적인 형태는 단현이며, 보산스카 크라이나와 리카에서는 2현 구슬레가 발견되기도 한다.구슬레 음악은 문화적 토대에 따라 다양하며, 각 민족 집단의 이야기 내용에 따라 다른 서사시가 사용된다. 동남 유럽 지역에서는 발성의 작은 차이가 나타난다. 악기 디자인은 동일하며, 넥과 헤드의 디자인만 민족적 또는 국가적 모티프에 따라 달라진다.
4. 각 지역별 구슬레
구슬레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지역 | 특징 | 주요 연주자/작품 | 악기 형태 및 기타 |
---|---|---|---|
세르비아 | 10음절 운율의 영웅 및 역사적 사건 노래. 오스만 제국 점령과 해방 투쟁 관련 서사시가 많음.[5]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 등재.[6] | 필리프 비슈니치,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수집/출판) | 주로 단풍나무로 만든 단현 악기. |
보스니아 | 보스니아 베그의 안뜰에서 주요 인물/사건에 대한 영웅시 공연. | 아브도 메제도비치, 제르젤레즈 알리야, 무요 흐르니차, 리카의 무스타이 베이[7] 관련 노래 | 이바나 코빌카의 그림에 묘사. |
몬테네그로 | 국가 음악, 민속 및 전통의 근본이 되는 민족 악기. | 조르지에 코프리비차 | 머리 부분 조각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임. 쌍두 독수리, 로브첸 산, 페타르 II 페트로비치 네고시 등 다양한 형태. |
알바니아 및 코소보 | 게그족 알바니아인이 알바니아 국경 전사들의 노래 등 서사시를 부를 때 라후타를 사용. | 게르지 피슈타 (Lahuta e Malcis 저술), 게르지 엘레즈 알리아 관련 노래 | 라후타는 염소 머리나 매 형상(알바니아 국기 상징)으로 조각. 8음절 노래. |
크로아티아 | 헤르체고비나, 달마티아, 리카, 보스니아와 서부 보스니아에서 서사시 반주 악기로 사용. | 안드리야 카치치 미오시치, 마일 크라지나, 마르코 페르코비치 톰슨, 마테 불리치, 다리오 플레브니크 | 달마티아 지역 악기 묘사. |
4. 1. 세르비아
세르비아 구슬레는 주로 단풍나무로 만들어진 단현 악기이다. 구슬라는 이 악기의 반주에 맞춰 영웅과 역사적 사건에 대한 시를 재현하고 작곡하는 사람이며, 보통 10음절 운율로 이루어진다. 세르비아 서사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서사시는 오스만 제국 점령 시대와 그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투쟁에 관한 것이다.[5] 민족지학자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19세기 전반에 세르비아 서사시를 수집하고 출판하여 유럽에 널리 알렸다.[5] 야코프 그림은 세르비아 시를 원본으로 읽기 위해 세르비아어를 배우기도 했다.[5]
13세기 세르비아 왕 스테판 네마니치의 궁정에서 "구슬"(гоусли)이라는 악기가 연주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것이 현재와 같은 의미인지는 불확실하다. 17세기 폴란드 시인들은 작품에서 구슬을 언급했다. 1612년 시에서 카스페르 미아스코프스키는 "세르비아 구슬과 가이다가 참회 화요일을 압도할 것이다"라고 썼다.[2] 1663년 전원시 ''Śpiewacy''에서 요제프 바르토미에이 지모로비치는 "세르비아 구슬에 맞춰 노래하다"라는 구절을 사용했다.[2][3] 일부 오래된 세르비아 문학 서적에서는 1415년 세르비아 ''구슬라르''가 블라디슬라프 2세 야기에워의 궁정에서 공연했다고 언급한다.[2] 가장 초기에 알려진 세르비아 구슬라르는 1551년 헝가리 역사가 세바스티안 티노디가 언급했는데, 그는 "헝가리에는 많은 구슬 연주자가 있지만, 디미트리예 카라만보다 세르비아 스타일을 더 잘하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했다. 세바스티안은 또한 구슬라르가 무릎 사이에 ''구슬''을 놓고 슬프고 헌신적인 표정으로 매우 감정적인 공연을 펼치는 모습을 설명했다.[4]
구슬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것은 세르비아 전통의 일부로, 2018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6]
4. 2. 보스니아

오늘날 활동하는 보스니아 구슬리(Guslari)는 거의 없지만, 역사적으로는 많이 있었다. 구슬리는 항상 보스니아 베그의 안뜰 손님이었으며, 구슬을 연주하며 주요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보스니아 영웅시를 공연했다. 이 노래에는 제르젤레즈 알리야, 무요 흐르니차, 리카의 무스타이 베이[7], 바냐루카 전투, 오차코프 전투 등이 등장한다.
아브도 메제도비치는 알바니아 출신의 보스니아인으로,[8] 1930년대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의 구전 서사 전통을 연구한 밀만 패리와 앨버트 로드가 만난 가장 다재다능하고 숙련된 구슬리였다.[9] 패리의 요청으로 아브도는 이미 알고 있던 노래와 패리 앞에서 들었던 노래를 불렀고, 호메로스와 같은 사람이 그렇게 긴 시를 만들 수 있다고 그를 설득했다. 아브도는 5일 동안 ''메호 스마일라기치의 결혼''이라는 잘 알려진 주제로 12,323행에 달하는 노래를 받아 적었고, 5일째에 패리의 조수 니콜라에게 자신은 더 긴 노래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우에는 며칠에 걸쳐 13,331행의 서사시를 불렀다. 그는 비슷한 길이의 다른 여러 곡을 레퍼토리에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패리의 첫 번째 투어에서 80,000행이 넘는 내용이 기록되었다.[10]
4. 3. 몬테네그로
구슬레는 몬테네그로의 민족 악기이며, 국가 음악, 민속 및 전통의 근본이다. 악기를 조각할 때 머리 부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몬테네그로 구슬레에서는 많은 조각된 형태를 볼 수 있다. 가장 흔한 형태는 국가 문장에서 볼 수 있는 쌍두 독수리, 로브첸 산의 모양, 또는 페타르 II 페트로비치 네고시와 같은 몬테네그로 역사 속 인물들이다.
4. 4. 알바니아 및 코소보

