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고, 1998년 IMF 외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대구 중구 동인동에 42,509m²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달구벌 대종, 시비, 명언비, 오솔길, 분수, 광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원에서는 달구벌대종 타종 의식, 음악회, 전시회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 - 대구원음방송
대구원음방송은 201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대구광역시 등에서 FM 98.3㎒ 주파수로 방송을 송출하며, 원불교 교리 프로그램과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2015년 WBS TV를 개국했다. - 대구 중구 - KOG
KOG는 2000년에 설립되어 《그랜드체이스》와 《엘소드》같은 횡스크롤 MMORPG를 개발, 전 세계적 인기를 얻고 PC와 모바일 게임 시장에 진출한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사이며, 2010년에는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자회사 KOG Games를 설립했다. - 대구광역시의 공원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공원 - 앞산
앞산은 대구 남구와 달서구 경계에 있는 660.3m 높이의 산으로, 주변 봉우리와 골짜기, 기념 및 체육 시설, 사찰, 방송 송신 시설 등을 포함한다. - 1998년 설립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1998년 설립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대구광역시 중구 |
면적 | 4.25 ha |
웹사이트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공식 웹사이트 |
이름 | |
한글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로마자 표기 | Gukchae bosang undong ginyeom gongwo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ukch'ae posang undong kinyŏm kongwŏn |
추가 정보 | |
면적 (제곱미터) | 42,500 m² |
2. 역사
1907년 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의 시민 정신을 기념하고, 1998년 제2의 국채보상운동으로 IMF 경제난 극복과 도심지 내 녹지 공간 확보 및 시민들의 안락한 휴식 공간 제공을 위하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으로 명명하여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조성한 공원이다.[4]
대한제국 말기 항일독립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의 구국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조성된 이 공원은 중앙도서관과 동인지하주차장 사이에 위치하며, 지하에는 3층 규모의 동인지하주차장이 있어 시민들의 주차 공간 확보를 돕고 있다. 중앙도서관과 인접하여 청소년들이 많이 찾고, 시내가 가까워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 있다.[4]
2. 1. 국채보상운동의 기원과 정신 (1907)
1907년 2월 21일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대표적인 민족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의 하나로, 국채보상운동의 구국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이 조성되었다.[4]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봄 대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시민 정신을 기념하고 1998년 제2의 국채보상운동을 통해 IMF 경제난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심지 내 녹지공간을 확보하여 시민들에게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이 조성되었다.[4]
2. 2. IMF 외환 위기와 제2의 국채보상운동 (1998)
1998년 대한민국은 IMF 외환 위기를 맞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계승한 제2의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운동은 금 모으기 운동 등으로 나타났으며, IMF 경제난 극복에 기여하였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이러한 시민 정신을 기념하고 도심지 내 녹지 공간 및 시민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조성되었다.[4]2. 3. 공원 조성 (1998-1999)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의 시민 정신을 기념하고, 1998년 제2의 국채보상운동 전개로 IMF 경제난 극복, 도심지 내 녹지 공간 확보, 시민들의 안락한 휴식 공간 제공을 위해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으로 명명되어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대구 중구 동인동에 조성되었다.[4] 공원 면적은 42,509m2(42509m2)이며, 달구벌 대종, 종각, 녹도, 편의시설 등이 있다.[4] 달구벌 대종은 향토의 얼과 정서가 담긴 맑고 밝은 소리로 만인의 기상을 일깨우고, 화합과 번영을 염원하는 대구시민들의 뜻을 온 세상에 알리고자 1998년 12월 22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에 설치되었다.[4]3. 공원의 구성 및 시설
1907년 2월 21일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시작된 대표적 민족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는 공원으로,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조성되었다. 공원 동쪽은 공평로, 북쪽은 국채보상로, 서쪽은 동덕로로 둘러싸여 있다.
