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부는 한 나라의 경제 주체가 보유한 실물자산과 대외 순금융자산을 합한 금액으로, 국민순자산이라고도 불린다. 국부는 재고, 유형 고정 자산, 무형 고정 자산, 비생산 자산, 대외 순자산 등을 합산하여 계산하며, 일정 시점의 자산 총량을 의미하는 스톡 개념으로, 일정 기간의 경제 활동을 나타내는 GDP와는 구별된다. 국부 통계는 국제연합(UN)의 국민계정체계(SNA) 기준에 따라 작성되며, 국가 간 비교 및 경제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2022년 기준, 세계 국부 총액은 약 454조 달러로 추산되며, 미국, 중국, 일본 등이 높은 국부를 기록하고, 대한민국은 10조 달러로 세계 10위권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 - 부유세
    부유세는 개인이나 가구의 순자산 가치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일부 OECD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과거 시행 국가들은 자본 유출 등의 이유로 폐지했으며, 자산 불평등 해소와 세수 확보를 목표로 하지만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부 - 백만장자
    백만장자는 순자산이 100만 달러 이상인 개인을 의미하며, 경제적 자원에 대한 상당한 통제력을 가지고 사회 전체의 부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국부
국부
정의
구성 요소
측정 방법
국가별 국부 비교
국부 변화 요인
국부의 중요성
관련 지표
같이 보기
기타

2. 국부의 정의 및 구성 요소

국부(國富, National Wealth)는 한 나라의 경제 주체(가계, 기업, 정부)가 보유한 실물 자산과 대외 순금융 자산(대외 자산 - 대외 부채)을 합한 금액으로, 국민 순자산이라고도 한다. 국부는 특정 시점에 한 국가가 보유한 자산의 총량을 의미하는 스톡(Stock) 개념이며, 일정 기간 동안의 경제 활동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Flow) 개념인 국내총생산(GDP)과는 구별된다.[5]

국부는 재생산 가능한 생산 자산인 “재고”, “유형 고정 자산”, “무형 고정 자산”과 “비생산 자산”을 합산하고 “대외순자산”을 더하여 구한다. 이는 국민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과 같다. 자연재해전쟁 등으로 국부가 감소하는 것을 “국부의 상실”이라고 한다.

국부를 계산하는 기준에는 국제연합이 정한 687SNA 기준, 687SNA 2000년 기준, 687SNA 2005년 기준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준에는 무형의 문화자본 등은 포함되지 않으며, 토지 가격(지가)에 따라 국부의 크기가 크게 변동될 수 있다.

2. 1. 유형 자산

국부는 재생산 가능한 생산 자산으로,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5]

  • 재고
  • 유형 고정 자산: 주택·건물, 구축물, 기계·설비, 내구 소비재 등
  • 무형 고정 자산: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

2. 2. 비생산 자산

생산 과정에 투입되지는 않지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자산에는 토지, 지하자원, 어장 등이 있다.[5]

2. 3. 대외 순금융자산

대외순자산은 한 나라의 거주자가 비거주자에 대해 가지는 금융자산(대외자산)에서 비거주자에 대해 지는 금융부채(대외부채)를 뺀 잔액이다.[5]

2. 4. 문화 자본

국제연합이 정한 기준에는 무형의 문화자본 등은 국부에 포함되지 않는다.[5]

3. 국부 통계

국부 통계는 일반적으로 국제연합(UN)이 제시한 국민계정체계(SN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기준에 따라 작성된다. SNA 기준은 1968년에 처음 제정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2008 SNA가 가장 최신 기준이다. 국부 통계는 국가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고, 국가 경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국부는 토지 가격(지가)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6]

국부는 재생산 가능한 생산 자산인 “재고”, “유형 고정 자산(주택·건물, 구축물, 기계·설비, 내구 소비재 등)”, “무형 고정 자산(컴퓨터 소프트웨어)”과 “비생산 자산(토지, 지하자원, 어장 등)”을 합산하여 “대외순자산”을 가감하여 구할 수 있다. 이는 국민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차감한 것과 같다.[5]

일본의 버블 경제 시대에는 지가 급등에 따라 일본의 국부가 크게 증가했다. 토지 총액이 국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89년 버블 붕괴 말기에는 70%에 가까웠지만, 2006년 말에는 50% 가까이 감소했다.[6] 그러나 토지 자산을 제외한 국부는 버블 붕괴 이후에도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7]

다음은 일본의 최근 국부이다.


