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IWUSP)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운동의 분열 속에서 중도적 입장을 가진 정당들이 결성한 국제 조직이다. 192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창설되었으며, 독일 독립 사회 민주당,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분파, 영국 독립 노동당 등 10개 정당이 참여했다. IWUSP는 제2 인터내셔널과 코민테른 양쪽으로부터 보이콧되었으며, 평화주의와 사회 혁명 사이의 중도 노선을 추구했다. 1922년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이 독일 사회민주당에 합류하고, 1923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결성을 통해 해체되었다. IWUSP는 개량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에서 중도 노선을 시도한 사례로, 이후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 국제정당 - 진보주의 인터내셔널
진보주의 인터내셔널은 유럽 민주주의 운동 2025와 샌더스 연구소의 제안으로 2020년 출범한 국제적인 진보 세력 연대 조직으로, 권위주의적 민족주의와 재앙 자본주의에 대응하고 진보 세력을 통합, 조직, 동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좌파 국제정당 -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1923년 사회주의 정당들이 모여 결성한 국제 조직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코민테른과 대립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해산되고 사회주의 인터내셔널로 계승되었다.
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창립일 | 1921년 |
해산일 | 1923년 |
계승 조직 |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정치 성향 | |
이념 | 중도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
정치적 위치 | 좌익 정치 |
상징색 | 빨간색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사회주의 운동은 분열과 갈등을 겪었다. 전쟁에 대한 찬반 논쟁, 러시아 혁명의 영향 등으로 인해 기존의 제2 인터내셔널은 와해되었고, 급진적인 공산주의 세력은 코민테른을 결성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920년 4월, 영국 독립노동당은 스위스 사회민주당에 모든 사회주의 세력을 포괄하는 인터내셔널의 부활을 제안했다. 1년간의 협의 끝에 1921년 2월 빈에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새로운 "인터내셔널"이 창설되었지만, 제2 인터내셔널과 제3 인터내셔널 양측으로부터 외면당했다. 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혁명적 조국 패배주의를 거부하고 사회 혁명과의 완전한 단절을 추구했던 짐머발트 우파의 후계자를 자처했다.
1922년 초, 코민테른은 통일 전선 정책을 채택하며 세계 노동자 조직의 통합을 제안했다. 이에 4월 2일, 베를린 국회의사당에서 세 인터내셔널의 대표들이 모였으나, 레닌의 반대와 각 정당 간의 갈등으로 인해 코민테른 측은 5월 23일에 회담에서 탈퇴했다.
2. 1. 빈 회의와 IWUSP 창설
1921년 2월 2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분파(SFIO), 영국의 독립 노동당(ILP), 스위스 사회민주당(SPS),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등 10개 정당 대표들이 모여 국제사회주의정당사업협동체(IWUSP)를 창설했다. 1921년 4월, 스페인 사회노동자당과 이탈리아 사회당 최대주의 파벌도 IWUSP에 합류했다.IWUSP는 제2 인터내셔널의 개량주의와 코민테른의 급진주의 모두에 비판적이었으며,[1] 각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사회주의 운동을 추구했다. IWUSP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혁명적 조국 패배주의를 거부하고 사회 혁명과 완전히 단절했던 짐머발트 우파의 후계자를 자처했다.[1]
2. 2. 세 인터내셔널 회의와 통합 노력
IWUSP는 제2 인터내셔널과 제3 인터내셔널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 1922년 4월 2일부터 5일까지 베를린에서 세 인터내셔널 대표단이 모여 세 인터내셔널 회의를 열어 합병을 논의했다. 그러나 이념적 차이와 주도권 다툼으로 인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코민테른은 통일 전선 정책을 내세웠지만, 레닌의 반대와 각 정당 간의 갈등으로 인해 결국 5월 23일에 회담에서 탈퇴했다.2. 3.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의 합당과 IWUSP의 해체
1922년 9월 24일, IWUSP의 주요 구성원이었던 독립사회민주당(USPD)이 베른 국제 노동자 연합 소속 사회민주당(SPD)과 합당하였다. 제3 인터내셔널의 강경 노선에 실망한 베른 국제 노동자 연합과 IWUSP는 1923년 5월 함부르크에서 합동 회의를 열고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을 결성하며 합병하였다.3. 이념 및 특징
IWUSP는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중도좌파적 성향을 띠었다.[1] 이들은 개량주의적인 제2 인터내셔널과 공산주의 및 친소련적인 제3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을 모두 독단적이라고 비판하며, 각 국가의 정치 상황의 특수성에 더 많은 고려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1] IWUSP의 서기는 오스트리아의 프리드리히 아들러(SPÖ)였으며, 오토 바우어, 율리우스 마르토프가 주요 구성원이었다.[1] 이들은 제2 인터내셔널과 제3 인터내셔널의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기관지로는 ''Nachrichten der Internationalen Arbeitsgemeinschaft Sozialistischer Parteien''(IWUSP 소식)을 발행했다.[1] 포엘 시온(노동 시온주의) 지도자 다비드 벤구리온과 슐로모 카플란스키는 2차 2와 1/2 인터내셔널의 배후 운동에서 활동했다.[1]
4. 회원 정당
IWUSP에는 다음과 같은 정당들이 참여했다.
5. 1930년대의 유사한 시도
1930년대에는 제2 인터내셔널의 개량주의와 코민테른의 레닌주의 사이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하는 국제 조직을 만들려는 시도가 다시 나타났다. 좌익 사회주의 정당들의 국제 혁명 마르크스주의 센터(일명 런던 뷰로)가 그 예이며, "3과 1/2 인터내셔널"이라고도 불렸다. 이 조직에는 IWUSP에 참여했던 많은 정당들이 다시 참여했다.[1]
6. 평가 및 의의
IWUSP는 비록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사회주의 운동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특히, 개량주의와 급진주의 사이에서 중도적 노선을 추구하며 양측의 통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1] IWUSP의 실패는 당시 사회주의 운동 내의 이념적 갈등과 분열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들의 노력은 이후 노동 사회주의 인터내셔널(LSI) 결성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에 기여했다.[1]
제2 인터내셔널의 개량주의와 코민테른의 레닌주의 사이에서 국제 기구를 만들려는 노력은 런던 뷰로로 이어졌다.[1]
참조
[1]
서적
The British Labour Movement and Zionism: 1917–1948
Frank Cass
[2]
논문
L'internationale socialiste à la veille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juillet-août 1939: Documents de Friedrich Adler
Editions l'Atelier
1967
[3]
서적
The British Labour Movement and Zionism: 1917–1948
Frank Cass
[4]
저널
L'internationale socialiste à la veille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juillet-août 1939: Documents de Friedrich Adler
Editions l'Atelier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