공원에는 분수와 석조물 등 조경물과 어우러진 대형영상시설물, 이육사, 박목월, 조지훈, 이호우, 윤동주의 시비 등이 있다. 매년 12월 31일 자정에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하는 ‘달구벌대종’도 이곳에 있다. 대구시민의 도심 속 휴식공간이자 각종 전시회와 공연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4]
3. 1. 달구벌대종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시민 정신을 기념하고, 1998년 제2의 국채보상운동 전개로 IMF 경제난 극복을 염원하며 대구 시민들의 뜻을 알리고자 1998년 12월 22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에 달구벌대종이 건조 설치되었다.[4] 무게는 22.5t이다.달구벌대종은 매년 12월 31일 자정에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한다.[4]
3. 2. 오솔길 및 조경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는 255m 길이의 대왕참나무 오솔길과 소나무 숲, 분수와 정자, 잔디광장이 조성되어 있다. 향토 출신 시인들의 시비가 세워져 있는 '시상의 오솔길'과 선현들의 명언비로 꾸민 '명언순례의 길'도 있다.[4]'시상의 오솔길'에는 이육사, 박목월, 조지훈, 이호우, 윤동주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이들은 모두 일제강점기에 저항 정신을 노래한 민족 시인들로, 국채보상운동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다.[4]
'명언순례의 길'에는 이언적, 김굉필, 서거정, 이황, 정몽주와 같은 조선시대 선현들과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서상일, 서상돈, 그리고 민족시인 이상화의 명언비가 세워져 있다.[4]
공원 곳곳에는 낙락장송 및 이팝나무, 산벚나무 등 30종 1만 2300여 그루의 수목과 원추리, 은방울꽃 등 5종 3만여 본의 꽃이 심어져 있다.[4] 가로 9m, 세로 6m 규모의 대형 전광판을 통해서는 각종 생활 정보와 프로그램 중계를 볼 수 있다.[4]
3. 3. 분수 및 기타 시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는 255m 길이의 대왕참나무 오솔길과 소나무숲, 분수와 정자, 잔디광장, 향토 출신 시인들의 시비가 세워져 있는 시상의 오솔길, 선현들의 명언비로 꾸민 명언순례의 길 등이 갖추어져 있다. 가로 9m, 세로 6m 규모의 대형 전광판을 통해 각종 생활정보와 프로그램 중계 등을 볼 수 있다. 공원 곳곳에는 낙락장송 및 이팝나무·산벚나무 등 30종 1만 2300여 그루의 수목과 원추리·은방울꽃 등 5종 3만여 본의 꽃이 심어져 있다. 또한 무게 22.5ton의 달구벌 대종이 있어 해마다 이곳에서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한다.[4]3. 4. 식재 현황
공원 곳곳에는 낙락장송 및 이팝나무, 산벚나무 등 30종 1만 2300여 그루의 수목과 원추리, 은방울꽃 등 5종 3만여 본의 꽃이 심어져 있다.[4]4. 공원의 위치 및 주변 환경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1907년 2월 21일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시작된 대표적 민족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는 공원으로, 1998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조성되었다. 공원 동쪽은 공평로, 북쪽은 국채보상로, 서쪽은 동덕로로 둘러싸여 있다.[4]
5. 공원의 활용 및 문화 행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은 시민들의 휴식 공간, 전시 공간, 공연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청소년 놀이마당, 음악회, 전시회 등이 개최되며, 달구벌대종 타종 의식 행사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열려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4] 매년 12월 31일 자정에는 달구벌대종에서 제야의 종 타종식이 거행된다.[4]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Memorial Park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https://english.visi[...]
2024-01-25
[2]
웹사이트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 Introduction
http://gukchae.com/e[...]
2024-01-25
[3]
간행물
대구광역시고시 제1999-38호
http://theme.archive[...]
대한민국정부 관보
1999-04-20
[4]
서적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한국관광공사
20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동성로 지하도 길찾기 쉬워진다’···대구, 고정밀 전자지도 제작 예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