라후타는 최북단 알바니아의 게그족 알바니아인(말레시아)[11]과 코소보에서 서사시나 알바니아 국경 전사들의 노래를 부르는 데 사용된다. 이 악기는 코소보와 알바니아, 특히 말레시아와 같은 산악 지역에서 매우 흔했다. 알바니아식 라후타는 현악기의 머리 부분을 종종 염소 머리나 매의 형상으로 조각하는데, 매 형상은 알바니아 국기를 나타낸다.
라후타는 음유시인인 '라후타르'가 연주한다. 알바니아 노래는 8음절이며, 10음절 세르비아 노래와 관련이 있다.
라후타는 전통적으로 고지대와 말레시 이 마데 구에서 능숙하게 사용되었다. 알바니아의 국민 시인이자 사제인 게르지 피슈타는 라후타로 자주 연주되는 책인 《Lahuta e Malcis》를 썼다. 바다에서 솟아오르는 괴물을 처치하는 알바니아 신화 속 영웅인 게르지 엘레즈 알리아에 대한 유명한 알바니아 노래도 라후타로 연주된다.
4. 5. 크로아티아

구슬레는 수백 년 동안 크로아티아인들이 헤르체고비나, 달마티아, 리카, 보스니아와 서부 보스니아에서 서사시를 읊을 때 반주 악기로 사용해 왔다. 종종 가수와 연주자, 양치기, 또는 도시 지역의 전문적인 구슬레 제작자들이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가사의 대부분은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역사적 인물(대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하이두크와 같은 민속 영웅들) 또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대부분 침략자나 점령 세력과의 전투)을 중심으로 한다.
아마도 가장 유명한 크로아티아 구슬레 시인은 18세기 수도사였던 안드리야 카치치 미오시치일 것이다. 그는 이 지역 전체에서 많은 구슬레 가사와 노래를 만들고 수집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불리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가장 유명한 현대 구슬레 연주자는 마일 크라지나이다.
구슬레는 주류 대중음악의 일부는 아니지만, 마르코 페르코비치 톰슨, 마테 불리치 및 다리오 플레브니크와 같은 일부 음악가들이 노래에 이 악기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구슬레 녹음은 크로아티아 민족학자들이 발행한 여러 CD 편집 앨범에서 들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아티스트들이 직접 현지에서 유통한다.
5. 어원
고대 슬라브어 어근 gǫdsli (gúsli|구슬리ru, husle|후슬레sk, housle|호우슬레cs, gósli|고슬리sl)는 낮게 울리는 소리에 대한 의성어와 관련된 guditi/gósti 또는 gudalo/godalo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소리를 낸다는 뜻의 ''gu(n)delj''/''гу(н)дељ''는 풍뎅이를 뜻하는데, 풍뎅이가 날 때 그런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남슬라브어의 관용구에서, 어휘로 통용되는 여성 복수 전용 명사 "구슬레" 외에도, 중부 드리나강 지역에서 아릴리에, 몬테네그로 전역에서 발견되는 더 오래된 "구슬리"도 있다.
단수 형태 "구슬라"는 니시, 이바니차 주변의 티모크 서쪽, 자라티보르 지역의 동부 세르비아에서만 발견된다. 코르출라에서는 "구슬라"만 사용된다.
"구슬레"라는 용어는 알베르토 포르티스에 의해 유럽 문학에 소개되었다. "구슬레"는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언어 사용에서 사용되지만, 여성 복수 전용 명사(세르보크로아티아어 ''구슬라'' 또는 ''구슬레'', 라후타sq 또는 ''라후테'')이다.
참조
[1]
서적
The Epic in the Making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
웹사이트
Српскохрватска народна песма у пољској књижевности
http://www.rastko.rs[...]
2003
[3]
간행물
Śpiewacy
https://archive.org/[...]
Kazimierz Józef Turowski
1857
[4]
서적
Oral Art Forms and Their Passage into Writing
2008
[5]
서적
The history of Serbian Culture
Porthill Publishers
1995
[6]
웹사이트
Sing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Gusle
https://ich.unesco.o[...]
[7]
웹사이트
The Many Deaths of Mustaj Beg of Lika – Classics@ Journal
https://classics-at.[...]
2022-10-23
[8]
서적
The Balkans in Focus Cultural Boundar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02
[9]
웹사이트
4. Avdo Međedović, Guslar
https://chs.harvard.[...]
2022-10-23
[10]
Youtube
FILM AVDO MEDJEDOVIC BALKANSKI HOMER
https://www.youtube.[...]
2022-10-23
[11]
서적
Songs of the frontier warrior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