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중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제중학교는 일본 제국 시대에 중등 교육을 담당했던 학교로, 1886년 중학교령에 의해 설립되었다. 심상소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5년제 교육을 실시했으며,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엘리트 코스로 여겨졌다.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고등보통학교가 구제중학교의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구제고등학교 - 제일고등학교 (일본)
제일고등학교는 1886년 일본 최초의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도쿄 대학 예비 교육기관으로서 유럽 언어 교육에 중점을 두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교육 개혁으로 1950년 폐교되었고 그 정신은 도쿄 대학 고마바 캠퍼스 교양학부로 계승되었다. - 일본의 구제고등학교 - 식사 담당 토벌
메이지 시대 기숙사 학생들이 부실한 식사에 불만을 표출하며 일으킨 소요 사태인 식사 담당 토벌은 밥 요구, 식기 파손, 폭력 사태 등으로 진행되어 학교 측의 징계와 학생 자치 활동의 기틀 마련 및 자취제 도입을 야기했다. - 일본 제국의 교육 - 황국사관
황국사관은 만세일계의 천황을 중심으로 일본 국체의 발전과 전개를 파악하는 역사관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에서 정통 역사관으로 확립되어 국정 교과서를 통해 보급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비판적 시각이 대두되었다. - 일본 제국의 교육 - 교육에 관한 칙어
교육에 관한 칙어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에서 국가주의적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민의 충성심과 도덕성을 강조하기 위해 메이지 천황의 이름으로 발표된 교육 기본 이념을 담은 조칙이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국민학교
국민학교는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초등 교육 기관으로, 일제강점기 황국신민화 교육의 일환으로 쇼와 국가주의적 색채가 강하게 반영되었으나,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1995년 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
구제중학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구제중학교 |
한자 표기 | 舊制中學校 |
영문 표기 | Old-system Middle School |
일본어 표기 | 旧制中学校 (きゅうせいちゅうがっこう) |
설치 시기 | 1886년 (일본 제국) |
폐지 시기 | 1947년 |
학교 종류 | 중등교육 기관 |
교육 기관 구분 | 남자중학교 |
역사 | |
배경 | 일본 제국의 중등학교 제도 |
설립 목적 | 고등교육 기관 진학 준비 |
제도 변화 | 소학교 졸업 후 진학 |
교육 연한 | 5년 (4년 수료 후 상급학교 진학 가능) |
학제 개혁 | 신제중학교로 개편 |
교육 내용 | 수신 독어 체조 군사훈련 국어 (일본어) 한문 역사 지리 수학 과학 영어 (선택) 미술 음악 |
특징 | |
학년 | 5년제 (4년 수료 후 상급 학교 진학 가능) |
졸업 후 진로 | 고등학교 (구제) 전문학교 (구제) 대학 예과 (구제) 사관학교 |
수업료 | 유료 |
학생 | 남학생만 입학 가능 |
교육 수준 | 중등교육 수준 |
사범학교와의 관계 | 사범학교는 교육 내용이 다름 |
교육 목표 | 제국 신민 양성, 엘리트 육성 |
기타 | |
관련 용어 | 신제중학교 구제고등학교 사범학교 소학교 고등여학교 |
4년 수료 | 4년 수료 후 상급 학교 진학 가능 (사수) |
2. 일본의 구제중학교
1886년 중학교령에 근거하여 각 도·부·현에 적어도 1개교 이상이라는 규정 하에 설립되어 후기 중등 교육을 실시하였다. 입학 자격은 심상소학교 졸업자로 수업 연한은 5년제였다. 다만 구제 중학교는 엘리트의 등용문으로 여겨져 고위층이 아닌 일반인의 진학률은 매우 낮았다.[1]
1918년 고등학교령 개정에 따라 구제 중학교(5년제)의 4학년은 졸업을 기다리지 않고 상급 학교인 구제 고등학교, 대학 예과, 고등사범학교, 구제 전문학교, 육군사관학교 등에 진학할 수 있었는데, 이를 4수(四修)라 하였다. 한편 구제 중학교 2년 수료자는 사범학교에 진학할 수 있었다.[1]
1947년 학제 개혁에 의해 폐지되고 대체로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시작 시(수료 시)의 나이 → | 12세(13세) | 13세(14세) | 14세(15세) | 15세(16세) | 16세(17세) | |
---|---|---|---|---|---|---|
구제 | 국민학교 | 고등과 1년 | 고등과 2년 | 특수과 | ||
중학교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
고등여학교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
실업학교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
청년학교 | 보통과 1년 | 보통과 2년 | 본과 1년 | 본과 2년 | 본과 3년 | |
고등학교 | 보통과 1년 | 보통과 2년 | 보통과 3년 | 보통과 4년 | 고등과 1년 | |
사범학교 | 예과 1년 | 예과 2년 | 예과 3년 | |||
대학 | 예과 1년 | |||||
신제 | 중학교 | 1년 | 2년 | 3년 | ||
의무교육학교 | 7년 | 8년 | 9년 | |||
고등학교 | 1년 | 2년 |
1911년 조선교육령에 따라 고등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1872년 9월 4일 (메이지 5년 8월 2일)[5] 학제 공포에 따라, 초등학교를 수료한 학생에게 일반적인 과목을 가르치는 곳으로서 '''중학교'''가 설치되었다.