  • 2018년 말 기준: 3457.4조 엔[8]
  • 2019년 말 기준: 3689.3조 엔[9]
  • 2020년 말 기준: 3668.5조 엔[10]


국가국부 (미국달러, 단위:십억)국부 (현지화폐, 단위:십억)인구(단위:백만)현재 환율 (미국달러당)1인당 부(미국달러)연도
미국54.254.2[11]308-$175,9742009
일본32.972,783[12]127.684.4$258,3852008
영국10.276.669[13]621.54$165,6452009
캐나다5.856.2[14]341.06$172,0582010-Q1
대한민국5.806939.6[15]48.21112$120,3312008
오스트레일리아3.43.87200.88$170,425[16]2005
중화민국2.4578.39[17]2332$106,4782007
싱가포르 (가계만)0.8861.16[18]51.31$177,2002010


3. 1. 주요 국가별 국부 (2022년, UBS 및 Credit Suisse)

2022년 기준, 전 세계 국부 총액은 약 454조달러로 추산된다.[2] 이 중 미국은 약 140조달러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약 84조달러), 일본(약 23조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2] 대한민국은 약 10조달러로 세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2]

2023년 UBS와 크레디트 스위스가 발표한 2022년 국가별 총자산 목록[2]
국가 (또는 지역)소지역지역총자산
(USD 십억 달러)
세계 비율GDP 대비 자산
비율[3]
(2017-19)
colspan=6 |
colspan=3 아시아오세아니아 |
colspan=3 북아메리카 |
미국북아메리카아메리카140조달러5.493
colspan=3 유럽
중국동아시아아시아84조달러4.470
일본동아시아아시아23조달러4.918
독일서유럽유럽17조달러3.797
영국북유럽유럽16조달러5.069
프랑스서유럽유럽16조달러5.028
인도남아시아아시아15조달러4.392
colspan=3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캐나다북아메리카아메리카11조달러4.937
이탈리아남유럽유럽11조달러5.669
대한민국동아시아아시아9.9조달러
호주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오세아니아9.7조달러5.157
스페인남유럽유럽8.5조달러5.577
colspan=3 아프리카
대만동아시아아시아5.4조달러
네덜란드서유럽유럽4.9조달러4.104
멕시코북아메리카아메리카4.9조달러2.129
스위스서유럽유럽4.8조달러5.514
브라질남아메리카아메리카4.6조달러1.921
러시아동유럽유럽4.4조달러1.795
홍콩동아시아아시아3.5조달러8.384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아시아3.3조달러1.629
벨기에서유럽유럽3.2조달러4.116
이란서아시아아시아3조달러1.707
스웨덴북유럽유럽2.3조달러3.860
사우디아라비아서아시아아시아2.3조달러1.962
싱가포르동남아시아아시아1.9조달러3.712
덴마크북유럽유럽1.9조달러3.630
오스트리아서유럽유럽1.8조달러4.381
노르웨이북유럽유럽1.6조달러2.717
폴란드동유럽유럽1.6조달러2.972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오세아니아1.4조달러5.181
태국동남아시아아시아1.4조달러2.134
이스라엘서아시아아시아1.4조달러2.739
포르투갈남유럽유럽1.3조달러4.598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아프리카1.5조달러2.900
UAE서아시아아시아1.2조달러2.189
방글라데시남아시아아시아1.1조달러2.304
터키서아시아아시아1조달러1.780
베트남동남아시아아시아1조달러3.043
필리핀동남아시아아시아1조달러2.501
이집트북아프리카아프리카9.26억달러2.191
아일랜드북유럽유럽9.13억달러2.447
그리스남유럽유럽8.9억달러4.131
핀란드북유럽유럽7.92억달러2.952
칠레남아메리카아메리카7.79억달러2.002
체코동유럽유럽7.7억달러2.366
카자흐스탄중앙아시아아시아7.2억달러1.761
나이지리아서아프리카아프리카6.99억달러1.475
우크라이나동유럽유럽6.79억달러2.003
파키스탄남아시아아시아6.78억달러1.671
말레이시아동남아시아아시아6.78억달러1.870
루마니아동유럽유럽6.67억달러2.671
콜롬비아남아메리카아메리카5.64억달러1.737
쿠웨이트서아시아아시아5.64억달러3.008
페루남아메리카아메리카5.19억달러1.662
헝가리동유럽유럽4.58억달러2.117
케냐동아프리카아프리카4.35억달러2.607
아르헨티나남아메리카아메리카4.2억달러0.698
카타르서아시아아시아4.07억달러1.865
스리랑카남아시아아시아3.59억달러3.535
알제리북아프리카아프리카3.54억달러1.473
모로코북아프리카아프리카3.47억달러2.548
레바논서아시아아시아3.45억달러
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아프리카3억달러1.699
룩셈부르크서유럽유럽2.99억달러2.321
미얀마동남아시아아시아2.83억달러4.334
슬로바키아동유럽유럽2.7억달러2.731
불가리아동유럽유럽2.58억달러2.086
벨라루스동유럽유럽2.55억달러1.950
에콰도르남아메리카아메리카2.55억달러1.908
요르단서아시아아시아2.35억달러3.281
크로아티아남유럽유럽2.3억달러3.440
우루과이남아메리카아메리카2.17억달러1.356
코스타리카중앙아메리카아메리카2.11억달러1.926
오만서아시아아시아2.08억달러