1943년에 제정된 중학교령(쇼와 18년 칙령 제36호)에 의해 수업연한은 4년으로 단축되었고, 전후 다시 5년으로 돌아왔다.
3. 조선의 고등보통학교 및 구제중학교
1891년 12월 14일 중학교령의 일부가 개정되어, 보통중학교의 설치 조건이 완화되었다.
1899년 2월 7일 중학교령이 전면 개정되어, 보통중학교의 명칭이 「'''중학교'''」로 개칭되었다.
1943년 중등학교령에 따라, 중학교, 고등여학교, 실업학교의 3종의 학교가 중등학교(구제)로서 같은 제도로 통일되었다.
1946년 수업연한이 '''5년'''으로 돌아왔고, 야간 과정은 4년으로 변경되었다.
1947년 4월 1일 학제 개혁(육삼제의 실시, '''신제 중학교의 발족''')으로 구제 중학교의 학생 모집이 정지되었다. 신제 중학교(현재의 중학교)가 병설되어, 구제 중학교 1, 2학년 수료자를 신제 중학교 2, 3학년으로 수용하였다.
1948년 4월 1일 학제 개혁(육삼삼제의 실시, '''신제 고등학교의 발족''')으로 구제 중학교가 폐지되고, 신제 고등학교(현재의 고등학교)가 발족하였다. 구제 중학교의 대부분이 남학교의 고등학교가 되었다. 구제 중학교 졸업생(희망자)을 신제 고등학교 3학년으로, 구제 중학교 4년 수료자를 신제 고등학교 2학년으로 편입하였다.
1949년 3월 31일 마지막 졸업생을 보내고 병설 중학교를 폐지하였다.
3. 1. 역사
1911년에 조선교육령이 반포되었고, 같은 해 최초의 고등보통학교로 관립 경성고등보통학교가 인가되었다. 당시 민족지도자들과 미국 선교사들이 설립한 사립 중등학교들은 경제적, 종교적 이유 등으로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받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일제의 민족 교육 탄압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38년 조선교육령 개정으로 고등보통학교가 중학교 및 고등여학교로 승격되었다. 이는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한 일제의 동화 정책으로 평가된다.
해방 후 1946년 군정 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17]으로 3년제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2. 목록
1911년 조선교육령 반포 이후 인가된 고등보통학교와 1938년 조선교육령 개정 이후 중학교, 그리고 해방 이후 신제중학교 및 신제고등학교로 전환된 학교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경성고등보통학교 | 1911 | 경기공립중학교(1938) → 경기중학교[19][18]/경기고등학교 |
경성중학교 | 1910 | 일본인 학교. 서울중학교[19] → 서울고등학교 |
용산중학교 | 1917 | 일본인 학교 |
대전중학교 | 1918 | 일본인 학교 |
평양고등보통학교 | ||
대구고등보통학교 | 1916 | 경북중학교[20] → 경북고등학교 |
전주고등보통학교 | 1919 | 전주북중학교[21] → 전주고등학교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1911 | 경기여자중학교[21] → 경기여자고등학교 |
- 공립학교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부산공립중학교 | 1913 | 일본인 학교. 부산중학교[22] → 부산고등학교 |
경성제일공립고등여학교 | 1908 | 일본인 학교 |
- 사립학교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양정고등보통학교 | 1913 | |
보성고등보통학교 | 1917 | |
배재고등보통학교 | 1916 | |
송도고등보통학교 | 1917 | 개성 |
광성고등보통학교 | 1918 | 평양 |
휘문고등보통학교 | 1918 | |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1911 | |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1912 | [23] |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 1918 | 개성 |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1918 | [21] |
3. 2. 1. 초기의 고등보통학교 및 중학교
1911년 <조선교육령>이 반포되면서 최초의 고등보통학교로 관립 경성고등보통학교가 인가되었다. 그러나 보성, 휘문, 배재 등 민족지도자나 미국 선교사들이 설립한 사립 중등학교들은 경제적, 종교적 사정 등으로 인해 고등보통학교로 인가받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17]1938년 <조선교육령> 개정으로 고등보통학교는 5년제 중학교와 고등여학교로 승격되어 일본인 학교와의 차별을 없애고 내선일체를 도모하려 했다.
해방 후 1946년 군정 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으로 3년제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관립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대구중학교 | 1921 | 일본인 학교. 현 대구중학교[24] |
광주중학교[25][26] | 1923 | 일본인 학교. 광주동중학교[21]를 거쳐 현 광주고등학교 |
광주고등보통학교 | 1920 | 광주서중학교[27][21][28]를 거쳐 현 광주제일고등학교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1921 | 경복중학교[19]→ 경복고등학교 |
청주고등보통학교 | 1924 | 現 청주고등학교 |
- 공립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동래고등보통학교[29] | 1922 | 현 동래고등학교 |
공주고등보통학교 | 1922 | 현 공주고등학교 |
진주고등보통학교 | 1925 | 현 진주고등학교 |
순천공립중학교[30][21] | 1938 | 現 순천고등학교 |
인천부립중학교 | 1935 | 일본인 학교. 인천중학교[31], 제물포고등학교[32] |
경성제이공립고등여학교 | 1922 | 일본인 여학교. 수도여자중학교[21]→ 현 수도여자고등학교 |
- 사립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중앙고등보통학교 | 1921 | 현 중앙고등학교 |
오산고등보통학교 | 1926 | 평안북도 정주. 현 서울 오산고등학교 |
3. 2. 2. 중기의 고등보통학교 및 중학교
1938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내선일체를 도모한다는 취지로 고등보통학교의 명칭이 남녀 학교 각각 5년제 중학교와 고등여학교로 승격됐다.해방 후인 1946년 군정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17]으로 각각 3년제의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 공립
- * 경성욱구공립중학교(1940) 한·일 공학. 경동중학교[21]
- * 부산제2공립중학교(1942) 한·일 공학. 경남중학교[33]
- * 경성제삼공립고등여학교(1941) 일본인 학교. 현 창덕여자고등학교
- * 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1940) 한·일 공학. 현 무학여자고등학교[34]
- * 목포공립중학교(1942) 한·일 공학. 목포중학교[21]
- * 통영공립중학교(1942) 한·일 공학. 현 통영고등학교, 통영중학교
3. 2. 3. 태평양전쟁기 및 그 이후
1943년 중등학교령에 따라 중학교, 고등여학교, 실업학교가 중등학교(구제)로 통일되었다.[17] 이로 인해 수업 연한이 4년으로 단축되었고, 제1종 및 제2종 과정이 폐지되었다. 야간 과정(수업 연한 3년) 설치가 인정되었고, 보습과 및 예과는 폐지되었으며, 실무과(수업 연한 1년 이내)가 설치되었다. 중학교 간 전학, 중학교에서 실업학교로의 전학, 3학년 이하에서 실업학교 학생의 중학교 전학이 허용되었다.1944년 4월 1일, 교육에 관한 전시 비상 조치 방책에 따라 수업 연한 4년 시행이 앞당겨졌다.[17] 원래 1943년 입학생이 4년을 마치고 졸업하는 1947년 3월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1941년 입학생부터 적용되어 1945년 3월에 시행되었다.
1945년 3월, 결전 교육 조치 요강이 각의에서 결정되어 국민학교 초등과를 제외한 학교의 1945년도 1년간 수업이 정지되었다.[17] 5월 22일 전시 교육령이 공포되어 수업 무기한 정지가 법제화되었다. 8월 15일 종전 후, 8월 21일 문부성은 전시 교육령 폐지를 결정하고 9월부터 수업을 재개했다. 9월 12일 전시 교육을 평시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긴급 사항이 지시되었다.