4. 한국의 국부

1960년대 이후 한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국부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2008년 기준 한국의 국부는 약 58억달러(6.9396조)로, 1인당 120331USD에 해당하며 세계 10위권 수준을 기록했다.[15]

국가국부 (미국달러, 단위:십억)국부 (현지화폐, 단위:십억)인구(단위:백만)현재 환율 (미국달러당)1인당 부(미국달러)연도
대한민국5.806939.6[15]48.21112$120,3312008



하지만 한국의 국부는 부동산, 특히 토지 자산에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4. 1. 한국의 국부 변화 추이

일본의 일본의 버블 경제 붕괴 이후, 일본의 국부는 감소했지만, 한국은 국부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6][7] 2000년 이후 한국의 국부 순위는 다음과 같다.

연도200020052010201520202022최고치최고치 달성 연도
10억 달러 기준1721USD3508USD4744USD6128USD9625USD9890USD9946USD2021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Republic of China (Taiwan) http://eng.stat.gov.[...] 2016-08-09
[2] 서적 Global Wealth Databook 2023 https://www.ubs.com/[...] UBS and Credit Suisse Research Institute
[3] 웹사이트 GDP (current US$) Data https://data.worldba[...] 2021-05-31
[4] 웹사이트 Global wealth report https://www.credit-s[...] UBS & Credit Suisse 2023-08-17
[5] 간행물 平成23年度国民経済計算確報(ストック編)ポイント https://www.esri.cao[...] 内閣府経済社会総合研究所国民経済計算部 2013-01-18
[6]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 最新経済のしくみ-マクロ経済からミクロ経済まで素朴な疑問を一発解消(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7] 웹사이트 ちっとも失われていなかったこの20年―国富の推移は、どうなってきたのか― https://www.nli-rese[...] 2015-05-11
[8] 뉴스 国富、20年ぶり水準に回復 18年末3457兆円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1-20
[9] 뉴스 国富3689兆円で最高 19年末、インフラ整備や地価上昇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1-20
[10] 뉴스 国富5年ぶり減少 20年末、コロナで設備投資停滞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1-24
[11] 웹인용 Americans' net worth up for 3rd straight quarter http://news.yahoo.co[...] U.S. Federal Reserve 2010-03-11
[12] 웹인용 "Japan's National wealth falls"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0-02-01
[13] 웹인용 UK worth £6.7 trillion http://www.statistic[...]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0-08-02
[14] 웹인용 Canada’s net worth edges up in Q1 http://money.canoe.c[...] Money 2010-06-21
[15] 웹인용 National Wealth Estimates at the End of 2008 (at current prices) http://kostat.go.kr/[...] Statistics Korea 2010-03-11
[16] 웹인용 383.0.55.001 - Measures of Australia's Progress: Summary Indicators, 2009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0-03-11
[17] 웹인용 National Wealth Statistics > Statistical Tables http://eng.stat.gov.[...] National Statistics Republic of China 2010-03-11
[18] 웹인용 Singapore's household net wealth hits all-time high of US$886 bil. http://www.chinapost[...] Chinapost.net 2010-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