1946년 수업 연한이 5년으로 복귀되었고, 야간 과정은 4년으로 변경되었다.[17] 1947년 4월 1일, 학제 개혁으로 신제 중학교(현재 중학교)가 발족하면서 구제 중학교 학생 모집이 중단되었다.[17] 구제 중학교 1, 2학년 수료자는 신제 중학교 2, 3학년으로 수용되었다.
1948년 4월 1일, 학제 개혁으로 신제 고등학교(현재 고등학교)가 발족하면서 구제 중학교가 폐지되었다.[17] 구제 중학교 졸업생(희망자)은 신제 고등학교 3학년, 구제 중학교 4학년 수료자는 신제 고등학교 2학년으로 편입되었다. 1945년 구제 중학교 입학생인 병설 중학교 졸업생은 신제 고등학교 1학년이 되었다.
1949년 3월 31일, 1946년 구제 중학교에 마지막으로 입학한 3학년생들이 졸업하면서 병설 중학교가 폐지되었다.[17] 병설 중학교 졸업생은 신제 고등학교 1학년이 되었다.
3. 2. 4. 기타
일제강점기 이후 구제중학교는 신제 중학교 및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1947년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는 신제 중학교로, 1948년에는 신제 고등학교로 바뀌었다. 구제중학교는 학생 모집을 중단했고, 신제 중학교가 병설되었다.[5] 구제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은 병설 중학교 2, 3학년으로 편입되었다.[6]1948년 구제중학교는 폐지되었고, 신제 고등학교가 발족하면서 병설 중학교는 신제 고등학교에 계승되었다. 병설 중학교 졸업생은 고등학교 1학년, 구제중학교 4학년[7]은 고등학교 2학년, 구제중학교 졸업생 중 희망자는 고등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였다. 이 병설 중학교는 1949년 구제중학교 마지막 입학생의 졸업과 함께 폐지되었다.
; 구제 중학교에서 신제 고등학교로의 이행
1946년도 (쇼와 21년도) | 1947년도 (쇼와 22년도) | 1948년도 (쇼와 23년도) | 1949년도 (쇼와 24년도) | 1950년도 (쇼와 25년도) | 1951년도 (쇼와 26년도) | ||||
---|---|---|---|---|---|---|---|---|---|
학제개혁 구제 중학교의 모집 중지 신제 중학교 발족 신제 중학교 병설 | 학제개혁 구제 중학교 폐지 신제 고등학교 발족 연도말에 병설 중학교 폐지 | ||||||||
1943년(쇼와 18년) 입학생 | 구제 중학교 4년 | 구제 중학교 5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
1944년(쇼와 19년) 입학생 | 구제 중학교 3년 | 구제 중학교 4년 | 신제 고등학교 2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
1945년(쇼와 20년) 입학생 | 구제 중학교 2년 | 병설(신제) 중학교 3년 | 신제 고등학교 1년 | 신제 고등학교 2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
1946년(쇼와 21년) 입학생 | 구제 중학교 1년 | 병설(신제) 중학교 2년 | 병설(신제) 중학교 3년 | 신제 고등학교 1년 | 신제 고등학교 2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구제 중학교는 신제 고등학교로 전환되었고, 대부분의 공립학교는 남녀공학이 되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남녀 분리 학교가 유지되었고, 사립학교는 대부분 남학교나 여학교로 신제 중·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학제개혁 이후 구제 중학교의 후신이 된 고등학교는 지역의 중심 학교 또는 명문 학교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요인으로 인해 그 지위가 변동되기도 했다.
4. 학제 개혁과 구제중학교
1947년(쇼와 22년) 학제 개혁에 의해 구제 중학교는 폐지되고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4] 이때 구제 중학교 1, 2학년은 신제 중학교 2, 3학년으로, 구제 중학교 3, 4학년은 구제 중학교 4, 5학년으로 재적했다. 1948년(쇼와 23년)에는 구제 중학교가 완전히 폐지되고 신제 고등학교가 발족하면서, 구제 중학교 졸업생과 4학년 수료자는 각각 신제 고등학교 3학년과 2학년으로 편입되었다.[4]
시작 시(수료 시) 나이 → | 12세(13세) | 13세(14세) | 14세(15세) | 15세(16세) | 16세(17세) | |
---|---|---|---|---|---|---|
신제 | 중학교 | 1년 | 2년 | 3년 | ||
고등학교 | 1년 | 2년 |
5. 진학률
구제 중학교는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되어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9] 일반인의 진학률은 매우 낮았다.[10]
메이지 시대에는 화족, 상위 사족, 지주, 호상, 부르주아 계층의 자녀들이 주로 진학했다. 예를 들어 구제 가라쓰 중학교(현・현립 가라쓰 동중·고) 조난 사고 기사(1905년 4월 30일 발생)에 따르면, 사망자와 생존자 9명 중 사족이 5명, 평민이 3명이었다.[11]
다이쇼 민주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중학교 진학이 일반 시민 사이에도 확산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곳의 꽃"이었다.[11] 당시 지식인 계층인 초등학교 교사의 월급(1929년 기준 약 46엔)에 비해, 시립 도쿄 일중(현・구립 구단 중학교) 등 도쿄 시립 중학교 입학 학비는 146엔 19전으로 매우 비쌌다. 이 때문에 입학 후에도 중퇴자가 입학자의 1/3에 달했다.[12]
당시 문부성은 중도 퇴학자 발생의 책임을 부모에게 전가하며, 일반 서민 자녀의 진학을 억제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14]
일중전쟁으로 인한 전시 호황으로 일반인의 중학교 진학이 증가했으나, 여전히 구제 중등 교육 학교 진학률은 13% 정도에 불과했고, 특히 중학교 입학자는 8% 정도였다. 농촌 출신 진학자는 지주 자녀가 대부분이었고, 마을에 1~2명 정도였다.[15]
반면, 고등여학교는 구제 중학교보다 설치 수가 많아 여성의 중등 교육 기회는 상대적으로 넓었다. 이는 사회 진출이 제한되었던 여성의 진학을 굳이 제한할 필요가 없었고, "현모양처" 교육이 사회 요구에 부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6. 관련 작품
- 나쓰메 소세키의 1906년작 도련님[1]
- 오리구치 시노부의 1914년작 '입후에'[2]
- 요코미조 마사시의 1921년작 '무서운 4월 바보'[3] (기숙사가 무대)
- 가쓰야마 지로의 1923년작 '소문과 진상'[4]
- 요시노 겐자부로의 1937년작 너희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5] (주인공은 2학년, 구제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 중학교 출신인 저자의 자전적 인생론)
- 1943년 도호 작품 결전의 대공으로[6] (주인공은 구제 쓰치우라 중학교 학생)
- 스즈키 세이준 감독, 1966년작 '싸움의 전설'[7] (불량 청소년이 주인공)
- 이노우에 야스시의 1966년작 '여름풀 겨울파도'[8] (저자의 자전적 소설, 구제 누마즈 중학교)
- 1987년 NHK 연속 TV 소설 '팔세 선생'[9]
- 산토리 화차 CM 조수편 (2003년)[10]
- 후카다 유스케의 2007년작 '걸음 맞춰, 앞으로! 후카다 소년의 전쟁과 사랑'[11] (저자의 자전적 소설, 구제 사립 아카쓰키 성심 중학교)
참조
[1]
서적
旧制高校物語
文藝春秋
[2]
논문
嘉村礒多論:私小説論(3)
鳥取女子短期大学
[3]
웹사이트
早稲田大学百年史:第3巻:第6編 大学令下の早稲田大学:第7章 勤労学生への福音
https://chronicle100[...]
早稲田大学
2023-07-05
[4]
서적
全国高等専門学校 入学年鑑
成文社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웹사이트
東京高等師範学校附属中学校一覧 大正9,14年度
https://iss.ndl.go.j[...]
[9]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10]
웹사이트
第1章 検討の視点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08-10-02
[11]
서적
大学崩壊と学力低下で専門学校の時代が来た
[12]
서적
大学崩壊と学力低下で専門学校の時代が来た
[13]
서적
桐陰会創立二十周年記念号
[14]
서적
大学崩壊と学力低下で専門学校の時代が来た
[15]
서적
大学崩壊と学力低下で専門学校の時代が来た
[16]
기타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간행물 # 또는 기타 적절한 type
[37]
간행물 # 또는 기타 적절한 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